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26 운행 중 각종 정보와의 관계도 -64- 5.2 Design Concept 위와 같은 연구내용과 인터렉션 요소들을 바탕으로 운전자와 차량 간의 보 다 다양하고 원활한 Communication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토대로 운전 시 필요한 동작 및 정보들을 운전자의 개인 취향 및 조건에 맞게 변화시켜 보 다 편안하고 안전한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을 제 안한다. 그림 27디자인 제안 포지셔닝 모터쇼의 컨셉트 카 인테리어 디자인을 기본으로 향후 인테리어 디자인 트 렌드를 크게 4가지 방향으로 분류해 이미지 맵을 만들었다.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포지션은 사용 시 어떻게 조작할지 고민하지 않도록 가시화 -65- (visibility)되어져 있어서 그 기능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고 소재 및 디스 플레이를 통해 경험 및 감각을 통한 차량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5.3 구성 요소 본디자인을 진행함에 있어서 다루어진 중요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으며 운 전 시 행하여 지는 기본적인 행위를 중심으로 하여 각 분야별로 인터렉션 요소을 적용,제안 하고자 한다. 그림 28 디자인 제안 구성요소 -66- 5.3.1 Auto ergonomic system Autoergonomicsystem 은 운전자의 개인적 취향 및 체격조건 등의 정보 들을 스마트카드 등의 저장 장치에 Update하여 차량과의 Communication 을 통해 운전자의 조건에 맡는 최적의 Package를 제공하여 보다 편하고 안전한 운행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29Autoergonomicsystem -67- - Seat Position 탑승 시 보다 편하고 손쉬운 자세를 제공할 수 있도록 Rotation기능을 부 여했으며 탑승 후 저장된 운전자의 Data base를 통해 자동으로 Seat position을 Setting할 수 있다. - Steering Wheel Position Auto Tilting 과 Telescope기능을 적용하여 탑승 시 운전자와 Steering Wheel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착석 후 Seating Position과 연동하여 최적의 Reachzone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30SeatPosition& Steering Wheel Position -68- 5.3.2 Intelligent Smart Card IntelligentSmartCard는 보다 진보된 형태의 Smartcard형식으로서 운 전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자유로운 형태의 Communicator를 통해 입 출력 하도록 하여 운전시의 차량 상태를 운전자가 선호하고 필요로 하는 환경으로 Setting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31IntelligentSmartCard 그림 32 자동차 키의 변천과정 및 예측 -69- 향후 급격한 무선 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 의 발전으로 보다 자유로운 형태의 Smartcard 구현이 가능토록 해주며 기능적으로도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들과 통합 및 공유하여 자동차에만 국한된 기능이 아닌 일상생활 에 필요한 대부분의 디지털 기기들의 기능 등을 포함 할 수 있을 것이다. 5.3.3 Customized Control CustomizedControl을 통하여 HVAC,Audio등과 같이 운전 시 조작을 필 요로 하는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Layout,Control방식,Color,Sound등을 TouchScreen방식을 적용하여 개인 취향에 맞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33CustomizedControl -70- - Control Type 운전자의 취향에 맞도록 Sliding,Rotate등 2가지의 ControlType을 지원하 며 Function지정 후 보다 확실하고 빠른 인지를 유도하기 위하여 진동 및 효과음을 부여 한다.. 그림 34ControlType -71- - Display Type 운전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Meter Cluster의 Display Type을 Digital, Analog등 2가지의 DisplayType을 지원한다. 그림 35DisplayType -72- - Display Color Warm -CoolMode의 DisplayColor를 지원하며 운전자의 선호색상,자동 차 내,외부 환경등과 연계하여 설정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36HVAC Control 그림 37MeterCluster -73- - Sound Control 적용하고자 하는 행위들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인지 할 수 있도록 동작 시 효과음을 적용 하였으며 운전자 취향에 맞게 설정 할 수 있도록 Sound Control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제공 되는 효과음 이외에 외 부 SoundSauce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도록 배려한다. 그림 38SoundControl -74- 5.3.4 Emotional Communication 운전자의 신체적 상태와 변화를 감지,Color/Graphic등의 변화를 유도하 여 필요한 정보를 인지하도록 한다. 그림 39EmotionalCommunication -75- - Provide different mood I/P Upperskin을 RearProjectiontype으로 Display화 하여 운전자 취향 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Image및 동영상 등을 Play할 수 있으며 Update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40Providedifferentmood - An advance warning 현재 차량의 상태 및 외부환경에 따른 위험 요소들을 감지하고 이를 대형 Size의 Telltale들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빠르고 쉽 게 인지 할 수 있도록 유도 하였다 그림 41An advance warning -76- - Health Care 운전자의 체온,체중 심박 수 등 신체적 특성을 저장 및 실시간 Check하 여 이상 징후 감지 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며 또한 위급상황 발생시 자 동으로 현재 운전자 및 차량의 상태,위치 등의 정보 등을 병원 등 관련기 관에 통보 하여 신속한 구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림 42HealthCare - Music 현재 Play되고 있는 음악 성격에 대응하여 그에 어울리는 화면 구성을 제 공한다. 그림 43Music -77- 5.3.5 Advanced Head-up Display Sensor를 통해 입수된 현재 도로면에 대한 3차원 Data를 바탕으로 Navigation등의 정보들을 실제 도로 표면에 그려진 것과 같은 효과로 Display 함으로써 운전 시 운전자가 시점변화 없이 정보들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이 가능 하도록 한다. 그림 44AdvancedHead-upDisplay -78- 5.4 Styling Proposal 전체적으로 Modern 하면서 Simple한 느낌의 인테리어로 Low & Away I/P,ThinProfileSeat& Console등을 적용하여 Spacious한 내부 공간을 연출 하였다.Color및 Material측면에서는 Black & White Color의 2 ToneCombination과 HighGlossy& MattFinishedCombination등을 적 용 하여 Color,Material모두 HighContrast의 느낌을 강조 하였다. 그림 45StylingProposal -79- 그림 46Quarterview driverside 그림 47 Quarterview passengerside -80- 그림 1strow 그림 49Overallview -81- 제 6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자동차 테크놀러지의 발달과 환경의 변화로 인해 자동차 인테리어는 운송 수단을 조종하는 공간에서 이동 간에 거주하는 생활공간으로서의 인식 변 화를 가지고 왔다. 때문에 사용자들은 제한된 공간에서 짧은 시간에 좀 더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요구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생산자들은 초소형 컴퓨터와 모바일 인터넷 등 최신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 업무 나 휴식,오락 등의 다양한 경험을 가능케 했다.
'콘피키오의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현대 주거환경 변화 (0) | 2020.08.28 |
---|---|
IT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 인테리어 (0) | 2020.08.28 |
자동차 인테리어와 어포던스 형성 (0) | 2020.08.28 |
인터랙션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 (0) | 2020.08.28 |
소통의 즐거움과 인터렉션 디자인 (0) | 2020.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