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장 연구설계 제 1 절 연구모형의 설계 및 연구가설의 설정 본 연구에서는 고급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레스토랑이 지니고 있는 인테 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 계를 통해 고객의 외식구매행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 및 점포이미지의 측정척도를 개발하고 고객만족 및 충성도와의 관 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외식고객의 구매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 고, 그리고 외식기업의 마케터에게 유용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 의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1. 연구모형의 설계

 

2. 연구가설의 설정 1)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의 관계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는 독특한 차별화를 통해 고객의 기 호와 선호를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Bitner(1992)의 서비스케이프의 가시적인 디자인요소 로서 건축미, 색상 등 의 미적 요소와 레이아웃 안정성 등 기능적인 요소를 지닌 종합적인 결과 의 표현이며, 동시에 친근감, 귀속감, 흥미감과 같은 심리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과 같은 Baker(1986)의 주 변적 요소와 동일한 개념으로 환경의 배경적 특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는 레스토랑을 방문하는 고객의 행위 와 구매, 서비스 경험에 대한 만족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고, 경우에 따라 서 레스토랑의 핵심 상품인 음식이나 음료 자체보다 구매결정에 더 큰 영 향을 미쳐 고객의 태도와 이미지 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레이아웃과 같은 기능적인 속성과 친 숙감과 같은 심리적 속성은 레스토랑을 이용하면서 고객의 지각 속에 상호 작용하는 종합요인(Marks, 1976)인 점포이미지와도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H1 :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는 점포이미지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을 것이다.

 

2)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고객만족의 관계 Wakerfield & Blodgett(1996), Hightower, Brady, & Baker(2002)의 연구 에서 서비스 공간의 배치와 접근성, 시설물의 미적요소 등은 서비스 품질 지각 뿐만 아니라 서비스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호텔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한 김광근 외(2002)의 연구에서도 인테리 어 디자인 같은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업용 스포츠센터를 대상으로 인테리어 디자인의 물리적 증거가 서비스 품질, 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원구현, 2003)에서 인 테리어 디자인의 물리적 증거는 고객만족과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고, 반면에 고객애호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영석 외(2006)와 권성태(2006)의 연구에 서도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선호도는 고객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고객만족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H2 :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의 관계 레스토랑 점포이미지는 고객의 제한된 동기와 인지적 능력으로 인해 복 잡한 정보를 단순화하고자 하는 고객의 해석이라고 볼 수 있다(Mitchel 2001). 그러므로 레스토랑 점포이미지는 레스토랑과 같은 소매업 분야에서 는 매우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할 수 있다. 전종근・홍성태(2003)은 인터넷 쇼핑 이용자를 대상으로 점포이미지가 구매 후 만족도를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 았다. 국내 패밀리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점포이미지를 연구한 이상건(2006)의 연구에서 긍정적인 점포이미지를 인식하는 집단의 고객만족도가 그러하지 못한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밝혀졌다. 그리고 이수진(2007)은 점 포이미지와 고객만족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점포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H3 : 레스토랑 점포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고객만족과 충성도의 관계 Oliver(1999)는 고객만족이 충성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변수로 보 았고, Anderson & Sullivan(1993)도 고객이 특정 서비스 제공자에게 만족 할수록 충성도가 높아진다고 주장하였다. 여행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 는 영향관계를 측정한 윤지환(2006)의 연구에서도 고객만족이 높은 고객일 수록 충성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호텔레스토랑을 대상으로 관계혜택, 고객만족, 그리고 충성도의 변수로 재구매 의도 및 구전효과의 영향관계를 측정한 연구(최웅 외, 2007)에서도 호텔레스토랑 고객의 고객만족은 재구매 의도나 구전효과에 영향을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레스토랑의 고객만족과 충성도의 관계를 다음과 같 이 제시할 수 있다. H4 : 레스토랑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 2 절 실증조사의 설계 1. 조사표본의 설계 사회과학에서 연구는 관심의 대상이 되는 모집단의 사회적, 심리적 속성 을 수량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상대적 빈도나 크기 및 분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물론 정확성, 기술적 타당성, 표본의 대표성 등을 고 려하여 표본추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모집단은 서울시내 고급 레스토랑으로 정하고, 표본 추출은 고급 레스토랑이면서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 및 점포 이미지가 차별화된 서울지역 특급호텔에서 운영하는 고급 레스토랑을 방문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성별 (남성 50%, 여성 50%) 그리고 연령별로는 특 정 연령층에 편중되지 않도록 고르게 할당표본추출을 하였다. 모집단 및 표본의 규정은 다음 과 같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09년 1월 3일부터 2009년 1월 24일까지 약 3주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면접원 들이 설문조사에 대한 취지와 기입방법을 설명토록 하고, 설문자 들이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법을 시행하였다. 면접원 사전 교육에서는 면접자의 태도와 언행, 피조사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조사상 황의 통제요령, 설문 내용의 숙지 및 체크요령 등을 사전에 충분히 교육시 켜서 조사에 나서게 함으로써 오류의 가능성을 최소화 하였다.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의 선정 1)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 본 연구에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는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에 고객이 지각하는 인간적인 특성’으로 정의하고 이에 측정은 인간적인 특성의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Aaker(1991)의 브랜드 개성 척도 42개 항목을 이용하여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 추출한 18개의 레스토랑 인테리어 개성 측정변수를 이용하였다. 측정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1) ~ 매우 그 렇다 (5)와 같이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레스토랑 점포이미지 본 연구에서 레스토랑 점포이미지는 ‘고객이 레스토랑 방문경험을 통해 노출되는 다양한 마케팅 자극에 의해 형성된 전반적인 레스토랑 점포이미 지’로 정의하고 자한다. 측정변수는 Collins-Dodd & Lindley(2003)의 인적 서비스, 가격, 상품의 다양성, 점포분위기, 그리고 이상건(2006)의 위생요인 을 포함하여 총 21개 측정항목을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척도는 전혀 그렇 지 않다(1) ~ 매우 그렇다 (5)와 같이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3) 고객만족 본 연구에서 고객만족은 Johnson & Fornell(1991)가 정의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 제공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로 정의 하고 측정항목은 Oliver(1997)의 기대만족, Oliver & Swan(1989)의 가치만 족, 그리고 Tse & Wilton(1988)의 성과만족 등의 연구를 토대로 김형일 외(2008)와 라선아(2009)에 의해서 검증된 5개의 측정항목을 통해 측정하 였다. 측정척도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1) ~ 매우 중요하다 (5)와 같이 리 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4) 충성도 본 연구에서 충성도는 Jones & Sasser(1995)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한 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애착 또는 애정의 감정상태”로 정의하고 이 런 감정은 고객들이 장기간에 걸쳐 그 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를 재구매 하 게 되고, 타인에게 추천하는 구전활동 및 프리미엄 가격을 지불하려는 의 지 등의 행동으로 보았다. 측정변수는 최웅 외(2007)의 레스토랑 재방문의 사 및 추천의사를 포함하여 총 6개의 측정척도를 이용하였고, 측정척도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1) ~ 매우 중요하다 (5)와 같이 리커트 5점 척도를 이 용하였다.

