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구조와 이해 7) 이근,진현정,자동차 인테리어의 감성 표현 요소에 관한 연구,기초조형학 회.2008 -10- 그림 4다양한 정보 전달 및 운전이외에 네트워크를 통한 활용 예를 들어 8)얼마 전 까지만 해도 고급차량의 센터페시아는 수많은 요소들 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었다.첨단 장비들이 늘어나면서 이를 제어하는 스위치의 수도 함께 늘어난 이유이다.그러나 인터페이스의 발달로 인해 멀티 컨트롤 시스템 도입으로 최소한의 요소만 남게 된다.예를 들어 BMW 7시리즈의 경우 I-Drive(IntruitiveDeive)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 듯이 운전자가 쉽게 각종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컴퓨터 마우스처럼 생긴 컨트롤러를 8가지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다이얼을 돌려 메뉴를 선택한 다음 클릭해 AV시스템과 내비게이션,온도조절,전화, 교통상황점검,차체 점검 등 모두 700여 가지의 기능이 조작이 가능하다. 아우디의 MMI(MultiMediaInterface)도 BMW의 I-Drive시스템과 같 이 복잡한 각종 장비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한 시스템이다.컨트롤러가 암레스트 끝 부분에 자리 잡은 I-Drive와 달리 MMI컨트롤러는 기억 박스 아래에 달려 있으며 컨트롤러를 돌리거나 눌러서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8)양수선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극민대 테크노디자인전문대 학원,2003 -11- 그림 5 직관적 인터페이스 적용 사례 :BMW I-Drive& AUDIMMI 혼다의 CMS(Collision mitigation BrakeSystem)는 사고를 막아주는 시 스템이다.라디에이터 그릴 안에 자리한 레이더가 앞차와의 거리를 지속적 으로 측정해,속도에 비해 앞차와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워지면 계기판에 불이 들어오고 경고음이 울린다.이를 운전자가 무시하고 거리를 좁히면 경고음 및 표시가 강조되고 약하게 브레이크가 작동되면서 프리텐셔너가 안전벨트를 가볍게 잡아당긴다. -12- 그림 6 Honda 자동차의 CMS system 차간거리를 자동차가 측정해 사고를 예방한다. 2.2.2 기능체계 -디지털 기기의 적용과 발전 -복잡한 기능전환의 해결 과거 생산자 중심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사용자의 사용성을 고려하기 보다 는 기술적인 부분과 공학적인 부분에서 개발된 기술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 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하지만 이동과 운송을 위한 엔진위주의 발전에서 주행에 관계된 메커니즘이 소형화 되고 디지털 기기가 적용됨에 따라 과거 의 인테리어 공간에 비해 많은 변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13- 예를 들어 차량의 물리적 운동부분의 제어를 운전자가 직접 하던 방식에 서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의 자동차 디지털 제어 컨트롤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자동트랜스미션을 이용한 자동기어와 파워스티어링 휠의 도입으로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편의성을 제공받게 되었고 ABS TCS,브레이크 시스 템은 동력의 힘과 디지털의 복합기능으로 기존의 인간의 물리적인 힘을 사 용하는 것에서 인간의 판단력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변화하고 있다.9)이와 같이 운전자를 위한 편의 장비에 의해 인테리어는 공간의 이득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해 디자인적으로 좀 더 자유로운 시도가 가능케 된다. 그림 7Honda자동차의 다양한 디지털제어 컨트롤 시스템 기술의 발전은 분명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른 개발과정의 결과이며 최 근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감성적인 만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있다.현 재까지의 인테리어는 운전자의 운전 실력이나 차량의 운전경험,차량의 종 류나 차량의 노화정도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적응해야만 했다.그러나 운 전자의 불만과 심리적 상태의 불안감은 늘 한결 같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 9)양수선,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 원,2003 -14- 는 자동차를 원했고,이러한 요구사항은 차량성능에 많은 변수를 만들어내 전자제어 방식 개발을 이루어 냈다.그 후 80년대 후반에는 전자제어방식 차량에 운전자 학습기능이 추가됨으로 사용자의 특징을 차량이 적응하는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연료의 품질수준,엔진의 컨디션 상태를 확인하고 그 에 따른 최상의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ECU가 개발되어 인 테리어 내의 운전자는 차량운행을 외부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동일한 조작 으로 섬세한 컨트롤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운전자 요구에 따른 수동기어나 자동기어방식의 발전은 대부분의 인 테리어센터콘솔 중앙부근에서 이루어졌으나 현재 패들시프트 기어의 개발 은 운전 중 한 손으로 기어를 변속하도록 하는 행위를 핸들에서 손을 때지 않고 기어를 변속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어려웠던 기어조작 학습행 위보다 좀더 효과적인 사용자 자원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림 8패들시프트 기어 (PaddleShift) -15- 2.2.3 공간체계 -메커니즘의 소형화에 따른 공간의 활용성 -인테리어 구성요소의 발전 -사용적 특성에 따른 공간개념의 변화 공간의 변화는 자동차 내부의 기계 메커니즘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메커니즘의 소형화에 따른 공간의 활용성은 다양해 질 수 있다. 현재 자동차의 실내 공간은 구분이 모호해 지고 공간의 통합,분리,중복 등이 활발하다.연료전지,수소엔진,하이브리드 엔진 등과 같은 대체에너 지 파워트레인으로 자동차 레이아웃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이를 통 해 차제 비례와 공간 구성이 자유로워지면서 동적 공간(mobile Accommodation)으로서 가변성이 높아졌다.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