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α)층은 기본구성 단층을 변형하여 공간을 확장하는 천장고 높이 변형 구조, 층단형 구조, 단층형 구조의 변형 단층과 복층형 구조, 지하층 추가구조의 여러 층 구조의 복층으로 구분된다. 둘째, 실내 시스템코디네이트 요소는 기능 및 구현방안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 코디네이트, 웰빙시스템 코디네이트, 가전시스템 코디네이트로 구 성된다. 디지털시스템 코디네이트 요소는 편리성을 위한 홈 오토 시스템, 초고속 정보통신, 무인 택배 시스템, 위성방송 방송수신 시스템 , 디지털 도어락, 원격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서라운드 스피커잭, 주방TV폰, 안전성을 위한 원격 검 침 시스템, 침입 알림 서비스, 차량 통제 시스템, 경제성을 위한 대기 전력 차 단시스템, 일괄 소등 시스템, 물온도 자동 조절기, 각방 온도 조절기, 에너지 확 인 시스템, 거실등 디밍제어 시스템으로 분류하였다. 웰빙시스템 코디네이트 요소는 위생 및 청결을 위한 천장 냉난방 시스 템, 전체 환기시스템, 개별 정수기, 자동 주방 배기센서, 은나노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세제 디스펜서, 건강 및 편안을 위한 층간 소음 완충시스템, 친환경 LED조명, 친환경 절수 수전과 양변기, 전자 비데로 세분화하였다. 가전시스템 코디네이트 요소는 냉장․냉동고, 중앙집진 전기 청소기, 드럼 세탁기, 전기 오븐 레인지, 조명스위치 및 랜턴, 식기세척기, 전기 쿡탑, 월 패드의 빌트인 가전시스템과 커피 머신, 전기 밥솥 등의 이동형 가전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실내코디네이트의 구성요소는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 품 코디네이트로 세분화하였다. 색채 코디네이트 요소는 색채 반영 비율에 따 라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으로 구분된다. 가구 코디네이트 요소는 연출 방법에 따라 빌트인 가구와 이동형 가구 요소로 나뉜다. 빌트인 가구는 현관장 (신발 장), 거실장, 주방장, 욕실장, 다용도장, 드레스장, 창고 수납장, 워크인 드레스 - 206 - 룸 등의 수납 기능 요소와 무빙 책장 + 책상, 인출식 조리대, 월 베드, 월 소파 와 같이 가구에 의한 공간 확장 기능 요소로 세분화 하였다. 이동형 가구는 침 대 세트 (침대, 협탁), 소파 세트 (소파, 응접, 사이드), 식탁 세트(식탁, 식탁의 자), 책상 세트 (책상, 의자, 책장)인 기본 가구요소와 기본 기능에 다른 기능이 추가되는 투인원 가구 등의 기능성 가구요소로 분류하였다. 패브릭 코디네이트 요소는 커튼류, 침장류, 쿠션, 업홀스터리 요소로 세분화 하 였다. 조명 코디네이트 요소는 구현 방안에 따라 플로어 스탠드, 테이블 스탠드, 행 잉 조명, 스포트 조명, 브라켓 조명요소로 분류된다. 아트 코디네이트 요소는 회 화, 판화, 미디어 아트, 라이트 아트의 평면 요소와 부조, 조각의 입체 요소로 구 성하였다. 소품 코디네이트 요소는 화구 장식, 도기류, 카페트 및 러그류로 분 류하였다. 본 평가요소에 의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공간구성 골드세대의 주거공간 기본구조인 공간구성은 소규모라는 공간적 제약을 이유로 획일화된 구성이 일반적이었지만,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 여 기능 및 활용공간을 다양화할 수 있는 세분화된 공간유형을 필요로 하 였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의 공간구조는, 공간의 경제적 활용에 의한 공 간활용의 극대화를 위해 골드세대 대상의 특화장치로서의 연령별, 성별, 직 업, 취미생활 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근거하여 구성해야 하는 필수 요 소임을 알 수 있었다. - 207 - 2)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 시스템 코디네이트 (1) 디지털시스템 코디네이트 골드세대는 디지털 시스템의 편리성을 중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시 스템 설비를 기본으로 하고, 이와 함께 골드미스는 안전성을 위한 방범 및 안전시스템을, 골드미스터는 경제적 구축가능의 경제성 기반 시스템 을 요구하였다. 