 

5) 인구통계적 특성 및 외식행태 본 연구에서 레스토랑 선택속성의 측정은 인구통계적 특성 변수인 성별, 연령, 학력, 결혼, 월평균 수입 등 총 5개의 문항을 통해 측정하였고, 외식 행태는 외식시기, 외식비, 동반자, 교통수단, 정보원천, 소요시간, 선호메뉴 등 7개의 문항을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척도는 명목척도 및 서열척도를 이 용하였다. 3. 설문지의 구성 본 연구에서의 설문지는 다음 와 같이 전체 Part Ⅰ~VI까지 총 6부문으로 구성하였는데, 각 부문별 구체적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Part Ⅰ: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에 관한 질문내용으로서 Aaker(1997) 이 개발하고 Siguaw, et. al.(1999)가 레스토랑에 적용하였던 측정항목 18문 항을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Part II :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에 관한 질문내용으로서 Collins-Dodd & Lindley(2003)과 이상건(2006)의 측정항목을 토대로 총 21문항으로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Part III : 레스토랑 고객만족에 관한 질문내용으로서 라선아(2009)와 김 형일 외(2008)이 적용한 측정항목을 토대로 총 5문항으로 리커트 5점 척도 로 구성하였다. Part IV : 레스토랑 충성도에 관한 질문내용으로서 라선아(2009)와 최웅 외(2007)이 적용한 측정항목을 토대로 총 6문항으로 리커트 5점 척도로 구 성하였다. 마지막으로 Part V와 Part VI는 외식행동특성 및 인구통계적 특성 및 고용특성에 관한 질문내용으로 구성하였다.

 

4. 분석방법 및 절차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연구자가 선택할 수 있는 분석기 법은 다양하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분석기법의 선택이 자료의 양과 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기대되는 바 람직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변수의 수, 분석의 성격, 척도의 종류 등 표본의 전반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이에 부합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Win. Ver. 11.5 통계패키지와 AMOS 5.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을 사용하고 절차를 진행하였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외식의 행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 도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연구가설 검증의 사전단계로 연구의 개념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 자인 이미지, 점포이미지,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대한 기술분석 및 신뢰도 검증을 통해 측정단위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셋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 각 각 연구개념의 단일차원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탐색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그리고 확인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간 정준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 및 점포이미지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인관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추가 분석으로 인구통계적 특성 및 외식행태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인 레 스토랑 인테리어 개성, 점포이미지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제 4 장 분석결과 제 1 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표본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 결혼유무, 월평 균 수입 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성별에 있어서 남성이 198명(49.9%), 여성이 199명(50.1%)으로 나타났으 며, 연령에 있어서는 20세 미만이 23명(5.8%), 20대가 156명(39.3%), 30대 가 115명(29.0%), 40대가 78명(19.6%)으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학력에 있 어서는 고졸이 39명(10.0%), 전문대졸이 145명(37.2%), 대졸이 165명 (42.3%), 대학원 이상이 41명(10.5%)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월평균 수입에 있어서는 200만원 미만이 155명(39.7%), 200~399만 원이 153명(39.2%), 400~599만원이 65명(16.7%), 600만원 이상이 17명 (4.4%)으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표본의 외식행태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에 제시하였는 데, 표본의 외식시기는 주중인 경우가 136명(34.3%), 주말인 경우가 260명 (65.7%)로 나타났고, 월 외식비는 10-20만원대가 160명(40.8%), 20-30만원 대가 123명(31.4%), 30-40만원대가 81명(20.7%), 40만원 이상인 경우가 28 명(7.1%)으로 나타났다. 동반자를 묻는 설문에는 가족인 경우가 136명 (35.7%), 친구인 경우가 119명(31.2%), 연인인 경우가 73명(19.2%), 회사동 료인 경우가 46명(12.1%), 그리고 기타가 7명(1.8%)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을 묻는 설문에는 자가용을 이용하는 경우가 211명(54.0%), 그 리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가 180명(46.0%)으로 나타났다. 외식정 보를 얻는 원천으로는 신문이 16명(4.2%), 잡지가 35명(9.1%), 인터넷이 172명(44.9%), 구전이 116명(30.3%), 전단지가 14명(3.7%), 그리고 기타의 경우가 30명(7.8%)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식 시 식당에서의 소요시간을 묻는 설문에는 약 1시간인 경우가 84명(23.8%), 약 2시간인 경우가 185명(52.4%), 3시간 이상인 경우 가 84명(23.8%)로 나타났다. 외식시 선호하는 메뉴를 묻는 설문에는 한식 이 100명(26.5%), 중식이 56명(14.9%), 일식이 64명(17.0%), 양식이 144명 (38.2%), 그리고 기타의 경우가 13명(3.4%)로 나타났다.

