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정신적인 것을 포함한 대상,객체라는 뜻을 품고 있다.예 를 들어 ‘몽타주’,‘초현실주의의 콜라주’등과 같다.이러한 충돌들에 대응하는 파 편적인 조각이므로 ‘부분대상’이라 불린다. 인간은 공간에 설치된 오브제를 보고 시각적 형태에 대한 반응으로 그에 대한 심상을 가지게 된다.공간의 텍스트적 요소로서의 오브제는 공간에 놓여져서 그 것을 체험하는 인간의 잠재의식이나 정신작용을 강하게 일으키는 특정한 물체를 의미한다. 나.물성표현 시대에 변화에 따른 영역의 수평적 확장과 경계의 모호성으로 현재의 오브제 는 실내공간에 풍부한 어휘를 제공하는 요소로서 사용되고 있다.현대에 이르러 실내디자인의 특성 중 하나는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재료의 부각으로,공간의 배경 이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 요소로 대두되면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공간적 패러다 임을 표현하고,동시에 이미지를 창출하는 도구로 재료의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통하여 재료가 새로운 공간창출 표현매체가 되고,디자인의 차별성의 주요한 요소 가 되었다.재료와 요소의 부분 충돌로 공간에서 파편적인 부분대상이 되어 소비 이미지,상품의 이미지를 전달해 주고 있다.90년대 초부터 미니멀리즘의 절제된 경향을 띠며 물성과 공간성을 구체적으로 표현으로 발전해 왔다. 이미지란 어떤 특정의 사물이나 사항에 대해 가지는 기억,이상 및 태도 등의 총체로서 특정의 사물이나 사항에 대해 특정의 감정을 가지게 되는 영상이다.

 

이는 재료의 표현이 공간이나 상품의 이미지를 위하여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 하게 표현함으로서 공간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때문이다.이는 실내디자인의 구성 요소로서 오브제가 표현수단의 확장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브제와 마주하는 그 행위 자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는 공간 사용자와 대화적 매체로 정보전달을 위한 시각적 매체라고 할 수 있다.사회의 다 양성으로 인하여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료의 표현성은 상업적 영역은 물론 브랜드 이미지로 연결시킨 것이다.마치 ‘몽타주’,‘초현실주의 콜라주’등과 같이 파편적 인 조각이 되어 정보전달의 매체로서 공간에서 물성의 역할은 사회의 다변화에 따라 소비자 인식 변화를 반영한다.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모든 정보들을 통합하 여 몇 개의 두드러진 특징을 단순화 시켜 구조적으로 파악하려는 능동적인 과정 인 시각적 산물이라 하겠다. 다.공간표현 르 꼬르비제는 관찰자의 정서적 반응인 형태와 색채를 개념화 한 후 감각체험, 문화적 체험 등의 감각적 작용을 일으키는 오브제와 오브제 사이의 관계에 적용 하여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진보하는 속성을 말했다.그의 오브제이론은 외․내부 에서 시각적 조형이 강조되고 개념적으로 구조에 얽매이지 않으며,공간에 대한 표현이 신체의 움직임에 근거를 두고,새로운 공감창출 표현매체가 되어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서 공간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다.이는 오브제가 표현수단의 확장으 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오브제와 마주하는 그 행위 자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그의 공간표현은 그 자신의 의식과 개념을 개입하면서 관찰자에게 건축 물이 구축되는 구현의 대상으로서 감각과 욕구가 유발되어지는 정신적인 과정과 같은 심리적인 영향을 만들었다.멜로 폰티(Merleau Ponty)39)가 말했듯이 르 꼬르 비제의 공간은 물건이 배치된 실체적 또는 논리적 배경이 아니라 그곳에 오브제 가 놓일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관찰자에게 공간을 소유하게 하는 것이며,공간 을 향하여 관찰자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이것은 관찰자에게는 공간에 대한 즐 거움을 주고 관찰자의 신체 위에 공간에 직접적인 힘을 주는 것이다.이는 신체의 움직임에 근거를 둔 것으로 신체에 대한 세 가지 축으로 위·아래,앞·뒤,왼쪽·오 른쪽 구분과 중력의 구조의 수직적인 차원과 수평적으로 구분이 가능하고 또한, 우리의 활동구조인 붙잡고,앉고,걷고,손으로 만지고 보고,듣고,냄새 맡는 것 등으로 기본요소인 공간,물체,빛 등을 이용하여 상품의 시각적 인지를 공간에 부여함으로서 이미지를 공간으로 표현하고 있다.

 

3.종합논의

 

①몽타쥬,콜라주 기법 객체와 객체의 결합(동양과 서양,양식과 반양식 등)이며 단순한 결합이 아 닌 시각적,극적요소 등을 목적으로 하는 표현기법이다. ②구조체로 표현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몇 개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단순화시켜 구조적으로 파악하려는 표현기법으로 특징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여 사용한다. ③크기표현 및 인지교란 신체의 움직임에 근거를 두어 시각적인 인지를 공간에 부여함으로서 신체크 기,방향,각도 등의 요소를 자극해서 대상에 대한 성질 보다는 공간을 새롭 게 인지하도록 하는 표현기법이다. ④재료,기술 재료와 기술이 하나의 모습으로 읽혀져 공간의 가능성을 확장해 주고 새로 운 방법적 틀을 제공하는 표현기법이다. ⑤상징적표현 시각적으로 강조되고 배경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눈에 파악되는 볼 륨이다. ⑥지각조건의 변화 실제로 관찰자의 개인적인 체험에서 유발되는 심리적 기억 현상을 확대시키 는 표현기법으로 문화적 은유,풍자,이중부호,아이러니 등의 직관적이고 감 성위주의 표현기법이다. ⑦소리,빛 오브제가 시각,청각,촉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대상 으로서의 정신적인 것을 포함한 표현기법이다. ⑧유닛의 반복표현 감성표현에 대한 절제된 표현으로 비개성적인 표현기법을 말한다.즉,오브 제의 성격이 아니라 기본단위의 반복을 통해서 부분이 아닌 전체성을 표현 한다.

 

3.2.시대별로 본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표현특성 3.2.1.1960년 이전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20세기를 넘어가는 전환기에 대중들에게 결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이러한 변 화의 주된 동력은 공업기술이었는데,건축가들과 디자이너들은 모험심 보다는 심 중으로 고딕복고주의,신고전주의와 겨루었다.현대디자인의 탄생은 이러한 풍조 의 저항을 의미한다.북유럽에서 유겐트스틸로 알려진 아루노보는 과거의 단절을 표방한 최초의 운동이었다.아루누보는 여전히 전 세계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던 까닭에 하나의 과도기적인 운동이지만 주철(鑄鐵)및 연철(鉛鐵)그리고 알루미늄 과 유리판 등과 같은 새로운 소재의 가능성 및 구조와 장식을 보다 밀접하게 결 합한 실내에 적용된 오브제는 재료의 산물이요,기호와 상징의 의미 있는 구성요 소로 간주 되었다.1939년 2차대전 이후에 현대디자인 운동은 다양하게 발전 되면 서 유럽,미국,일본 등은 현대디자인을 자신들의 진보적인 경제문화를 보여주기 위해 박람회,디자인경연대회 조직 등을 통해 홍보하기 위한 진열장으로 사용했 다.그 결과 전후의 현대디자인은 민족주의의 다양성을 대표하였다.전 세계의 소 비자들은 자신의 집에 개인적인 열망을 표현하고자 했다.전후의 디자인과 관련된 오브제들이 인체와 자연에서 유추된 추상적인 형태를 가지기도 하고,또한 기계적 인 것을 버리거나,과학기술적 품질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경향이 점점 더 커 져갔다.디자이너들은 새로운 스타일을 물질적 오브제에 부여하는 일과 근본적인 원칙이 아니라 오브제의 목적을 중시했다.현대적 스타일의 대량소비와 디자이너 에게 열려 있는 과학기술의 가능성 그리고 시장의 국제화 등의 요인이 20세기 말 중요한 문화세력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엘 리시츠키는 회화와 건축의 결합이라고 묘사한 이 실내 디자인은 포토 몽타쥬 기법을 혼합한 단순하지만 강한 색상이 한데 어울려져 사 람의 눈을 끄는 강한 효과를 창조하고 있다.벽면에 설치된 기하학을 통해 운동 감,역동성이 생겼으며,2차원 구성에서는 살려내지 못한 부분이었다.이는 회화와 건축의 중간 영역에서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변화하는 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중첩을 통한 평면성구현이라는 회화적 구성개념을 입체적 공간적 상황으로 전환 시킨 것이다.벽면의 면들과 강한색채는 다각도의 관찰을 요구하는 역동적구조로 신체참여를 유발시켜 시공간적 상호작용을 강화시키고자 한 의도이다. 카를로 몰리노는 유선형 초현실주의로 묘사되는 스타일이 다.오브제를 신중히 병렬시킨 것이 특징으로 실내디자인은 기묘하면서도 환상적 이다.천정에 고정한 곡선트랙을 따라 움직이게 만든 조명등이 강한 인상을 준다. 월터 도윈 티그는 대량생산된 소비품을 실내디자인에 사용한 그는 황동조명기구,초록색 카펫,황갈색 벽면 등을 접목시 켜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었다.전시관은 구불거리는 길이 반마일이나 펼쳐지고 방 문객들은 포드 자동차를 타고 시험운전을 할 수 있었으며,설치된 높고 움직이는 의자에 앉아서 모형을 파노라마로 즐길 수 있었다.이 전시회의 업적은 기업의 영 향력을 알려주는 도구로 실내디자인을 마케팅 도구로 이용했다는 것이다. 아킬레와 지아코모 카스틸리오니새롭고 강경한 유럽의 아방가르드의 장이었다.조 콜롬보모든 좌석에 안경걸이,이어폰,재떨이를 비치한 혁신적인 작업과 발전된 기술이 적용 되었다.

 

3.2.2.1960년 이후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1960년에 이르러 디자인은 현대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젊은 소비시장 의 출현과 재미와 일상을 강조하는 풍조는 건축과 디자인의 토대가 되었던 합리 성과 보편적 인식을 크게 흔들어 놓은 계기가 되었으며,소수의 디자이너들이 디 자인을 공공연하게 대중적 상상력과 대량소비시장요구에 근거를 둔 대중문화가 주도 하도록 했다.1970년에 접어들면서 20세기의 마지막 30년 동안에는 다원화 될 것이라는 생각이 틈새시장(nichemarkets)을 초래 했다.디자이너는 자신의 경 험과 직관에 의해 창조적인 사고의 진행과정을 거쳐 형태 도출에 이르게 되고 보 는 이는 이러한 시각적 형태에 반응,정신적 작용,즉,심상을 일으키는 물체가 오 브제이며 오브제 경향,공간 장치,구조물 들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디자이 너들은 근본적인 원칙이 아니라 오브제의 목적이 중요하다는 것을 지각하게 되었 고 시장의 국제화 요인으로 인해 자본주의 경제체계 속으로 통합되었으며 이시대 의 문화세력 중의 하나였다. 1960년대 이후부터 나타나는 실내디자인 경향들은 디자인사고 변천에 주목하 며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각 표현특성들을 연결시켜 일반성을 고찰하였다. 건축의 산업화에 있어서 주관적,기하학적인 규격화의 반복,기존 이미지의 채 택,미술품과 오브제 사이의 애매한 구별 그리고 사물성의 부각 등은 단순한 상자 형 벽체와 극도의 명료성과 유사성을 현대미술에서도 복합적으로 나타났으며,건 축에서 제3의 기계미학인 하이테크 이미지는 건축의 특성인 설비의 노출과 구조 나 재료의 노출에서 찾을 수 있다.이후 역사적 인용과 혼성적 모방을 통한 절충 적 경향을 나타는데 현재성의 병존,대중적인 기호,다양한 욕구,시각적,심미적 만족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에서 비롯된다.플라스틱을 싸구려 소재에서 세 련된 소재로 변모시킨,시대를 초월한 디자인 오브제들은 디자인 문제의 해결방안 을 제공하는 단순하지만 기발한 개념들이었다.조 콜롬보일체형 가구 설비세트는 대량생산된 가구에 새로운 소재와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다.

 

에로 샤이넨의 은 비행 모습 등을 연상 시키는 실 내디자인이다.인체에서 유추되어진 경우는 신체 일부분 또는 전체모습 자체를 직 설적으로 표현하거나,간접적으로 인체의 구성 형식을 빌려 공간에 표현되었다.

 

조지 넬슨의 소파 는 실내에 색과 위트가 있는 표현이 풍부해진 공 간을 만들었다.소파와 같은 일상적인 가구들은 관습이나 전통적인 요소들이 그 유추 대상이 되는데 이러한 오브제는 대부분 시대적인 사회상을 반영하는 경우로 직설적인 것과 암시적인 오브제의 표현특성이다.이러한 유추는 물체가 지니는 외 적인 형태가 그 소재가 되며,사실적이기 보다는 단순화된 형상을 지닌 것이 주된 개념적 표현 요소가 된다.베르네르 판톤의 은 60년대 유행 했던 우주시대를 모티브로 가구와 조명으로 이루어진 실내디자인으로 판톤과 제 조사의 합작이다. 전혀 엉뚱한 물체끼리 조합시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연상적,상징적 효과를 만들었다.포스트모더니즘은 제조사와 디자이너에게 보다 중대한 사회적 요구를 했다.디자이너 시대라고 불렸던 1980년대는 20세기 말 대량시장 맥락 속에서 디 자이너는 남과 다르기를 원하는 소비자에게 제품의뢰를 받아 그 제품이 곧바로 우상의 지위를 획득하였다.또한 미술관들은 디자이너에게 공적인 모습을 부여했 다.그 영향으로 디자인 개념을 광고나 마케팅과 밀접하게 연계시키는 결과를 낳 았다.현대에 이르러 미술작품과 실내디자인이 상징하고자하는 공통의 가치체계인 공간을 형성하는 요소로서 오브제의 재료는 다양한 양상으로 표현하는데 공간형 성에 영향을 주는 특성에 따라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추상적인 이미지는 눈에 보이는 형태가 아니라 작가 개인의 떠오르는 심상에 의존하는 것으로 기하학적 오브제와 단순추상의 오브제로,기하학적 오브제는 공 간에 조형의 기본 요소들을 도입함으로서 단순미와 반복을 통한 공간의 리듬감, 통일감을 얻는 것이다.소매점 쇼윈도우 디자인 역시 새롭고 도발적이며 장난스러 운 분위기를 반영 했다.막스 클렌데닝의 쇼윈도우는 충격 적인 소모성과 순간성을 주고 있다.1970년대 말에 이르러 소모적이고 순간적인 디자인이 성숙해 졌고,강압적인 보수성향을 제거하고 새로운 활력을 주도 했다. 스탁의 는 극적이고 환상적인 실내디자인으로 이름을 알렸 다.스탁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대상이 갖는 성질에 집중해서 오브제가 공간에 놓일 때 특정행위를 유발하고 개인의 심리적인 체험을 발생 시켰다.그가 만들어내는 대부분의 공간에서 초현실주의 화가인 살바도르 달리나,안토니오 가 우디를 연상시키는 생물체에서 유추한 듯한 오브제를 설 치하여 환상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론 아라드의 카 페의 실내는 자궁을 모티브로 곡면 으로 처리된 벽과 천정 채광에서 나오는 미묘한 조명으 로 이루어졌다.친숙함,관습적인 것을 역이용해서 공간 안에 전혀 예상치 못한 오브제로 실내공간이 부각 되었 다.실내디자인에 나타난 론 아라드의 오브제는 표현방 식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공간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추상의 이미지는 마음속의 심상을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것으로 필립스탁 과 론 아라드의 레스토랑에서 보듯이 비구상적이거나 유기적인 형태를 지닌다. 실내공간에 들어선 관찰자는 시각적 형태에 대한 반응으로 그에 대한 심상을 가지게 된다.공간에 놓여진 그것을 체험하는 인간의 잠재의식이나 정신적인 작용 을 강하게 일으키는 특징을 공간구성요소로 사용한 것이다.

