2010년의 UNIVERSALITY (유니버설리티: 보편타당적 가치)는 트렌 드 키워드로써, 세계화 및 윤리적 가치의 등장으로 넓게 확산된 시민 의식이 이를 뒷받침한다. 복잡한 환경으로 인해 우리 모두 단순하지만 의미 있는 행복의 순간들을 추구하게 된다. 인간이 가지는 가장 공통적인 삶에 대한 행복, 즐거움, 개인화된 라이 프스타일 추구, 반면 공동체로서 지켜야할 윤리의식 등 보편타당한 기 준에 만족할 수 있는 가치가 중요한 트렌드의 이슈가 된다. 인류는 끊임없이 유동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 또한 성 장하고 있다. 그 안에서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만드는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등장함에 따라 상호적인 영향 또한 증가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인터넷 사용은 2000년에서 2007년 사이에 유럽에서 200% 성장했다. 이러한 현상은 물리적인 거리를 줄이고 현실과 가상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가상공간과 실제의공간이 모호해지고 그 안에서 인간은 즉각적인 즐거 움을 찾는다. 즉 실제와 흡사한 디지털의 이미지와 초현실적인 상상을 통한 즐거움을 지향하므로 컬러 또한 밝고 화사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거공간은 도시의 변화와 거주자들의 영속적인 진화의 반영으로 인테리어는 구분이 모호해지며, 항상 재미있고 기능적인 공간 안에서, 더욱 더 유연해지고 쉽게 개조가 가능함을 추구하게 된다. 즉 전통의 가족 구성, 독신자, 이혼증가율에 의해 재탄생된 가족 등 주 거의형태가 분화되고 가족의 개념이 확대되었기 때문에 집이라는 공간 은 편리성 측면에서 어떤 환경에서든 적응 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 다. 이를 반영한 컬러에서는 모호한 컬러 톤, 콘트라스트가 강한 톤의 대비, 클래식함과 로맨틱 또는 모던함이 혼재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는 2010년 컬러트렌드를 휴앤톤으로 분석한 결과 2009년에 비 해 모든 색상과 톤이 고른 비중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2010년 주목 해야 하는 주요컬러로는 다양하고 미묘한 톤의 변화를 보이는 Yellow 계열이다. 2010년의 주요 색상은 Yellow으로 악센트로 활용되며 인테 리어 공간에서는 빛, 또는 따뜻한 이미지로 다양한 톤의 무드로 연출된 다. 현재의 트렌드 컬러는 또한 Yellow는 인테리어 공간에서 따뜻함의 빛 으로 해석할 수 있고 또한 톤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네온컬러에서 베이지를 바탕으로한 내추럴함, Golden Yellow 의 클래식함의 표현까지 가능하다.
또한 2009년의 Green컬러는 친환경의 의미로 해석되어 고급스러움을 차별화 하는 단서가 되며 2010년 클래식에 대한 재해석으로 이어진다. 고급 소재를 평범한 것과 혼합하고 클래식한 것들을 변형시키는 역설 적인 디테일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분위기를 취한다. 즉 평범한 것의 고급가공, 어울리지 않는 것들의 믹스를 통해 고급화하고 클래식함을 모던으로 해석하여 색채는 Colored Neutral를 통해 스킨 톤으로, Lgr 톤의 로맨틱하면서도 클래식함을 나타내는 혼합된 양상을 보인다. 2010년은 자연을 연상시키는 Green과 Blue가 확대되고 Yellow가 산 뜻한 포인트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Dark한 Neutral 계열이 강조 되는 현상을 보인다. Dark톤이 주는 저명도의 어둡고 무거운 이미지가 아닌 Tonal Dark와 같이 색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그림자가 드리워진 톤의 무드로 바뀐다. 마지막으로 Bright Tone, Dull Tone, Pale Tone의 증 가와 Acid Color, Neon Color또한 풍부한 팔레트를 형성하게 된다. 모든 가치가 한계점에 다다른 시대, 우리는 어떠한 새로운 영감도 얻 을 수 없으며 변화가 필요한 시기지만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지금까지의 반복일 뿐이다. 요즘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가장근 본적인 것으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자연의 원재료 및 컬러 그 원형으로 돌아가서 모든 것을 믹스하면 된다. 전통적인 것과 과학적인 것, 온갖 기술을 총동원하여 매혹적이며 상상을 뛰어넘는 새로운 디자 인 비전을 창출해야 한다. 색상 팔레트 또한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토 양, 바다, 산 등의 자연컬러로 Orange에 가까운 Red, Golden Yellow, Green에서 Blue의 컬러로 출연된다.
이상 2008년에서 2010의 트렌드를 정리한 결과 최근의 인테리어컬러 의 주요 이슈는 Green컬러에 대한 해석이 확대되어 친환경, 행복한 삶 의 추구, 사회공통의 윤리 의식으로 정리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2008년에서 2010년의 Key Color와 톤의 변화를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먼저 Neutral계열은 2008년 순수한 그레이의 변화, 2009년의 석고, 회반죽에서 연상되는 계열에서 2010년 Colored Neutral로 뿌연 그림 자, 따뜻한 무채색, 불투명 느낌 등 색감이 있는 모호한 컬러로 변화한 다.
