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단색 톤으로만 이루어진 조 화는 자칫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레드나 블루 등의 원색, 화사한 라임, 또는 오렌지, 그린, 퍼플컬러 등으로 적절히 포인트로 사용해 변화 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의 색채는 1-2가지의 밝은색으로 제한하는 것이 공간을 넓게 보이는 포인트가 될 것이다. - 51 - (2) 가구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실내에 배치하여 생활에 사용하는 도구의 총칭. 가구는 일반적으로는 소파, 식탁, 침대, 책상, 의자 등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의 가구는 빌트인 가구 (수납기능, 확장기능)와 이동형 가구(기본기능, 복합기능)로 나눌 수 있다. 가구는 작은 공간을 효 율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 시키는 중요한 요 소이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는 공간이 작으므로 수납 기능을 적극 강화시 켜 활용한다. 공간을 넓게 쓰기 위한 기능을 가진 가구는 집에서 벽에 세워 놓을 수 있게 만든 월 베드와 월 소파, 움직이게 만들어 공간의 쓰임 새에 맞추어 활용하는 무빙책상, 책장 등 소형주택 안에서의 공간 활용 도를 높이는 요소로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의 중요한 요소이다. [그림 2-6]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가구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2 - (3) 패브릭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도시형 소형주택에서 가장 쉽게 공간을 바꿀 수 있는 실내코디네이트의 예로는 커튼류, 쿠션류, 카페트, 업홀스터리 등이 있다. 이러한 패브릭 소재 제품들은 패턴, 컬러, 소재 등의 디자인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가격 면에 서도 경제적이고 계절에 따라 쉽게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컬 러와 소재를 달리하므로 같은 크기의 방을 따뜻하게, 차갑게, 혹은 넓거나 작게 보이게 할 수 있다. 패턴도 마찬가지인데 밝은색이 넓게 보이게 하는 것 처럼, 수직선 같이 확장하는 느낌의 패턴과 큰 무늬의 패턴은 실내를 넓어 보이게 한다. [그림 2-7]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패브릭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3 - (4) 조명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조명은 실용적이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모던한 스타일이 적합하며, 특히 도시형 소형주택은 가구와 벽 사이사이에 LED 매립조명을 설치한다면 공간의 깊이감과 확장감을 더할 수 있다. 가구에 LED 조명이나 스포트 (Spot)조명을 매립하여 사용하면 공간을 밝 고 확장되어 보이게 연출할 수 있다. 좁은 공간일수록 부피감 있는 이동형 조명 (테이블스탠드와 플로어스탠드) 보다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붙박이 조명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다. [그림 2-8]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조명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4 - (5) 아트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대부분 주거공간은 아트웍을 큰 패턴으로 짜임새 있게 꽉 찬 포인트 벽 지 등을 활용하게 되는데, 소형 공간의 경우 조금은 여유 있고,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그리고 실제 벽화와도 같은 예술적인 접근을 한다. 이를 통해 그저 구조체에 불과한 벽면이 큰 예술작품처럼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빈 벽에 다양한 크기의 액자를 걸어두면 깔끔하고 인 상적인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천장까지 이어지는 통 거울을 방과 방 사 이 자투리 벽면에 설치하면 착시효과로 공간을 더욱 넓어 보이게 할 수 있다. [그림 2-9]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아트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5 - (6) 소품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소품은 공간에 통일된 분위기와 부분적 액센트(accent)를 주어 미적 충족과 예술적 효과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소형주택에서 소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지나치게 소품을 많이 사용하면 혼란 감을 주기 때문에 포인트 요소로 사용할 수 있는 소품을 적절히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배치 장소의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 주변 물건들과의 디자인 성격이나 색채조화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고, 실내장식 소품은 개인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선택한다. [그림 2-10]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소품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6 - 2. 2. 골드세대 라이프스타일 2. 2. 1. 라이프스타일 (1) 라이프스타일의 개념 라이프스타일이란, 사회학자인 Max Weber(1968)18)와 정신분석학자인 Alfred Adler(1969)19)에 의해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Alfred Adler는 개인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정의하고 있다. 개인별 독특성을 강조함으로써, 과거 생활양식에 대한 대처경험, 생활과제의 독자적 해결 및 미래에 대한 목표에 대한 노력 중 개인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라이프스타일이라고 하였다. 이는 라이프스타일 개념이 사회학자․심리학자에 따라 다른 개념을 표현하고 있지만 개인 또는 집단의 통합양식과 독자성, 창의성, 가치의식, 목표 지향적 등의 기호나 선호도에 상충하는 스스로의 생활을 능동적 주체적으로 형성하는 행동의 주체성에 그 동일한 의미를 내포한다.20)구체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은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시간을 활용하고 있는가 하는 행동과 자신의 주위환경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 자신과 주위세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대한 의견이 총체적으로 나타난다.21) 기존 연구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의를 토대로 할 때, 라이프스타일의 유형화와 이를 통한 시장 세분화의 개념은 Lazer(1963)22)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그는 라이프스타일을 18) Marx, W & Wittich, C.(1968), ‘Economy and Society,’ Vol.3, Bedwinster, N.Y, Vol. 1, p.305-306. 19) Adler A.(1969), by H.L. Ansbacher, The Science of Living: Anchor Book, Doubleday & Co., New York, p.38-47. 20) 김은주(2010), 「미혼 직장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박주현(2010),「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 행동연구」,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Lazer, W.(1963), 'Life Style Concept and Marketing,'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A. Greyser,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130-139. - 57 - “전체 사회 속에서 총체적 의미로 다른 부분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적인 생활양식”이라고 정의하였다. 그 이후로 Rapoport(1969)23)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해서 문화나 관습 또는 한 집단의 공통된 경험이나 가치관 등에 영향을 받아 특정 집단에 의해 영위되는 생활방식이라고 하였다. 즉, 주거형태는 사회구성원의 행동과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