 

3.2.3.종합논의

 

①강한색채 강한 색상은 눈을 끄는 강한 효과를 준다.작가의 회화적 구성 개념이 색채 를 입체적,공간적으로 전환시키는 1차적 표현기법이다. ②유기적 곡선 곡선의 면들은 다각도의 관찰을 요구하는 역동적 구조로 신체참여를 유발시 켜 시공간적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표현기법이다. ③산업생산물 예술과 관련 없는 물건이로 한 부분을 본래의 일상적인 용도에서 떼어내어 보는 사람에게 잠재된 기억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를 말 한다. ④유희적 강렬한 형태 잘 알려진 오브제를 공간과 시간을 초월해 병치함으로서 느껴지는 유머의 표현기법이다. ⑤새로운 재료,기술 하이테크기술과 이미지에 영향을 받은 개념으로 놀라운 기술발전을 표현하 는 표현기법의 하나이다. ⑥생물체 형상화 특정 생물,무생물 등의 형체를 형상화하여 그 특정 객체의 성격을 드러내고 자하는 표현기법이다. ⑦특정한 행위 유발 신체 움직임에 근거를 둔 중력의 구조와 수직과 수평의 차원에서 인체의 기 본요소인 공간,물체,빛 등을 이용하여 시지각적인 인지를 공간에 부여함으 로서 이미지를 공간에 표현하는 기법이다. ⑧상징과 은유 단편화,고정화,추상화로 본질과는 다른 형상의 의미로 전환되면서 생경하 고 새로운 관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환상과 유희를 주는 표현기법이다. ⑨시각적 환영 오브제의 대상을 지역,역사 등을 간접적으로 작가의 주관적인 사이에서 관 찰자의 감수성을 자극시키는 표현기법이다. ⑩실험적 형태 낯선 오브제와의 조합이나 오브제의 본성과 이미지를 비현실적인 배치로 새 롭게 재구성하는 표현기법이다.

 

3.3.실내디자인사에 나타난 오브제의 공간구성 표현특성 폴 발레리(PaulValery)는 현대사회의 특성을 ‘복수화’로 규정짓고 ‘동등한 개인 들의 상호간에도 성립하고 적용함’으로 규정하고 있다.40) 모더니즘의 실내디자인 에서 기능성이란 실내의 물리적·물성적 관계의 해결을 의미하지만 실내디자인은 작가와 시대정신을 의미하는 복합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사 고는 근대적 합리성을 재해석하여 사회와 시대정신에 맞게 수정하려는 경향과 근 대적 합리성을 탈피하여 맥락주의적인 경향,근대적 합리성을 해체하려는 경향으 로 나타난다.41)통일된 담론으로 표현특성을 해석할 수 없는 실내디자인의 경향을 작가들의 디자인 개념과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1.탈구축적 자유 공간구성 모더니즘에서 실내디자인은 ‘서열’을 중심으로 한 공간의 위계가 존재하며 중 심과 주변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전후,좌우가 결정되는 논리적 배열공간이었다. 그러나 현대 실내디자인의 일부 작가들의 작품에서는 공간구성의 특징이 다양한 양상으로 표현되고 있다.독일 표현주의의 환상적 공간,러시아 구성주의의 비정 형적이면서 역동적인 공간,가우디를 중심으로 정형적 공간에서 탈피한 곡선적 공 간 등 공간구성의 특징들이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 했다. 리차드 로저스(Richard Rogers)의 는 실내공간이 실내의 파 티션뿐만 아니라 외벽,지붕,주요구조프레임과 연속적인 구조 체들도 해체되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모든 설비와 장비는 외벽이 담당하게 했다.구조체가 장식이 된 구조로 형태표현의 수단이 되었다.이러한 퐁피두센터의 연상은 1950년 과학기술 의 극적인 활용단계 초월하여,심미적 가능성에 주력하고 있으며,구조체가 상징 이 되는 심미성을 실현했다. 프랑크 게리(FrankGharry)는 에서 가능 한 많은 조각 난 부분을 만들기 위하여 완전한 형태를 던져 파열시키는 방법으로 얻어낸 조각 난 불규칙한 파편들을 사용하거나,기존 건물들을 해체시켜 전체를 부분파편으로 구성,미완성인 채로 옛것과 새것을 공존시켜 ‘형’과 ‘지’를 판독하기 힘들게 함으 로서 ‘시공 중(underconstruction)’이라는 느낌을 강조하여 멈추지 않는 건축을 표 현하고 있다. 게리하우스의 입면과 천정에 만들어낸 비정형적인 형태는 형태의 왜곡과 탈기 하학 등의 두 형태의 이질적 특성으로 인하여 우연적 풍부함을 가지게 된다.이는 조형적 인 관심에서 벗어나서 병치,중첩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유를 구가하게 된 다.

 

이들의 실내디자인은 즉흥성,우연성,미완성 상태의 혼성적 표현으로 분열적 이다.디자인의 목표는 ‘일시성’과 ‘우연성’그리고 ‘비의성’을 강조하면서 실내ㆍ실외 형태는 기능성과 관계없는 ‘자유방임(laisser-faire)'을 택하 고 있는 것이다.

 

2.환상적 복수 공간구성 한스 홀라인(HansHollein)의 실내디자인은 ‘의미의 내용물로 가득 찬 환영을 만드는 일로 인습과 기억,경험에 의해 의미를 전달하는 건축 은유적 접근을 시도 하고 있다.대표적인 예로서,그의실내의 종려나무는 여 행자들에게 앞으로 여행에 대한 기대를 유추하기 위해 반역사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반 사실적인 것과 사실적인 것,친숙한 것과 생소한 것,현재성과 과거 성을 동시에 절충시키며,실내디자인을 하고 있다.이러한 은유성은 다시 환영에 환영 을 더하는 ‘이중환상’을 나타낸다.홀라인의 실내디자인의 특성은 부분적이기보다 는 종합적으로 지향될 때에 보다 강력한 환상을 부여 받게 된다.함석과 황동으로 만든 열대 종려나무숲,벽면에 계속되는 피라미드대리석,석고로 만든 기둥 속의 기둥,하얀 네온사인으로 장식한 무대,붉은색,브라운색,노란색의 오스트리아 국 기,금빛 천정과 종려나무42)쉼터,둥근 천정의 금빛 별,옅은 구름이 깔린 푸른 하늘과 독수리 쌍 등은 관찰자의 시선 이동을 통해 이중환상을 나타낸다.여행사 실내디자인 의도를 그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건축은 문화적이다.그것은 표지이고,기호이며,상징이고 표현이다....(나는)의 미로 소통하고 연상을 드러내기 위하여 의도된 장치로서 오브제를 묘사하였다”.43) 찰스 무어(CharlesMoore)는 건축이 성취하여야 하는 요구에 대해 ‘꿈에 대한 요구’의 실천을 말하며,그의에서 ‘닫집’은 ‘집속의 집’으로 낯설 고 평범하지 않은 디자인 요소를 이입시켜 원초적으로 지각되는 장소성을 실현하 는 동시에 내적 가치와 감성들을 이끌어 내었다.꿈의 요구인 ‘닫집’은 그의 실내 표현의 매개체로 은유적,공상적 공간이 기능성 보다 우선됨을 표현하고 있다. 실내디자인의 일차적 목적은 영역성의 창조이며,디자이너의 역할은 거주자가 장소의 이미지를 체험할 수 있도록 자극을 한정시키는 것이다.44) 무어는 이 공간에 ‘의식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서 공간의 느낌을 강조한다.닫집 내의 천개(aedicule)는 기능성 보다는 우주의 중심이라는 은유적·공상적 방법이다. 사용자는 닫집이라는 형태로서 경험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홀라인과 무어의 실내디자인은 은유가 강해지면 공간소통에 있어서 극적인 내 용이 강해지고,은유가 약해지면 신비성이 더욱 늘어나 이중적 또는 다중적 표현 인 복수적 표현이 되어졌다.(이춘섭,2004)이들의 실내디자인의 환영성에는 전통 적인 재현의 수단인 장식이 등장하여 절대적 진리가 사라진 공간에 꿈의 속성을 표현,이윽고 리얼리티와 환영 사이의 구별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그리고 그것은 필연적으로 부단한 유희와 실험을 초래했다.

 

3.상징적 기호 공간구성 마이클 그레이브스(MichaelGraves)실내의 계단은 나무를,천정은 구름을,프 레임(frame)의 살구색은 인간의 피부를 표현하고 이들 전체는 자연을 은유한다. 실내의 요소들을 의미체(기호)로 사용하면서 그레이브스는 역사적인 주제를 실내 에 풍부하게 적용시키고 있다.또한,그의 비 관습적 재료의 사용은 관찰자에게 의외성을 주는 동시에 꿈,추억 등을 구성한다.이는 공간에서 관찰자의 경험은 사라지고 인지의 모호성이 콜라주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의 실내디자인에서의 색체와 곡면의 사용은 공간과 공간의 구별을 위한 것이며 공간 과 볼륨의 명확한 구분을 없애므로 그의 실내디자인은 이중적 함축성을 지니게 된다. “나는 정면성(frontality)으로 사물을 본다.나는 투시도를 그리거나 화가들 같 이 이를 평면화 시킨다.나는 공간의 연속성을 정면에서 발견한다.”45) 프린스톤 자택은 고전적 절충주의의 방법을 택하여 맥락성을 유지하려고 하였 다.실내디자인에 기하형의 주초,플루트가 있는 벽기둥,단대공,원추,원주,삼각 면 같은 전통요소들을 역사적 해석에 집착하지 않고 해체시켜 재구성하고 있다. 그는 실내기둥에 플루트의 효과를 내기 위해 푸른색의 둥근타일로 이 효과를 재 창조 했으며,주두에는 대리석 대신에 종석을 사용하고 있다.입면에서는 하이 르 네상스식의 거칠게 마감한 종석을 마감 재료로 사용하여 시각적·감성적 접근으로 실내디자인을 풍부하게 하며 맥락성을 유지하고 있다.그가 사용한 비역사적 적용 은 역사적 은유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며,이는 사용자에게 고전적 모티브를 사 용함으로 감성적 실내를 이루고 비관습적인 재료를 사용함으로 의외성을 주는 시 각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 로버트 벤츄리(RobertVenturi)는 ‘라스베가스의 교훈’에서 대중과 의사 전달이 가능한 상징과 기호를 통해 대중성과 일상성을 강조한다.벤츄리의 기호적 형태구 성의 태도는 팝아트의 개념으로써 일상적인 것들을 기념비적 의미를 가지는 표식, 상징으로 등으로 사용,실내디자인에 표현하고 있다.,에 사용된 문자는 객관성과 일반성을 넘어 형의 상징을 통한 기호 적 속성을 가진다. 길드하우스에서 창은 예외적으로 크기 때문에 전체가 주는 효과는 보통과는 다르다.극히 평범한 것을 사용하면서 그 스케일을 바꿈으로 긴장감을 촉발시켜, 파사드는 일상적으로도 보이고 그렇지 않게도 보인다.46) 길드하우스에 나타난 시각효과를 통한 파사드 하부의 흰색타일 치장,역사성이 있는 아치형의 적용 등은 관찰자로 하여금 의미전달체가 된다.외부는 내부에 의 해 결정되는 것은 그에게 있어 흥미를 반감시키는 낡은 주장이라고 생각한 것이 다.의미전달을 위한 ‘사인’은 ‘기념성’을 갖는다.상업용 광고물 같은 ‘길드하우스’ 라는 이름인 기호,문자를 병치하여 노인의 집 그리고 주변 환경에서 강한 독립성 을 가진다.

 

모리스는 삼차원적 오브제와 관찰자 사이에 형성되는 심상 적 운동생성(내부에서 편심을 일으킴)의 시간오브제이다.모리스는 물건을 조각과 구분하는 것은 작가의 결정과 오브제가 놓인 문맥이며 또한,관찰자가 작품의 미 완성에 기여하고,의미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지니게 되는 상황을 강조 하였으며 그는 내부공간에 작품을 공간화 하여 의미를 끄집어냈다.모리스는 ‘부분으로 분 리’되는 것과 형태와는 상반되는 ‘전체성이 지배하는’형태의 가치를 옹호 했다.이 는 사물-공간-관람자의 삼각관계에 대한 모리스의 논의를 뒷받침 한다.도널드 져 드27)사슬처럼 패턴화와 반복적으로 배치된,기본단위의 반복을 통해서 사 물(오브제)이 부분이 아닌 전체성을 획득한 것이다.하나의 전체로서 사물의 특질 을 흥미롭게 한 것이다.

 

3.맴피스 그룹의 오브제 1981년 결성하여 1988년에 해체된 ‘맴피스 그룹’은 캔디색상(candycolor),오브 제적 장신구,동물형상의 유리와 도자제품 등 하나의 제품을 개성있는 사물 (object)로 변화 시켰다.당시 값싸고 저속한 취급되어진 인조 합성 재료들을 개성 있게 표현 하였다.맴피스 그룹이 생산한 오브제 가구는 그 기능과 용도의 목적이 분명하지도 않고,당시 대중들의 취향으로부터 어긋나게 보였지만 소수의 수집가 들로부터 20세기 후반 문화의 상징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그 후 맴피스 그룹은 모 더니즘디자인 사상에 반하는 포스트모던을 상징하게 되었으며,가구뿐만 아니라 제품과 텍스타일,건축 등 디자인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획득하 였다.즉물적 오브제의 미학적 개념을 확대 수용함으로서 직관적이고 감성위주의 제작태도를 가진 디자이너와 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물질 중심표현을 교류시 키며 제품 -광고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가능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 영역이 확장을 이루게 되었다.맴피스의 리더인 소사스(EttorreSottsass)는 인조 합 성재료를 사용하면서 ‘제품제작에 소요되는 (물질적)재료들은 제품의 디자인에 포 함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과 함께하는 요소’라고 말하였다.재료를 선택하고 그 의 따른 기법을 생각하여 디자인을 결정하던 기존의 제작 프로세스 위주의 디자 인 사고를 ,자유로운 디자인,색상,재료를 동일한 요소로 결부시켜 동시 수용함 으로서 더욱 뚜렷한 조형적 표현을 강조한 것이다.

 

4.모더니즘 이후의 오브제 1960년대 이후 현대디자인에 수용된 오브제의 조형적 성향은 모든 재료의 물 리적 속성과 형태의 주제에 의해서 전환되어지는 추상의 객체변환 과정과 유사한 외형을 추구함으로서 과거의 전통적 디자인 방식에서 벗어나 오브제의 표현방식 은 매우 포괄적인 메시지를 내포하기도 하였다.미의 본질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관심의 발언의 도구로서 오브제 양식 을 차용해 나갔다.1980년대 초 미술은 자신의 이율배반적인 형태로서의 1970년대 의 예술경향과 대립하고 나섰다.냉담함과 정체성으로 특징 지워지는 미니멀아트 와 개념예술에 대립하는 주관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으로 자연의 형태,상상력,드 로잉,전통적인 양식의 복귀(회화,조각)에 대한 관심이다.추한 것을 그릴 자유, 솜씨의 소홀함,잡다한 재료의 사용,문화와 사회에서의 가장 저속한 생산물의 차 용 등은 프랑스와 브와롱의 작품은 일종의 영화화면 같이 풍부한 이 미지 구축을 하는 작품 안에는 오락기구,형상화된 친구나 전체적인 기억의 편린 들이 모아진 콜라주로 모든 것이 문화에 순종하게 되는 문화적 혼선의 모습을 가 장 명백하게 재현한 작가이다.28)형식적인 의미에 있지 않고 작가의 현재의 문화 의 의미를 담은 것이다.장 미쉘 바스키아는 문화의 이국주의 및 외곽지대 안에서 낙서(graffitti)를 취한다.가장 일상적인 벤치 위에,감옥의 독방 안에 표현을 함으 로서 삶에 있어서 기쁘고 슬펐던 친밀한 순간을 담아낸 작가이다. 조르쥬 루스29)는 폐허가 된 정류장 현장에 회화적인 기록을 함으 로서 형태를 왜곡하고,거리감을 강조함으로서 기념비적인 상징성 있는 작업을 했 다.이들의 작품은 모든 공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것이다.이들의 작품에서는 시대 적 분위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료함이 보여 진다.문화를 형상화 하면서 그것에 기능 자체를 조건 짓는다.현재의 문화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 내는 모든 것을 받 아들이고자 한 것이다.이는 동양과 서양의 절충적 대안으로 문화가 정보를 제공 할 때 의미는 일치하지만 그것을 반사하면 의미가 다양해지기 때문이다.

