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웰빙이 골드세대에게 - 185 -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많은 관심을 보이나, 실내공간에서 요구도는 그리 높 지 않게 나타났다. 3) 가전시스템 코디네이트 설문 분석의 경우 골드세대가 거주지에서의 생활이 편리한 요소들을 요구하 고 있다. 이는 예전의 소형주택 수요자들은 거주지에서의 생활시간이 적 었으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골드세대들은 집에서 자신이 직접 식사, 세탁, 청소 등을 하기를 원한다. (3)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일반적인 실내코디네이트 요소가 비교적 사례, 설문분석에 잘 적용되어 있 었으나 도시형 소형주택에서 중요시해야 할 작은 공간에서의 수납과 확장기능 을 할 수 있는 빌트인가구, 기능성가구의 설치사례가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 186 - 5. Interior Coordinate Performance Program (ICPP) 평가지표 구축 공간 사용자의 개성화에 따른 개별 및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구분은 사 용자 맞춤형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지표화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와 설문 분석 연구 및 전문가 판별을 통하여 골드세대라는 특정 대상 을 상대로 한 평가요소로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검증 받을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평가방법으로서의 평가 시트를 지표화하였다. 여기서 평가 체크시트 Interior Coordinate Performance Program(ICPP)는 유니버설디자 인의 달성도를 수치화하는 프로그램인 Product Performance Program(PPP)6) 에서의 규칙에 의한 구조화 및 평가에 의한 시각화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체계로서 평가 체크시트 Interior Coordinate Performance Program(ICPP)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6) 유니버설디자인의 달성도를 수치화하는 프로그램 - 187 - 요소 B. 도시형 소형주택 공간요소 - 주방 요소1 일자형 요소2 ‘ㄱ’자형 요소3 ‘ㄷ’자형 요소4 반, 폐쇄형 요소5 아일랜드형 요소6 home office 통합형 요소7 LDK 통합구조 요소8 LD/K 분리구조 합계점수: 평균점수: Interior Coordinate Performance Program (ICPP) 다음은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를 골드세대들의 필요도에 관 하여 수치화하는 프로그램으로 ICPP 평가방법의 기반 축은 실내코디네이트요 소이다. 결 론 6. 1. 종합고찰 국내 가구구조의 변화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1-2인 가구가 증가하였 고, 1인 가구의 소득수준이 향상함에 따른 소유 대상 면적이 증가하게 되 었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한 필요성이 제 기되었다. 이와 함께 전문 직종 집단 내에서 상대적인 안정적 경제 구조 를 갖추고 결혼 및 가족․사회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라이프스타 일을 갖는 골드세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골드세대를 주 거주 대상으 로 제안하는 도시형 소형주택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대상자에 게 적합한 주거환경의 형성이 요구된다. 특히 수요자들이 원하는 독창적이 고 편리하며 효율성 있는 심미적 공간 활용을 위해서는 실내코디네이트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를 평가하고 보완하여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할 평가지표 체계가 필요하 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 수요대상인 1-2인 가구 중 골드세 대가 공간에서 요구하는 필수요소와 선호하는 필요충분조건의 실내코디네 이트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요소를 구조화 한 평가지표를 체계 화하기 위하여 도시형 소형주택 관련의 이론 정립과 선행연구 분석, 골드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분석의 1차 연구와 전문가집단과의 협의를 통한 점검의 2차 연구에 의해 평가 기준으로서의 평가요소를 매트릭스화하 였다. 이를 분석기준으로 하여 국내·외 도시형 소형주택 방문 및 현장조 사 및 관련 문헌자료에 의해 사례 분석하였다. - 204 - 잠재적 주거 대상자인 골드세대의 라이프스타일별 실내 코디네이트 요 소에 대한 니즈(needs)를 추출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 통계분석으로 골드세대의 특화 요소와 유형별 평가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는 실내코디네 이트를 위한 공간적 조건에 해당하는 대상 공간의 구조인 ‘실내 공간구성’, ‘실내 시스템코디네이트 요소’, ‘실내코디네이트 구성요소’의 세 영역으로 구성하고 아래와 같이 하위 요소로 세분화하였다. 첫째, 실내 공간구성은 주거 기본구조에 해당되는 기본 공간구성과 추가 및 확장 구조의 알파(α)공간구성으로 구분된다. 기본 공간구성 요소는 실, 주방, 발코니, 욕실을 기준으로 한다. 실의 개 수에 따른 유형 요소는 원베드룸, 투베드룸, 쓰리베드룸의 형태에 따른 구 조 요소는 가변형 구조, 일자형 구조, 다변형 구조, 욕실 통합형 구조로 나뉜 다. 주방의 유형(형태)은 일자형, ‘ㄱ’자형, ‘ㄷ’자형, 반, 폐쇄형, 아일랜드형, home office 통합형, 주거공간 내 구조에 따라 LDK 통합구조, LD/K 분리구조 로 구분된다. 발코니의 위치에 따른 주거공간 내 구조 요소는 거실, 마스터 룸 발코니, 거 실 앞 발코니, 마스터 룸 앞 발코니와 그 외 변형 구조가 있다. 욕실은 구성 요소의 통합 및 분리여부에 따라 세면대+샤워기+욕조+변기 모두가 한 공 간에 구성되어 있는 통합형 구조와 세면대+변기/샤워기 분리구조, 세면대+ 변기/욕조+샤워기 분리구조, 세면대/변기/욕조/샤워기 분리구조, 세면대+샤워 기+욕조/변기 분리구조 등의 분리형 구조로 구분된다. 알파(α)공간구성은 방과 층 구조의 확장 및 추가에 의한 알파(α)룸과 알파(α) 층으로 분류된다. 알파(α)룸은 공간 확장 요소로 수납기능을 위한 확장구 조과 주방공간을 위한 확장구조, 공간 추가 요소로 드레스룸 추가구조, 다용도 실 추가구조, 애완 동물을 위한 추가구조, 취미실 추가구조, 서재 추가구조, 운 동을 위한 추가구조, 미니 정원 구성 등의 추가구조로 구성된다. - 205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