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요인분석의 방법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다차원의 데이터를 거기에 포함된 정보의 손실을 가능한 작게 해서 2차원 혹은 3차원의 데이터로 축약하는 방법. - 105 - [그림 4-1] 라이프스타일 유형 척도의 스크리 도표4) 요인 1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하는 문항의 내용이 추출되어 ‘개성추구 형’으로 명명하였으며, 요인 2는 브랜드와 감각을 추구하는 특성의 문항들 이 추출되어 ‘유행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3은 실속과 편의를 추구하 는 특성의 문항이 추출되어 ‘편리추구형’으로 구분 지었으며, 요인 4는 사 교를 중요하게 여기고 취미를 추구하는 내용의 문항이 추출되어 ‘여가추 구형’으로 명명하였다. 4) 요인분석에서 고유값이 1이상인 값을 의미 있는 요인으로 추출할 수 있는데, 스크리 도표를 사용하여 고유값이 1이상인 것을 찾는 것이다. - 106 - 문항 요인 1 요인 2 요인 5 요인 7 공통 성 5. 집 내부 가구배치는 무엇보다 내가 사용하기 편한대로 배치되어야 한다. .47 .76 7. 남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제품을 선호한다. .68 .67 10. 실내장식품을 비싼 것이 품위가 있다고 생각한다. .67 .61 21. 혼자 있는 시간을 좋아하는 편이다. .61 .73 27. 비싼 제품을 그만큼 품질도 우수하다고 생각한다. .42 .55 34. 살아가는 명확한 라이프스타일이 있다. .72 .65 38. 집을 꾸미는데 있어서 만족할 때까지 투자하는 편이다. .51 .69 42. 주말동안 거의 밖에 나가지 않고 집에서 머문다. .71 .67 1. 실내장식품을 유행에 따라 자주 교체하는 편이다. .57 .72 8. 물건 구입 시 색깔이나 디자인 중심으로 구매한다. .59 .71 16. 브랜드 제품을 세트로 구매하는 편이다. .70 .67 19. 브랜드 제품에 신상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82 .79 30. 나만의 집공간은 무엇보다 자신의 개성이 연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70 .64 39.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여 제품을 둘 장소가 필요하다. .66 .85 44.집을 구매할 때 평면이나공간보다는브랜드를 중요시여긴다. .80 .74 45. 집안을 꾸밀 때 모든 제품들을 내가 직접 보고 골라 사는 편이다 .54 .71 2.물건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저렴하게구매한다. .71 .68 3. 물건구입 시 디자인 보다 실용성을 우선시한다. .45 .67 6. 외곽의 큰 평수 보다 도시형 소형주택을 선호한다. .85 .80 9. 실내코디네이트를 위해 블로그, 홈페이지, 잡지 등을 찾아보는 편이다. .54 .63 24. 모듈 있는 가구로 공간을 활용하고 싶다. .76 .65 33.최신스마트폰, 아이패드등으로 다양한컨텐츠를이용한다. .77 .66 41. 최신 정보에 민감하며 알기 위해 노력한다. .56 .72 50. 집에서 취미생활을 즐기는 편이다. .83 .77 4. 각종 모임, 동호회 활동, 단체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편이다. .60 .71 11. 다른 방의 크기를 줄여서라도 취미실을 만들고 싶다. .60 .69 22. 친한 친구, 동료, 선후배를 집으로 초대하는 것을 좋아 하는 편이다. .62 .76 25. 집에서 파티나 모임을 자주하는 편이다 .74 .77 51. 집에서 취미생활을 즐기는 편이다. .67 .57 52. 사교적이며 친구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한다. .50 .71 54. 운동이나 헬스, 여행을 즐기는 편이다. .63 .64 55. 영화, 연극, 오페라 관람 등의 문화, 취미생활을 즐기는 편이다. .67 .71 고유값 5.78 2.15 1.93 1.71 분산(%) 18.06 6.7 6.0 5.3 누적(%) 18.06 42.07 54.46 65.26 [표 4-3]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요인행렬 - 107 - Kaiser-Meyer-Olkin의 측도 .815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근사카이 제곱 2041.175 자유도 496 유의확률 .000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하위영역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과 양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KMO와 Barrlett검정을 실시하였다. KMO와 Bartlett's 검 정5)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의확률이 .000으로 전반적으로 변 수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적이며 KMO측도인 .815와 근사카이 제곱의 값이 2041.75(df=496)로 요인분석을 위한 좋은 문항이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 다. [표4-4]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KMO와 Bartlett's 검정 (2) 확인적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추출된 4개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척도에 대하여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측정구조에 대한 타당 도 평가는 확인적 요인분석이 제공하는 적합도 지수들에 의해 실시되었 으며, 변수별 측정모델에 대한 전반적 적합도 지수를 살펴본 결과 제안 모델이 모두 적합도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승인 가능한 수준 에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전반적인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지표인 카이자승 검증 결과가 유의하게 나오지 않아 요인구조 모형의 귀무가설은 승낙되었으며, 카이자승을 통해 5) 요인분석에서 표본의 적절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문항간의 상관관계가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KMO값은 1에 가까울수록 요인분석의 의미가 높고, 0.5이하면 요인분석은 성립하지 않는다. - 108 - 적합도 지수   df CFI NNFI RMSEA 모형 25.28 2 .97 .92 .07 살펴본 모형 검증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모델이 적합함이 검증이 되었다(  = 25.28, df = 16, p > .05). 그리고 표본의 영향을 덜 받는 CFI(Comparative Fit Index), 표본의 크기에 민감하지 않고 모형의 간명성을 선호하는 지수인 NNFI(Non Normed Fit Index)와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사용했다. CFI와 NNFI는 .90이상이면 모형의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간주하고, RMSEA값이 .05미만이면 좋은 적 합도 .8미만이면 괜찮은 적합도 .10미만이면 보통 적합도 .10보다 크면 낮은 적합도로 간주된다. 모형 적합도 지수에서도 대체로 괜찮은 적합도가 증명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