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실내코디네이트란 공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실용적인 동선 확보와 그 기능성에 맞게 능률적 공간으로 표현하는 작업으로 공간별로 요 구되는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 등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배 치 및 디자인을 하여야 하는 작업이다. 더불어 기존의 연출된 형태와 사 용됐던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을 잘 이해하여 재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연출법이다. 8) n. coordinates: A set of articles, as of clothing or luggage, designed to match or complement one other, as in style or color. by www.onelook.com 9) www.google.co.kr/dictionary. 10) 박화선, 인테리어코디네이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3. 5. p.18 - 33 - (2) 실내코디네이트의 구성 요소 실내 코디네이트는 공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실용적인 동선 확보와 그 기능성에 맞게 능률적 공간으로 표현하는 작업이다. 공간 배치의 기초 콘셉을 기본으로, 실내의 완벽한 균형과 장식 요건의 의도 및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주거공간을 장식할 때, 먼저 스타일과 경향들을 둘러보고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다. 실내공간에 도입될 수 있는 물품들에 따른 요소는 굉장히 광범위하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으로 적용되는 중요한 요소들을 선정하여 구성하도록 하였다. 실내코디네이트의 기본 구성요소로는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 등을 들 수 있다. 실내코디네이트의 기본 구성요소를 잘 이해하고, 실내코디네이트의 공간의 변화와 함께 조화로운 연출이 이루어져야 하며 고객에게 때와 장소, 상황을 고려한 라이프스타일 코디네이트를 제안해야 한다.11) ① 색채 색채는 실내코디네이트를 전반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중요한 시작단계로써 적용되는 모든 요소를 지배하게 된다. 또한, 색채는 효율적인 분위기를 표현해 줄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까지 접목되는 배경이 된다. 색의 이미지는 각 색채감에 따라 추상적인 이미지가 있으며 사용자는 그러한 전달을 자연스럽게 공간 속에서 받아들이게 된다. 그리고 색채는 원색이 가지는 강한 이미지가 있지만 배색에 의한 색의 조화로 다양한 공간의 균 형감과 계획을 이룰 수 있다. 실내코디네이트의 공간 요소 중 색채구성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11) 김소희, 국내 모델 하우스의 거실 공간 코디네이트 연출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 2010, 11호 - 34 - 것은 색채가 건축적, 공간적 환경의 분위기와 질적 인상을 결정적으로 좌 우하며 이를 통하여 인간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공간 조 형의 모든 요소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상호 보조 작용을 할 때에만 색채 구성은 자기의 임무를 완성한다. 색채구성은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으로 크게 분류한다.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배색의 기본이 되는 색으로, 약 60-70% 면적을 차지하며, 전체의 느낌을 전달하는 배색으로, 가장 넓은 면을 차지, 전체 색채효과를 좌우 하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을 가미하여 결정 전체 면적의 20-30%를 차지 하며 주조색을 보완해주는 색으로 보조요소들을 배합색 으로 취급하며 통일감 있는 보조색은 변화를 주는 역할을 담당 디자인 대상에 액센트를 주어 신선한 느낌을 만드는 포인트로 전체 분위기에 생명력을 심어 주 는 역할로 전 체 면 적 의 5-10% 정도사용. [표 2-12] 색채구성의 분류 공간에서의 색채구성은 생리적, 심리적, 인간공학적, 기능적 그리고 미학적 요구들이 고려를 통한 색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 이 요구된다.12) 실내공간에서 색채에 의해 나타나는 감정효과가 실내디자인과 코디네이트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내공간에서 색 표면의 위치는 방의 성격, 심리적으로 인식되는 방법, 색에 대한 잠재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전혀 다르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바닥에 적합한 어떤 특별한 색조는 천장에 적용될 때 전혀 다른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색채 구성을 위해서는 표면과 색의 관계 그리고 형태와 색의 관계가 동시에 고려 되어야 한다. 표면이 넓을수록, 형태가 다양할수록 색이 전해주는 인상은 강렬 하지 않아야 한다. 오랜 시간 체류하는 공간의 색채구성은 눈에 두드러지지 않으면서도 12)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실내건축을 위한 색채디자인, 서울 : 기문당, p.17 - 35 -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13) 이를 바탕으로 Frank. Manhnke (1998)14)의 색채분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색명 색표 먼셀기호 바닥 벽 천장 빨강 (red) 5R 4/14 의식적인, 긴장한, 화려한 진취적인, 진보적인 간섭하는, 방해하는, 무거운 분홍 (pink) 10RP 8/6 바닥에 어울리지 않는, 우아한 달콤한, 심오한, 공격억제 우아한, 편안한 주황 (orange) 5YR 6/12 활동적인, 동적인 따뜻한, 밝은 자극적인, 주위를 끄는 갈색 (brown) 6YR 3/7 끈기 있는, 안정된 목재일 경우-안전하고 확실한 페인트일 경우-느낌이 덜하다. 답답하고 무거운 노랑 (yellow) 5Y 8/14 마음을 들뜨게 하는, 즐겁게 하는 따뜻한 (주황에 가까운 경우) 초조하고 흥분한 (짙을 경우) 밝은 느낌, 자극적인 녹색 (green) 5G 5/10 자연적, 부드러운, 편안한, 차가운(청록색에 가까운 경우) 시원, 안전, 고요, 신뢰성 있고 수동적, 초조함(자극적, 녹색일 경우), 불명료한(올리브색에 치우친 경우) 보호하는 느낌 파랑 (blue) 5B 5/10 힘들지 않은, 견고한 (어두운 색) 운동감을 느끼게 하는 (밝은 색) 차갑고, 냉담한, 공간이 깊어 보이는 느낌 시원하고, 전진하는 느낌이 적다. 무겁고 답답하다.
'콘피키오의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사각형 공간과 벽의 조화 (0) | 2020.08.26 |
---|---|
심리적 분위기와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0) | 2020.08.26 |
서비스 면적 분양가 (0) | 2020.08.16 |
건설사 도시형 소형주택 개발 현황 (0) | 2020.08.16 |
인구주택 총조사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