 

제 2 절 연구변수에 대한 기술분석 1.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기술분석 은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기술분석 결과표 이다. 18개 측정항목 중 ‘판타지(공상/상상)의 느낌을 준다 (M=2.81)’라는 측정 항목만 제외하고, 나머지 17개 측정항목이 모두 중앙값(M=3.00)이상의 분 포를 보이고 있다. 즉, 측정된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의 평가가 대체 로 평균이상으로 높게 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변수 중 가장 높게 나타난 측정항목은 ‘이 점포에 잘 어울린다(M=3.70)’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 이 점포의 컨셉 에 잘 어울린다(M=3.66)', '건전하다(M=3.64)', '자연스런 분위기를 제공한다 (M=3.54)', '믿을 만한 분위기(M=3.54)', '친근감이 있다(M=3.53)'으로 레스 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변수 중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반면에 ‘판타지(공상/상상)의 느낌을 준다(M=2.81)', '혁신적이다(M=3.08)', '최신유행에 어울린다(M=3.10)', '여성적이다(M=3.14)',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2. 점포이미지에 대한 기술 분석 은 점포이미지에 대한 기술 분석 결과표이다. 21개 측정항목 모두 중앙값(M=3.00)이상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즉, 측정된 레스토랑의 이 미지의 평가가 대체로 평균이상으로 높게 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점포이미지변수 중 가장 높게 나타난 측정항목은 ‘청결상태가 좋다 (M=3.81)’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직원은 친절하다(M=3.81)', '식재료가 신선하다(M=3.80)', '테이블에 놓여있는 냅킨, 포크, 나이프, 수저는 깨끗하 다(M=3.79)', '제공된 음식의 온도는 적당하다(M=3.79)', '화장실의 세면대 와 화장실내는 깨끗하다(M=3.78)'가 점포이미지변수 중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반면에 ‘디저트의 가격수준은 적절하다(M=3.21)', '와인의 가격수준은 적 절하다(M=3.27)', '음료의 가격수준은 적절하다(M=3.27)', '주차하기가 편 하다(M=3.27)' 등은 점포이미지변수 중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3. 레스토랑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대한 기술분석 은 레스토랑 만족 및 충성도에 대한 기술 분석 결과표이다. 만 족 및 충성도 총 11개 측정항목 모두 중앙값(M=3.00)이상의 분포를 보이 고 있다. 즉, 측정된 레스토랑의 만족 및 충성도가 긍정적으로 지각되고 있 는 것을 알 수 있다. 레스토랑 만족변수 중 가장 높게 나타난 측정항목은 ‘음식에 만족 (M=3.77)’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전반적인 만족(M=3.64)', '타 레스토랑 에 비해 만족(M=3.58)', '음료(주류 포함)에 만족(M=3.44)’, ‘가격에 대비 만족(M=3.35)'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스토랑 충성도의 측정항목 중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인 항목은 ‘레스토랑의 평판이 좋다(M=3.75)'이고, 그리고 '재방문 의사(M=3.71)', '전 반적인 인상이 좋다(M=3.71)', ‘전반적으로 이 레스토랑에 대해 호의적이다 (M=3.70)',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M=3.68)’, ‘지속적으로 이 레스 토랑을 이용할 것이다(M=3.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 3 절 연구단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변수들의 상관관계 를 이용하여 본래의 변수들이 갖고 있는 의미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보다 적은 수의 요인으로 요약하는 R-type 탐색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적용하였으며,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직각회전의 varimax 방법 을 사용하였다. 요인추출과정에 있어서는 고유치(eigenvalue) 기준을 적용 하여 1보다 큰 요인에 대해 요인화 하였다. 또한 요인범주 내에서 속성들의 결합이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알 아보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검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값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추가로 각 연구단위 들에 대한 개념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연구단위 별로 확인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확인요인분석은 신뢰도 분석이 단일차원성을 가정하지만 검증하지 못하 기 때문에 이용된다(Gerbing & Anderson, 1988). 적합도는 GFI(Goodness-of-Fit Index; ≥ 0.90이 바람직), AGFI(Adjusted Goodness-of-Fit Index; ≥ 0.90 이 바람직), RMR(Root Mean Square Residual; 0.05보다 작을수록 바람 직), NFI(Normed Fit Index; ≥ 0.90이 바람직), χ 2(작을수록 바람직), χ 2에 대한 p값(≥ 0.05가 바람직)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1.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탐색요인분석 결과를 다음 에 제시하였다. 요인 1은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변 수 중 ‘혁신적임’, ‘판타지 느낌’, ‘최신유행’,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유일한 것’, ‘타 점포에 비해 새로운 것을 시도함’, ‘신선한 분위기’ 등 6개의 변수 에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고 있어 요인명을 ‘흥미로움’이라 명명하였으며, 신뢰도는 85.4%의 매우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2는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변수 중 ‘타 점포에 비해 우수하다고 본다’, ‘잘 어울린다’, ’점포의 컨셉에 잘 어울린다‘, ’지적이다‘ 등 4개의 변수에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고 있어 요인명을 ‘유능성’이라 명명 하였으며, 신뢰도는 81.8%의 매우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요인 3은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변수 중 ‘친근감이 있다고 생각함’, ‘활기차다’, ‘자연스런 분위기를 제공한다.’, ‘가족지향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건전하다’ 등 5개의 변수에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고 있어 요인 명을 ‘진실성’이라 명명하였으며, 신뢰도는 78.4%의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요인 4는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 인변수 중 ‘부드러움’, ‘여성적임’, ‘세련된 분위기를 제공.’ 