2008년 휴앤톤에서 보면 Purple Color는 V, S톤의 선명함과 채도감이 낮지만 중명도의 Dl, Dk으로 세분화됨을 알 수 있다. Dark톤의 분위기 는 2008년 MoonLight Dark Tone으로 명시되며 2009년은 한밤중과 같이 어두운 다크 톤의 색상들이 선호되었다면 2010년은 엷게 퍼지는 듯 하며 그림자로 가려진 색조의 Tonal Dark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주요 색상팔레트를 살펴보면 Red는 2008년은 V, S톤과 YR계열로 더 해져 시각적으로 선명하고 강렬함을 더했다면 2009년의 모던한 레드 즉 Strong, Deep, Dark 등의 딱딱하고 경직된 느낌으로 전개된다. 2010 년 Red는 Multi Red로 Berry 컬러 즉 Rp계열로까지 색의 영역이 확 장된다.
2008년 Green이 Gray의 분위기가 더해져 저채도의 탁한 색조로 전개 되었다면 2009년 Green은 GreenYellow와 함께 V, S, B 톤의 선명하 고 정원의 싱그러움을 주는 컬러로 변화된다. 2010년은 Forest Green 이라 하여 울창한 숲이 연상되도록 Blue색상이 더해져 깊이감을 주는 풍부한 색상으로 전개되어질 것이다. 밝고 선명한 GY, G는 BG의 풍부 한 색상에 강조로 배색되어질 수 있으며 색상차이에 의한 대비로 인공 적인 느낌을 주며 전개될 것이다.
이처럼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Yellow, Green, Blue Color는 지속적 으로 확대되어 주목될 것이며 배색을 통해 풍부한 색감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Blue는 2008년 뿌연 느낌의 탁색조였고 2009년은 맑고 깨끗한 느낌 을 강조하여 B, P톤의 영역에 분포하고 2010년은 빛에 투영되고 따뜻 한 바람을 연상시키는 Turquoise Blue 즉 Blue Green의 색상에 가깝 게 변화할 것이다. 즉 Blue의 차가운 느낌이 아닌 따뜻한 느낌으로 연 출될 것이다.
2009년 인테리어컬러로 처음 등장한 Neon Color는 경기침체, 불황에 대하여 색채를 통한 기대심리와 희망적인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다. 그 러나 다소 딱딱한 느낌의 2008년 고채도의 색상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2010년 인테리어컬러트렌드의 색상과 톤이 고르게 분포하는 특징을 보 이는데 스스로가 빛을 바라는 듯 조금 명도가 높으며 따뜻하고 부드러 운 네온 컬러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Vivid Tone, Strong Tone, Bright Tone의 계속 강조되며 Acid Color, Neon Color, Chromatic Color 등의 강렬하고 원색적인 컬러들 이 등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2010년의 인테리어 컬러는 더욱 다채롭고 풍부한 색감으로 전개 될 것이다.
파스텔 색조 또한 2008년은 Lgr톤의 컬러로 전개되었고 2009년 밝고 부드러운 느낌의 로맨틱 무드로 진행된다. 2010년은 한층 생기 있고 컬 러감이 살아 있는 색조로 변화 한다.
인테리어Key Color는 2008년에서 2010년의 미묘한 톤차이로 변화하 고 있으며 5장의 인조대리석의 컬러 및 패턴디자인 개발 제안을 위해서 2010년 제시되는 인테리어색상의 영역 중 개발범위의 컬러와 톤을 선 정하였다. 최근의 이슈인 친환경, 에코 등의 내추럴리즘에 주목하고 현 재까지 꾸준히 출현하는 Green, Neutral, Yellow의 변화를 주목하고 톤은 Dp, Dark, Colored Neutral군을 선정하여 5장의 다른소재와의 결합을 통한 디자인의 컬러를 선정하였다.