 

①탈영역화 일상적인 환경과 장소에서 떨어져 본래의 목적성과 기능 보다는,단순히 사 물 그 자체의 무의미함이 남게 되는데 이때 사물이 놓여진 위치와 그 자체 가 갖고 있는 의미가 동시에 인간 내부에 강렬한 이미지를 주면서 일상용품 이 주는 새로운 조형성이 드러나는 오브제의 표현기법의 하나이다. ②위계 및 경계의 해체 실제의 대상과 묘사된 것 사이에 존재하는 성질로부터 분리시키면,그 존재 사이에 모호함(전혀 다른 성질)을 표현할 수 있는 표현기법이다. ③의미의 다중성 오브제의 비합리적인 조합이나 변형적인 표현으로 강렬한 느낌을 줄 수 있 으며,표현에 있어 비합리적인 극치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어 오브제의 본질과 는 다른 현상을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이다. ④재료의 혼성 일상적인 이미지들은 경험적인 의미의 소재가 많은데 경험적인 이미지와 재 료는 인간의 의식 속에 확고한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료의 혼성은 이미지를 전환시킴으로서 관찰자는 더 많은 자극을 받게 되는 표현기법이다. ⑤시각적인 독립체 오브제 자체가 움직이거나 또는 조각의 형태를 취하고 있거나 차별하기 위 해 오브제를 공간적인 요소를 끌어들여 예술성과 가치의 상승을 유도하는 표현기법이다. ⑥유희성 풍자 또는 대중적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그 시대의 거울역할을 하는 표현기 법을 말한다. ⑦과장 시각적인 요소에 이질적인 요소가 도입되면서 충분히 인지되었던 대상이 이 질적인 요소로 인하여 환상을 심어주는 표현기법이다. ⑧질감의 확장성 관찰자의 사물에 대한 인식 중 재료의 이상적인 표현은 재료의 외관을 통해 미와 의미를 획득한다.재료는 표현적인 욕구를 추구하면서 재료에 의한 표 현가치를 확장시키고 있다. ⑨스케일의 변형 일상용품의 스케일 파괴는 그 자체만으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혹은 충 격이 작품의 의도로 많이 사용되는 표현기법이다. ⑩심상적 운동의 생성 같은 종류의 오브제가 반복이 되어 그 의미가 강조되고 객체와 다량의 객체 에서 오는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오는 오브제와 관찰자의 관계에서 생성되 는 심상에 대한 표현기법이다. ⑪패턴화 반복 예술적 의지를 버리고 제작의 아이디어나 과정,재료와 기술의 반복으로 인 한 관찰자를 참여시키려는 의도로 표현된 기법이다. ⑫풍부한 이미지 구축 재료와 색채 등과 같은 두 개의 결합,지역과 지역의 문화적 병치 또는 중첩 등은 공간을 유머스럽게 하고 극적인 효과를 주며 환상적인 이미지를 부여 한다. ⑬탈구축적 형태구성 사물이나 사실들이 정해진 시간과 일상적인 상황 속에서 벗어났을 때 새로 운 감각으로 환원되어 오브제의 의외성과 실제성을 획득하며 무한한 가능성 을 갖는 효과를 주는 표현기법이다. ⑭기념비적 상징성 공간적인 제약을 뛰어넘어 동서양의 절충적인 대안이나 시대적 분위기를 제 공하고 기록함으로서 형태를 외곡하고 거리감을 강조하여 의미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기법이다.

 

2.3.미술사조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 미술사에 있어서 오브제의 등장은 새로운 실험,기술,재료 등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미술의 다원화 경향에 따른 파괴적 공간구성은 오브제 공간구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작가는 자신의 경험과 직관에 의해 창조적인 사고의 진행 과 정을 거쳐 형태도출에 이르게 되고 보는 이는 이러한 시각적 형태에 대한 반응, 정신적 작용,즉 심상을 일으키는 물체가 오브제이며 오브제 경향,공간장치,구조 물 들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보는 사람 즉,그 것을 체험하는 사람의 잠재의식이나 정신작용을 강하게 일으 키는 특별한 물체를 의미한다고 정의 할 수 있다.실내에 오브제 경향은 풍부한 의미를 전달해 주고 있다. 오브제 요소를 유추해 내는 대상과 표현방식에 따라 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 요소는 형상을 지닌 물리적 대상(구체화된 형태)과 추상이미지로 이다.구체화된 형태는 생물과 무생물로 나눌 수 있고 이러한 대상은 상기 그림과 같이 유추라는 과정을 통하여 실내의 구성요소들로 표현되어 개념적 측면의 오브제로 상징적 의 미를 담게 된다. 1.다다이즘 오브제의 해방적 공간구성 이젤 위에서 하는 미술에 종지부를 찍고,재료가 갖는 무한성,폐품,기계,영 화,조명,관객 등을 매개로 삼았을 뿐 아니라,작가의 직접적인 행위를 표현매체 로 삼았다.이때 등장한 기성품(ready-made)35)은 다다이스트 중에서 오브제를 적 극 수용했던 작가 중 마르셀 뒤샹은 공업제품인 변기에 제조회사 이름을 서명하 고 작품화한을 통해 레드메이드 오브제를 제시하여 우연에 의한 새로운 예술을 권장하고 전통미학을 거부하는 개념미술의 길을 열었다.뒤샹의 은 처 음부터 사물의 재구성을 거부하기 위한 원소이거나 전적으로 ‘보아왔던 것’이미 지에서 해방되고 동시에 일상적인 것에서 벗어난다.다다이스트들은 자신들이 품 고 있는 감정을 전달하는 수법으로 평면예술을 탈피하여,재기발랄한 표현으로 모 든 규칙에서 해방된 풍부한 표현으로 자유를 추구 하였다. 2.초현실주오브제의 환상적 공간구성 초현실주의 작가에게 오브제는 미술작품 속에서 독특하게 사용되었다.인간이 가진 일반적,현실적인 의식아래에 있는 잠재의식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서 작품 속에 오브제는 다른 현실의 의식이 실체를 넘어 잠재돼 있는 인간내면의 환영까 지 추적해 냄으로서 또 다른 측면에서 오브제의 의미를 새롭게 하였다.마그리트 의 에서 관람자는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그럴듯하게 묘사된 파이프와 대면하게 된다.동시에 그림에 적혀 있는 설명은 이것이 파이프가 아니 라고 부인한다.정상적인 인지(認知)를 의심하고 교란하기 위해 실제와 상상의 경 계를 희미하게 함으로서 분간 가능한 사물들을 교묘히 조작했다. 오펜하임의 도 시간에 기초하여 이야기를 함축하고 있 다.오펜하임의 오브제는 객관적(찾잔)인 것과 주관적(남자의 체모)인 것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는 점이다.외부세계의 어떤 것이 개인의 감수성에 의해 의 미를 부여 받고,주관성은 객관성인 현실성에 혼합된다.대표적 작가 달리는 정확 한 사실주의 양식으로 묘사한 기이하고 환상적인 꿈의 세계를 그림으로 나타내 환상을 실제화 시켰다.그는 이질적인 오브제를 조합함으로서 오는 새로운 충격으 로 오브제를 본래의 자리가 아닌 전혀 엉뚱한 상황 속에 위치시키는 데페이즈망 (depaysoment)의 기법을 통해 감추어진 무의식의 세계를 표출했다.위치가 전환된 오브제가 주는 충격으로 이성의 지배가 아닌 현상세계의 사이의 경계가 소멸되는 통합의 세계로 표출되기를 기대 했던 것이다.초현실주의는 미술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개인과 공공 간,미술가와 관람자간의 구분을 파기하였을 뿐 아니 라 국제적인 영향으로 패션과 광고계 도용되곤 했다.마그리트의 는 비처럼 쏟아져 내리는 중절모 쓴 남자처럼 현대도시가 제공하는 소통의 가능 성과 초현실주의적 현장과 사물을 제시하고 있다. 3.팝아트오브제의 기호적 공간구성 일상적인 것들을 무심하게 드러내거나 페인팅 함으로서 예술에 상업성을 가미 한다.팝아트의 오브제는 작품들에서 두 가지 특성이 있는데,복수성과 유일성으 로 이 두 특성은 팝아트가 본질적으로 항상 결합하고자 하는 것이다.리처드 해밀 턴의 의 냉 소적인 위트는 소비주의에 대한 현실을 반영하고 일시적이고,순간적이고,대중적 이며,싸구려이고,대량생산된 것 등은 사물이 아니라 정지된 사건으로 관람자에 게 순간적으로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팝아트는 대중들에게 직접 파고들었고 미술 품 수집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짐 다인 은 실제 오브제와 그려진 평면을 조합시킨 작품이다.올덴버그는 조각이라기보다 오브제로(거대 빨래집게)그는 언제나 놀라운 크기,재료,질감을 사용하였다.다인과 올덴버그는 정서적인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고,이 카타르시스 가 끝나면 그 목적을 이루는 것이다.즉,사람과 사물을 다루기는 하지만 본질적 으로 추상인 동시에 기호(이미지)인 것이다.이러한 무상성(無想性)을 기꺼이 받아 들임으로서 팝아트는 ‘보여 지는 것’과의 동일화를 초래했다. 4.미니멀리즘 오브제의 전체적 공간구성 미니멀아트에서 오브제는 순수예술은 곧 사물(object)이라는 등식을 극한적으로 성립시켰다.개인의 감성적 표현이 극도로 절제되어 엄격히 비개성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미니멀 작가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사물 그 자체의 문제였다. 그것은 내 앞에 직면한 현상으로서 예술이기 전에 대상(object)그 자체의 본질에 대한 것이다.즉 작품 속에서 오브제의 성격이 아니라 오브제와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이며 오브제 자체의 표현에서 관계로 이동함을 말한다.이는 작품의 물리적 결과보다는 사고와 상태의 과정에 중점을 두려는 경향으로,예술이 어떤 사물로서 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 즉,상황으로 관념,과정,정보가 작품의 핵심이 된 다는 것이다.이는 공간과 시간으로의 오브제 개념의 확장을 이루었다.어느 작품 도 액자에 둘리거나 좌대에 놓이지 않으며,이로 인해 그들의 작품은 관객의 공간 과 분리되지 않았다.모리스의 는 삼차원적 오브제와 관찰자 사 이에 형성되는 오브제이다.모리스는 물건을 조각과 구분하는 것은 미술가의 결정 과 그것이 놓인 문맥이며 또한,관찰자가 작품의 미완성에 기여하고,의미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지니게 되는 상황을 강조하였으며 그는 내부공간에 작품을 공간화 하여 의미를 끄집어냈다.모리스는 ‘부분으로 분리되는’것과 형태와는 상반되는 ‘전체성이 지배하는’형태의 가치를 옹호했다.이는 ‘사물-공간-관람자’의 삼각관계 에 대한 모리스의 논의를 뒷받침한다. 5.모더니즘 이후 오브제의 문화적 공간구성 1980년 초의 미술은 자신의 이율배반적인 형태로서의 1970년대의 예술경향과 대립하고 나섰다.냉담함과 정체성으로 특징 지워지는 미니멀아트와 개념예술에 대립하는 주관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으로 자연의 형태,상상력,드로잉,전통적인 양식 복귀(회화,조각)에 대한 관심이다.추한 것을 그릴 자유,솜씨의 소홀함,잡 다한 재료의 사용,문화와 사회에서의 가장 저속한 생산물의 차용 등은 프랑스와 브와롱의 작품처럼 일종의 영화화면과 같다.작품 안에는 오락기구, 형상화된 친구나 전체적으로 기억의 편린들이 모아진 콜라주로 모든 것이 문화에 순종하게 되는 문화적 혼선의 모습을 가장 명백하게 재현한 작가이다.형식적인 의미에 있지 않고 작가의 현재의 문화의 의미를 담은 것이다.장 미쉘 바스키아는 문화의 이국주의 및 외곽지대 안에서 낙서(Graffitti)의 양식을 취한다.가장 일상적 인 벤치 위에,감옥의 독방 안에 표현을 함으로서 삶에 있어서 기쁘고 슬펐던 친 밀한 순간을 담아낸 작가이다.조르쥬 루스는 폐허가 된 정류장현장 에 회화적인 기록을 함으로서 형태를 왜곡하고,거리감을 강조함으로서 기념비적 인 작업을 했다.이들의 작품은 모든 공간적 제한을 뛰어넘는 것이다.이들의 작 품에서는 시대적 분위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료함이 보여 진다.문화를 형상화하 면서 그것에 기능자체를 조건 짓는다.현재의 문화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내는 모 든 것을 받아들이고자 한 것이다.이는 동양과 서양의 절충적 대안으로 문화가 정 보를 제공할 때 의미는 일치하지만,그것을 반사하면 의미가 다양해지기 때문이 다. 6.종합논의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 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해방적 보아왔던 이미지에서 탈피하고 작가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모든 규칙에서 해방된 표현기법이다. ②환상적 잠재의식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 실제와 상상의 경계를 교묘히 조작하는 표현기법이다. ③기호적 개별성의 강조로 배경과 다른 성향의 오브제를 강조함으로서 맥락과 연관되 지 않는 독자적인 조형성을 구축하여 배경과 물체의 경계를 시각적으로 분 리하는 표현기법이다. ④전체적 기본단위 공간이 반복,증식,중첩 되면서 연속성을 띄는 공간구성이며,연속 적으로 조합함으로서 전체적 공간구성의 표현기법이다. ⑤문화적 시대적 분위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료함이 보여 진다.문화를 형상화 하면 서 동서양의 절충적 대안으로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는 표현기법이다.