등 3개의 변수에 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고 있어 요인명을 ‘세련성’이라 명명하였으며, 신뢰 도는 81.1%의 매우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확인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에 따라 도출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의 4개의 내재된 차원인 흥미로움의 6개 항목, 유능성의 4개 항목, 진실성 의 5개 항목, 세련성의 3개 항목을 포함하여 총 18개의 측정항목을 이용하 여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에서와 같이 적합도가 χ 2=273.93 (df=115), p=0.000, RMR=0.041, GFI=0.933, AGFI=.900, NFI=.914, CFI=.948, RMSEA=.059로 요인내 항목들은 집중타당성을 유지하고, 요인간 에는 판별타당성이 유지 되는 것으로 해석하여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되어 추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2. 점포이미지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점포이미지에 대한 탐색요인분석 결과를 다음 에 제시하였다. 요인 1은 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변수 중 ‘직원이 메뉴에 대해 충분한 설 명을 함’, ‘직원이 친절’, ‘직원이 고객의 요구를 신속하게 처리’, ‘직원의 용 모는 단정함’, ‘주문 후 음식의 제공시간은 적절함’ 등 5개의 변수에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고 있어 요인명을 ‘인적서비스’이라 명명하였으며, 신뢰도는 87.9%의 매우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2는 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변수 중 ‘음식의 맛’, ‘식재료가 신선함’, ’ 제공된 음식은 고객의 입맛에 맞음‘, ’제공된 음식의 온도는 적당함‘, ’식사 시간이 적절함‘ 등 5개의 변수에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고 있어 요인명을 ‘메뉴’라고 명명하였으며, 신뢰도는 84.2%의 매우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3은 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변수 중 ‘화장실의 세면대와 화장실내는 깨끗함’, ‘식당내 집기비품의 정리정돈이 잘됨’, ‘테이블에 놓여 있는 냅킨, 포크, 나이프, 수저가 깨끗함’, ‘식당 내 청결상태’ 등 5개의 변수에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고 있어 요인명을 ‘위생’이라 명명하였으며, 신뢰도는 86.1% 의 매우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의 선행연구 선행연구를 통해 볼때 점포이미지는 기능적 속성과 상징적(심리적) 속성 이 결합된 개념(Steenkamp & Wedel, 1991; 정형식․김영심, 2003)으로 간 주되고 있다.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한 점포이미지의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렵고, 일반적으로 의류 및 화장품관련 점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류 를 이루고 있다. 이상건(2006)은 패밀리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를 이용한 세 분화연구에서 점포이미지의 유형을 위생, 인적서비스, 분위기, 맛과 가격으 로 구분하고, 점포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군집이 고객만족도가 상 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이수진(2007)은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의 영향관계 연구에서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의 인적서비스, 가격 및 음료의 다양성, 그리고 메뉴요인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대형할인점과 백화점의 기능적 점포이미지와 점포애호도와 영향관계를 측정한 연구에서 제품/가치 및 편의성으로 구성 된 기능적 점포이미지는 점포애호도에 유의한 영향변수라는 점을 검증하였 다(전달영외, 2009). Lindquist(1974)도 품질, 구색, 입지, 판매원, 편의성 등이 기능성 점포이 미지를 구성하고, 동일 상권내 에서 여러 점포가 경쟁시 소비자는 긍정적 인 점포이미지를 지닌 점포를 선택한다고 하였으며, Baugh & Davis(1989) 는 의류제품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품질지각에 미치는 점포이미지의 연구에 서 점포이미지가 좋을수록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이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 다. 국내의 신종국․공혜경(2004)와 권순기 외(1999)의 연구결과에서도 긍 정적인 점포이미지가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능적 점포이미지가 좋을수록 점포충성도가 높다는 것은 선행연구 (Hirschman, 1981; Sirgy & Samli, 1985; Bloemer & Ruyter, 1998)에서 이 미 검증되었고, 상징적 점포이미지도 긍정적 일수록 점포충성도가 높다는 점이 주장되었다(Samli & Sirgy, 1981; Sirgy & Samli, 1985). Stern, Bush & Hair(1977)와 안광호․김미라(1991)도 자아이미지와 점포이미지가 일치 할수록 점포충성도가 높다는 점을 밝혔다. 전종근․홍성태(2003)은 인터넷 쇼핑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에서 온라인 서비스, 쇼핑경험, 명성, 상품 및 정보가치, 배송서비스 등의 점포이미지 속성들과 지각위험이 구매 후 만족도를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전종근․이태민(2004)는 점포이미지와 충성도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 온라인 쇼핑인 경우 점포이미지의 상징적 이미지와 서비스가 충성도 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반면에 품질대비 가격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백화점인 경우 점포이미지의 상징적 이미 지와 구색이 점포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온라인 쇼핑처 럼 품질대비 가격요인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할인점의 경우 점포이미 지의 상징적 이미지, 광고 명성 그리고 구색이 점포충성도에 정(+)의 영향 을 미치고, 마찬가지로 품질대비 가격요인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보면 점포이미지의 연구 대상이 주로 의류 및 패션 그리 고 유통매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왔으며, 레스토랑을 대 상으로 한 점포이미지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그리고 점포이미지의 요 인도 연구의 대상에 따라 매우 상이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점포이미지의 구성요인을 파악하여 앞서 고찰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가 고객만족 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통해 레스토랑 고객의 선택 과 구매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제 4 절 고객만족 1. 고객만족의 정의 및 구성 고객만족 개념은 1972년 미국 농산부에서 농산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지 수(CSI)를 측정하여 발표한 이후 마케팅 학계에서 독립된 연구영역으로 부 상하여 현재까지 연구되어 지고 있다. 