4.2. 2010년 트렌드를 반영한 소재개발 테마 본 장에서는 2010년 트렌드를 반영한 소재개발 테마를 크게 3가지로 구성하였다. 2장의 공간 인테리어 변천에 의하면 소재의 진화는 인공의 것에서 천연의 질감을 선호하며 고급화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섬 유, 나무, 돌 등의 자연의 근원적인 소재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인간의 감 성에 맞는 소재의 개발로 이어졌다. 이것은 내추럴리즘, 에코디자인, 친 환경 등의 2000년 이후로 이어지는 큰 트렌드의 반영이며 주거환경을 움직이는 주체의 라이프스타일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2008년에서 2010년의 인테리어 트렌드 컬러변화는 다양한 컬러와 고 른 톤의 분포를 보이지만 그중 Green에 관한 사고의 변화를 컬러 와 라이프스타일로 연결 지을 수 있다. Green은 작게는 자연의 색으로 자 연의 생동감과 싱그러움을 표현할 수 있는 컬러다. 하지만 이것을 자연 의 근원으로 해석하여 가공하지 않은 천연, 야생의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으며 또한 인간과 함께 교감할 수 있는 치유와 편안함을 주는 인테리 어트렌드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주거환경과 공간인테리어 트렌드의 변천을 반영하고 2008년부터 2010년에 이르는 컬러트렌드를 반영하여 결정한 3가지 테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테마는 섬유의 부드럽고 따뜻함이다. 섬유의 유연함과 씨실과 날실의 교차에 의한 패턴 변화를 개발하였으며 섬유조직에 의한 단단하 고 결합된 이미지 또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석재가 가지는 차가운 느낌을 섬유가 가진 포근하고 부드러운 따뜻한 인조대리석개발이 가능 할 수 있도록 감성적으로 접근하였다.
두 번째 테마는 재질감을 통한 내추럴리즘의 구현이다. 좀더 내추럴하 고 클래식한 분위기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조명 하였다. 온화하고 절제 된 장식, 친환경 마감재, Green의 에코디자인을 부각하였고, 나뭇잎, 돌, 흙, 조개 등의 자연에서 얻어지는 거친 질감의 텍스쳐를 개발하였 다.
마지막 세 번째 테마는 빛과 온도의 교감이다. 차분하고 밝은 색상들에 의해 표현되는 신비스러운 분위기와 온도에 반응하는 디자인을 개발하 였다. 빛의 중첩에 의한 투명, 반투명의 효과를 디자인의 요소로 활용하 며 따뜻한 느낌을 추구하였다. 또한 절제와 비움을 근본으로 차분하고 편안한 분위기 조성의 디자인 이미지를 개발하였다.
5. 인조대리석의 컬러 패턴디자인 개발 제안 현재의 인조대리석 개발 방향은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하고, 주거공 간에서의 이미지와 조화롭게 할 수 있는 컬러와 패턴을 찾는 것이다. 또한 천연석과 같은 고급스러운 질감을 반영하여 그것과 유사한 느낌으 로 인조대리석을 구현하는 것은 현재의 인조대리석 생산업체가 지향해 야 하는 가장 중요한 관점이다. 그러나 천연석과 유사한 디자인 방향을 좇아 천연석의 구현만을 추구한다면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소재의 가능 성을 살펴볼 때 우선순위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인조대리석이 천연석과 그 표면이 같다면 인조대리석은 인공소재이므 로 그 경쟁력을 갖기가 어렵다. 때문에 디자인 개발의 가장 중요한 관 점은 인조대리석만이 가지는 장점, 즉 천연석과 유사함을 기반으로 하 되 인조대리석만의 차별화된 컬러와 패턴을 구현해야한다. 최근의 인테리어 경향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친환경 소재여야 하 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사회적인 책임의식을 가진 에코 디자인이 추세 이다. 또한 현재의 국내외 인조대리석 업체 역시 디자인 개발뿐만 아니 라 작업 환경, 생산, 제품 등의 세계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인증의 단계 를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인조대리석의 제품개발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정하였다. 첫째는, 현재 MMA계 인조대리석에서 가장 손쉽게 시도해볼 수 있는 방향으로 천연석과 유사한 이미지 제안이다. 3장을 근거로 천연석에서 보이는 파선, 물결, 번짐, 칩크기의 대비, 4가지 패턴으로 정하였다. 컬 러는 천연석과 국내 유통의 인조대리석을 휴앤톤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 석하였다. 두 번째는, 다른 소재와의 결합을 시도한 인조대리석 제안이다. 이는 기존의 화강석표면을 갖는 인조대리석과 차별화를 줄 수 있는 소재로 4장에서 제시한 2008년에서 2010년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의 변화에 맞게 컬러를 추출하고 2010년 트렌드를 반영한 소재개발 테마를 3가지 로 나누어 디자인 개발 컨셉을 정하였다. 인테리어 소재로서 인조대리석의 새로운 표면처리는 컬러와 패턴이 무 궁무진하겠지만 주거공간에서의 내장 벽체, 실내가구 및 조명, 기타 디 자인 제품 등의 적용범위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컬러와 패턴을 제안하 고자 한다. 인간의 감성은 소재에 대한 시각과 촉각을 중시한다. 때문에 가공하지 않은 자연친화적인 소재와 빛을 디자인요소로 적극 활용하여 표면처리 의 다양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최대 석재 전시라 할 수 있는 이탈리아의 MARMOMACC전시동향을 살펴보면 석재의 다양한 표면처리를 통해 돌과 전혀 다른 느낌의 질감 과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다양화된 표면처리의 경향과 다른 질감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 은 있어 왔지만 섬유의 조직처럼 보이는 부드러운 대리석, 따뜻한 대리 석, 섬유를 결합한 견고한 느낌의 대리석 등의 표면처리는 시도되지 않 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다른 소재와의 결합을 통해 인조대리석 표 면처리의 다양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개발 테마로 우리 생활 환경 속에서 가장 친근하게 접할 수 있고 컬러를 표현하는데 자유로운, 섬유느낌을 구현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섬유는 외형면에서 씨실과 날실을 엮어서 표현하며 다른 인공소재에 비해 감촉면에서 부드럽고 따뜻하다. 