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인테리어 디자인이란실내장식으로써, 주어진 공간을 시각적 요 소를 고려한 다양한 스타일(modern style, classic style, oriental style, natural style, romantic style 등)을 기본으로 하여 서로 다른 이미지들과 결합하거나 혼합하여 새로운 스타일의 이미지들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인테리어 디자인의 스타일 1) 낭만성(Romantic) 낭만성은 18세기말부터 19세기 중엽까지 유럽과 유럽의 문화가 영향을 미 친 남북 아메리카에 전파 되었던 문예사조이다. 낭만성은 예술운동인 낭만주 의에 기원하고 있는데, 낭만주의는 18-19세기 유럽에 퍼져있던 정형적인 고 전주의에 대항해 인간의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주장했던 문예사상이다. 낭만성의 어원은 중세 라틴어의 부사 '로마니스‘(romanice)에 있다. 낭만 성은 기이․가공․경이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18세기 널리 사용되어 지다가 19세기 전후를 전환점으로 하여 고전주의에 대립된 시대사조로 등 장하게 되었다. "낭만적"이라는 용어의 탄생과 낭만적 성향은 영국에서 시 작 되었으며 이후 프랑스․독일로 전파되어 갔으나, 오히려 영국 보다는 독일에서 전 유럽으로 파생 전파되었다. 낭만주의는 르네상스의 휴머니즘, 종교개혁의 정신, 데카르트․루소의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때문에 정치․철학등 모든 학문․예술과 관계가 있으며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낭만주의는 19세기 말의 상징주의․예술지상주의의 탄생을 본질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낭만주의 이론의 중요성은 당시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하 나의 공통된 문예상의 흐름이 되었다는 점에 있다. 최근의 낭만성 스타일은 우아하고, 여성적인 느낌의 스타일로서 꿈속에 서 또는 동화 속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낭만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포 근하고 화사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경향을 지닌다. 2) 민속성(Ethnic) 민속성의 사전적 의미는 "민족의"란 뜻으로 어느 한 민족의 특정 양식을 의미한다. 민속성은 20세기초 폴 포와레에 의해 처음 태동되었다. 민속성은 유럽을 제외한 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의상과 민족 고유의 염색이나 직물 등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된 패턴을 의미한다. 또한 이국적인, 민속적인과 혼용되 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민속성은 비기독교적인 문화권의 민속의상을 대표하는 것이고, 이국적인은 ‘외국적인’이라는 의미로 민속성 과 민속적인을 포함해 이국적 패션의 통칭을 의미하며 민속적인은 전원적 취향의 민속을 의미한다. 민속성은 경제여건의 향상,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해외여행의 증가, 다 양한 교류 증가로 인해 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었고 문화의 세계화 로 인해 동서양의 만남을 비롯해 서로 다른 문화끼리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면서 등장하게 되었다(김후란 외, 2003). 민속성은 한마디로 '고유의 민속적이고 토속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성은 화려하고 강렬한 색상과 함께 독특한 무 늬를 이용한 수공예품과 독특한 자연소재 소품의 사용이 큰 특징이다. 실내 디자인에서의 민속성은 한 나라의 독특한 민족성을 나타냄과 동시 에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체의 개념에서 보다 가구나 소품에서 크게 부각되며 이것이 포인트 요소로 작용해 각 장소에 독특하고 특징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최근 민속성의 트렌드는 어느 한 나라, 한 지역을 지칭하는 것을 무의미 할 정도로 다양한 문화권이 총 망라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이 서로 믹 스되어 자연스럽게 우리의 생활에 자리 잡고 있다. 3) 고전성(Classic) 고전성은 클라시쿠스(Classicus)에 그 어원이 있다. 