고객만족에 대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만족이란 구매자가 구매에 수반된 보상과 비용을 사전에 예상 했던 것들과 비교하여 얻어지는 구매 및 사용의 결과이다. 둘째, 구매를 위해 고객이 투여한 원가와 노력뿐 아니라 구매를 통해 얻 은 품질과 혜택 모두를 고려한 상대적 판단이다. 셋째, 보상이 희생에 충분히 상응된다고 느끼는 고객의 인지상태이다. 한편, Engel & Blackwel 이나 Oliver를 비롯하여 많은 연구자들은 만족 을 기대의 일치로 보았으며 만족은 태도변화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고 하였다. 거래 후 고객의 심리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방 법은 기대 불일치 모델을 이용하는 것인데, 만족의 느낌들은 고객이 그들 의 기대를 상품성과에 대한 지각과 비교할 때 창출된다. 즉 지각된 성과가 기대를 초과하거나(긍정적 불일치) 지각된 성과가 기대를 충족시키면(일치) 만족이 일어나며, 지각된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부정적 불일치) 불 만족을 야기 시킨다 (유동근 , 2004). Czepiel & Rosenberg(1976)는 고객만족의 정의를 “제공된 제품 또는 서 비스를 획득하거나 소비함으로써 유발되는 욕구 및 필요를 충족시키는 정 도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평가”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Fornell(1992)은 고객만족도가 높은 기업이 얻을 수 있는 주요 혜택으로서 기존고객의 충성 도의 향상, 가격민감도의 감소, 기존고객의 이탈 방지, 마케팅실패 비용의 감소, 신규고객 창출비용의 감소와 기업 명성도의 향상 등을 지적하고 있 다. 또한 Howard & sheth(1969)는 고객 만족을 소비자가 경험한 희생에 대 해 적절하게 혹은 부적절하게 보상받았다고 느끼는 인지적 상태라고 정의 하였으며, Westbrock & Newman(1978)은 고객만족은 소비자들이 제품이 나 서비스를 구매, 비교, 평가, 선택하는 과정에서 얼마만큼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 감정을 경험 하느냐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즉, Westbrock(1981) 은 고객만족을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 소비 및 소요함으로써 얻 는 경험의 평가에 대한 소비자의 정서적 반응” 이라고 하였다. 유사한 맥 락에서 Westbrock & Reilly(1983)은 고객만족을 “구매한 특정 제품/서비 스, 소매점, 쇼핑/구매행동 및 시장에서 발생되는 전반적인 행동과 관련된 경험에 대한 정서적 반응”으로 지적하고 있다. Anderson, Weitz(1992)는 기대와 불일치가 소비자의 제품에 관한 만족․ 불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에서 기대와 결과가 모순되 면 불안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동화현상이 일어나는데 구매 시 기대와 제품 성능 사이의 어떠한 불일치가 발생하면 그 불일치의 정도를 줄이도록 제품에 대한 지각을 조절함으로써 불일치를 최소화 시켜 나가게 된다는 이론인 동화이론(Assimilation theory)과 기대가 제품 성능 과 일치되지 않을 때 기대와 성능과의 대조에 의해 그 차이를 가급적 과장 하거나 확대해 가며 제품의 지각 성능이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면 소비자는 그 제품에 대해 기대하지 않았을 때 보다 훨씬 부정적으로 평가 한다는 대조이론(contrast theory)을 제시하였다. 또한 Kotler(1994)는 만족한 고객들은 기업에 로얄티 지불, 재구매 및 반 복 구매, 호의적인 구전, 경쟁자에 대한 비호의적인 구전 등의 긍정적인 행 동 의도 및 행동을 유발하게 된다고 하였으며, Fornell(1992)은 고객만족은 재구매 관점에서 충성도를 높이고, 가격탄력성을 감소시키며, 경쟁사로부터 고객을 보호하고, 미래의 거래 비용과 실패비용을 낮추고, 신규고객 유치비 용을 감소시키면서, 평판을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하였다. Hunt(1975)도 고객이 경험한 서비스에 대한 평가로서 고객만족을 이해하 였고, Oliver(1981)는 고객만족을 고객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용 후 정성 적 반응으로 정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Tes & Wilton(1988)도 “소비자의 사전 기대와 소비 후 지각된 제품의 실제적 성과간의 차이에 대한 소비자 의 반응”으로 고객만족을 정의하고 있다. Swan & combs(1976)는 제품과 서비스로 얻어지는 경험이나 결과에 대 하여 호의적인 평가로 고품질의 제품과 관련된 서비스는 높은 고객만족도 를 증가시키며 고객 충성심과 장기적인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가져오는 핵 심 요인이라 하였으며, Babin & Griffin(1998)도 “불일치와 지각된 성과 등 을 포함한 일련의 경험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유발되는 정서”로서 고객 만족을 정의하고 있다. 한편, 고객만족을 심리적 그리고 생리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인지적 과정 및 감정적 과정을 포함하는 보다 복잡한 인간의 변화과정으로 보는 견해 (Oh & Parks, 1997)도 있는데, 고객만족의 전통적인 정의는 고객의 만족/ 불만족(CS/D)의 불일치 이론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고객의 만족/불만족은 고객이 구매 이전의 기대와 구매 이후의 평가와의 상호관계를 의미하고 있 는 것이다 (Engel etal., 1990). 그러므로 고객은 평가를 위해 기대와 지각된 성과를 비교하게 된다 (Gronroos, 1983). 즉, 고객이 만족할 때는 기대와 비교해서 총체적인 경험 이 만족스럽게 느낄 때 인 것이다. 반면에 고객이 불만족스러울 때는 그 자신의 기대와 비교해서 실제 경험이 불만스런 감정을 나타날 때 인 것이 다. 또한 고객만족의 보다 현대적인 정의는 상품 혹은 서비스를 받는 동안 고객의 욕구, 필요, 기대에 만족 혹은 능가하는지에 관한 마음의 상태를 의 미하며(Anton, 1996), 고객만족에 따른 높은 고객 충성도는 미래의 현금흐 름이 지속적으로 보장된다는 점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업의 경제적 수익에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Anderson, et. al.,1994). 이처럼 고객만족은 고객이 제품을 구매했을 때 고객만족을 느끼게 된 경 우와 고객 불만족을 느끼게 된 경우 모두 향후 고객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업은 고객만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마케팅 전 략이 필요하다. 2. 고객 만족의 구성요소 고객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업은 고객이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는 물론 심지어 경쟁사의 제품이나 서비 스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고객의 만족도 측정은 크게 다음과 같이 첫째, 제품의 특성: 품질, 성능, 사용성, 보수성(maintainability), 둘째, 서비 스의 특성: 종업원의 태도, 대기시간, 적시 배달, 기술 지원 등 셋째, 이미 지 특성: 가격, 기업 신뢰성, 기업 이미지 등의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 된다 (유상진, 1997). 