 

2.4.소 결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 기준 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 표현특성 고찰 3.1.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정의 1.르 꼬르비제의 오브제 정의 본 장은 르 꼬르비제가 미술에서 언급한 ‘오브제 타입’36)의 개념에서 출발하고 자 한다.오브제 타입과 그의 주택에 등장한 오브제는 어떤 관계이며,이러한 오 브제들은 어떻게 배열되고 구성되며 건축가인 그의 오브제의 타입을 이해하기 위 해 그의 주택 실내디자인사례들을 정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그가 회화이론에서 정립한 오브제 타입의 건축적 해석을 짚어보고 실내디자인에 놓인 오브제의 표현 특성을 밝혀 본다.1925년 ‘오늘날의 장식예술’에서 그가 관심을 가진 것은 세상 속에 던져진 인위적인 생산품의 의미가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으 로 그는 무의미한 장식을 비판하고,인간의 치수(scale),기능(Function)을 인간의 기능요소(human-needs)들로 규정하였다. 장식을 제거한다는 것은 의자와 장 (cabinet),조명 등과 같은 일상용품과 가구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건축영역에도 적용한 확장된 오브제(human-limbobject)를 말한다.그에 있어 오브제 논의는 근 대성과 함께 새로운 형태이기 이전에 새로운 관조방법인 것이며,근대적 시스템이 통합되는 개념으로서 ‘오브제 타입’을 주창한 것이다.그의 은 오브제의 개념은 건축의 조형요소들이 관찰자에게 주는 정서적 반응,즉,감동 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그 감동을 일으키는 감각에 형태와 색채를 개입하는 개 인적인 것이다.르 꼬르비제의 관심은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그는 감각작용을 일으키는 형태와 색채를 가구에도 적용하고,건축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가구를 신체의 기관으로 연장된 오브제(human-limbobject)로 이해하 는 동시에 건축에 포함되는 장비로서 장식예술과 건축 사이에 괴리를 보안하는 오브제로 해석하고 적용시켰다.그는 실제로 이것을 가구라 부르지 않고 ‘집의 시 설’이라고 불렀다.37)

 

케네스 프램튼(Kenneth Frampton)은 르 꼬르비제의 시각적 특성에 대하여 레 디-메이드(ready-made)에서 일어나는 의식적 충격처럼,오브제 타입도 미학적 암 시를 한다고 했다.프램튼은 르 꼬르비제가 실내의 구성요소인 ‘오브제 타입’에 대 해 건축물에 포함되는 부차적인 물품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가구(equipment)의 개 념으로 이해하였다.가구(equipment)를 신체의 기관으로 연장된 오브제로 그리고 건축에 포함되는 장비로서 장식예술과 건축 사이를 보안하는 오브제로 해석 하였 다. 르 꼬르비제의 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해체하여 배치가 자유스럽지 않다.이 모두는 오브제의 적용으로 외․내부에서 시각적으로 조형성이 강조되고 개념적으로도 구조에 얽매이지 않았다.콜린 로우(Colin Rowe)와 찰스 젱크스 (CharlesJencks)는38)의 비평에서 사보아 주택의 실내 구성요소들 은 공간에서 중첩되기 보다는 오히려 오브제들이 배경과 대상을 분리시키고 동시 에 공간의 밀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그의 오브제는 공간과 오브제 사이에서 운동을 일으키는 상징을 갖는 것이다.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 타입은 배경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눈에 파악 되는 기능적 볼륨으로,예를 들어 계단을 비롯한 건축적 오브제들은 의도적으로 공간 한 가운데 배치한다.공간 한 가운데 처럼 삽입된 오브제는 스크린 과 같은 배경을 지니는 효과를 갖는데 배경을 갖게 됨에 따라 오브제가 시각적으 로 더욱 도드라지게 되는 것이다.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는 일차적으로 물질적인 색채와 형태를 개념화 하지만, 이차적으로 오브제의 개념과 대상 확장에 영향을 받아 물질적,비물질적인 것,비 가시적인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인간 공간 인지에 영향을 주는 확장된 경향을 보였다.르 꼬르비제 오브제 개념은 관찰자에게 시각적 전달방식으로서 색과 형태 를 가지며,건축적 구조에 얽매이지 않는 배치와 배열,구성과 연출로 장식예술과 건축 사이의 괴리를 보안한 개념이다.그는 오브제를 해석하고 공간에 적용시켜 공간이 배경이 되어 한 눈에 파악되는 변인이 오브제인 것이다. 2.르 꼬르비제의 오브제 소결 초기 미술에서 표현되었던 오브제 타입은 말 그대로 물리적 형태의 오브제를 뜻하는데,실내에 응용된 오브제의 형태는 감성적 형태와 기능을 결합한 형태로 계단실은 요소화 되고 형태화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두 개념의 구조도는 개체로서 형태와 전체로서의 형태에 적용되는 구조도로 물리적인 오브제를 탈피하여 개념적인 오브제로 정의 하면서 표현특성은 일상적 인 공간 속에서 오브제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중요한 근거를 의미한다.

 

전술한 이론들을 통해 ,의 기본구조 위에 다음과 같이 규정 할 수 있다.과 같이 구조화가 가능하다.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 타입과 미술에서의 오브제 정의를 대입함으로서 실내디 자인에서의 오브제 논의의 추출이 가능하다. 첫째,조형표현은 공간 속에서 관찰자는 환경을 감지한 후에 이를 해석·평가하 는 과정인 환경 인지과정(色·形)과 관찰자의 심리적인 개인경험을 표출해 낼 수 있는 표현방식인 오브제가 조형표현이다. 둘째,물성표현은 생리적 자극을 통하여 자신의 경험과 사상 등으로 환경을 이 해하고(관찰자의 참여의 중요성),정보나 사물(오브제)을 받아들이는 정서적 과정 이 물성표현이다.대상의 본질과 대상에 대한 체험을 말한다. 셋째,사람들은 공간 속에 모든 요소들을 통합하여 한 단위 시스템으로서의 공 간을 지각하는 공간표현이다.대상의 본질,공간의 본질로 지역과 배경을 넘나들 며 경계를 시각적으로 분리하는 표현방식이다. 이상의 세 가지는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 논의를 위한 조건이 되었다. 가.조형표현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공간 속에 관찰자에게 시각적 전달방식이며 장 비로서 공간이 곧 배경이 되어 오브제의 현실적인 모습에서 개인의 심리적인 경 험을 표출해 냄으로서 인간과의 상호관계에 의해 형성되며 모든 조형의 요소가 형성되는 장소인 동시에 공간 그 자체로도 깊고 영원한 시간성을 나타내고 있다. 공간은 조형의 형성과 정신이 일체되는 장소이며,공간의 본질은 그것을 규정짓는 모든 요소의 상호작용이다. 공간에 설치요소를 삽입하는 것은 우리를 둘러쌓고 있는 공간에 여러 가지 특 성의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서 새로운 성격의 독창적인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다. 즉,오브제의 공간 내의 설치는 1차적 표현매체가 공간이며 재료나,기법,형식 등 은 2차적인 요소이다.오브제를 놓여지는 공간과의 관계가 중요하며,실내디자인 에 있어서 공간의 텍스트적 요소로서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 시각적 포인트를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디자이너는 전통적인 개념을 변화 시켜 형태,재료,색채,기법의 상호관계가 공간성의 변화와 깊은 관련을 맺는 조형표현과 특성을 이용해 오브제와 오브제간 의 관계의 조형을 통해 형성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접근,오브제의 객체특성을 중 심으로 한 조형표현으로 오브제 자체의 형(形),색(色),재질 등을 중심으로 이용하 고 오브제 자체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중심으로 오브제간 관계의 조형표현 집(潗), 산(散),합(合),사이(間),방향(方)등을 중심으로 공간을 형성한다. 미술에서의 오브제 이론은 오브제를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방식과 직접적인 행위를 표현매체로 삼아 물리적인 실체로 존재하는 오브제를 관람자의 체험,즉,시각,청각,촉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대상으로서 여러 조각의 부분충돌인 파편적인 부분들일 뿐 서로 통합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 루는 것이 없다.

 

객관적이고 물체자체로서의 한 대상은 개인 적인지와 인식과정에서 전혀 다른 모습으로 개별적으로 각인되고,심리적으로 내 면속의 감정을 가지고 자리 잡게 된다.이런 배경은 프로이드의 무의식에 대한 이 론적 근저가 된다.달리의는 시계의 재료가 전환된 것과 같이 물성의 전환으로 비물성화 되고 이는 왜곡된 형태를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게 되어 오브제의 사실적인 시각적 표현을 형태의 변형과 왜곡이라는 방 법으로 무공간적인 표현(색다른 화면)으로 보여 지는 작품이다.이와 같은 기법은 오브제라는 대상을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는 기법이다.

 

나.재현된 오브제 감정적인 원인에서 비롯된 오브제이다.달리는 정신의 유희를 그가 지향하는 표현수단에 이룰 수 있는 적절한 방법으로 생각하였다.또한,그는 무의식으로부 터 발생하는 비논리적 이미지가 분석이나 지적의식에 의한 표현묘사보다 우세하 다고 생각했다.경직된 이성이나 사회제도에 억압되어진 관념 등의 표현을 구체화 하였다.브르통은 ‘오브제 가능성에 대한 소통’이라는 작품을 통해 오브제의 조합 된 형태 이외에 시적선언문을 실어 오브제와의 동질성을 시도하기도 했다.방법으 로는 오브제의 장소이동이나 시간적 병치와 시간적인 내용의 변형과 같은 생소하 게 만들기 등의 기법들이 있다.

 

다.투사된 오브제 꿈에 관한 것에서 연류 된 오브제이다.모든 사물들은 원래 위치로부터 격리되 는 시퀀스의 변형은 사실과 상상,미래와 과거,내면과 외면,심연과 외층 등의 모 순으로부터 절대적 현실로 전이되어지는 또 다른 오브제를 구성하는 것이다.구성 된 오브제는 미적 감수성의 대상도 아니며 지적 논리의 분석대상도 아닌,잠재된 인간의 무의식 세계를 열 수 있는 심리에 근거한다.무계획,무원칙적인 우연적 형상들로 구성된다.

 

라.감추어진 오브제 백일몽의 하나로 의식이 체계화되기 전 표현되어지는 무의식적 행위로 어떤 계획된 의도도 없으며 목표도 없고,오직 내적 직관력에 의지하는 추상표현이다. 감추어진 오브제는 물질성을 배제한 체 작가의 표현수단을 의지해 이후 과정미술 (ProcessArt)로 발전 연관되어져 행위예술,개념예술,환경예술 등과 함께 예술의 비물질화 경향으로 관계와 관계의 변형으로 발전 하였다.방법은 어떤 자연의 현 실적인 형상의 묘사도 아니고 무언가를 암시하는 상징적 의미도 배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마.기계 오브제 실험적인 환상의 오브제이다.작가들은 실험적인 재료 사용에 대담성을 보였 다.오브제의 변형과 축적 그리고 압축 형태로 새롭게 형식을 무시한 실험을 시도 하였다.예를 들어 라우센버그(RobertRauschengerg)의 산업 공업 폐기물의 집합 을 이룬 컴바인 페인팅(CombinePainting)은 오브제의 집합체가 쌓여질수록 각 단 위의 오브제는 무의미해지며 새로운 역학 구성적 공간을 형성하였다.

 

바.본 뜬 오브제 최면술에서 연유된 오브제이다.일상의 경계에 걸쳐있는 삼차원 공간 구성을 통한 상황체험으로 반 전통과 반 형식을 추구,시간 본성에 대한 탐구의식을 드러 내어 행위 주관자인 작가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으로 전개 하였다.작가는 작품의 소유나 온전한 창조자로 남는 것이 아니라 연출하는 역할과 같은 위치에 서 이질적인 주변 조건과 환경,시간이 관객과 함께 작품에 병치되도록 한다. 3.종합논의 1935년 런던과 뉴욕 전시회에서 밝힌 오브제의 정의는 어떠한 공간에 특징적 인 성격을 부여하여 그 장소에 있어서 공간구성을 형성해주는 요소라고 할 수 있 으며,그 공간을 특별하게 해주는 요소는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될 수 있 다.또한,달리의 오브제의 정의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의 이론적 근저로 이성과 감성의 상태인 시간적 구성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 절의 소결은 예술의 다양한 이념들의 개념과 규정과 같은 의의를 가지기 보다는 본 논문에서는 실내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의미가 있다.

 

①위치 변경 낮선 장소에 배치시켜 상징적으로 표현,주변 환경과는 무관한 자연을 의미하 는 이질적요소의 도입으로 공간적 형상화를 깨고 가시적 감각과는 다른 공간 을 표현한다. ②의식행사 원시종교사상을 이미지 연상을 통하여 표현한다. ③대상의 새로운 조합이나 과장 일상의 오브제를 실내에 사용하지만 고유의 개념적인 존재를 작가의 독창적 인 아이디어와 중첩하여 사용한다. ④놓여진 공간 장소의 특수성을 강조하기 위해 놓인 장소에서 오브제는 표현적 특성이 된 다.오브제는 기존의 건축과 실내공간을 매체와 재료를 삼아서 파괴,절단, 절개함으로서 기존의 오브제를 해체한다.건물과 실내공간인 벽,창문,문, 계단 같은 개념을 재정의하는 것이다. ⑤연극적 구성과 표현 기존의 고정된 해석을 버리고 작가의 극본에 따라 짜여진 구성에 대한 표현 으로 의미가 담긴 퍼포먼스와 공간이 연결될 때 상호작용하는 오브제의 표 현이 된다. ⑥제작과정 중시 공간이 전개되는 행위에 따라 정신적이 의미를 부여 받게 되는 표현이다. ⑦현실적인 대상의 변경 일상적인 모습이나 소재적,대상적 차원을 떠나,일상적인 재료를 채택해서 이미지전달을 위한 시각적인 표현이다. ⑧행위예술,대지예술 작품의 공간적 확장이라는 명목아래 오브제를 실내 및 외부공간으로 확장시 도 한 표현이다. ⑨공간 속에 담길 내용의 변화 문화,이슈 등을 공간에 전달방식으로 침해하거나 파괴해 기념비적인 환경과 의미적인 공간으로 표현한다.텍스트나,이미지,기록사진 등은 그것이 발산하 는 에너지가 주위를 활성화 시키고,사진은 물리적 실체인 듯 착각을 일으키 게 되어 공간의 지각문제를 다룬다. ⑩무공간적인 표현 인간에게 있는 본성과 사물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오브제를 비 현실적인 배치,재질의 전환을 사용하여 보편적인 세계를 새롭게 구성 관찰자 에게 새로운 세계를 상상 하도록 하는 표현이다. ⑪시간적인 내용물의 변형 관계없는 오브제를 하나의 공간에 나란히 병치시킴으로서 오브제의 본래의 성질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법으로 장소이동이나 시간적인 병치로 표현한다. ⑫시퀀스의 변형 무원칙,우연적인 형상으로 구성 표현한다. ⑬관계의 변형 현실적인 오브제의 묘사도 아니고,무엇인가를 암시하는 상징적 의미도 배제 하는 표현이다. ⑭형식의 무시 형식을 무시한 실험적인 표현이다. ⑮이질적인 시간의 병치 반 전통,반 형식의 추구로 이질적인 양식의 대비와 반복 등의 표현이다.

 

2.2.시대별로 본 미술에서의 오브제의 특성 2.2.1.1960년 이전의 오브제 미술의 역사에서 오브제는 미술의 탄생부터 함께 해왔다.미술을 포함한 예술 은 그리는 주체(미술가)와 대상(오브제)의 상호관계와 상호투쟁에서 이루어졌으며, 어떤 식으로든 예술에서는 주체와 함께 오브제는 항상 동시에 존재함으로서,결국 예술은 ‘예술가’,‘오브제’라는 상호 의존적 구도를 유지해 왔다.특히 현대미술사 는 오브제의 변천사라고 할 만큼 미술의 오브제가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그 개념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20세기 접어들면서,현대 미술은 오브 제가 상징적,신화적 내용으로부터 해방됨에 따라서 오브제가 사물 그 자체로 등 장하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다.본 절에서는 시간대별로 오브제의 특성을 정리 하였다. 1.입체파의 오브제 아인슈타인(AlbertEinstein)은 유명한 특수상대성 이론을 통해 새로운 공간을 설정하는데,기구의 실제 길이라든가 기구가 정하고 있는 공간의 관념은 절대적인 의미를 부여받을 수 없다고 했다.길이는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으며 길이는 다 만 측정행위의 결과일 뿐이다.따라서 절대공간은 전혀 의미가 없게 되어 버렸다. 1961년에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설명하였다. “이제 우리는 ‘공간’이라는 말은 ‘구체적인 강체(剛體)와 상관적 운동이라는 말 로 대체되어야 한다.”19) 이러한 공간관은 현대미술의 주요 사조인 입체파에 중요개념으로 작용하게 된 다.1912년에 글레즈와 메칭거의 논문에 서 원근법의 소실점기법은 시각공간만 기록하는데 회화공간을 확립하려면 화가는 마치 관객이 모든 능력을 총동원하여 세계에 반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20)

 