또한 방직, 뜨기 등을 활용하면 복 잡한 색의 표현이 가능하고, 유연하고 자유로운 형상 또한 가능하다. 일 반적으로 섬유는 커튼, 의자, 쇼파, 쉐이드, 이불 등의 인테리어 소재로 널리 애용되며 주거공간의 영역에서도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두 번째 개발 테마는 내추럴리즘이다. 내추럴리즘은 인테리어 공간에 서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컨셉이다. 하지만 2010년의 내추럴리즘은 기존 의 Green컬러에서 보이는 생동감과 싱그러운 자연, 가공하지 않은 천 연의 것을 모두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으로 주거환경에서 소재가 주는 편안함과 고급스러움을 테크놀러지를 바탕으로 재현해 내는 내추럴리즘 이다. 때문에 소재가 주는 편안함과 고급스러움은 시각과 촉각 등 인간 본연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자연을 모티브로한 소재의 재질감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세 번째의 개발 테마는 빛과 온도를 응용한 것이다. 빛과 온도는 따뜻 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그것의 활용에 의해 보이지 않았던 패턴을 드러나게 하고 반응 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소개 개발 컨셉을 3가지로 분류하여 인조대리석 시편을 제 작하였다. 현재의 MMA계 인조대리석은 액상의 시럽상태에서 경화시켜 제품이 완성되기 때문에 그 이전에 다른 재료의 투입이 가능하여 다양 한 표면처리의 시도를 할 수 있다. 본장에서의 디자인 제안은 상용화의 과정을 염두에 두고 천연석과 유 사한 디자인 개발과 동시에 변화하는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한 소재를 제안하고자 노력하였다. 5.1. 천연석과 유사한 인조대리석의 디자인제안 본장에서는 3장에서 분류한 천연석의 컬러를 모아 컬러와 톤의 밀집되 는 영역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에 유통되는 4개 회사의 인조대리석 (MMA, 엔지니어스톤)의 컬러와 톤 또한 천연석과 마찬가지로 정리하 였다. 그 후 천연석과 인조대리석의 밀집된 컬러와 톤을 비교 분석하여 천연석과 유사한 인조대리석의 디자인에 개발컬러 및 패턴의 범위를 정 하였다. 은 천연석의 컬러를 모아 한 장의 휴앤톤 시트에 정리한 것이 다. 컬러를 보면 R, YR, Y의 따뜻한 색과 G, BG, B, PB의 영역과 Neutral계열로 세분화할 수 있다. 톤은 대리석과 화강석에서만 Dp, Dk 가 출현하고 그 외의 석재의 분류에서 L, Lgr, Dl, Dp이 주를 이룬다. 종합해본 천연석의 휴앤톤 분포는 R, YR, Y는 Vp톤에서 Dk톤까지 고 르게 분포하고 GY, G색상은 컬러와 톤의 분포빈도가 낮으며 BG, B, PB의 색상에서는 L, Dk톤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Neutral계 열은 고명도에서 저명도까지 고른 분포를 보이며 인조대리석에 비해 깊 이감과 무게감을 줄 수 있는 Dp, Dk톤에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아래의 은 국내외 유통되는 인조대리석의 컬러를 모아 한 장 의 시트에 정리하고 천연석의 컬러분포와 영역을 비교한 것이다. 빨간 원은 천연석의 휴앤톤 분포이고 파란원은 MMA인조대리석의 휴앤톤 분포이다. 회색의 교차되는 부분은 천연석에 존재 하지만 인조대리석의 컬러와 톤 분포가 부족한 부분이다. 따라서 회색부분을 천연석과 유사 한 인조대리석의 컬러 및 패턴 디자인에 제안할 수 있는 구간이다. 본 연구자가 회색의 공간을 천연석과 유사한 인조대리석 컬러 개발 구 간으로 잡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기존의 MMA 인조대리석은 천연석과 유사한 컬러팔레트 를 보이며 휴앤톤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천연석에 비해 Vp, P, B 톤 등의 명색조에 밝게 분포하며 상대적으로 Dp, Dk 톤의 분포 가 천연석에 비해 저조하다. 왜냐하면 MMA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은 안 료에 의해 색이 구현되고 수지와 칩을 통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안료만 으로는 천연석의 Dp, Dk 톤과 같은 고급스러움을 연출할 수 없기 때문 이다. 그러므로 천연석의 깊이 감 있는 컬러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MMA를 구성하는 칩개발이 동시에 이뤄져야 할 것이다. 회색의 공간은 인조대리석의 특장점인 컬러 개발이 용이함을 강조하여 개발 컬러 구간으로 선정하며 표면 패턴은 천연석의 패턴에서 근거하여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 MMA의 Neutral계열은 고명도와 저명도로 확연하게 나누어지며 중간 명도인 N4에서 N5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 주거공간, 상업공간에서 포 인트가 될 수 있는 고채도의 V, S 톤의 다양한 원색은 인조대리석에만 존재한다. 이와 같은 고채도 색상은 칩이 없이 안료와 수지만으로 구성 된 Solid 인조대리석으로 원색의 강렬함을 강조한다. 엔지니어 스톤은 고급석재 소재로 인테리어에 적용하지만 현재까지 개 발된 컬러와 톤의 범위가 넓지 않다. 하지만 MMA계열과 마찬가지로 천연석과 유사한 구간에서 컬러와 톤의 분포를 보이며 더욱 천연석에 가까운 소재로 DP, Dk톤이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MMA의 인조 대리석에서 보이는 P, Vp톤의 개발이 필요하고 BG, B, PB의 색에서 는 Lgr, L, Gr의 톤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천연석, MMA, 엔지니어 스톤의 휴앤톤을 비교하여 개발이 필요한 색상과 톤의 분포를 알 수 있다.