또한 Zeithmal․Bitner(1996)는 고객만족의 결정요소는 서비스 제공자의 신뢰성, 반응성, 설득성, 공감성, 유형성에 따라 서비스 질 수준을 지각하고 이 지각된 서비스 결과 제품의 품질, 가격, 그리고 외부적 영향 요소인 상 황요인, 고객의 개인적 요인들이 중요한 고객만족 결정 요소라고 설명하였 으며, 고객만족 개념을 인지적 판단과 정서적 반응의 결합으로 만족에 대 한 고객의 판단으로 보는 관점이 최근 Oliver(1997)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즉, Oliver(1997)는 고객만족을 소비자의 충족상태에 대한 반응으로써 제 품 및 서비스의 특성 또는 제품 및 서비스 자체가 소비에 대한 충족상태 혹은 미충족 또는 과충족 수준을 포함하여 유쾌한 수준에서 제공하거나 혹 은 제공되었는지 판단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고객만족 개념의 개념적 정의와 측정의 문제가 학계에서 주요 연구주제 로 등장한 것은 1990년대 들어서이고, 현재는 실무분야에서 생산성에 대한 경제적 척도와 소비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국가적 척도의 보완적인 지표로 서 사용되고 있다(Carsky & Steinberg, 1993). 한편, 지금까지 이루어진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는 개념의 정의, 설명, 또 는 의미, 한계점 및 이론의 탐색 등에 관한 개념적 연구와 고객만족 개념 과 관련된 변수들 간의 관계 또는 방법론적 이슈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또한 만족/불만족 또는 불평정도의 설명에 관한 기술적 연구 및 개별기업 을 대상으로 만족/불만족 개념과 척도를 적용하여 연구한 관리적 연구 등 일반적으로 네 가지 연구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박명호․조형지, 1999). 또한, 박명호․조형지의 연구에서는 고객 만족 개념의 명확한 제시를 위해 인지적 차원의 충족이란 개념과 정서적 차원인 소비관련 정서라는 두 개념 이 결합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제 5 절 충성도 1. 충성도의 정의 마케팅에서 충성 고객이란 ‘특정 회사의 상품이나 브랜드, 서비스 등을 반복적으로 재구매하거나 이탈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고객’을 말 한다. 그러므로 제품인 경우 브랜드충성, 서비스 기업인 경우 서비스충성, 점포인 경우는 점포충성으로서 명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객충성은 전 략적 마케팅 계획의 기저 목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Kotler, 1984), 지속 적인 경쟁우위를 개발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다. Selness(1993)는 고객 충성도를 ‘서비스 계약의 재개 또는 미래 구매의 의향 혹은 역으로 고객이 다른 상표 및 다른 서비스 공급자로 전환하려는 정도를 포함하여 측정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의도된 행동’이라고 정의 하였는데, 고객 충성도에 대한 한계의 관심은 마케팅 분야에서 브랜드 로 열티를 다룬 1920 초부터 이다. 초기 고객 충성도에 대한 연구자들은 대부 분 행동적 측면에서의 충성도를 연구하였으며, 특정제품이나 서비스를 장 기간 반복 구매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브랜드가 구매되는 순서(Brown, 1952; churchill, 1942), 특정 브랜드의 구매빈도(brody & Cunningham, 1968; Cunningham, 1956), 구매 가능성(farely, 1964; Frank,1962; Lipstein,1956) 등으로 고객 충성도를 측정했고 몇 개의 행동적 기분을 결 합하여 실증적 연구에 사용하기도 했다(Frank, Massy & Lodahl, 1969; Tucker,1964). Dick & Basu(1994)는 고객 충성도를 ‘실제(상표, 점포, 종사원,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상대적 태도와 재구매 간의 관계로 정의하면서 충성도는 인지적․감정적․지각적․행위적 결과로 이어지고, 충성도의 강도는 규범 과 상황적 요소에 의해 조절 된다’고 하였으며, Jones & Sasser(1995)는 고객충성도를 ‘한 기업의 사람,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애착 또는 애정의 감정 상태’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감정들은 고객들로 하여금 장기간에 걸쳐 그 기업의 제품, 서비스를 재구매 하게하고, 타인에게 추천하는 구전활동과 프리미엄 가격을 지불하는 등의 여러 가지 활동으로 발현된다고 한다. Oliver(1999)는 고객충성을 선호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재구매 하려고 하는 행동 양식으로, 환경의 영향이나 상품 교체의 마케팅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브랜드를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재구매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Keller(1993)는 고객충성을 특정한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로서, 반복 적인 구매 행위가 명확할 때 충성도를 존재한다고 보았다. 또한 Griffin(2002)은 고객 충성도를 ‘정기적으로 재구매하는 고객, 특정 기업의 다양한 품목의 제품과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구매하는 고객, 다른 사람들에게 특정 기업 혹은 제품을 추천하는 고객’이라고 하였으며, 이호 배․장주영(2002)은 이러한 고객 충성도는 기업에 있어서 어떤 기업 또는 특정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결속력, 기업에 대한 종사원이나 투자자들의 결속력에서 찾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고객 충성도에 관한 연구는 행동적 접근, 태도적 접근, 그리고 이들 접근 법을 결합한 복합적 접근 방법으로 분류되고 있다(Jocoby, & Chesnut, 1978). 행동적 접근 방법은 고객 충성도를 ‘특정 소매점에 대해 소비자가 일정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구매하려는 경향’으로 보고 이를 반복 구매 비율, 구 매 빈도 등으로 측정 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이러한 방법은 객관적 측정 및 여러 소매점에 대한 충성도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에 어떻게 고객 충성도가 형성되고 변화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어렵다는 단 점이 있다(이장우, 2002). 또한 행동적 접근 방법은 소비자들이 새로운 제 공자를 찾는데 따르는 심리적 비용, 위험 부담 및 불확실성 때문에 현재의 서비스 제공자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현상을 잘 설명해 주지 못한다(김상 현, 2002). 태도적 접근 방법은 소매점에 대한 선호 또는 심리적 몰입으로 고객 충 성도를 해석하여 ‘특정 소매점에 대한 고객의 호의적 태도’라고 정의한다. 즉, 소비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실제 구매행동 보다는 장래 구매에 대한 의도나 특정 상표 또는 점포에 대한 선호의 진술 등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이러한 측정 방법의 예로는 상표나 점포의 선호도 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Czbpiel, & Gilmore). 기존 문헌에 따르면 이러한 태도적 접근 방법은 반복 구매와 같은 행동적 접근 방법에 비하여 고객 충 성도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그와 관련된 여러 변수들에 대한 더 깊은 이 해를 제공한다고 한다(이문규, 1999). 태도적 접근 방법은 고객 충성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 지에 대한 설명은 가능한 대신 미래에 있어서 실제 구매 행동으로 옮겨질지는 단언하 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박성수, 2004). 