클라시쿠스의 의미는 고대 로마 시민의 6개 계급 중 최상급 단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전성은 고급스러운 느낌의 스타일로 유럽의 각 시대의귀족문화가 고전 양식으로 전개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 왔다. 때문에 바로크, 로코코, 신고전 양식에서 보여지는 풍요와 여유, 전통미, 장식성, 안정감이 함께 느 껴진다(나혜정, 2000). 고전성 스타일은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로 17-18세기에서의 스 타일에서 유래 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컨트리 클럽의 느낌이 더 강하게 남아 있는 '트래디셔널 믹스'가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디자인들은 트래디셔널이 혼합된 스타일로서 진품 앤틱으로 부터 영감을 얻으며 현재 시대를 초월해 선호되고 있다. 둘째로 트래디셔널 믹스와 비교해 훨씬 더 격식을 갖추고 있는 패더럴 콜로니얼 스타일이 있다. 이 스타일은 색채의 특징은 어두운 색조의 색상을 가진 트래디셔널 믹스와 비교해 장미색상, 옅은 웨지우드 블루, 민트 혹은 밝은 녹색, 아이보리, 썸머콘(summer corn), 옅은 호박색 이 많이 나타난다. 셋째로 루이 14세와 루이 15세 시대의 가구와 로코코 시대 스타일에서 찾을 수 있는 포멀 프랜치 스타일이 있다. 포멀 프랜치 스타일은 보통 아이리스나 별 같이 작은 프린트, 작은 꽃무늬로 이루어진 스트라이프, 다마스트, 므와레, 수직실크, 타피스트리 등 양식화된 모티브로 이루어져 있고 매우 화려한 느낌을 준다. 마지막으로 유럽 전역에서 유행 한지 200년 후 1980년대에 또 한번 부흥기를 맞은 신고전 스타일이 있다. 신고전주의는 그리스와 로마의 미술과 건축에서 나타나는 스타일의 재창조 로 잘 알려져 있다. 고전성 스타일의 실내디자인은 고전적 양식으로 적용되어 오늘날 까지 이어져 왔다. 그러나 현대인은 옛것에 대한 향수, 귀족적 신분의 표현을 기 대하여 고전적 이미지를 택한다. 호화롭고 고급스러운 실내를 연출 할 때 또는 외국의 부유층의 스타일을 연상하게 하는 고전성 스타일은 품위 있으 면서도 안정감 있는 실내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는 스타일이다. 4) 우아함(Elegant) 우아함이란 캐주얼의 이미지나 프로빈셜의 이미지와 대조되는 스타일로 품위 있고 우아한 이미지를 말한다. 우아함 스타일의 이미지는 정숙하고 여성적이고 우아한 이미지를 갖는다. 색채의 특성은 온화한 그레이 컬러가 중심이 되며 보라색이 대표적인 색조로서 미묘한 그라데이션으로 처리된 배색을 사용한다. 또한 우아함 스타일은 여성감각을 부드럽고 세심한 느낌 을 갖는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부드러운 실크나 섬세한 질감의 패브릭을 많이 사용한다. 고급스러운 패브릭과 세련된 소품들로 장식적인 요소를 가 미하여 고전적인 느낌을 한층 더 강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5) 현대성(Modern) 현대성의 유래는 구조와 기능에 대한 순수한 접근으로부터 시작된 모더 니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현대성은 필요 없는 장식을 배제하고 자연적 재료의 본질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건축물의 지오메트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건축에서의 근대는 18세기 중엽이후 건축에 대한 이성적, 과학 기술 적 지배를 통한 합리화의 확대 과정으로 이해 할 수 있지만 모더니즘은 19 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특정 시기에 출현했던 급진적인 미학적 경향과 이념적 색채를 띤 사조로 성격 지어진다. 근대 건축 운동은 모더니즘의 실 천으로 근대의 사회적, 건축적 문제에 대한 시대적 도전에 대한 건축 사 회의 응전으로서 근대 세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오늘날의 모더니즘은 건축적 재료와 함께 색채와 빛을 이용하여 디자인 에 적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현대성이 실내 디자인 이미지와 가깝다. 또한 현재 현대성이라고 불리는 것은 한랭한 지역성의 특징으로 간결하고 단순 한 디자인과 따스함을 중요시 하는 스칸디나비안 현대성과 1980년을 전후 하여 수년간 매우 유행했던 스타일로서 쿨모던성 이라고 불려지기도 했던 이탈리안 현대성으로 나뉘어 진다. 쿨모던은 차갑고 단단한 인공소재, 금속 성 소재와 타일, 돌, 유리, 가죽 등의 재료가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현대성의 특징은 직선적이고 현대적이며 색채는 브라운 계통(아 이보리, 베이지, 브라운)이나 회색계통(흰색, 회색, 검정) 등이 주를 이룬다. 