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포던스 개념을 제품에 체계적으로 적용하기를 강조한 사람은 인지 심리학자 노만(Norman1992)이다 상품이나 어떤 물건을 디자인 할 때 개념을 염두에 둠으로 해서 그것을 처음 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밀어야 하는 물건을 26)정안숙,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인터랙션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국민대 학교 디자인 대학원 1999p41-42 27)김민수,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솔 1997p77-90 -37- 밀 수 있게 보이게 만들고,당겨야 하는 물건은 당기게 만드는 것이다.따 라서 각 상품이나 제품이 분명하고,명료하게 지각할 수 있는 어포던스를 가지고 있을 때 사람들은 번거롭게 설명서를 읽지 않고서도 오류를 범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림 15인터넷환경에서의 어포던스 디자인 사례 . 두 사이트 모두 초기화면의 주기능은 검색이다 따라서 검색하고 싶은 마음이 들고 쉽 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두 사이트를 비교해 보면 왼쪽의 경우 불필요 한 요소에 의해 검색의 어포던스가 약해진 것을 볼 수 있다.그에 반해 오른쪽의 사이 트는 검색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그 외의 요소를 삭제했다.즉 객체의 어포던스는 자신 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주변 요소의 디자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38- o네비게이션(Navigation) 28)네비게이션이란 ‘사용자가 스스로 시스템 내에서 상호작용의 길을 정하 고 전체 시스템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는 것이다.제품이나 시 스템은 사용의 경로가 논리적 단계가 행동을 가진 합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이러한 구조는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을 배우는데 소비하는 시 간과 작업수행 속도 및 오류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기억력을 더욱 증 대 시킬 수 있다. 그림 16 AppleIPodseries에 메타포 역할을 하는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 방법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작업수행 속도 및 오류를 최소화 시킨다.. 28)김옥철 옮김 클레멘트 목 지음,디지털 시대의 저오,안그래픽스,1997 -39- 그림 17 사용자의 인식단계 도식화 인터랙션 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적 요소는 인간의 인지적 특성,행동양식, 사용 상황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제품을 쉽게 식별하고,조작하며,이해를 배울 수 있어야 한다.이와 같이 사용성 요소를 통해 사용자가 제품을 조 작할 수 있는 과정은 사용자가 제품,공간,서비스 안에서 행하여지는 목 표,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그 이후의 행동을 살펴본다.결과적으로 인터페 이스에 나타나는 변화를 지각하고,결과를 해석하며,목표 상태와 비교 평 가하게 된다.이때 사용자가 어떤 행위를 하고 그 행위에 적합한 단서 및 정보를 인터페이스가 얼마나 잘 제공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제품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성이 결정된다. -40- 3.2.2 의미론적 요소 인터렉션 디자인 구현에 있어서는 사용적 요소와 같은 제품에 자체의 물리 적 범주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에 관련된 심리적이고 사회,문화 적인 의미적 범주까지 확대된다. 보드리야드는 ‘소비의 기호론’에서 상품은 소비자의 생존의 욕구나 물질 생 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지만,오늘날의 소비사회에 서는 상품이 기호화하여 사회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언어와 같이 의미작 용을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함으로써 상품을 기호로 포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제품 자체가 우리 생활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갖는다면,제품은 정 보,즉 의미를 동반하는 ‘기호’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처럼 제품 디자인은 실질적인 가치와 더불어 개념적인 가치적 두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제품을 일단 선택한 후 사용하고 인식하는 과정에서는 기능 전달 체로서.보다 상징적 전달체로서 사용자에게 인식된다.그 의미는 제품 자 체에 근본적으로 내재해 있는 실제적 가치 요소보다는 인간과 물건의 상황 사이에서 생겨나는 상징적이고 주관적인 개념적 가치에 중요성을 말하는 것이다.여기에서 제품의 개념적 가치는 사용자가 제품을 인식할 때의 연 상적 사고,집단적 가치,관습,기억,사회적 제도,개인의 심리적 배경 그 리고 제품을 인지할 당시의 상황들이 작용하게 된다.즉 제품의 의미는 주 어진 상황 아래에서 그 제품에 대한 개인적 지각의 총체라고 볼 수 있다. 어떤 제품을 독자적으로 특징짓기 위해서는 제품 속성에 대한 지각이 요구 되며,개인이 지각하는 제품의 의미는 그 제품이 지니고 있다고 인지되는 속성적 특징들에서부터 비롯된다. -41- 이러한 제품의 개념적 가치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은 디자인을 하나의 기호 창출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개념이며,창출된 기호에 내재된 이미지 는 제품에 대한 내재적 가치로서 존재한다. 하나의 기호는 기표(signifier)와 기의(siginified)의 결합으로 이루어 지는 데,기의는 기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추상적 의미를 지칭하는 것으로 기표 와 기의가 결합되는 ‘의미작용’을 통해 독립된 하나의 기호가 형성된다.이 렇게 형성된 기호 의미의 해석을 위해서는 그 위미를 공유케 할 수 있는 문화나 이데올로기 혹은 사회와 같은 공통의 요소를 갖고 있어야 한다.이 같은 공통의 요소를 바탕으로 디자인된 제품과 사용자와의 의미적 관계성 을 설명할 수 있다.29) 29)위진,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제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서울여자대학교 대학 원,1999 -42- 그림 18 의미론적 요소구조 도식화 30)인터렉션 디자인에 있어서 제품과 사용자간의 의미작용 즉,시각화된 조 형이 창출해내는 의미를 통한 제품과 사용자의 심리적 상호작용성은 의미 론적 요소가 자동차 디자인에서 인터렉션 디자인의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이는 디자이너로 하여금 상징적이고 은유적 인 접근을 통해 제품과 사용자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근을 필 요로 하게 되었다. 30)위진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제품디자인에 관한 연구,서울 여자대학교 대학 원,1999 -43- -지시적 의미작용 조작과 작동에 대한 기능적 전달을 목적으로 은유나 상징과 같은 표현을 통해 가시화하는 방법으로서 실질적 기능을 심미적 기능화 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다른 의미의 해석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정확한 해석소를 가시화 하여야 하며,기호 형태와 개념 모델이 적절한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제품 내재하는 추상성 때문에 기기의 형태와 상태 사이에는 ‘의미적 간격’ 이 존재하는 것이다.이와 같은 내적 인공물의 경우 내적 표상 안에 숨어 있는 정보들을 사용 가능한 표상적 형태로 변화시켜주는 은유적 인터페이 스가 필요하다.은유는 이러한 간격을 좁히기 위해 고안된 일종의 상징적 인 중개체라고 할 수 있다.은유는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디자인 인터페 이스를 위해 쓰여질 수 있다.
'콘피키오의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통의 즐거움과 인터렉션 디자인 (0) | 2020.08.28 |
---|---|
아이콘과 재현의 3가지 종류 도상적, 지표적, 상징적 (0) | 2020.08.28 |
멘탈 모델, 인지과정 통한 상호작용적 모델 (0) | 2020.08.28 |
사용성과 기술의 발달 그리고 인간과 시스템 간 인터렉션 (0) | 2020.08.28 |
인터넷과 웹, 멀티미디어, 휴대용 디지털 장비, 가상현실 등 인터렉션 디자인 (0) | 2020.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