는 개발한 디자인을 휴앤톤으로 분류하고 패턴으로 정리하였 다. ⇨ 컬러 개발 제안 - Neutral- colored neutral로 색감을 가지며 고명도 저채도 제안 - R, YR, Y의 Vp, Lgr, L톤 - N4, N5의 중간명도 Neutral색 개발 - Red_Dl, Dp톤 - 친환경의 이미지로 인조대리석에서 시도되지 않은 G색상, Dl톤 추가 - Purple Blue_Dl, Dp, Dk, Deep톤 - Deep & Dk톤의 변화와 다양화로 천연석과 유사한 무게감 있는 저명도의 컬러를 제안 ⇨ 패턴개발- 파선, 물결, 번짐, 칩크기의 변화는 천연석의 컬러와 패턴을 기준으로 한 제한된 범주에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써 패턴을 기준으로 이미지를 정리하였다. 파선무늬 이미지 제안은 선의 방향성을 달리하여 수직, 수평, 곡선, 비 정형의 파선을 교차시켜 패턴의 변화를 주었다. 또한 고명도 저채도의 색상으로 이미지 제안하여 톤의 미묘한 변화와 퓨어한 느낌을 강조하였 고, 수직의 파선을 이용해 무채색의 그러데이션 효과를 주었다. 물결무늬 디자인 이미지는 Tone in Tone으로 배경색과 물결의 패턴 이 두드러지지 않게 하였다. 색상은 Y, YR 의 따뜻한 느낌과 B, PB의 차가운 느낌으로 구분하여 L에서 DP톤의 변화를 주었다. 번짐무늬는 바탕색과 패턴색의 차이를 크게 하지 않고 칩의 크기를 변 화시켜 번짐무늬와 함께 분포하도록 하여 천연석과 유사하게 이미지를 제안하였다. 칩크기의 변화는 기존의 인조대리석 제조사에서 가장 대중화 되어있는 화강석 이미지로 칩의 색상을 유사하게 하고 밀도를 높여 표면이 하나 의 단색처럼 보이게 하였고, 반면 R, PB의 색상의 Dp, Dk은 칩의 형 태나 색상의 차이를 두어 블록커팅의 효과를 주었다. 패턴 또한 현재는 칩크기의 차이와 밀도감에 의존한 화강석의 패턴외 에 다양화한 패턴을 시도, 천연석과 유사하지만 차별화할 수 있는 풍부 하고 다양한 컬러의 개발이 필요하다.