이는 여성 단독거주 시의 심리적인 안전을 고려하고, 남 성들이 놓칠 수 있는 철저한 경제적 자기관리를 고려한 필수요소로 인 식됨을 알 수 있었다. 즉, 거주 대상자의 편리한 삶의 영위를 위한 시스 템 코디네이트를 기본으로 이에서 확장된 안전성, 경제성 기반의 시스 템 코디네이트 요소의 적용이 요구된다. (2) 웰빙시스템 코디네이트 골드세대는 정신적이고 물질적 건강 추구를 위해 운동 등의 취미활동 이나 채광 등의 자연 조건에 관심을 갖지만, 실질적인 공간 내 이러한 웰 빙을 위한 시스템의 도입에 대해 소극적이었다. 이는 웰빙 시스템 요소 자체의 구체적 방안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기초적인 특정 요소로의 대 안에 그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골드세대가 인지할 수 있는 요소로 서의 평가 방안을 체계화하고 코디네이트하여 건강을 위한 위생적이 며 편안한 삶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3) 가전시스템 코디네이트 골드세대는 소형주택의 규모적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적 공간 활용 방 면에서의 편리성 제공을 위한 가전 시스템 코디네이트 요소에 주목하였 는데, 특히 가전 시스템의 빌트인 구성으로 공간의 경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주거 내 머무는 시간적 비율의 - 208 - 증가에 따른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도시형 소형주택에서의 획일화 되고 기본 기능만의 가전 시스템 요소는 이러한 요구도를 만족시킬 수 없다. 확장된 기능 수행의 가전 시스템을 패키지화하고 빌트인하여 코디 네이트한다면, 공간의 효율성, 심미성, 편리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실내코디네이트 요소는 설치 반영 정도가 미흡했던 실내 시스템 코디네이 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용률이 높았지만, 도시형 소형주택 코디네이트 필수 요소인 빌트인 가구와 기능성 가구가 부족하여 한계적 규모 공간에서의 수 납과 확장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었다. 6. 2. 향후 연구제언 본 연구는 도시형 소형주택에서의 골드세대 대상의 실내코디네이트 연구로, 개발 초기단계인 국내 사례의 경우 국외에 비해 다양한 유형화가 시도되지 않 으며, 진행 중인 사항도 체계화되지 않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드세대 의 수가 증가하고 소득 수준이 향상하는 사회적․문화적 현상은 이를 대상으 로 하는 환경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하는 실내코디네이 트 평가체계는 골드세대에게 실내코디네이트 세부 요소에 대한 인식을 유도하 여 주거공간 내부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 이다. 또한 실내코디네이트 객관적 기준으로서의 요소를 축으로 하는 공간의 체계적인 연구의 지표로 확대될 것이라 예상한다. 이는 실제 현장 기획시 적 용하거나 후발 연구진에 의해 추가 연구되어, ICPP 평가지표에 의한 개선 - 209 - 방향을 주도한 골드세대의 실내코디네이트 구축을 기대한다. 나아가 평가 지표 종합 매트릭스를 시각화하여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향후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도시형 소형주택의 정체성 형성을 위하여 실내코디네이트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또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 소 체계를 만들어 도시형 소형주택에서 골드세대들이 원하는 실내코디네이트 분야에 평가요소 체계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소형주택의 이론, 사례, 설문, 전문가 검증을 통하여 평가체계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에 의미를 두며, 각 평가요소 항목 간 의 상호관계성을 찾아가는 전체적인 관련성으로 평가지표 체제의 관계를 연결 하고 골드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 가지표를 구축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