“수축시키든 팽창시키든 회화평면을 변형시키는 것은 다름이 아닌 우리의 전 인격(personality)이다.그러한 반응이 일어나면 평면은 그 인격성을 관람자의 지위 에 다시 비춰주는데,바로 이때 회화공간이 설정 된다.감성이 두 가지 주체적 공 간 사이를 넘나들 수 있는 통로로서의 회화공간이 설정된 것이다.” 이러한 상대적인 공간개념은 영화에서 보여 지는 것처럼 이동하는 시점을 더 하게 된다.건축분야도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받아 건축 형태의 근원으로서 르 꼬 르비제의 공간관은 입체파와 미래주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물에 일반적 관심 을 입체파들과 그는 건축적으로 형상화 하였다. 즉물적 오브제의 등장은 실제 사물을 화면에 부착시켜 손으로 그리지 않고 주 의의 사물은 임으로 선택 한 빠삐에 꼴레(PapierColle)의 작품이 최초의 오브제 이다.그 뒤에 미래주의,다다이즘은 전통의 가치,이성의 우위,예술의 형식을 부 인하는 일종의 파괴적 허무주의의 성격을 띠고 예술의 종래의 개념을 부정함으로 서 조형적인 면에서 오브제의 발견과 전개라는 놀라운 성과를 이루어,이후의 모 든 전위적 예술 사상 속에 깊이 침투되어 20세기 미술 전반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피카소,현실세계의 파편을 정물화에 붙임으로서 작품의 물질성을 추구함으로서 콜라주 기법을 이젤 회화에 도입함으로서 매우 독창적 작가가 되었다. 주위의 사물(object)들을 그대로 선택하여 화면에 붙여 작품을 만든다는 발상은 손으로 그리지 않고 미술작품이 된다는 사례를 보여주었다.새로운 조형적인 수단 인 콜라주는 회화의 공간,색채,선적인 움직임과 질감을 더욱 풍부하게 하였다. 구도의 단순화,큰 면의 도입,부분적이지만 전체를 암시하는 기호적 표현,현실 감,시점의 다양화,공간의 연속성을 회복시켜 회화의 새로운 장을 연 것이다. 2.하이데거(MartinHeideger)21)의 오브제 하이데거는 사물(object)과 예술품을 구별하면서,순수사물은 자신을 나타내기 를 거부하는데 이는 사물이 자신의 사물적 성격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작가는 사 물에게 열려진 공간을 제공하고 그것이 하나의 사물이라는 것을 일반적으로 사람 들이 잊어버릴 정도가 된다면 예술품이라는 것이다.즉,공간의 다중적 의미와 복 합성에 대한 것이다. 3.다다이즘(Dadaism)의 오브제 이젤 위에서 하는 미술에 종지부를 찍고,재료가 갖는 무한성,즉,폐품 기계, 영화,조명,관객 등을 매개로 삼았을 뿐 아니라,작가의 직접적인 행위를 표현매 체로 삼았다.이때 등장한 기성품(ready-made)22)의 의미는 일상적인 환경과 장소 에서 떨어져 본래의 목적성과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단순히 사물 그 자체의 무의 미함만이 남게 되는데 이때 사물이 놓여진 위치와 그 자체가 갖고 있는 의미가 동시에 인간내부에 강렬한 이미지를 주면서 일상용품이 지니는 새로운 조형성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레드 메이드의 창시자 뒤샹의은 공업제품인 변기 에 제조회사 이름을 서명하고 전시하여 우연에 의한 새로운 예술을 권장하고 전 통미학을 거부하는 개념미술의 길을 열었다.뒤샹의 은 처음부터 사물의 재구 성을 거부하기 위한 원소이거나 전적으로 ’보아왔던 것’이미지에서 해방되고 동 시에 일상적인 것에 벗어난다.23)다다이스트들은 자신이 품고 있는 감정을 전달하 는 수법으로 평면예술에서 탈영역화 하여,재기발랄한 표현으로 모든 규칙에서 해 방된 오브제로 자유를 추구 하였다. 4.마이클 프리드(MichaelFried)24)의 오브제 형태를 지닌 모든 것을 사물로 설정함으로서 사물성 자체를 발견하고 제시하 고자,회화나 조각에 대해 그 물체적 존재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물체(object) 는 아니라고 하였다.예를 들어 저드와 같이 예술의 순수성을 추구한 끝에 드러난 사물의 문제 이후,순수성의 성격이 순수하다는 사실만 남긴 채 예술에서 사물로 전의되었다.저드는 회화의 기본 틀 즉,회화자체가 아닌 하나의 대상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저드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1965년 뉴욕전시 서문에서 언급한 특수한 오브제(unified form)로서 전통적인 예술과는 다른 것으로 설명했다.이에 반해 프리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술은 물리적인 실체로 존재하는 대상을 관찰자가 작품을 대하는 실제의 상 황 내에서 대상에 대한 체험이다.” 곧 오브제가 시각,청각,촉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물건,물 체라는 뜻과 인식주체의 인식대상으로서의 정신적인 것을 포함한 대상,객체라는 뜻을 품고 있는 것이다. 5.젬퍼(GottfriedSemper)의 오브제 젬퍼는 건물의 상징적인 표현이 외관을 구성하는 재료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본 것으로 젬퍼는 피복을 통해 물질을 예술적으로 승화 시킬 수 있고,정신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고 보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건축형태에 관하여 고대이든 근대이든 건축형태는 물질에서 나왔고,그것에 의해 조건 지워졌다.그리고 그 형태는 건설을 건축의 본지로 간주하면서 태어났 다.위대한 스승인 자연처럼 건축도 자연의 법칙에 따라 그 재료를 선택하고 응용 하였다.만일 가장 적절한 재료가 어떤 생각을 구체화하기 위해 선택되었다면 건 물의 이상적인 표현은 재료의 외관을 통해 미와 의미를 획득한다.” 젬퍼는 예술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예술이외의 사회적 요건들에 대한 중요 성을 인식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스타일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 인으로 재료와 목적 그리고 기술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그 중 가장 결정적인 것 으로 재료를 봄으로서 재료에 의한 표현 가치를 중요시 하고 있다.또한 젬퍼는 건축의 임무가 일상의 현실,즉 덧없고 불안정한 현실을 예술의 영역으로 전환시 키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예술적인 요소는 장식 안에서 표현되어지는 근원적인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젬퍼는 재료와 기술 그리고 장식이 하나의 모습으로 읽혀 져야 함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재료와 기술의 발달은 건축공간의 물리적 가능성은 확장해 주었고 새로운 건 축의 방법적 틀을 제공 하였다.그 결과 건축공간은 구조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 게 되었고 젬퍼의 “피복론”에서와 같이 공간은 표현적인 욕구를 추구하게 되었다. 동시적으로 공간을 인식하는 관점 또는 상대적인 공간 관으로 변화하면서 공간은 그 자체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대상으로서의 공간을 설정하고 인간의 의식을 통 해 얻어지는 공간에 이미지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6.르 꼬르비제(LeCorbusier)의 오브제 타입 르 꼬르비제는 1925년 ‘오늘날의 장식예술’에서 그가 관심을 가진 것은 세상 속에 던져진 인위적인 생산품의 의미가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방식 이 었다.그는 무의미한 장식을 비난하고,인간의 치수(scale),기능(function)을 인간의 기능요소(human-need)들로 규정했다.장식을 제거한다는 것은 의자와 장(cabinet), 조명 등과 같은 일상 용품과 가구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건축영역에서도 적용 된 확장된 오브제(human-limbobject)를 말한다.이는 실내 공간에서 특정한 기능 을 수행하는 필수적 유형(type-needs)인 오브제 타입(type-object)을 말한다.그에 게 있어 오브제 논의는 근대성과 함께 새로운 형태이기 이전에 새로운 관조 방법 인 것이며,근대 시스템이 통합되는 개념으로서 ‘오브제 타입’을 주장한 것이다. 7.그린버그(ClementGreenberg)의 오브제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미술이론은 “예술”이 예술이 아닌 “사물”의 속성을 지닌 것은,이미 다양한 자기표현(주관적,이성적,객관적)으로 흐르게 되면서 예술이 점 차 사물화 되어가는 것을 말한다.25)이러한 사실을 통해 예술이 “대상”으로 시선 을 옮긴 것은 사실이지만,노골적으로 ‘대상’에 집착하며 방향전환에 영향을 주었 다.그 것은 바로 순수예술은 곧 사물이라는 등식을 성립 시켰다.26)사물로 중심 이 이동한 결과 3차원 원근법 파괴가 진행 되었다.그린버그가 제시한 것은 평평 한 표면,캔버스 형태,물감의 속성이었다.

 

8.초현실주의의 오브제 초현실주의 작가에게 오브제는 미술작품 속에서 독특하게 사용 되었다.인간이 가진 일반적,현실적인 의식 아래에 있는 잠재의식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서 작 품 속의 오브제는 다른 현실의 의식이 실체를 넘어 잠재되어 있는 인간 내면의 환영까지 추적해 냄으로서 또 다른 측면에서 오브제의 의미를 새롭게 하였다.마 그리트의 에서 관람자는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그럴 듯 하게 묘사된 파이프와 대면하게 된다.동시에 그림에 적혀 있는 설명은 이것은 파이프 가 아니라고 부인 한다.정상적인 인지(認知)를 의심하고 교란하기 위해 실제와 상 상의 경계를 희미하게 함으로서 위계와 경계를 해체하는 표현이다.오펜하임는 시간에 기초하여 이야기를 관람자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에 이 야기를 함축하고 있다.오펜하임의 오브제는 재료의 혼성을 사용해 객관적(찻잔)인 것과 주관적(남자의 체모)인 것 사이에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외부세계의 어떤 것이 개인의 감수성에 의해 의미를 부여 받고,주관성은 객 관성인 현실성에 혼합된다.대표적인 작가 달리에서는 의미의 다 중성을 표현하기 위해 정확한 사실주의 양식으로 기이하고 기묘한 꿈의 세계를 그림으로 나타내 환상을 실제화 시켰다.그는 이질적인 오브제를 조합함으로서 오 는 새로운 충격으로 오브제를 본래의 자리가 아닌 현상세계의 사이의 경계가 소 멸되는 통합의 세계로 표출되기를 기대했던 것이다.초현실주의는 미술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개인과 공공 간,미술가와 관람자간의 구분을 파기하였을 뿐 아니라 국제적인 영향으로 패션과 광고계 도용이 되곤 하였다.마그리트의 는 비처럼 쏟아져 내리는 중절모 쓴 남자처럼 현대도시가 제공하는 유 희성,소통의 가능성과 초현실주의적 현장과 사물을 제시하고 있다. 9.키네틱 아트와 모빌 아트의 오브제 무중력을 특성으로 하는 개념이 디자인 영역에서도 수용되어졌는데 디자인과 현대미술에 과학적 기술력이 적용되어질 수 있었던 양식은 1930년 알렉산더 칼더 (AlexanderCarder)에 의하여 전시 되었던 모빌은 무중력의 역학에 의한 섬세하고 재미있는 오브제였다.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멈추어 있을 때의 오브제 외형은 전 혀 새로운 매력을 보이지 않지만 무중력,동력 자석의 힘을 적용시킨 오브제에서 물질형태로서의 오브제가 아니라 거의 비물질적 에너지로 존재하는 눈에 보이는 움직임의 기능은 그 자체의 흥미를 집중시키고자 목적이 아닌 문학적 은유의 오 브제는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상징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문학적 은유 의 오브제는 작가의 심리적 성향으로부터 기이한 상징적 표현력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디자인에 있어서 문학적 은유 오브제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재료를 다루는 기법의 다양성,역사적인 사건의 사물에 대한 패러디(parody),복잡함,단 순함,애매함 등의 상호 모순적 성격,환상이나 상상에 의해 왜곡되거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디자인에 있어서 은유는 개인적 삶의 이력에 연관된 기억, 환상,그리고 과거를 넘나드는 시공간의 초월성과 같은 오브제 양식을 빌어 입체 적 조형으로 재생되어 상호적 기호로서 시각적인 독립체로 나타냈다.

 

2.2.2.1960년 이후의 오브제 1960년대 미술은 곧 오브제라는 등식이 성립될 정도로 1960년대 전후 미술영 역에서는 사소하고 단순한 일상용품들의 크기,재료,성질 및 색채를 분석하고 적 용한 작품들이 활발하게 등장하기 시작하였고,이러한 경향들은 건축과 디자인 분 야에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1960년대 이후 즉물적 오브제 변용 경향을 나타 낼 수 있는 핵심적 조형언어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현실적 오브제의 존재는 실 제로 관객의 개인적인 체험에서 유발되는 심리적 기억 현상,본능을 자극하는 개 방된 사고의 영역을 허용하며,이것이 조형적 확대를 유발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1970년대에는 과학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선망으로 기계와 물리적 현상 등을 예술작품에 적용시키고자 오브제 개념의 확대와 예술의 탈장르화 현상은 과학기 술,문화적 은유,풍자,이중부호,아이러니,유희성 등 구별 없이 끌어들여 건축, 회화,조각,디자인,공예 등의 경계를 무너뜨리고,또한 과학과 예술,대중과 매체 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 탈이념적,탈장르화가 이어졌다.따라서 현대디자인은 산업사회를 상징하는 즉물적 오브제의 미학적 개념을 확대 수용함으로서 직관적 이고 감성위주의 제작 태도를 가진 디자이너와 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물질 표현을 교류시키며 제품,광고 등도 하나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가능 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영역의 확장을 이루었다. 1960년대를 전후로 하여 1970년대,1980년대까지 계속 확산되었던 오브제 양식 은 현대디자인의 전반적인 흐름이 기능,실용,정형화된 아름다움에 더 이상 관심 을 기울이지 않고 심층적인 인간내면의식에 더욱 집중하기 시작했다.작가들은 기 술적인 노력과 함께 오브제는 곧 아이디어이며 지적인식의 대상이라는 성숙된 탐 색결과를 가지게 되었다.1980년대 유럽에서 보여 진 양립된 기능과 조형성의 오 브제는 알레시(Alessi),놀(Knoll),폴트로노바(Poltrnova)사들이 제작한 탈장르화 된 오브제 제품들의 판매 및 제작시도는 디자인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제품제작경 향은 구상적 조형방식을 취함으로서 역사적 고급예술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대중 에게 접근하였다.1980년대를 전후하여 현대예술과 문화영역이 확산되었고,각 예 술장르와의 경계를 개방하여 자유롭게 서로의 영역과 상호교류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 졌다. 1.팝아트의 오브제 일상적인 것을 무심하게 드러내거나 페인팅함으 로서 예술에 상업성을 가미한다.팝아트의 오브제는 작품들에서 두 가지 특징이 있는데,복수성과 유일 성이다.팝아트는 본질적으로 이 두 가지 특성을 항 상 결합하고자 한다.해밀턴의 냉소적인 위트는 소비주의에 대한 현실에 대한 과장 을 반영하고 일시적이고,순간적이고,대중적이며, 싸구려이고,대량생산된 것 등은 사물(object)이 아니 라 정지된 사건으로 관람자에게 순간적으로 전달하 고자 과장을 하고 있다. 팝아트는 대중에게 직접 파고들었고 미술품 수집 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짐 다인은 실제 오브제와 그려진 평 면을 조합 시킨 작품으로 질감의 확장성을 표현했 다.올덴버그는 조각이라기보다는 오브제로 그는 언제나 놀라운 스케일의 변형,재료,질감을 사용 했다.그는 관찰자들이 자신에 의하여 창조된 ‘모방오브제’를 통하여 ‘실제오브제(예를 들어 빨래집게)가진 힘이나 가능성을 인 식하는데 익숙해질 것을 그는 희망하였다.다인과 올덴버그는 정서적인 상황을 연 출하는 것이고,이 카타르시스가 끝나면 그 목적을 이루는 것이다.즉,사람과 사 물을 다루기는 하지만 본질적으로 추상인 동시에 기호(이미지)인 것이다.이러한 무상성을 기꺼이 받아들임으로서 팝아트는 ‘보여지는 것’과의 동일화를 택했다.

 

팝아트에서 오브제의 개념은 ‘말과 사물(오브제)의 관계설정’이라고 표현되며, 복잡한 사고체계에 집중하는 동시에 예술양식과 달리 보이는 대로의 이해를 구하 고 있다.예술의 방향성과 탈장르화 현상을 촉진시켰다.

 

2.미니멀리즘의 오브제 미니멀 아트에서 오브제는 순수예술은 곧 사물(object)이라는 등식을 극한적으 로 성립 시켰다.개인의 감성적인 표현이 극도로 절제되어 엄격히 비개성적인 모 습으로 나타난다.미니멀 작가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사물 그 자체의 문제였다.사물은 내 앞에 직면한 현상으로서 예술이기 이전에 대상(object)자체 의 본질에 대한 것이다. 즉,작품 속에서 오브제의 성격이 아니라 오브제와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이며 오브제 자체의 표현에서 관계로 이동함을 말한다.이는 작품의 물리적 결과 보다 는 사고와 상태의 과정에 중점을 두려는 경향으로,예술이 어떤 사물로서만 드러 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 즉,상황,관념,과정,정보가 작품의 핵심이 된다는 것이 다.이는 공간과 시간으로 오브제 개념의 확장을 이루었다.어느 작품도 액자에 둘리거나 좌대에 놓이지 않으며,이로 인해 그들의 작품은 관객과 공간과 분리되 지 않는다.

