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3-26]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분석 총괄매트릭스 - 97 - 3. 3. 소결 본 연구 3장에는 이론적 분석 선행분석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토대로 만든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소 매트릭스를 가지고 국내·외에 서 진행 중인 22개(A-V)의 사례들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 가요소를 사례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앞장의 [표 3-49]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소 종합 매트릭스 를 보면 국내사례와 국외사례에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1) 도시형 소형주택의 공간구조 국내 사례를 보면, 공간구조는 실의 유형(개수)과 구조(형태)로 나뉜다. 실의 유 형과 구조로는 원베드룸 또는 투베드룸의 일자형 구조가 많았으며, 주방의 구 조는 일자형의 LDK 통합구조로 발코니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욕실은 변기+ 세면대/샤워기 구조가 대부분이였고, 알파(a)룸은 공간 확장으로는 아직 많은 분포도가 있지 않았지만 수납을 위한 구조의 사례가 간혹 있었다. 알파(a)공간 의 추가구조는 서재공간을 위한 추가 구조 사례가 많았으며 변형단층은 대 부분 단층형 구조를 보이고 있다. 국외사례들은 공간구조는 국내사례와 달리 투베드룸, 쓰리베드룸이나 다변형 구조로 되어 있고 주방은 대부분 작지 않은 ‘ㄱ’자형이나 아일랜드형 주방의 LDK 통합구조, LD/K 분리구조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형태의 발코 니, 욕실구조를 모두 가지고 있었다. 알파(a)룸과 알파(a)층 또한 펫을 위한 공 간이나 다용도를 위한 공간 등 다양한 사례들을 보였다. 획일화되어 있는 국내사례와 달리 국외사례들은 라이프스타일에 맞추어 다 양하게 수요자층의 요구와 트렌드를 반영한 공간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국 내사례에서 보인 획일화된 공간구조를 계획하기 보다는 개인의 라이프스 - 98 - 타일 선호에 맞게 선택 할 수 있도록 여러 타입의 평면 개발이 필요할 것 이다. (2) 시스템 코디네이트 ① 디지털시스템 코디네이트 국내사례의 디지털시스템 코디네이트로는 편리성을 갖춘 홈 오토시스템 초고 속 정보통신 디지털 도어락 등 편리성을 갖춘 사례들이 많았다. 국외사례들은 원격 검침 시스템, 침입 알림 서비스(PDA, 핸드폰), 차량 통 제 시스템의 안전성을 갖춘 사례들과 대기 전력 차단시스템, 일괄 소등 시 스템, 각방 온도 조절기, 에너지 확인 시스템 등 경제성에 관한 사례는 모두 다 나타났다. 이는 국내의 경우 주거 공간 내에서 모든 걸 해결하고자 하는 골드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디지털시스템을 이용한 편리성을 중요시하는 반면에, 국 외의 경우 편리함 보다는 주택침입이나 개인의 안전성과 생활비를 줄일 수 있 는 경제성에 중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② 웰빙시스템 코디네이트 국내사례는 위생․청결 부분의 천장 냉․난방 시스템을 기본사항으로 설 치하였고, 그 외 위생․청결 및 건강․편안을 위한 시스템 코디네이트 요소 는 대부분 적용되지 않았다. 국외사례는 웰빙시스템 코디네이트를 집중적으로 설치하였으며 층간소음 완 충 시스템의 설치와 같은 건강과 편안한 삶을 위한 시스템들을 설치하고 있 었다. 사례분석 조사로 보았을 때 국내사례의 경우 웰빙에는 많은 관심을 보이 나 정작 사례조사에서는 많은 사례가 추출되지 않았고, 외국사례에서는 거 의 웰빙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으며 그중 위생도 중요하게 분포되었지만, 건 - 99 - 강과 편안한 삶을 위한 시스템 사례들이 많이 볼 수 있었다. ③ 가전시스템 코디네이트 국내사례에서는 빌트인 의류 건조기, 국외사례는 식기세척기, 조명스위치,랜 턴 등이 국내·외 사례에서 다르게 나타났고 빌트인 가전 중에는 냉장·냉동고, 드럼세탁기, 전기 쿡탑이 국내·외 모든 사례에 갖추고 있었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 골드세대들이 한계적 공간에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 용 할 수 있는 빌트인 가전시스템이 다소 상이함을 볼 수 있다. (3) 실내코디네이트 구성요소 색채 코디네이트, 가구 코디네이트, 패브릭 코디네이트, 아트 코디네이트, 소 품 코디네이트의 국내·외 사례들의 정리된 색채코디네이트는 유사색상군의 주 조색, 보조색, 강조색으로 구성되었다. 가구 코디네이트는 빌트인 가구 대부분 의 사례에서 수납기능가구를 갖추고 확장기능 가구, 이동형가구, 기본가구, 기능 성 가구들은 아직 국내·외 사례 모두 적용사례가 미흡하였다. 패브릭 코디네이트는 국내·외 사례 모두 커튼류, 침장류, 쿠션 등을 기본적 으로 구성하고 있었으며 국외에서는 업홀스터리 유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조명 코디네이트는 국내에서는 테이블 스탠드와 브라켓 조명 설치사례가 많았으나 국외사례는 모든 조명을 사용, 아트 코디네이트는 회화작품을 소품 코디네이트 국내·외 사례 모두 골고루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외 사례조사 종합 매트릭스로 보았을 때 일반적인 실내코디네이트 요 소에 관한 사례들은 잘 나타나고 있으나 도시형 소형주택에서 중요시해야 할 작은 공간에서의 수납과 확장기능을 할 수 있는 빌트인 가구, 기능성가구의 설치 사례가 미흡함을 알 수 있다. - 100 - 4. 골드세대를 위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지표 구축 및 판별 4. 1. 골드세대를 위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잠재수요자 종합분석 ∙설문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도시형 소형주택의 골드세대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의 구축과 판별을 위해 설문 연구를 시행하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