현대성 스타일의 대표적인 소재는 스틸을 들 수 있다. 현대성 스타일은 젊은 세대들에게 많이 선호되고 있는데 재료와 표현, 형태등에 의해 샤프 함, 냉정함, 정밀한, 치밀한, 기계적인, 도시적, 진보적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6) 자연성(Natural) 일반적인 자연성은 ‘자연의’, ‘자연으로부터의’란 뜻으로 문학이나 예술에 서 시작한 “자연주의적 경향”을 말한다. 패션에서의 내추럴리즘은“자연스 러운, 자연에 가까운” 상태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21세기를 맞은 현재 내추럴리즘이 선호되어지고 있다. 이것은 사회 환경이나 문명이 발달할수 록 인간의 자연과 가까워지려는 성향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내추럴리즘이 많이 선호되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환경 친화성이 중요시 되는 사회 흐름과 각박한 사회 속에서 편안한 안식을 찾 기를 바라는 인간의 자연 회귀에 대한 욕구에 의해 시작 되었다. 자연성의 특징은 자연적 소재를 많이 사용해 인간에게 친근감을 느끼도록 하고 자연 소재를 직접사용 하거나, 자연의 이미지를 담은 인공 소재를 사용해 자연 성을 표현 하기도 한다. 특히 로하스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재활용소품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리싸이클링 재료 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데 이는 자연성스타일의 표현에서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색조는 자연의 느낌을 그대로 사용한 아이보리나 온화하고 세련된 중회 조 색의 거친 질감을 사용해 여유로움과 풍요를 느낄 수 있다. 7) 캐주얼(Casual) 캐주얼은 맑은 톤의 색상이 경쾌하고 순수하며 신선한 분위기의 실내를 연출한다. 때문에 자유를 즐기는 젊은 층에서 주로 선호하지만 현대에는 연령에 상관없이 다양한 연령층에게 환영 받고 있는 디자인이다. 캐주얼의 특징은 가볍고 산뜻한 색과 소재로 디자인해 자유롭고 즐거움이 느껴지는 활기찬 디자인이라는 것이다. 캐주얼 스타일은 1970년대 대니쉬 모던 라이 터 우디(danish-modern lighter woody)로부터 발전 진화되었고 1980년대 에는 더욱 자연 스러운 느낌의 스타일로 변화 했고 1990년대에 들어 더욱 감각적인 스타일로 변화 하여 밝고 화창한 느낌을 나타내었다. 1990년대 캐주얼 스타일은 과도기적, 캘리포니아 룩으로 알려지고 있다. 캐주얼은 이지 라이프스타일 룩(easy-lifestyle look)을 추구하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는 도심에 사는 사람들, 중산층, 젊은층과 맞벌이 부부, 자녀가 있는 가족을 위해 편안하고 즐거움을 추구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한 캐주얼은 단순함의 기본속에 기능적이고 감각적인 디자인 요소가 가미 된 것으로 실용적이면서 쉽게 쓸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고 매우 개성적이 고 독창적이다. 때문에 자유롭고 편한 이미지로서 신선함, 경쾌함, 생동감 있는 활동감, 친숙함과 즐거움의 표현이 디자인의 주된 컨셉이 된다. 3.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관련 선행연구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볼 때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을 연구대상으로 측정한 연구는 박영석 외(2006)과 권성태(2006)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찾아보기가 어렵다. 그러나 건축학 및 주거환경분야에서는 디자인과 관련 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디자인의 유형을 역사적인 배경과 시대적 흐름을 바탕으로 표현방식 과 고유한 특징에 따라 체계적인 분류를 실시한 김경숙(2004)연구는 국내 외 대표성을 지닌 5개의 잡지인 ‘월간 인테리어’, ‘Architectural Design' "Interni', 'Interior Design', 'Maison'을 선정하여 지난 10년간 게재되었던 실내디자인 사진자료를 이미지 유사성에 따라 스타일별 군집화하여 각 스 타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델파이분석을 통해 전문 디자이너 들에 의해 진행된 스타일 유형별 명명화를 실시한 결과 낭만성, 민속성, 고 전성, 하이테크, 우아함, 컨트리, 현대성, 미니멀, 내츄럴, 캐주얼 스타일 10 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10개의 유형을 에 정리하였다.