5.2. 다른 소재와의 결합을 통한 디자인제안 2008년에서 2010년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의 변화를 살펴보고 컬러 군의 출현과 톤의 변화를 조사하여 개발소재에 적용할 컬러를 추출하였 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인조대리석은 칩을 분쇄, 믹싱, 경화시킨 후 가 열, 가압의 단계를 거쳐 생산된다. 그 후 분쇄된 칩의 분포도와 밀도감 을 잘 드러내기 위해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을 통해 고르고 매끄럽게 만 든다. 반복, 세밀한 연마과정을 거치면 표면이 매끄러운 광택을 유지하게 되 는데 이는 주방 가구나 테이블, 세면대의 상판에 사용될 때는 위생적이 고 오염에 강해 이상적이지만, 어느 분야의 인테리어 소재로 적용되는 지에 따라 감성에 어필할 수 있는 다양한 표면처리 방법이 다르게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인조대리석은 가공의 용이성으로 투각, 조각이 가능하고 코팅방법 처 리에서 투명, 반투명의 효과와 거친 질감을 그대로 살리는 브러시 가공 의 표면처리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제작한 인조대리석은 다음과 같 은 순서에 의해 제작하였다.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제조사마다 다소의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일반적 방법은 대동소이한 편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21%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와 79%의 메틸메타아크릴레 이트(MMA)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지시럽 100 중량부에 수산화알루 미늄(ATH) 115 중량부를 넣고 여러 가지 모양의 칩을 넣은 다음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여 인조대리석을 일정한 몰딩에 부어서 경화시키는 방 법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몰딩에 수지와 안료를 넣기 전에 몰드 표면에 광택제와 이형제를 미리 바르는데, 광택제는 대리석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기 위함이고 이형제를 바르는 것은 탈형을 용이 하도록 하는 것 이다. 이렇게 몰드에 1차적으로 광택제와 이형제를 도포한 후 수지시럽 에 충전제, 안료, 칩, 다른소재 등을 결합하여 경화의 단계를 가진다. 열을 가하게 되면 빠른 속도로 경화가 진행되지만 본 제작과정에서는 실온상태의 자연스런 경화를 촉진시켰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수지패널 내부에 여러 가지 패턴을 시각적으로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수산화알루미늄을 제외하고 인조대리석을 제작하였다. 수산화알루미늄은 수지 흡유량이 커서 몰드에 충전시킬 때 재료화합물의 점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제작과정을 거친 시편은 인조대리석의 일반적인 후 가공 공정 인 절단과 Polishing공정을 거쳐 일정한 사각형 모양으로 패턴이 잘 보이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4장에서의 인테리어 컬러의 변화와 테마에 따라 수지 시럽의 상태 에서 인조대리석의 다양한 패턴을 제안하기 위하여 섬유조직의 구현, 자연의 모티브, 빛과 온도를 이용하여 다른 소재의 응용을 통해 디자인 을 제작하였다. 1)섬유조직의 디자인 제안 인테리어 공간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섬유나 가죽을 수지 시럽에 함침 시키거나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수지 상태에 서 입체적인 섬유 조직을 구현하기 위해 평직과 능직을 변형하여 인조 대리석을 제작하였다. 섬유조직은 기존 칩의 형태가 아닌 미세한 돌의 입자를 반죽하여 원사 소재의 형태로 만드는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되었 으며 이 방법은 추가적인 상용화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2)섬유 단면을 확대한 디자인 제안 여러 가지 원사의 형태를 그대로 표현하기 위하여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수지에 돌가루를 반죽하여 나온 섬유 형태를 꼬아서 굵은 섬유의 꼬임 형태를 부여하였으며, 질감이 다른 섬유와 메탈릭 원사를 함침 하 였다. 또는 그물조직의 섬유에 Grass Bead를 넣어 자연스러운 섬유형 태의 조직을 표현하였다. 표면처리의 가공은 Polishing을 통해 입체적 인 느낌을 주면서 매끄러운 표면으로 가공할 수 있고 또는 섬유원단이 가지는 구김, 주름 등 입체적인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열성형 처리를 하 여 입체적인 느낌을 줄 수도 있다.
3)자연에서 모티브를 얻은 디자인 제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해 수지 시 럽에 자연에서 얻은 나뭇잎과 황토를 활용하였다. 친환경의 질감을 강 조하기 위해 나뭇잎의 결에서 얻어진 주름이 패턴이 되고 황토의 질감 은 따뜻함을 더한다. 황토의 자연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광물에서 보 이는 금박을 첨가하고 수지에 구김이 있는 입체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경화시켰다. 천연석의 마블링은 블루, 하양, 퍼플 등의 마블링을 구성할 폴리머클레이를 판형으로 만든 후 원형으로 다시 말고 그 단면을 컷팅 하면 천연석의 마블링을 얻을 수 있다. 마블링의 색상과 크기는 원형으 로 말 때 압력에 의해 조절 할 수 있다.
4)천연석에서 볼 수 있는 패턴을 재해석한 디자인 자연에서 얻어지는 천연대리석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하여 미립자의 펄(Pearl)과 빛의 은은함을 활용하기 위해 축광 소재를 사용하여 물결 무늬 형태, 번짐 형태, 파선, 큰 칩 형태 등으로 패턴을 구현하였다. 축 광소재는 평상시에 빛을 축척하여 빛이 없는 암흑 속에 빛을 발하는 소 래로 낮과 밤의 인테리어 소재에 다른 분위기를 제안할 수 있다.