 

천정을 높이면 확대 감을 주는 등 공간의 변화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나.물질(가구,형태,스케일 변형) 조형예술에서 오브제의 개념은 미술과 불가분의 관계로 현대미술의 개념적인 확장과 더불어 통합적 예술의 패러다임으로 확대하였으며,이러한 개념이 확대되 어 건축,도시,환경으로 실로 광범위하게 되었다.오브제는 공간에서 그 자체로 지각될 수 없고 오직 형태의 네거티브로만 인식할 수 있다.이는 공간이 실존으로 서 형태의 중요성이 부각된다고 하겠다(권영걸,2001).즉,공간은 오브제와의 관계 속에서 보다 명료히 이해되는 것이다.따라서 오브제란 공간에 대한 개념을 형성 하는 도구 정도로 이해될 수도 있다.하지만 현대의 공간 논의에 있어서 오브제 간의 문제,오브제와 공간과의 관계 그리고 오브제와 인간간의 관계가 곧 공간의 본질이라는 점이 등장하면서 공간의 본질을 형성하는 매체로 중요성이 부각 되었 다.즉,일차적으로 ‘물체’와 ’대상‘은 오브제의 표현과 계획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다.건축가인 르 꼬르비제는 가구를 신체의 기관으로 연장된 오브제로 이해하고 건축 사이에 괴리를 보안하는 건축적 기구개념을 이야기하기도 했다(이상효, 2003).건축적 기구란,건축과 가구의 중간 개념으로 필수적이고 기능적인 요소를 일컫는다.예를 들어 계단,욕실 등등,인간의 신체와 필연적으로 접촉되는 연장된 오브제임을 의미한다(이상효,2003).일반적인 가구의 뜻은 공정적인 공간에 대하 여 움직일 수 있는 도구,방을 장식하는 것으로 가구는 하나의 조형요소이기도 하 다. 그러나 실내디자인에서의 가구는 기능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미적인 요소를 기 능적인 요소 보다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프래드먼(Arnold Friedmann, 1970)은 인간은 가구를 시각적으로 보고 느낄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구는 아주 분명한 반응을 거쳐 감정적,육체적인 쾌감을 느끼게 하기도 하며,제지하게도 한다고 하였다. 다.비물질(빛,그림자,소리)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초기에는 물질적인 형태로 이해되었지만,조형 예술 영역에서의 오브제의 개념과 대상 확장의 영향을 받아 비물질적인 것,비가 시적인 것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인간의 공간인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확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김내리,2004).입체주의에 와서는 실질적 제시로 나타내게 되 면서 사실상 오브제의 개념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입체주의에서는 시간과 공간을 직접적으로 제시 하면서 관람자의 적극적인 역할을 유도하게 되고 더 이상 오브 제 자체의 의미나 표현양식에 오브제의 개념이 한정되지 않고,오브제와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과의 관계로 오브제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오브제의 확장은 대상이 자연,인간,소리,빛 색채 등의 비정형적인 형태로 범위 확대를 하고 있으며,오 브제 자체나 조형적 특성에 오브제 간에 관계로 확대되고 있다.오브제 범위의 확 대는 오브제 대상의 범위를 의미한다. 라.마감재(색채,재료,조명기구) 색채는 시각의 일종으로 물리학적으로 빛이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생기는 주관적인 감각의 세계이다.따라서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작용하는 색채는 투영하 는 거울과도 같다.아른하임(Arnheim,1981)은 인간이 색채에 관해 표상으로 색채 를 인지할 때 광선이 눈을 통해 뇌에 지각하는 과정을 거치는 단계에서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감정적으로 해석하게 한다고 했다.색채는 생활환경과 밀접하게 형성 되는 상징적인 면을 가지고 있으며 형태와 표현성을 가지므로 사물과 사건에 대 한 정체성을 통하여 정보를 얻게 해주기 때문에 의사전달 수단의 오브제가 된다. 공간에서 색채는 공간의 이미지 지각에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며,오히려 감 성적인 감각으로서 공간이미지를 구성하는 지배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재료는 공간에 있어 그 공간의 성격,질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 다.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재료의 문제는 환경,기술의 발달 등과 깊은 관계를 가 지고 있으며 소재개발에 의한 다양한 재료의 개발과 적용으로 새로운 공간 패러 다임 전환기를 맞고 있다.이렇듯 공간 표현에 있어서 재료는 영역이 확대되고 있 으며 특정한 재료를 사용한 공간들이 나타나고 있다.재료는 본래의 특성을 탈피 함에 따라 실내디자인에서 재료가 구조재와 미감재로 구분되었던 통념은 무의미 하게 되었다.특정재료를 통한 실내디자인 표현은 상업공간의 실내디자인에서 추 구하고자하는 개념을 표현할 수 있다. 현대는 미술의 영역과 디자인이 화합되면서 기존의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박신 자,1999).공간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물체와 그것을 지각하는 인간의 상호관계에 의해 형성되며 모든 조형의 요소가 형성되는 장소인 동시에 공간 그 자체로도 깊 고 영원한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다.따라서 공간은 조형의 형성과 정신이 일치되 는 장소이며,공간의 본질은 그 것을 규정짓는 모든 요소의 상호작용에 있다.실 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공간 안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 하며 공간을 창출 한다.

 

1.4.연구방법의 개요 오브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오브제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온 사례들 을 정리하여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의 일반적인 의미와 역할을 고찰해야한 다.실내디자인은 때로는 공간의 구속성이 강조되기도 하고 때로는 의장적 요소가 강조되기도 하며 발전되어왔다.의장적 요소가 강조되었던 장식주의시대의 공간에 서의 오브제는 일반적으로 조각상이나 벽화 등과 같은 공예중심의 예술로 표현되 어왔던 반면 일반적인 구조가 강조되었던 모더니즘시대의 실내디자인의 특성은 개별성 보다는 전체성이 강조되는 디자인 특성으로 실내디자인의 구성요소들은 그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건축양식에 종속되어있는 경향을 보여 왔다.따라서 이 시대의 오브제는 대부분 장식적인 소품의 역할정도로 미약하게 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모더니즘 이후에는 개별성의 강조로 보다 적극적으로 실내디자인 요소의 오브제화는 가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이에 디자인 양식에 따른 실 내디자인에서 오브제적 특성을 각각 미술에서의 오브제,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 의 분류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오브제에 대한 이론 고찰을 통해 미술에서 오브제 표현특성을 분류 하고 이를 다시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분류함으로서 오브제 에 대한 체계적인 틀을 제시하는 사례분석연구로 이에 따라 얻어진 분석을 토대 로 국내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감성요소,재료와 가공기법으로 논리이기 보다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공 간 안에서 형태를 유발하는 설치물로서 공간을 분할하고 장소 등을 알리며,사람 들이 잘 아는 사물을 공간 안에서 재현하여 상징성과 시각적 독립체로서 존재하 며 오브제는 영역확대의 수단과 방법으로 사용된다고 하였다. 미술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도출된 분석기준 틀에 의거하 여 사례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1935년 런던전시회와 뉴욕전시회 그리고 살바도르 달리의 오브제의 정의를 기준으로 문헌 고찰을 하였다. 2.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시지각 원리에 입각한 오브제의 정의와 표현방법을 1935년 런던전시회와 뉴욕전시회 그리고 살바도르 달리의 오브제의 정의를 기준으로 문헌 고찰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3.시대별로 본 대표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오브제표현특성을 고찰하여 정리하 여 분류하였다. 4.미술 디자인 사에 따른 오브제 특성을 고찰하여 작가와 작품의 상관관계를 정리하여 분류하였다.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도출된 분석기준 틀에 의 거하여 사례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5.건축가이자 입체파 화가였던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의 정의를 기준으로 문헌 고찰을 하였다. 6.실내디자인에 나타난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의 정의와 표현방법을 기준으로 문헌 고찰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7.시대별로 본 대표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을 고찰하여 정리하 여 분류하였다.

 

8.실내디자인 사에 따른 오브제 특성을 고찰하여 작가와 작품의 상관관계를 정리하여 분류하였다.

 

1,2,3,4는 미술 분야 전문가들이 말하고 있는 오브제의 표현특성이며,문헌고찰 을 통해 얻은 독창적인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나타내는 분류이다.또한,5,6,7,8도 같은 방법으로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뒷받침해주기 위한 요소들의 세부항목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오브제 표현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오브제의 표현특성이 하나로 단 정하기 보다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판단되어지며,오브제의 표현특성을 하나 로 규정하기 보다는 상호보안적인 양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어지며,제4장에서 는 실내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연구의 진행과정을 요약하면 다음 과 같고,보다 구체적 인 연구 방법은 연구 방법에 제시해 놓았다.

 

1.5.연구범위 및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며 그에 따른 한계점을 밝힌다. 첫째,본 연구의 조사대상 자료의 시간적 범위를 최근 10년간 월간 인테리어디 자인에 게재된 작가의 인터뷰와 작품을 기준으로 사례작품 선정을 제한하였다.이 러한 시간적 범위에 따른 제한은 연구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내용이 최근 시대적 인 변화와 사회적,문화적 환경이 급격히 변화됨으로 인해 실내디자인에 대한 관 심이 고조되고,실내디자인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요구도가 증가되고 있어 특 정연도 간의 오브제 표현특성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함이다.또한 실내 디자인이란 시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디자인분야로서 연구의 결과물이 활용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근의 경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전문매체의 한계는 실내공간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기사에 실린 특정 부분의 이미지 사진을 참조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본 연구는 사례분석의 근거 의 타당성을 위해 전문매체에 실린 기사의 내용과 작가의 디자인의도가 명확히 표현되어있는 작품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패널들이 질문하는 내용에 대한 답변 및 작가와의 인터뷰 내용 참조)조사대상 자료 수집도 1996년1월부터 2006년12월 까지 하여 91개를 수집하였다. 둘째,연구에 사용된 조사대상 자료의 선정은 실내디자인 관련 잡지 중 일반 잡지나 여성잡지,주부잡지 등을 제외한 실내디자이너를 위한 전문잡지로 제한하 였다.전문지의 선정은 객관적인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중점적으로 이루어 졌다.

 

셋째,선정된 실내디자인 전문지에서 수집된 작품의 사진은 자의적인 해석 없 이도 전문매체의 작품 기사는 작가의 취향과 선호를 가감 없이 표현하고 있으며, 공간유형의 특성과 기능 등의 외래변인에 종속되지 않는 점으로 인해 동일공간유 형의 범위 내에서 선택이 용이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1.6.용어 정의 1.오브제 모든 시각예술은 흔히 구조(structure)와 장식(ornament)또는 구성과 의장이라 는 두 요소로 구별된다.9)우리를 둘러쌓고 있는 물리적 구축 공간 또한 예외는 아 닌데 건축과 공간의 속성을 모두 공유하고 있는 실내디자인은 때로는 의장적 요 소가 강조되기도 하며,의장적 요소가 강조되었던 장식주의 시대의 공간에서의 오 브제는 일반적인 조각상과 벽화 등과 같은 공예중심의 예술로 표현되어왔던 반면 구조가 강조되어왔던 모더니즘시대의 실내디자인의 특성은 개별성보다는 전체성 이 강조되는 디자인 특성으로 실내디자인의 구성요소들은 건축양식에 종속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이 시대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대부분 장식적인 소 품의 역할 정도로 미약하게 표현되었으나 모더니즘 이후에는 개별성과 다양성의 강조로 보다 적극적으로 실내디자인에 오브제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예술품으로서의 오브제는 장식위주의 아트워크나 조각상과 같은 상징적 결정 체였으며 예술가에 의해 주로 제작되었다.예를 들어 르네상스시대의 천정에 가득 한 그림은 공간 최대의 장식품이자 오브제의 역할이었다.공간 곳곳에 수많은 조 각상들과 계단 등을 통해 오브제의 역할을 하였다. 모더니즘시대의 오브제는 주어진 기능에 가장 적합한 형태를 오브제 요소로 간주하였다.모더니즘의 장식에 대한 배제는 대부분 건축가들에 의해 구축되었던 건축공간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건축의 구조체인 기둥이나 벽이며,은 공간전체가 콘크리트 구조체이자 오브제이다.미술관은 외 형만으로 도시맥락 속에서 오브제 역할을 하고 있다. 모더니즘 이후에 오브제는 전체성을 강조하는 대신 역사주의,다양성,상징성 등의 다양한 성향이 강조되는 시기이다.10) 이 시대에 오브제는 독립적 조형성이 강조되는 실내디자인이 많이 나타났다.의 경우 우리에 게 친숙한 화병이 크기가 변형되어 실내 공간에 강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하며 기능보다는 장식을 목적으로 하나 장식주의시대의 장식을 넘어 표현방법과 의미 를 다르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오브제는 사전적 의미의 오브제와 같이 이미 만들어진 기성 품을 작품에 들여와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본래 물건,물체,객체 등의 의미를 지 닌 프랑스 언어이나 초현실주의 작가들은 이것을 적용,독특한 개념을 부여하여 구체적인 예술개념으로 사용하였다.즉,예술과 아무런 관계도 없는 물건이나 한 부분을 본래의 일상적인 용도에서 떼어내어 보는 사람에게 잠재된 욕망을 불러일 으키게 하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를 말한다. 일상생활에 쓰이는 물체는 그 나름의 용도나 기능 또는 독특한 의미를 지니고 있게 마련이다.그러나 이러한 물체가 일단 오브제로 쓰이면 그 본래의 용도나 그 의미를 잃게 되고 이때까지 우리가 미처 체험하지 못했던 어떤 속성이나 기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현대회화 특히,세잔 이후 큐비즘(입체파)등에서는 주체성을 배제하고 물체를 중히 여겼다.그러나 오브제가 특수한 용어가 된 것은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부터 이다.이러한 오브제의 개념은 초현실주의의 조형적 영역은 물론 그 사상에서도 회화와 조각을 접근시켜 회화도 조각도 아닌 새로운 개념을 탄생시켰다.또,오브 제는 예술가와 생활과의 관계를 표현하는 물건 그 자체로 되어 예술과 생활의 경 계를 애매하게 만드는 큰 역할을 해왔다. 뒤샹이 1917년에 기성 변기로 이라는 제목을 붙여 전람회에 출품,기성의 일용품이나 기계부품들이 반 예술형식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또 종래의 전통적 인 조각 형식을 타파한 구성작품(예를 들면 움직이는 조각)등을 오브제라고 할 때 가 있다.미술에서 오브제는 흥미 있는 미적 의식 문제를 투입하고 있으나,실내 에서오브제는 예술의 재료,형식,기능을 확대하기 위한 외부세계를 정복하는 수 단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조각,회화에서의 오브제는 대상 그 자체가 아니라 이미지 또는 주제 의 개념적(관념적)표상이 되는 것이다. 예술작품의 소재,주제,정물,풍경화,인물화 지나치게 포괄적이었던 오브제는 입체파 작품에서 대상을 묘사 하거나 화면에 오려 붙여 작품의 일부로 존재 하였 으나 오브제로서 독립성이 약하였다.다다이스트인 뒤샹의에서 오브제는 일상 적인 사물이 변조된 오브제로,표현수단으로서의 오브제로 주제와 객체와의 만남 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게 되며 이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양 태11)로 전개되었다.오브제가 다다를 거치면서 독립적인 발언권 획득 하였으며, 오브제의 영역과 개념은 무제한적으로 확대·전개되어 오브제는 단순한 조형수단이 나 조형언어의 역할을 넘는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내외면 세계의 이미지를 표현 하는데 적합한 방법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의 표현은 작가의 창조적 행위로서 사용자의 커뮤 니케이션을 위하여 독자적인 디자인언어로서 조각에서와 같이 오브제를 실내에 도입,설치함으로서 실내공간에 비주얼 타켓,혹은 공간을 지배할 요소를 제공하 고 있는 오브제로 본 연구에서는 표현한다.다음의 그림은 산업생산물인 오브제가 작가의 유추과정을 통해 실내공간에서 비주얼 타켓으로 생성되는 과정을 정리하 였다.