 

박영석 외(2006)은 레스토랑 실내디자인 선호도와 고객의 내적반응과 행 동의 관계를 검증하였는데, 레스토랑 실내디자인을 김경숙(2004)의 10가지 실내디자인 스타일인 낭만성, 민속성, 고전성, 하이테크, 우아함, 컨트리, 현 대성, 미니멀, 내츄럴, 캐쥬얼을 적용하여 고객의 내적 반응인 서비스품질 기대와 고객의 외적행동인 방문의도 및 체류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측정하였 다. 분석결과 10가지 레스토랑 디자인 스타일이 모두 서비스품질 기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방문의도에는 컨트리 스타일만 제외하고 나머지 9가지 레스토랑 디자인 스타일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또한 체류의도에도 10가지 레스토랑 디자인 스타일이 모두 정(+)의 유의 한 영향을 미치었다. 즉,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가 고객이 기대 하는 서비스품질과 방문의도 및 체류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 로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권성태(2006)도 박영석 외(2006)과 마찬가지로 레스토랑 실내 디자인을 물리적 환경요인으로 보고 레스토랑 실내디자인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반응의 매개역할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권성태(2006)는 레스 토랑 실내 디자인을 환경지각차원에서 감정적 분위기, 물리적 분위기, 감정 적 조형성, 물리적 조형성, 오락성으로 요인화 하였다. 분석결과 레스토랑 환경지각의 물리적 분위기만 제외하고 나머지 감정적 분위기, 물리적 조형 성, 감정적 조형성, 오락성 4개 요인이 고객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환경지각의 감정적 조형성과 오락성을 제외한 나머지 물리적 분위기, 감정적 분위기, 물리적 조형성 3개 요인은 혼잡지각에 부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레스토랑 환경지각 의 감정적 조형성과 오락성을 제외하고, 물리적 분위기, 감정적 분위기, 물 리적 조형성은 고급성 인지반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레스토랑 환경지각은 물리적 조형성만 제외하고 독특한 인 지반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물리적 분위기, 감정적 분위기, 물 리적 조형성은 신뢰성 인지반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레스토랑 실내디자인의 환경지각 요인 중 물리적 분위기 요 인은 소비자의 만족도 및 감정반응과 인지반응 생산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 3 절 점포이미지 1. 점포이미지의 개념 동기란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개인 내부의 추진력 또는 신체적 에너지를 활성화시켜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시하는 내적 상태 이다(박시사, 2001). 이미지는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으 로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점포이미지는 소매상들에게 중요한 관심요소이다 (진기홍, 2008). Martineau(1958)는 소비자가 마음속으로 점포의 기능적, 심리적 속성에 의해 특정점포를 정의하고 이러한 속성들이 고객 유도의 힘으로 작용한다 고 주장하면서 점포이미지는 점포의 개성으로 정의하였다. 그가 점포이미 지에 대해 처음으로 소개한 후 많은 마케팅 관련 학자들로 부터 그 개념에 대해 정의되어져 왔다. Arons(1961)는 점포이미지를 소비자가 지각하는 점포의 특성, 점포에 대 한 느낌, 점포에 대한 인상으로 일반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점포의 특징적 의미와 관계성의 복합체라고 하였으며, Kunkel & Berry(1968)는 Martineau(1958)의 정의에 학습이론을 통합하여 점포이미지를 개인이 특정 점포에서 구매와 관련된 전반적인 개념화 또는 기대되는 보강요인으로 정 의하였다. 몇몇 연구자들은 점포이미지를 일종의 태도로 보았는데, Doly & Fenwick(1974)는 점포이미지는 태도적인 개념으로 소비자가 점포에 대해 갖는 전반적인 인상으로 소비자가 지각하는 중요측면에 중요도를 부여하여 평가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James, et. al.(1976)는 소비자가 중요시 하는 점포속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한 태도의 집합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점포이미지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복합적 차원으로써 소비자 마음 속에 상호작용하는 총합요인(Marks, 1976)으로 Jain & Etgar(1976)는 소비 자가 점포에 대해 일정한 기간 동안 형성해 온 점포에 대한 인상으로 정의 하였다. 그리고 마음속에 그려지는 전반적인 인상의 묘사(Dichter, 1985)로 써 Sirgy & Samli(1958)는 특정 소매점에 대한 소비자가 인지하는 고정관 념, 특징적 이미지라고 정의하였다.

