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RCA(RoyalCollageofART)에서는 이 개념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인터렉션 디자인의 세 가지 범주를 정의해 놓았다. 1)인터렉티브 정보 디자인 :컴퓨터 소프트웨어,신드롬,월드와이드웹,하 이퍼 미디어,가상 정보공간 등 2)컴퓨터 하드웨어 디자인 :전자제품,컴퓨팅 시스템,인텔리전트 오브제 등의 디자인 3)인텔리전트 환경 디자인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의해 전달되는 13) 김난령“미래디자인의 새로운 전망,-인터렉션 디자인”산업디자인 9/10 2001 p10 -20- 공간 및 설치 디자인 인터렉션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얼마나 사용자를 위하는가 하는 문제 이다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 혹은 시스템과의 대화관계를 쾌적하고 즐거운 관계로 만드는 것이다.이는 곧 사용자의 자율성과 창조성을 존중하게 하 는 인간주의적 디자인 접근 방법인 것이다. 그림 10 인터렉션 디자인은 기존의 시각적 효과를 가지는 tangibledesign과 은유 적인 표현의 intangibledesign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즉 인터렉션 디자 인을 통해 오브젝트와 사용자간의 쌍방향 대화,사용 성을 목적으로 한다. 3.1.1 인터렉션 디자인의 특징 일반적으로 산업디자인은 조명기구,가전기구,자동차 등과 같은 단일 용도 디자인에 치중하여 왔으나 점차 시간이 흐를수록 전자미디어의 발전과 상 -21- 호 작용의 환경에 따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단일 특성보다는 여러 가지 복 합적인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있다. 기계를 좀 더 사용하기 쉽게 만들려는 노력은 접촉 각점(sensoryPointsofcontact)을 강화하고 물리적 인 디자인을 개선하는데 맞추어 진다. 인터렉션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관계는 산업과 기계공학 관 계와 유사하다.그 역할의 차이점은 인간의 인지 능력에서부터 출발하여 기술적 수행 측면까지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또한 인터렉션 디자인은 사용자와 소프트웨어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작용의 세 계에서의 형태미와 고급스러운 기능의 창조가 필수적이므로,제품의 사용 이 진행됨에 다라 그 다음에 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대화식으로 보여주어야 한다.이것이 인터렉션 디자인 산업디자인이나 소 프트웨어 엔지니어링과 다른 점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인지심리학을 근간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인 터페이스 특성들을 연구하여 흥미롭고 (interesting)풍요로우며 (rich)즐 겁고 (enjoyable)쉽게(easy)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적 디자인 접근법이다.하지만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인터렉션 디자인의 차이 점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 존재하는 공유 영역에 대 한 디자인인데 반하여,넓은 의미의 인터렉션 디자인은 인간과 컴퓨터,기 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디자인으로 이는 우리들이 제품을 개발 할 때 상 호작용을 중재하는 전자기기 및 컴퓨터에만 국한 될 것이 아니라 그 환경 과 시스템도 염두에 두어야 하는 근거가 되는 동시에 대상물이나 인터페이 스 그리고 더 나아가 사용하는 행위나 실행과정까지도 디자인해야 한다. -22- 그림 11인터렉션 디자인은 단순한 인터페이스와 소프트웨어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와 행위 환경,인터페이스 등 복합적 인 요소를 통하여 구성된다. 14)불린저(H.JBullinger)는 인간과 컴퓨터 간의 공생적 관계성을 유기적 시 스템으로 파악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그는 먼저 인간의 인지시스템을 과 업진술,기능진술,대화체계,입출력체계로 이어지는 4단계로 묘사하고 있 으며,이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 컴퓨터 즉 사용자 보조물 로서 컴퓨터 기 능구조를 응용표현,도구표현,대화체계,입출력체계의 단계로 파악하였다. 14)유사천“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디자인에서의 시각적 표현 수단에 관한연구”한 국과학기술원 2004p11 -23- 사용자의 인지시스템 단계와 컴퓨터의 기능 구조들 사이에는 각각의 단계 에서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4단계 즉 개념적 인터페이스,의미적 인터페이 스,통사론적 인터페이스,상호작용적 인터페이스가 자연히 설정되어진다. 결국 위의 4가지 인터페이스단계가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인터렉션 디자인 을 형성하는 주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HCI디자인을 구성하는 내용은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사용적 영역과 문자,언어,이미지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에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영역,그리고 인간의 지식,생 각,마음 등의 정보의 의미론적 영역에 해당하는 개념영역의 3가지로 파악 할 수 있다. 인터렉션 디자인의 공통된 신조는 기계보다 인간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예를 들면 디자인할 때 항상 어떻게 시스템을 조작해야 할지 고민 하지 않도록 가시화(visibility)되어져 있어서 그 기능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고,어떻게 일을 진행해야 할지 시스템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사람이 특정 객체를 보고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 한 연구가 선행되어져야 한다.따라서 가장 중요한 인터렉션 디자인의 요 소는 그 디자인을 사용할 사람의 인지 특성이 고려되어 어떻게 하면 시스 템과의 상호작용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느냐는 것이지 사람이 어떻게 디자인한 대상과 적응해 나갈 것이냐가 아니다.이처럼 인간과 컴퓨터 상 호작용에서 출발한 인터렉션 디자인은 인간과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인 간과 하드웨어 또는 인간과 시스템 환경과의 효율적이고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로 발전되어 왔다.그리고 이는 사용자와 디자인할 대상 과의 관계에서 인간의 지각적,인지적 특질을 바탕으로 능동적 커뮤티케이 션을 위한 디자인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24-
'콘피키오의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성과 기술의 발달 그리고 인간과 시스템 간 인터렉션 (0) | 2020.08.28 |
---|---|
인터넷과 웹, 멀티미디어, 휴대용 디지털 장비, 가상현실 등 인터렉션 디자인 (0) | 2020.08.27 |
디지털 기술과 편의장비 적용 등 실질적 기어조작부분 (0) | 2020.08.27 |
자동차 구조 이해 및 인테리어 감성 표현 요소 (0) | 2020.08.27 |
디지털 시대와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변화 (0) | 2020.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