 

2.미술에서의 오브제 표현특성 고찰 2.1.미술에서 오브제의 정의 20세기 전후 현대미술의 목표는 단순성과 진리를 통해서 사물의 본질을 추구 하는 것이다.이에 따라 공허해진 화면에 물질을 풍부하게 제공하기 위해 화가들 은 오브제를 화면 안으로 끌어드렸다.표현의 확장을 위한 새로운 매체 오브제는 회화와 조각이란 장르간의 영역을 해체하고 통합하는 적극적인 방향으로 나아간 다.예를 들어 작가의 주관적인 의식이 오브제를 통해서 객관적으로 표현되며,이 러한 객관화가 오브제를 탄생시켰고 새로운 조형언어로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창조의 수단으로서 재료표현과 표현유형을 어떻게 결부시키느냐 하 는 점이 현대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이다. 이후로 오브제의 개념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된다.어떤 물체가 우연적이거나 필연적인 효과에 의해 작품의 소재가 될 때 그 본래의 용도나 기능 을 잃게 되면서 새로운 물체성(objectification)을 가지고,미술작품화 될 때 이 때 물체를 오브제라고 한다.오브제는 우리가 미처 체험하지 못했던 어떠한 연상 작 용이나 기이한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는 상징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오브제의 표 현특성과 그 의미의 확대는 곧 미술 영역의 확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미 술과 사회,사상,이념으로 연결해 주는 고리 역할을 하는 매개체로 하나의 기호 라고 할 수 있다.형태의 발전을 밝히는 일은 쉽지 않지만 형태의 최종적인 모습 은 우연히 생긴 것이 아니다. 예술가와 디자이너는 물질의 존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형태를 사용한다.12) 디자이너에게 형태는 단순히 물리적인 것을 넘어서 미적,심리적,기호적,언어적 측면도 포함하는 것이다.또한,공간에서 관찰자는 마주한 작품을 통해서 시각적 으로 전달된 모든 정보들을 통합하여 몇 개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단순화시키며 구조화하여 평가한다. 1935년 런던 전시회13)에서 밝힌 오브제의 정의는 런던 초현실주의 전시회와 같은 시기 뉴욕 환상예술,다다,초현실주의 전시회에서 오브제 예술의 객관적인 전망으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정의하고 분류하였다. 1.런던과 뉴욕 전시회에서 밝힌 오브제의 정의14) 가.자연의 오브제 광물,식물,동물 등 자연에서 습득할 수 있는 오브제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 속의 사물 모두는 우리의 시각에 놓이거나 우리감각에 작용하면서 하나의 오브제가 된다.우리는 자연의 오브제를 통해 기원이나 법칙 등을 유추할 수 있으 며,계산된 영역에 놓이지 않으며 위치변경의 오브제를 바라보는 관찰자에 따라서 어떠한 주의나 학설도 가능하다.인공 오브제와 비교할 때 자연의 오브제는 확정 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자연이 창조해낸 자연의 오브제는 미학 또는 예술학 적 판단은 관찰자의 주관적인 태도에 달려 있는 것이다.따라서 자연의 오브제는 자유로운 표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또한 자연의 오브제는 어떤 도구나 물리적 인 힘을 가해서 의미의 중점을 두고 작가의 주관에 의해서 물체를 재해석 하고 가공하기도 한다.가령 일상의 오브제인 나무뿌리를 조금 변형하여 옆으로 놓는다 면 우리가 알고 있는 나무뿌리가 아닌 전혀 새로운 물체로 보이게 된다. 나.미개인의 오브제 부적,주술적 물체 등으로 예언적 성질과 그것의 이미지 연상을 통하여 원시종 교사상을 표현한다.마음의 상태나 의식을 치르는 것과 같은 시각적 감각을 보여 줄 수 있다.

 

다.발견된 오브제 일상의 삶으로부터 체험되어진 오브제로서 작가의 개념과 관념을 부여하여 주 위를 끌 수 있는 예술성을 지닌 오브제를 말한다.산업적 맥락에서 일상의 오브제 로 만들어진 것이다.완결된 재료와 표준화된 일정의 형태 등을 갖추고 있어 주관 적인 해석을 벗어나 사회적 소재로 다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작가는 너무나 잘 알려진 일상의 오브제를 사용함으로서 고유의 개념 적인 존재를 작가 자신의 독창적인 개념과 관념을 부여하여 본래의 기능과 용도 보다는 오히려 대상의 새로운 조합이나 과장으로 주의를 끈다.이유는 일상의 소 비품이라는 매개물은 일반대중에게 가장 인기 있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 이다. 라.해석된 오브제 자연물을 숙련된 기술에 의해 가공하여 특징보다는 의미와 놓여진 공간에 중 점을 둔다.여기에서 나타나는 오브제는 자체로서의 특별한 의미를 지니기 보다는 작가의 조형의지와 결합됨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게 되어 회화적 이미지로 놓여진 공간에 의해 상징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해석된 오브제는 예술이라는 특 정한 제도를 전제로 한 상징적 행위를 말한다.더구나 예술과 삶의 관계를 대립적 으로 반영하면 오브제의 상징성이 더욱 강조될 수 있다. 마.움직이는 오브제 회전바퀴 등 동력을 이용한 인위적으로 만든 작품자체가 오브제가 되는 것이 다.이는 고전적 해석을 버리고 오브제를 둘러싸고 발생되는 의미생산에 권한을 맡기고 그 범위 안에서 가장 가깝게 작가의 의도를 반영하려고 한다. 움직이는 오브제는 각본에 짜여 진 연극적 구경거리,시각적 요소로 존재하면 서 연극적 구성과 표현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키네틱아트 (KineticArt)나 모빌아트(MobilArt)등으로 발전으로 이어졌다.키네틱아트나 모 빌아트에서의 조형양식은 과학과 논리,회화,조각,디자인의 요소들이 결합된 형 태의 오브제 예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아이디어에 전착하는 관념 주의적 오브제 경향에 가까운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바.수학적인 오브제 수학공식,원리,정의 등을 이용하여 형상의 물질적 대상만으로 바라보지 않고 기존관념을 뒤엎은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며 오브제는 곧 아이디어라는 전제와 함께 작품제작에 따르는 사고과정부터 제작과정,변모과정 그리고 실제 작품이 제 시 되었을 때 시간․공간상의 문제나 작품에 대한 관객 체험까지 포함시키고 있 다. 사.기성품의 오브제 실용을 목적으로 작가의 관념을 부여한 오브제이다.현대미술에서 즉물적 오브 제의 사용 확대로 직관적이고 감성위주의 제작태도를 가진 물질 중심표현으로 현 실적인 대상의 변경을 통해 물질에 대한 외형만을 중심에 두지 않고 기존 관념을 뒤엎을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는 표현으로 작가가 선택한 아이디어로 평가한다. 아.재해의 오브제 불에 타서 예상 불가능한 초조형적인 변형의 오브제이다.형태에 대한 미학적 견지를 바탕으로 어떻게 표현 할 것인가 보다는 무엇을 추구하고 있는지에 관심 을 집중시켜 반 형식의 과정미술,행위미술 그리고 대지미술 등으로 그 표현영역 이 확대되었다. 자.상징기능의 오브제 억압된 욕망의 잠재의식을 표현한 오브제이다.개념미술에서는 즉물적 오브제 대신 제작과정에 대한 형식의 채택으로 기록,사진,지도,필름,비디오,텍스트 등 이 제시되며 공간 속에 담길 내용의 변화로 이론에 대한 분석,과학실험,문학적 은유법을 해석하여 작품의 명제로 삼았다.개인적 이야기의 작품화,언어,데이터 의 회화적 적용 등은 타인과의 정보 공유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2.살바도르 달리의 오브제 정의15) 1931년 브르통(AndreBreton)의 논문 중 매달린 공 제 3호에서 밝힌 달리의 여 섯 가지 오브제 정의이다.초현실주의에서는 오브제를 원시 종교적 주술용품이나 자연물로 차용하기 시작했다.인간에 실제 삶 속에서 특수한 의미로 사용되었던 물체를 인간의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적 욕망이나 상징을 환상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하나의 시․지각적 장치로 오브제를 이용한 것이다.초현실주의는 보다 체계화된 무의식과 환상과 꿈의 세계로서 의식에 속박되지 않는 인간정신의 자유를 추구 하였으며,고정관념 속의 일상적인 현실세계에서 인간정신의 해방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가.상징적 기능의 오브제 자동작용에서 연유된 오브제이다.이론적 기반은 프로이드(S.Freud)의 정신분 석학이며,프로이드의 학설을 실천적 영역으로 해석하여 발전시킨 앙드레 브르통 (Andre Breton)에 의해 제기되었다.이런 초현실주의 작품은 구체적인 대상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찌그러트리거나 흘러내리는 형상으로 변형시켜 원래 형상에 흔적을 남겨 놓아 그 대상의 원래의 모습을 확실하게 암시하지만 그 형태 는 전혀 다른 현실세계에서 보기 힘든 완전히 다른 무공간적인 표현(색다른 화면 으로 보여 지는 형태)으로 변형된다.

 

1.서 론 1.1.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입체파에서 ‘오브제(object)’는 매우 광범위 하였지만,현대미술에서 ‘오브제’는 공간을 독창적인 시각으로 표현한다.현대 미술에서 오브제 작품의 일관적 주제는 고정관념에 대한 파격적인 일탈에 대한 것이다.두 가지의 서로 다른 오브제를 형 태와 의미를 지닌 것들을 함께 전의 시키거나 병치함으로서 전혀 다른 대상을 창 출하는 기법으로 하나의 대상에 이중적인 형상을 표현하거나 이중적인 연상이 가 능한 다의적인 표현을 하여 존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진화를 거듭하는 오 브제는 특히 그 중에서도 현대미술의 후반기 작품에서 충분히 실내디자인 입장에 서 조망 가능한 여러 흥미로운 공간들을 제시 하고 있다.미술에서 오브제 작품과 공간들은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실현 불가능한 모순적인 공간이지만,오브제의 개 념과 대상 확장(재료,시간,공간)에 영향을 받아 물질적인 것,개념적인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인간의 공간 인지에 영향을 주는 확장된 경향을 보였다.오브제 공 간,오브제 작품 그리고 관람자를 결코 떼어 놓을 수 없는 필수조건으로 인식한 것이다.실재하는 실내디자인 공간에서도 충분히 참조할만하다는 점에서 미술에서 오브제 공간을 실내디자인 입장에서 조망하는 것은 충분히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 다.최근 실내디자인에서는 본래의 의미와 용도와는 상관없이 우리가 일상생활에 서 미처 경험해 보지 못한 탈정형적이고 보다 자유로운 공간구성을 시도하고 있 다. 이러한 흐름은 역사적 양식의 영향이나 건축디자인 방법론,공간구성 수법의 변화뿐만 아니라 타 학문분야의 다양한 이론들이 접목되어 더욱 다원화되고 복잡 한 양상의 공간으로 표출되고 있다.실내디자인에서 보이는 이러한 다양한 공간의 표현양상에 대한 연구는 여러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실 내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경향 중 하나인 오브제 표현에 주목하여 접근함으로서 최근 실내디자인에 표출되는 표현에 다양성에 따른 변화 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배경 이다.미술과 회화에서 오브제 는 평면을 초월하고,건축적 규모로 확대되었다.건축에서는 조형적 요소가 강조 되는 현상을 보이며,실내디자인에서도 상황에 순응하여 변화를 가져왔다.20세기 의 독특한 미술사의 하나인 오브제 출현도 실내디자인에 나타난다. 실내자인에서 오브제의 표현에 주목하는 이유는 실내디자인 요소를 철저하게 분리시키는 비효율적인 현상이 보이는 동시에,이러한 요소적부분이 실내디자인 전체 즉,공간이 갖는 체계와 대립적이면서도 상존하는 상태로 보이기 때문이다. 실내디자인과 미술의 만남은 공간예술로서의 예술적 움직임을 자극하게 되었고 광고와 미디어에 의해 부추겨지는 소비사회로의 변모에서 공간 속의 오브제는 본 래의 의미와 용도와는 상관없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미처 경험해 보지 못한 또 다른 물체성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상업적인 용도의 실내디자인은 유 행적,소비적 성격으로 비교적 소규모의 프로젝트가 많다는 점 등에서 실험적인 시도와 모색이 용이하다고 하겠다.실내디자인에서 이러한 오브제의 경향은 시각 적 새로움을 갈망하는 현대인에게 시각적 만족감을 주며,미술에서의 오브제와는 달리 예술적 의미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을 지닌 물체로 작용 하며,건축이나 조각과는 달리 매스가 존재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실내디자인에 서는 각 공간의 구성요소들이 분산되어 나타난다.이러한 시도의 하나로 공간에서 순수미술의 오브제 요소를 공간요구에 맞게 도입하여 독자적인 디자인 언어로 사 용하고 있는 것이 실내디자인의 큰 흐름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오브제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체계로 이해하고자 한다.미술에서 오브제의 미학적 논의과정을 상세히 고찰함으로서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논의가 어떠한 조건 위에서 가능한 것인지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정승혜,2005)는 공간을 지각하는 요소로 색채를 선택하고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바닥,천정,벽의 요소를 구성하고 있는 오브제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오브제의 범위는 공간적 오브제(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 및 칸막이,계단 등등 내부 에 설치된 조명요소 까지 설정)하였다.노상완(2001)은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적 요소를 물적 대상과 추상적 이미지로 나누면서 물적 대상에는 인체,동물과 식물 로 표현한 직접적인 오브제와 추상적 이미지는 유추대상이 되는 암시적인 오브제 로 표현방법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있다.실내디자인의 오브제가 근본의도로부 터 공간 내에 어떻게 구성요소로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감성요소,재료 가 공 기법의 발전 등으로 공간내의 오브제적 요소는 논리적이기 보다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어진다고 말하고 있다.또한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이 만나는 부분 에서(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홀,로비 홀,계단 등)목적 공간으로의 동선분화가 이 루어지는 곳에 오브제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정의하고 있다.(이상 효,2003)는 오브제란 감성적 개념으로 보고 오브제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탐구 하였다.가구,계단,화장실 등은 시각적으로 강조되고 구조로부터 자유롭기 때문 에 배경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눈에 파악되는 기능적 볼륨이라고 정의 했다.오브제는 공간 내에서 시각적 반응을 일으키며,오브제의 형태적 의미도 변 화하여 내부공간에서 움직임이 생성되게 한다고 말한다.(강유진,1998)는 오브제 를 두 가지로 분석하였다.기능적 오브제(형태를 유발하는 오브제,공간을 분할하 는 오브제,장소성을 알리는 오브제)와 시각적 오브제(사물을 재현한 오브제,상징 적 오브제)로 분류 하였다.시각적 오브제는 사물의 형태를 충실히 재현한 것이고 또한,형태가 아닌 추상성과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였다.기능적 오브제는 순수미술의 오브제와는 달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브제가 한 공간에서 칸막이,의자,교육기능 등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김내리, 2004)공간형성의 중요 인자인 오브제 표현을 현상학적 공간 접근에 근거하여 표현 유형을 구조화 하였다.공간에 대한 지각은 우리의 몸을 통해 인지되는 것을 강조 하면서 우리는 매우 동적인 존재이며,사물(오브제)역시 고정된,객관화된 실체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몸,장소,상황 등을 제시 하며 접근하였다. (구상,2000)은 실내에 나타난 오브제는 디자인 개념에서 유래하지 않으며,오 브제는 유동적인 모습으로 평가 자체를 어렵게 하지만 공간에서 경계를 넘어선 극단적인 입장인 하위문화,기저문화로 오브제의 변형을 통해 의미를 파열시키고 재조직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오브제의 유형은 4가지로 의미론적 해체,재료 에 의한 형식에 해체,은유와 표현방식에 해체,기존관념의 해체로 정의하고 있다. (이찬,2001)오브제라는 새로운 개념은 현대 디자인 전개에 결정적인 역할로 예술 의 영역을 확장시키는데 기여 하였으며,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적 요소는 공간을 지배하는 요소로 작용하며,디자이너와 관찰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언어 로 오브제는 공간에서 매개적 요소로 정의하였다.오브제는 상징적 요소,공간의 장치적 요소,비물질적인 요소,색채 등으로 연속성,비연속성,스크린화,비움,공 간의 다층성,비경계성을 갖는 것으로 정의하였다.(심은주,2006)는 예술품으로서 의 오브제,구축요소로서의 오브제,조형요소로서의 오브제로 오브제를 3가지로 분류하였다.(박민찬,2004)는 가구에 나타난 오브제적 표현들은 기능적 가구의 조 형적 한계를 극복하고 가구의 미적 기준을 확대시키는 기능을 했다.오브제는 가 구의 표면에서 창조적 영역확대의 수단을 갖는다.홍승욱(2000),강세경(1998),김 도훈(2000),김윤아(2005),음상호(2004)등은 특정 공간이나 부재를 중심으로 분류 한 논문들이었으며,이상효(2003)는 건축적 오브제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강조되고 구조로부터 자립되어있는 점을 강조 하면서 오브제가 내부에서 관찰자에게 편심 을 일으키는 구성요소로 변이하면서 내부공간을 해체하며,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고 했다.오브제에 관련한 논문은 상당수에 이르며 서로 다른 관점과 어휘를 사용 하고 있다.본 연구에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적 공간구성 표현을 체계적으 로 정리한 자료로 경쟁력을 지니게 될 것이며,실내디자인과 관련된 교육계와 학 계에서 가교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1.2.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1.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오브제를 이해하기 위해 미술에서 오브제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온 사례들을 정리하고,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의 일반적인 의미와 역할 그리고 시대에 따 라 변화되어온 표현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이론적 배경 을 고찰하기 위하여 오브제의 정의와 표현방법,발생과 전개를 살펴보고 미술사 조,건축사조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의 사례와 오브제의 특성을 분류하였다.최근 10년 간 실내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실제 사례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최근 나타나고 있는 실내디자인의 표현특성을 파 악함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국내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을 체계적인 분류방법 기준에 의한 대표 표현특성을 분류,선정하고 각 측면 에 대한 표현특성을 파악하여 실내디자인의 오브제 표현특성을 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1.문헌고찰을 통해 발취된 오브제에 관하여 미술과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정의와 의미,발생과 전개를 살펴보고 미술사조와 실내사조에 나타나는 오브제의 간략한 사례와 오브제의 표현특성들을 분류하였다. 2.미술작품과 실내작품을 중심으로 오브제의 분류에 따른 기법의 표현특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3.최근 실내디자인의 사례를 연구하여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결론제시의 목적이 있다. 4.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표현 특성의 통합적 모델을 구축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른 본 연구의 독창성은 다음과 같다. 1.오브제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는 런던전시회,뉴욕전시회1),달리2)의 언급을 하나의 틀로 노출하여 사용 하였다. 2.기존의 많은 문헌들에서 오브제를 언급을 하고 있으나,저자의 관점에서 특 정부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공간구성 표현특성을 종합하여 총체적으로 언급하였다.