 

Mazursky & Jacoby(1986)는 일련의 지각 혹은 어떠한 현상에 관련된 기억으로부터 추론되는 개념으로 소비자가 특정 점포를 방문 시 노출되는 다양한 마케팅 자극에 의해 형성되는 전반적인 점포에 대한 인상이며, 이 것은 관찰가능한 객관적 요소와 심리와 연관된 주관적 속성의 상호작용으 로 형성된다고 하였다. 또한 Bloemer & Ruyter(1998)는 특정 점포의 특성 또는 특정적인 속성 에 의한 소비자들의 복잡한 지식으로 보았고, Mitchell(2001)은 소비자의 제한된 동기와 인지적 능력으로 복잡한 정보를 단순화시키고자 하는 소비 자의 해석이라 하였으며, Pan & Zinkhan(2006)은 점포가 소비자들에 의해 지각되는 방식으로 점포이미지를 정의하였다. 이상건(2006)은 점포이미지를 고객이 특정점포의 속성에 대해 일정기간 형성해 온 주관적 지각, 인상, 신념의 총체라고 정의(Jain & Edgar, 1977; Doyle & Fenwick, 1974)하였다. 또한 진기홍(2008)은 점포이미지는 소비자 가 특정 점포에 대해 느끼는 즐거움 또는 친근감으로써 특정점포에 대한 호감, 신뢰, 만족 등과 같은 고정관념적인 총체적인 인상으로 정의하였으 며, 김영미(2008)는 점포이미지는 소비자가 특정점포를 방문하는 동안 다양 한 마케팅 자극을 경험하여 형성되는 점포의 전반적인 이미지로 정의하였다. 즉, 점포이미지는 소비자가 특정점포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주관적인 지 각 및 여러 가지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형성되는 점포에 대한 총 체적인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2. 점포이미지의 구성요소 점포이미지는 소비자를 점포로 유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김정희, 2002) 로써, 소매업의 형태에 따라 그 구성요소들이 달라지며 동종업태 내에서도 점포의 종류에 따라 구성요소의 중요성이 달라진다(김영미, 2008).

 

이러한 점포이미지의 중요성이 대두된 것은 치열한 경쟁시장 속에서 목 표시장의 요구에 맞는 점포이미지를 개발하여 소비자들을 유도함으로써 경 쟁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점포이미 지를 형성할 수 있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설 상철․권승오, 2002).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점포이미지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기능적 이미지, 심리적 이미지로 설명하고 있다. Martineau(1958)는 점포이미지에서 기능적 속성으로는 취급제품, 가격범 위, 신용정책, 레이아웃과 같은 속성이며, 심리적 속성은 친근감, 귀속감, 흥미감과 같은 감정이라고 하였다. Fisk(1961)는 점포이미지 결정의 요인으 로 입지의 편의성, 제품 적절성, 가격수준에 따른 가치, 판매노력과 점포의 서비스, 점포의 친밀성, 거래 후 만족으로 영향평가에 필요한 개념적 모델 을 제시하였다. Kunkel & Berry(1968)는 점포이미지를 기대된 행동으로써 12가지로 상 품가격, 상품품질, 상품구색, 상품의 유행성, 판매원, 입지편의성, 기타 편의 요소, 서비스, 판매촉진, 광고, 점포분위기, 조정행동에 대한 평판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Lindquist(1974)는 여러 학자들의 연구에서 점포이미지 요인 을 분류하여 크게 9가지로 상품성, 서비스, 고객특성, 편의성, 촉진활동, 점 포분위기, 기업요소, 거래 후 만족으로 구분하였다. Doly & Fenwick(1974) 는 점포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써 상품, 가격, 상품구색, 스 타일, 점포의 입지로 설명하였다. 또한, 점포이미지를 객관적 속성과 주관적 속성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객관적 속성은 상품구색, 가격, 신용정책 등의 관찰 가능한 기능적 특성을 말하며(Lindquist, 1974), 주관적 속성은 쾌적한 분위기, 점포에서의 소비자 의 심리적인 부분과 연관되어 있는 편안함과 즐거움 등을 말한다 (Oxenfeldt, 1974).

