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공간은 서비스 면적이어서 분양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서울시는 1-2인 가구에 적합한 강소(强小) 주택 모델을 개발해 보금자리 주택 등에 적용할 예정이다. 강소주택은 1-2인 가정을 위한 50㎡ 이하의 소형주택에 ‘작은 집을 넓게 쓴다’라는 개념을 접목한 주택을 의미한다. - 30 - 가구 형태의 변화로 갈수록 소형주택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다 강소주택은 소형주택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맞춤형 모델이 될 것이다.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한 관심은 라이프스타일의 다변화와 여가문화, 건강과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유형이 다양화된 이유에 의해 기존 주택 및 생활방식에 대한 새로운 방법 중 하나이다. 다양한 삶의 유형과 주택에 대한 새로운 가치문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목적성과 실용성, 비용의 문제이다. 예전의 주택 가치는 잘 팔리고 대중적이며, 수익성 높은 부동산 중심의 주택 가치라고 하면 도시형 소형주택은 수요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적용한 주거 문화의 새로운 유형이다. 우리의 공동주택 시장과 해외 사례가 다른 경향은 대형 택지개발사업, 재개발과 재건축, 주거환경정비사업, 뉴타운 등에 기대어 있는 우리의 주거문화와 가구당 주거면적의 소형화 경향과 사업규모의 소형화 개발 등 규모 면에서 다양화된 주거 상품이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다는 것을 비교 해볼 때 주택의 생산방식과 인식의 차이가 명확하다. 정부 혹은 대형 건설사 중심의 일방적인 제도적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보다는 다변화되어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디벨로퍼, 건축가, 엔지니어, 시공자, 코디네이터, 부동산중개인 등 주택 공급의 개별 주체들이 대형 주택 사업뿐 아니라 일반적인 소형 주택사업에서도 제도적 건전성과 역할분담, 사회적으로 유연한 입장정리를 통해 쾌적하고 질좋은 주택 공급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삶의 주체인 주거의 수요와 공급을 개인적 욕구가 충만한 현대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이제 도시형 소형주택은 투자가 아닌 실수요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개성 있고, 개인적 가치의 목적성이 분명하고, 구체적 인 실현을 위한 실용성을 바탕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 31 - 2. 1. 2. 실내코디네이트 (1) 실내코디네이트의 개념 시대가 변하고 예술적 가치가 삶의 중요한 요소로서 자리매김한 현대의 실내디자인은 물리적, 심리적 및 감정적 측면 등 모든 인류의 복지에 공헌하는 환경디자인의 한 부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실내디자인 은 시대 변천에 따라 현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용어로 디자인 작업의 해 석에 따라서는 실내건축(Interior Architecture)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최근 에는 실내디자인을 고도의 세분화된 전문적 작업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로 받 아들여 인간 환경을 창조하는 행위에 관계되는 창조적 분야로서 인식하고 있다. 이중의 한 부분인 실내코디네이트(Interior Coordinate)는 단순한 꾸미는 일에서 벗어나 환경디자인의 한 분류라고 할 수 있다. 실내디자인은 크게 3가지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실내Design 실내Element 실내Coordinate 실내공간의 크기와 동선을 고려한 배치 등 실내공간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일 실내공간 구성에 절대적인 요소인 설비, 가구, 라이팅 등 실내요소를 설계하는 일 실내공간을 이해하고 마감재를 고려하여 동선을 유지하며, 가구, 소품, 커튼, 소품을 활용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정리하고 위의 두 분야를 마무리 해주는 단계 [표 2-11] 실내디자인의 분야별 분류 이러한 실내디자인 범주 속의 실내주거코디네이트(Housing Interior Coordinate) 는 건물 내부의 공간을 인간이 생활하기에 쾌적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코디네이트 (Coordinate)의 사전적 의미는 영문사전에서는 조화롭게 연합하 는 의미-combine harmoniously-를 주로 내포하고 일반적으로 공간을 연출하 는 것을 공간 코디네이션이라고 칭하나 현재는 코디네이트 (Coordi-nate) 또 - 32 - 한 형용사, 명사, 동사로 a. 1. 동등한 2. 동격의 v. 1. 조직화하다 2. (몸의 움 직임을) 조정하다 3. (옷차림․가구 등을) 꾸미다; (옷차림․가구 등이) 잘 어울리다 n. 코디네이트 (색깔․소재․디자인의 조화 효과를 노린 의 복․가구)8)로 쓰이며 구글 사전에서도 역시 명사적 의미로 색깔․소재․디 자인의 조화효과를 노린 의복․가구9)라 설명하고 있다. 즉, 코디네이트 (Coordinate)란, 2종류 이상의 것을 조합하여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코디네이트 (Interior Coordinate)’로 사용하고자 한다. 주거 공간 측면에서 코디네이트는 디스플레 이,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데코레이션, 스타일링, 디스플레이 등과 비슷한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돼 왔으며, 현재도 그 부분이 명확하지 않다. 모델 하우스 관련업계에서는 실내코디네이트와 함께 디스플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부분적인 장식 코디네이트만을 코디네이트 범위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로 추구하는 범위는 건축 이전의 콘셉 작업에서부터 건축, 인테리어에 연이어 아주 작은 소품의 장식코디네이트 작업까지를 일 관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그 마감재와 컬러까지를 포함한 모든 디자인을 조정하고 조화할 수 있어야 한다.10)
'콘피키오의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적 분위기와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0) | 2020.08.26 |
---|---|
공간 아름다움 표현 (0) | 2020.08.16 |
건설사 도시형 소형주택 개발 현황 (0) | 2020.08.16 |
인구주택 총조사 (0) | 2020.08.16 |
수도권정비계획법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