 

3.기존 문헌에서 오브제의 특성을 언급함과 동시에 사례와 사진을 제시하고 있으나,문헌에 모두 언급하고 있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포괄적인 예제를 찾는 것은 독자의 몫으로 남겨져 있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문헌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하나의 체계적인 틀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된 틀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국내 오브제 표현특성의 시각적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변화의 방향을 예측한다. 가.국내사례를 제시된 틀에 의거하여 분석 나.오브제의 표현특성 제시 다.오브제 표현의 관계제시 라.표현특성의 통합적 모델 구축제시 1.2.2.연구의 의의 앞에서 제시한 연구의 목적 및 독창성에 따라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오브제에 대한 기존 문헌에서는 저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부분적으로 정 리되어 있으나,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재되어 있는 오브제표현특성을 종합적으 로 분류 및 체계화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분류된 오브제표현특성을 설정된 다각도의 틀을 통해 재분류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셋째,대부분 기존 문헌에서 순수미술에서 오브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 것 에 비해,본 연구에서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총체적으 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넷째,본 연구의 사례분석의 단계에서는 가급적 많은 오브제표현특성들을 제시 하고자 하였으며,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표현을 접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1.3.선행연구에 나타난 오브제 논의 및 표현특성 (정승혜,2005)는 공간을 지각하는 요소로 색채를 선택하고 공간을 구성하고 있 는 바닥,천정,벽의 요소와 오브제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오브제의 범위는 공간 적 오브제(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 및 칸막이,계단 등등 내부에 설치된 조명요소 까지 설정)하였다.(노상완,2001)은 실내디자인의 오브제가 근본의도로 부터 공간 내에 어떻게 구성요소로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감성요소,재료 가공 기법의 발전 등으로 공간내의 오브제적 요소는 논리적이기 보다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어진다고 말하고 있다.또한 수평동선과 수직 동선이 만나는 부분 에서(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홀,로비 홀,계단 등)목적 공간으로의 동선분화가 이 루어지는 곳에 오브제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정의하고 있다.(이상 효,2003)는 오브제란 감성적 개념으로 보고 오브제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탐구 하였다.가구,계단,화장실 등은 시각적으로 강조되고 구조로부터 자유롭기 때문 에 배경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눈에 파악되는 기능적 볼륨이라고 정의 했다.오브제는 공간 내에서 시각적 반응을 일으키며,오브제의 형태적 의미도 변 화하여 내부공간에서 움직임이 생성되게 한다고 말한다.(강유진,1998)는 오브제 를 두 가지로 분석하였다.기능적 오브제(형태를 유발하는 오브제,공간을 분할하 는 오브제,장소성을 알리는 오브제)와 시각적 오브제(사물을 재현한 오브제,상징 적 오브제)로 분류하였다.시각적 오브제는 사물의 형태를 충실히 재현한 것이고 또한,형태가 아닌 추상성과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였다.기능적 오브제는 순수미술의 오브제와는 달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브제가 한 공간에서 칸막이,의자,교육기능 등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김내리, 2004)공간형성의 중요 인자인 오브제 표현을 현상학적 공간 접근에 근거하여 표현 유형을 구조화 하였다.공간에 대한 지각은 우리의 몸을 통해 인지되는 것을 강조 하면서 우리는 매우 동적인 존재이며,사물(오브제)역시 고정된,객관화된 실체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몸,장소,상황 등을 제시 하며 접근하였다.(구상,2000)는 실 내에 나타난 오브제는 디자인 개념에서 유래하지 않으며,오브제는 유동적인 모습 으로 평가 자체를 어렵게 하지만 공간에서 경계를 넘어선 극단적인 입장인 하위 문화,기저문화로 오브제의 변형을 통해 의미를 파열시키고 재조직하는 것으로 정 의하고 있다.오브제의 유형은 4가지로 의미론적 해체,재료에 의한 형식에 해체, 은유와 표현방식의 해체,기존관념의 해체로 정의하고 있다.(이찬,2001)은 오브제 라는 새로운 개념은 현대디자인 전개에 결정적인 역할로 예술의 영역을 확장시키 는데 기여 하였으며,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적 요소는 공간을 지배하는 요소로 작 용하며,디자이너와 관찰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언어로 오브제는 공간에 서 매개적 요소로 정의 하였다.오브제는 상징적 요소,공간의 장치적 요소,비물 질적인 요소,색채 등으로 연속성,비연속성,스크린화,비움,공간의 다층성,비경 계성을 갖는 것으로 정의 하였다.(심은주,2006)는 예술품으로서의 오브제,구축요 소로서의 오브제,조형요소로서의 오브제로 오브제를 3가지로 분류하였다.(박민 찬,2004)는 가구에 나타난 오브제적 표현들은 기능적 가구의 조형적 한계를 극복 하고 가구의 미적 기준을 확대시키는 기능을 했다.오브제는 가구의 표면에서 창 조적 영역확대의 수단을 갖는다. 1.선행연구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방법 가.형태 디자이너들은 어떻게 단편적인 정보와 필요조건,목적에 대한 가정들만 가지고 디자인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에서 갑자기 디자인 형태를 고안해 낼 수 있을까?글 렌터(MarkGelernter,1996)3)는 형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형태는 의도된 기능에 의해 결정된다. ■형태는 창조적 상상력 안에서 생성된다. ■형태는 우세한 시대정신에 의해 형성된다. ■형태는 특정한 디자이너,문화,기후를 초월한 연속적인 형태원리에서 도출

 

형태는 특정한 개인의 능력이나 통찰력과 관계없이 만들어 질 수 있고 형태의 근원이 디자이너의 마음속에 있다고 주장 한다.이 견해에 따르면,디자이너의 내 부에서 능동적으로 만들어진다.특별한 형태는 개인의 관점과 경험,내적정서,통 찰력,기호에 의해 만들어 진다는 것이다. 루이스 칸은 형태는 ‘무엇’에 관한 것이며,디자인은 ‘어떻게’에 관한 것이다.4) 라고 말했다.칸이 말하는 형태는 비개인적인 것으로 디자인은 환경적인 것이며 형태는 환경적 조건과 관계없다고 하였다. 순수미술에서 형태는 미니멀아트, 팝아트 이후 작품의 공통된 특징은 상하좌우가 없으며 모듈적 방식과 연속적 방식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같은 단위적 형태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거나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가르쳐 반복성과 계열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예술의 이러한 경향은 작품 의 구성요소 보다는 작품을 둘러싼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그 린버그에 의하면 인상주의부터 시작 하여 후기 인상주의,큐비즘,추상표 현주의,색채추상을 거쳐 발전해 나 간 것이다.대표적인 팝아트 작가 앤디 워홀은 코카콜라병,깡통,마를린 먼로 등 대중적 이미지를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규칙적으로 반복 시켰다.이는 그 자체로 완결상태가 아니라 유기적 연결체로서 의미를 갖는 것이다.도날드 져드는 “하나 뒤에는 다른 것이 뒤따르면서 연속되는 단순한 순서(onethingafteranother)" 즉,예술의 자율성은 강조하기 위한 기법 중 하나였던 것이다.

 

나.공간구성 개별적인 개체가 모든 다른 개체들과 갖는 일련의 밀접하고 상호의존적인 관 계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5)의로 공간구성을 빌힐리어는 정의 했다.이는 공간 형태 와 동의적인 의미로 해석된다.공간과 공간의 연결과 단절의 양상을 개구부를 통 한 출입과 시각의 측면을 통해 파악하여 건축물의 공간구조(공간구성)을 정의 한 다.이것은 단위공간들이 모여 일정한 구조로 형성되는 과정 속에서 그 건축물이 나 공간 내에 내제된 이념 또는 특성에 대한 고찰이 가능하다는 이론이다.공간구 성의 특성을 계산하는 기본적인 개념을 깊이로 일반적인 물리적 개념과 달리 특 정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때 거치게 되는 최소한의 공간 수를 의미한다. 공간구성에 있어서 공간의 자유로운 흐름 내외부공간의 상호관입으로 인한 개 방성 있는 공간의 창출은 3차원적 투시도 기법을 탈피하고 시간의 개념이 도입 되면서 동적이고 4차원적인 반 투시도법의 공간개념이다. 다.장식요소 3차원적인 회화의 표현을 전형적인 평면회화로부터 공간적 회화로 완전 분리 시켰다.말레비치에 따르면 공간적인 차원은 이전의 표면적 구성(composition)을 입체적 구축(construction)으로 전환시킨 것이다.모든 조형예술의 목적이 미의 창 출에 있고 미는 여러 요소들의 결합 속에서 숨겨진 수단에 의해 대상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과거 고전건축시대의 장식의 상징성을 살펴보면 어떤 동기 를 갖는데 예를 들어 제사에 관련된 행위 신체의 일부 등을 상징했다.미와 장식 을 어떤 대상으로 나타나는지 상관없이 모든 부분들 사이의 조화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각 부분들은 비례와 연결 상태로 결합되어서 시각적 만족에 도달할 수 있 게 된다.장식은 모든 공간 내에 필요한 것이며 이를 보안해 주어 시각적 아름다 움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라.개념 개념은 디자이너 고유의 사고방식으로 철학적 사고로 표현되는 디자인언어라 고 정의할 수 있다.특히 개념은 디자이너가 실행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있어서 형 태를 부여하는 기초가 되기도 하며 동시에 해결해야하는 수많은 경우의 상황과 조건들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디자이너는 적절한 개념을 프로세스가 진행되기 이 전에 디자이너의 사고체계 안에서 가장 최초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해 주게 된다.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디자인 개념을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개 념에 가장 부합하는 시각적인 표현을 만들어 내는 행위라고 할 수 이다.디자인에 서 개념이란 인공물에 관련된 지적 활동으로 문제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계획 그리고 사고를 체계화하여 실행하는 것 이다. 마.표현방법 표현 하고자하는 대상의 의미를 알고 있는 다른 대상의 모습에 빗대어 표현하 는 방법으로 작가의 의도나 정서를 더 인상 깊고 강하게 드러내기 위해 단조로움 을 피하고 신선함을 주기 위해 변화를 주는 방법이다. 바.관점 경험에 의해 형성된 기억,이미지,스키마6)등의 심적표상 (mentalrepresentation) 으로 인간이 환경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며 상호관계를 조절 할 수 있는 역 할이다.공유공간의 형성,연속성 및 공간적 깊이를 지각함으로서 두 공간사이의 명확한 크기나 차이를 지각하고,상호연결 한다.작품을 작가 중심으로 바라보는 것,현실반영으로 보는 것,관찰자의 수용 양상으로 보는 것 등이 있으며,작품이 어떤 요소에서 유발 되었는가를 설명하는 방법이다.

 

2.선행연구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적 공간구성 표현을 분석하기 위해,우 선 문헌고찰을 통해 조사,분류하고,이를 다시 재분류하여,도식화하면 와 같다.

 

가.내부(바닥,천정,벽)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성격에 따라 바닥,천정,벽 등이 될 수 있으며 동선유도,공간을 분할하는 축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공간의 장소성을 나타내는 의미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호수진,2001).1980년대를 전후로 형태와 질서,기본을 해체하려는 새로운 디자인 방향이 모색되면서 네오모더니즘이 등장하였다(전영미, 1994).네오모더니즘의 실내디자인 요소는 일정범주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비정형 형태로 설계되었고,구조의 각도들의 예각,사선들의 교차로 긴장감을 유발시키는 등 특징을 나타내며,표면도 불규칙한 곡선,스케일 변형,비정형 구성으로 역동성 을 표현 하였다.미니멀리즘 실내디자인 요소에서는 최소한의 조형수단과 표현으 로 디자이너의 감정표현을 극도로 배제하여 순수하고 무표정한 오브제의 반복이 특징이었다.실내디자인을 형성하는 요소인 바닥,천정,벽 등은 시각적이고 장식 적인 모든 요소가 삭제되고,거주자의 개성과 욕망이 오브제에 의해 표현되어 실 내디자인의 분위기를 좌우하였다(전영미,1994) 바닥은 고저차가 가능하므로 공간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고저차가 없는 기 준 바닥 면은 바닥의 색,질감이나 마감재로 변화를 주거나 다른 면보다 강조할 수 있다.기준 바닥 면보다 높이거나 낮게 하면 공간의 흐름을 방해 하거나 그 범 위를 한정시켜 영역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고저의 정도에 따라 시간적 연속성도 조정될 수 있다. 벽은 공간을 에워싸는 수직적인 요소로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과 벽면에 높이에 따라 공간의 수직적 범위를 시각적으로 설정한다.바닥에 대한 직각적인 벽은 공간요소 중 가장 눈에 띄기 쉬운 요소이다.따라서 시각적 대상물이 되거나 공간의 초점요소가 되기도 한다.공간을 둘러싸고 많은 면적을 차지하므로 그 분위기가 조절된다.그리고 가구,조명 등 실내에 놓여지는 설치물 에 대해 배경적 요소이기도 하며,벽으로 둘러싸임으로서 공간은 그 형태를 명확 히 하므로 벽은 윤곽적 요소이기도 하다. 천정은 바닥 면과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적 요소로서 바닥과 천정 사이에 있는 내부 공간을 규정한다. 천정은 시각적 흐름이 최종적으로 멈추는 곳이기에 지각의 느낌에 영향을 미친다.또한 내부공간의 어느 요소보다도 조형적으로 가장 자유롭다. 천정을 낮추면 영역구분이 가능해지며 친근해지고,아늑한 공간이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