5) 자개를 이용한 디자인 제안 준보석과 같은 고급스러운 느낌의 인조대리석을 제조하기 위하여 천 연에서 얻은 자개나 자개 가루를 넣어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자개가 루를 분쇄하여 화강석과 유사하지만 자개의 표면에서 구현되는 빛의 간 섭과 산란 효과에 의해 풍부한 화강석의 질감을 구현하고 또한 미립자 의 자개 가루를 이용하여 수지와의 배합에 의해 물결무늬의 구현을 시 도하였다. 자연스러운 마블무늬를 표현하기 위한 제조 공법으로는 비중이 각각 다른 2가지 수지를 활용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저 비중 수지를 먼 저 하단부에 투입한 다음 상부에 고 비중 수지를 투입시켜 하단부의 저 비중 수지가 자연스럽게 상부로 이동하면서 Marble 무늬가 형성되는 원리를 적용하였다. 또한 베이스의 수지와 자개가루의 혼합에서 저어주 는 폭에 의하여 작은 번짐 무늬와 큰 물결무늬 등 패턴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었다. 이것은 비중차이를 이용하고 경화 단계의 혼합에 의한 것으로 마블링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6) 빛을 디자인의 요소로 제안 빛에 의해 패턴이나 컬러가 다르게 보이는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홀로그램 박지나 Pearl을 활용하였고 투명과 반투명,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빛의 특성을 이용하였다. LED조명은 R, G, B 로 이루어져 빛의 혼합 원리를 통해 원하는 컬러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인테리어의 분위기에 맞춰 빛의 컬러를 바꿀 수 있는 빛을 적극적인 디자인요소로서 도입한 것이다.
7)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디자인 실내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소재를 활용하여 2가지 이 상의 색상과 패턴으로 보이도록 하는 감온변색 하이테크기술을 접목시 킨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일정한 온도에서 변하는 감온변색 안료는 트리페닐메탄계, 프로란계 등의 단독 또는 2종이상의 전자 공여물질과 비스페놀류, 알킬페놀류, 카 르본산 유도체 및 금속염 등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전자 수용물질이 포함된 캡슐형태의 모양의 안료이다. 이는 온도감에 따라 다르게 색이 구현되고 또는 다크 그레이의 표면이 투명하게 변하여 은폐 되어있는 패턴이 은은하게 드러나도록 디자인 하였다. 자연식물에서 유리섬유에 구현된 패턴은 컬러감이 PB색상이지만 주변 환경의 온도에 따라 약33 도씨에서 P, RP 까지 유사색상으로 컬러감이 변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이는 체온과 유사하여 사람의 손이 닿거나 열에 의해서 컬러가 다르게 변하는 교감할 수 있는 디자인의 제안이다.
이상과 같이 디자인에 있어 재료 자체가 표현의 주체가 되는 현 상황 에서, 다른 재료의 결합을 통한 컬러 및 패턴디자인의 연구는 본래 인 테리어소재로서 인조대리석의 영역을 확대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면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6. 결론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인테리어 소재 컬러디자인 연구에 대한 명 확한 이해를 위해 논문의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 하였 다. 2장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의 사회문화적 고찰을 주제로 주거환경의 변화 와 그 변화를 움직이는 주체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주거공간 안에서 사용되는 인테리어소재는 트렌드를 반영하고 무엇보다 주거환경의 변화와 사회적인 가치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재의 변 화가 전개된다. 때문에 현시대의 주거의 개념, 또한 인테리어소재의 핵 심 소비층인 주부를 표적 세분화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사회문화적 변화 를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주거환경 소재로서 석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의 화강석패턴이 가장 일반적이고 대중화 되어 있는 인조대리석이다. 이 소재를 국내외 시장에 내놓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인조대리석이 천연석 과 유사해야 한다는 소재적인 과제에 사로잡혀 인조대리석의 특징과 장 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연구자는 천연석과 유사해야하는 인 조대리석의 현실적인 과제를 인지하여 천연석을 출현 빈도수가 높은 상 업적인 분류기준을 통하여 천연석의 이미지 사진을 모아 색상과 색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2008년에서 2010년까지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의 변화를 정보지, 웹사이트, 문헌을 통해 분석하여 공통되는 경향을 정리하였다. 인테리어 컬러는 2008년에서 2010년의 컬러와 톤의 변화를 살펴보고 인조대리석의 디자인 개발방향의 컬러범위를 정하였다. 또한 라이프스 타일을 반영하고 5장의 디자인 개발 방향의 테마를 3가지로 나누어 제 안하였다. 5장에서는, 인조대리석의 컬러 패턴 디자인 개발 제안으로 2장의 라이 프스타일의 사회문화적 고찰을 통해 다양한 소재와의 결함된 인조대리 석의 컬러 및 패턴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테리어 컬러트렌드를 반영하고 3장에서 천연석의 컬러와 패턴을 근거로 하여 천연석과 유사 한 컬러와 패턴의 이미지를 제안하였다. 