복합적 접근 방법은 충성도의 행 동적 측면과 태도적 측면을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충성도를 측정하는 것으 로서 Dick & Basu(1994)는 행동적 접근 방법과 태도적 접근 방법을 종합 하여 충성도를 호의적 태도와 반복 구매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Prus & Brandt(1995)는 고객 충성도가 태도와 행동의 결합이라고 주장하면서, 태 도는 재구매 의도, 공급자의 권유의지, 경쟁 업체로의 전화 거부 등의 개념 을 포함하며, 행위는 재구매, 현재의 공급자로부터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를 보다 많이 재구매하거나 공급자를 다른 사람에게 권유한다는 개념을 포함 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고객 충성도에 관한 연구는 고객만족이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대해서 이를 지지하는(Cronin & Tayler, 1992; Oliver & Swan, 1989)하는 반면, 고객 만족이 반드시 고객 충성도에 영향 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도 있다(Reichheld & Aspinall ,1993-1994, Reichheld, 1993). 2. 충성도의 유형 1) 상표충성도 충성도에 관한 연구는 1923년 copeland(1923)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코프 랜드는 ‘고객 충성도’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소비자들은 어떤 상표에 대한 선호 혹은 지속성의 정도에 따라 특정 상표에 대한 계속 적인 태도가 구매자의 행동에 특별한 영향을 미친다” 고 주장하였다. 이를 ‘상표 지속성’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이러한 주장은 후에 언급된 고객 충성 도의 기본개념 과 일치한다(이영자, 2004). James(1982)는 상표 선호는 “여 러 가지 선택 가능한 상표들 중에서 어떤 하나의 상표를 선택하려는 경향” 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경향'이란 여러 상표들 중에서 하나의 선택 기 회가 주어졌을 때 소비자가 어떤 하나의 상표에 대해 보다 많은 긍정적 태 도를 보이고 난 후 나머지 상표들에 대한 태도를 표명하려는 것을 말한다. ’선호‘라는 단어는 좋아함의 정도를 의미하는데 여러 가지 상표들 중에서 어떤 상표에 대한 상표 선호가 절대적일 때 비로소 “상표 충성”의 조건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Turker(1964)의 연구에서는 상표 충성도를 정의하는데 구매 연속의 기준 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동일한 상표를 세 번 이상 연속적으로 구매하는 사 람을 대상으로 하여 가장 좋아하는 상표는 가격을 그대로 두고 다른 상표 의 가격을 하락 시키는 방법으로 연구를 하였다. Oliver(1999)는 브랜드 충성도를 선호하는 제품이나 재구매 하거나 단골 고객이 되려는 깊은 몰입 상태라고 정의하였으며, Arker(1996)은 제품 사 용 후 만족스러울 때 그 특정 상표에 대한 애정 정도로 정의 하고 있다. Jacoby와 Chesnut(1977)은 상표 충성도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체 상표 와 관련하여 몇몇 의사 결정 단위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편견을 가진 행동 반응이며, 심리적인 과정이다’로 정의하였다. 2) 점포 충성도 조대연(2003)은 점포 충성도를 행동적 접근 방법과 태도적 접근 방법을 종합한 견해에 따라 ‘특정 점포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보이는 호의적 태 도 및 그에 따른 반복 구매 행동을 보이는 성향’으로 정의하였다. Enis와 Paul(1968)은 연령, 소득 수준, 교육 수준과 같은 사회 경제적 특성을 점포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보았는데, 이들은 반복 구매행동을 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증연구에서, 점포 충성도는 소득수준 및 교육 수준이 낮고, 연령이 더 많은 계층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점을 발견하 였다(조대연,2003). Marineau(1958)는 소비자들이 특정점포에 대해 가지는 호의적인 이미지 가 점포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점포 충성도에 대한 점포 이 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Goldman(1977)은 소비자들의 쇼핑 스타일에 두가지 측면을 점포 충성도 수준과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그는 점포 시스 템과 점포충성도에 관한 지식부문에서 점포 충성도가 높은 응답자들은 시 장에 관하여 적게 알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충성도가 낮은 소비자들 은 시장에 관하여 아는 사람이 되려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Graig, et. al.(1984)는 지리적 요소가 점포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라고 하였는데, 두 점포 사이의 여행 시간 차이가 어떤 임계한계(threshold limit)를 초과할 경우에만 점포충성도에 대해 지리적 변수가 중요하게 되 며, 만일 점포들 간에 여행 시간의 차이가 임계한계 이하일 경우에는 소비 자는 대체 점포들에 대한 무차별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주장하였다(조대 연,2003).

 

3) 서비스 충성도 Czepiel & Gilmore(1981)는 서비스 충성도에 대해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 로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 제공자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구체 적인 태도라고 하였다으며, Dick & Basu(1994)는 서비스 충성도를 태도와 행동의 복합적인 관점에서 정의를 내렸다. 그들은 서비스 충성도란 서비스 에 대해 상대적 태도와 재구매 행위간의 관계의 강도라고 하였다. 한편, 서비스 충성도는 서비스의 무형적 특성 때문에 제품의 충성도와 다른 성격을 갖는데(이영자, 2003), 첫째 서비스는 무형성이기 때문에 소비 자들이 서비스를 평가할 때 그 신용속성에 주로 의존하게 되므로 브랜드 전환이 쉽지 않다(Zeithaml, 1981). 또한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지만 서 비스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아 소비자는 서비스에 대해 좋은 태도 를 가지기 힘들며 서비스에 대한 충성의사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이유재, 2001). 둘째, 서비스 충성도는 서비스 혹은 서비스 제공자와 직접 연결된다. 전 문적인 서비스에서 고객은 의료 혹은 법률 서비스보다 개인적으로 의사나 변호사에 대한 충성도를 개발한다. 그리고 충성도가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 되어 있다고 해도 고객충성도의 실제적인 수령인은 적어도 세 개의 대안을 가지고 있다할 수 있다. 즉, 국가적 지역적 서비스 회사, 개별적인 프랜차 이즈 점포, 고객과 특별히 관계가 있는 종업원이 있는 곳에 충성할 것이다 (김승관, 2001). 셋째, 높은 전환 비용이다. 소비자들은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해당 서비 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고 대체안에 대해 파악하기 어려우며 현재 서비스 제공자와 다른 제공자들 간의 우위를 평가하기가 어렵다. 또한 서 비스 제공자 전화에 포함되는 금전적인 비용이 더 크고 서비스 대체안의 유용성을 인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높은 충성도가 형성된다(김동기, 1999).