 

Jain & Etgar(1976)는 점포이미지 형성의 영향요인으로 품질, 구색, 바겐 세일, 서비스, 가격, 점포의 전반적 서비스, 판매원, 다양성, 신용정책, 반환 정책, 입지, 장소의 배치, 편의성, 가격정책, 사회적 지위, 분위기, 판매와 특판, 광고, 점포의 일반적 질 등 19가지로 구분하였으며, Hansen & Deutscher(1977)은 점포이미지 형성의 영향요인으로 상품, 서비스, 고객관 계, 물리적 시설, 편의성, 촉진, 점포분위기, 제도적 요인, 거래 후 만족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Dickson & Albaum(1977)은 소매업의 점포이미지를 가격, 상품, 점포 레 이아웃 및 시설, 서비스와 종업원, 촉진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Zimmer & Golden(1988)은 개방형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가격, 품질, 서비스, 판매촉 진, 광고, 명성, 판매원, 입지 편리성, 외형 특성, 물리적 시설, 장식 배치 등으로 요인화 하였다. Engel et. al.(1990)은 상품의 가격과 품질, 구색, 디자인, 판매원, 점포위 치의 편리성, 서비스, 판매촉진, 점포내 분위기, 기타 편리성 요소 등의 요 인을 점포이미지의 구성차원으로 제시하였고, Ghosh(1990)은 입지, 상품, 점포분위기, 고객서비스, 가격, 광고, 인적판매, 판매 촉진 프로그램을 제시 하였다. 또한 Shim & Kotsioplous(1992)는 점포이미지를 구성하는 주요 속성으 로 대인판매, 고객서비스, 점포의 시각적 이미지, 가격 및 반품, 손쉬운 구 매, 브랜드 명성 및 유행성, 품질 및 다양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Chowdhury, et. al.(1998)는 상품품질, 분위기, 종업원 서비스, 구색, 편리 성, 가격 및 가치를 제시하였다. Collins-Dodd & Lindley(2003)는 점포이미 지가 점포 브랜드지각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점포이미지의 측정하기 위해 상품의 다양성, 직원서비스, 점포분위기, 가격, 상품의 질과 전반적인 태도 등의 속성을 이용하였으며, Sit, et. al.(2003)는 쇼핑센터를 이용하는 소비 자들이 점포이미지 형성에 고려하는 요인으로 상품성, 접근성, 서비스, 점 포분위기, 엔터테인먼트, 식음시설, 보안성의 7가지로 추출되었다. 한편,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권순기 외(1999)는 점포이미지를 점포분위 기, 서비스, 상품품질, 판매원 등으로 측정하였으며, 김홍범․이상미(2002) 는 브랜드개성과 점포이미지연구에서 점포이미지속성을 4가지 요인인 청결 /서비스/가치성, 분위기, 시각적/공간적 디자인, 상징성 등으로 구분하였다. 전종근․이태민(2004)은 점포이미지를 5개의 요인인 상징적 이미지, 서비 스, 광고명성, 구색, 품질대비가격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신종국․공 혜경(2005)은 점포이미지가 유통업체 상표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연구에서 점포이미지를 제품구색, 품질, 가격, 점포 분위기, 촉 진, 서비스, 전반적 이미지 등의 7개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이상건(2006)은 패밀리레스토랑을 방문하는 고객의 점포이미지의 측정요 인으로 위생, 서비스, 분위기, 맛과 가격 4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김영미 (2008)는 고객서비스, 점포분위기, 제품의 다양성 등의 3가지 요인으로 구 분하였다. 이상과 같은 소비자들의 점포이미지 형성의 영향 요인의 구성요소를 요 약하면 과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