6장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현황들에 대한 분석의 결론을 종합하고 향 후 인조대리석의 컬러 디자인이나 패턴 개발이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범주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 람으로 제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국내외 유통되는 인조대리석업체는 제조사별로 칩 크기의 변형, 패 턴의 변형을 통해 매년 신규컬러를 출시하고 기본개발 방향에 있어, 천 연석의 컬러와 패턴을 모방하며 주방이나 욕실의 트렌드를 크게 벗어나 지 않는 제한된 범위 안에서 소극적인 개발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천연석을 대리석, 화강석, 그 외의 석재 트레버튼, 어닉스, 규암, 사 암 등 6개로 구분하여 색상과 색조를 분석한 결과 대리석만이 Rp, P 색상을 제외하고 고른 컬러와 톤으로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공통적으로 R, YR, Y 의 따뜻한 색 계열과 B, PB의 차가운 색, 그리 고 Neutral계열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외 인조대리석 개발 선두업체라 할 수 있는 듀폰, 삼성, LG, 한화 등의 색상과 색조의 범위를 조사한 결과 천연석의 범주와 일치하 였다. MMA 인조대리석은 천연석에 분포하지 않는 R, YR, Y의 P, B 톤이 개발되어 있으며 DP, Dk톤의 개발은 다소 미미하다. B, PB의 경 우 Vp, Lgr은 인조대리석에만 있는 톤이다. MMA는 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은 컬러구현이 자유로운 장점을 가진다. 또한 안료, 수지, 칩으로 인조대리석이 구성된다. 그러므로 천연석의 고 급스러움을 재현하기에는 안료의 색만으로는 힘들기 때문에 칩의 다양 한 개발이 필요하다. Neutral 계열은 고명도와 저명도로 확연하게 나누 어지며 중간 명도인 N4에서 N5의 개발이 필요하다. 엔지니어 스톤은 고급석재 소재로 인테리어에 적용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컬러와 톤의 범위가 넓지 않다. 하지만 MMA계열과 마찬가지로 천연서과 유사한 구 간에서 컬러와 톤의 분포를 보이며 더욱 천연석에 가까운 소재로 DP, Dk톤이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MMA의 인조대리석에서 보이는 P, Vp톤의 개발이 필요하고 BG, B, PB의 색에서는 Lgr, L, Gr의 톤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이태리의 최대 석재전시인 마모막(MARMOCC)에서 엔지니어 스톤 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천연석은 공극을 안료와 수지로 막아 엔지 니어스톤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엔지니어 스톤은 천연 석영칩을 90% 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수지와의 결합으로 비공질의 인테리어 소재로서 대리석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고 MMA특징과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그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할 수 있다. 4. 2008년에서 2010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를 정리한 결과 주요 이슈 는 Green컬러에 대한 해석이 확대되어 친환경, 행복한 삶의 추구, 사회 공통의 윤리 의식으로 정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10년 인테리어컬 러트렌드는 색상과 톤이 고르게 분포하는 특징을 보이며 더욱 다채롭고 풍부한 색감으로 전개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때문에 인테리어 컬러트 렌드의 영향을 받는 인조대리석의 개발컬러 또한 다양해 질 수밖에 없 으며, 인조대리석의 특장점인 컬러구현의 자유로움을 살려 소재로서 개 발되어야한다. 5. 본 연구자는 인조대리석의 개발 방향을 2가지로 잡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첫째는, 천연석의 색상과 색조의 범주에서 적용할 수 있는 패턴 을 조사한 결과 파선, 물결, 번짐, 칩 크기 등으로 분류되었고 이것을 이미지로 제안하였다. 둘째는,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하여 친환경, 빛의 컨셉과 섬유를 이용 하여 인조대리석의 개발시편을 제작하였다. 섬유는 씨실과 날실의 교차에 의해 여러 가지 다양한 패턴과 혼색이 가능하다. 단순히 현재의 칩 크기의 변화만으로 천연석과 유사하려는 업계의 노력은 당장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겠지만 지금의 대중적인 소 재가 나중까지 지속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므로 소재 개발에 대한 소극적인 의지보다는 석재가 가지는 차가움, 무거움의 발상을 전환하여 감성소재, 따뜻함을 통해 소재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인조대리석의 제한된 범위에 주로 적용되는 소재로서의 물 성 한계를 넘어 범위를 확장하고 새로운 소개개발과 표면처리를 제안 했다. 또한 다른 재료와의 혼합으로 다양한 표면처리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천연석을 모티브로 한 인조대리석 개발 시 천연석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 즉 화상처리를 통한 칩의 크기, 분포, 밀도에 대한 정량적인 데 이터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이용한 실제의 시편이 제작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천연석에서 보이는 컬러와 패턴을 이미지로만 제안하 는 것이 본연구의 한계점이다. 현재의 인조대리석을 생산하고 컬러 및 패턴을 개발하는 국내의 각 제 조사들 입장에서는 하나의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할 때 미적인 아름다움 보다는 투자 대비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응이다. 그러나 트 렌드는 변화하고 소재의 진화는 무궁무진하다. 따라서 개발가능성에 대 한 확신과 의지를 가지고 새로운 인테리어소재로 범주를 확대시키는 것 이 적극적인 방안이 되리라 본다.
'콘피키오의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유를 위한 한의원 흙건축 실내공간 계획 (0) | 2020.08.10 |
---|---|
건강을 위한 자연친화적 치유공간 인테리어 (0) | 2020.08.10 |
인테리어 트렌드의 변화 (0) | 2020.08.10 |
천연석의 컬러와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0) | 2020.08.10 |
공동주거 공간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