 

따라서 인테리어 디자인이란실내장식으로써, 주어진 공간을 시각적 요 소를 고려한 다양한 스타일(modern style, classic style, oriental style, natural style, romantic style 등)을 기본으로 하여 서로 다른 이미지들과 결합하거나 혼합하여 새로운 스타일의 이미지들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인테리어 디자인의 스타일 1) 낭만성(Romantic) 낭만성은 18세기말부터 19세기 중엽까지 유럽과 유럽의 문화가 영향을 미 친 남북 아메리카에 전파 되었던 문예사조이다. 낭만성은 예술운동인 낭만주 의에 기원하고 있는데, 낭만주의는 18-19세기 유럽에 퍼져있던 정형적인 고 전주의에 대항해 인간의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주장했던 문예사상이다. 낭만성의 어원은 중세 라틴어의 부사 '로마니스‘(romanice)에 있다. 낭만 성은 기이․가공․경이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18세기 널리 사용되어 지다가 19세기 전후를 전환점으로 하여 고전주의에 대립된 시대사조로 등 장하게 되었다. "낭만적"이라는 용어의 탄생과 낭만적 성향은 영국에서 시 작 되었으며 이후 프랑스․독일로 전파되어 갔으나, 오히려 영국 보다는 독일에서 전 유럽으로 파생 전파되었다. 낭만주의는 르네상스의 휴머니즘, 종교개혁의 정신, 데카르트․루소의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때문에 정치․철학등 모든 학문․예술과 관계가 있으며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낭만주의는 19세기 말의 상징주의․예술지상주의의 탄생을 본질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낭만주의 이론의 중요성은 당시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하 나의 공통된 문예상의 흐름이 되었다는 점에 있다. 최근의 낭만성 스타일은 우아하고, 여성적인 느낌의 스타일로서 꿈속에 서 또는 동화 속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낭만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포 근하고 화사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경향을 지닌다. 2) 민속성(Ethnic) 민속성의 사전적 의미는 "민족의"란 뜻으로 어느 한 민족의 특정 양식을 의미한다. 민속성은 20세기초 폴 포와레에 의해 처음 태동되었다. 민속성은 유럽을 제외한 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의상과 민족 고유의 염색이나 직물 등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된 패턴을 의미한다. 또한 이국적인, 민속적인과 혼용되 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민속성은 비기독교적인 문화권의 민속의상을 대표하는 것이고, 이국적인은 ‘외국적인’이라는 의미로 민속성 과 민속적인을 포함해 이국적 패션의 통칭을 의미하며 민속적인은 전원적 취향의 민속을 의미한다. 민속성은 경제여건의 향상,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해외여행의 증가, 다 양한 교류 증가로 인해 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었고 문화의 세계화 로 인해 동서양의 만남을 비롯해 서로 다른 문화끼리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면서 등장하게 되었다(김후란 외, 2003). 민속성은 한마디로 '고유의 민속적이고 토속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성은 화려하고 강렬한 색상과 함께 독특한 무 늬를 이용한 수공예품과 독특한 자연소재 소품의 사용이 큰 특징이다. 실내 디자인에서의 민속성은 한 나라의 독특한 민족성을 나타냄과 동시 에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체의 개념에서 보다 가구나 소품에서 크게 부각되며 이것이 포인트 요소로 작용해 각 장소에 독특하고 특징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최근 민속성의 트렌드는 어느 한 나라, 한 지역을 지칭하는 것을 무의미 할 정도로 다양한 문화권이 총 망라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이 서로 믹 스되어 자연스럽게 우리의 생활에 자리 잡고 있다. 3) 고전성(Classic) 고전성은 클라시쿠스(Classicus)에 그 어원이 있다. 클라시쿠스의 의미는 고대 로마 시민의 6개 계급 중 최상급 단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전성은 고급스러운 느낌의 스타일로 유럽의 각 시대의귀족문화가 고전 양식으로 전개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 왔다. 때문에 바로크, 로코코, 신고전 양식에서 보여지는 풍요와 여유, 전통미, 장식성, 안정감이 함께 느 껴진다(나혜정, 2000). 고전성 스타일은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로 17-18세기에서의 스 타일에서 유래 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컨트리 클럽의 느낌이 더 강하게 남아 있는 '트래디셔널 믹스'가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디자인들은 트래디셔널이 혼합된 스타일로서 진품 앤틱으로 부터 영감을 얻으며 현재 시대를 초월해 선호되고 있다. 둘째로 트래디셔널 믹스와 비교해 훨씬 더 격식을 갖추고 있는 패더럴 콜로니얼 스타일이 있다. 이 스타일은 색채의 특징은 어두운 색조의 색상을 가진 트래디셔널 믹스와 비교해 장미색상, 옅은 웨지우드 블루, 민트 혹은 밝은 녹색, 아이보리, 썸머콘(summer corn), 옅은 호박색 이 많이 나타난다. 셋째로 루이 14세와 루이 15세 시대의 가구와 로코코 시대 스타일에서 찾을 수 있는 포멀 프랜치 스타일이 있다. 포멀 프랜치 스타일은 보통 아이리스나 별 같이 작은 프린트, 작은 꽃무늬로 이루어진 스트라이프, 다마스트, 므와레, 수직실크, 타피스트리 등 양식화된 모티브로 이루어져 있고 매우 화려한 느낌을 준다. 마지막으로 유럽 전역에서 유행 한지 200년 후 1980년대에 또 한번 부흥기를 맞은 신고전 스타일이 있다. 신고전주의는 그리스와 로마의 미술과 건축에서 나타나는 스타일의 재창조 로 잘 알려져 있다. 고전성 스타일의 실내디자인은 고전적 양식으로 적용되어 오늘날 까지 이어져 왔다. 그러나 현대인은 옛것에 대한 향수, 귀족적 신분의 표현을 기 대하여 고전적 이미지를 택한다. 호화롭고 고급스러운 실내를 연출 할 때 또는 외국의 부유층의 스타일을 연상하게 하는 고전성 스타일은 품위 있으 면서도 안정감 있는 실내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는 스타일이다. 4) 우아함(Elegant) 우아함이란 캐주얼의 이미지나 프로빈셜의 이미지와 대조되는 스타일로 품위 있고 우아한 이미지를 말한다. 우아함 스타일의 이미지는 정숙하고 여성적이고 우아한 이미지를 갖는다. 색채의 특성은 온화한 그레이 컬러가 중심이 되며 보라색이 대표적인 색조로서 미묘한 그라데이션으로 처리된 배색을 사용한다. 또한 우아함 스타일은 여성감각을 부드럽고 세심한 느낌 을 갖는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부드러운 실크나 섬세한 질감의 패브릭을 많이 사용한다. 고급스러운 패브릭과 세련된 소품들로 장식적인 요소를 가 미하여 고전적인 느낌을 한층 더 강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5) 현대성(Modern) 현대성의 유래는 구조와 기능에 대한 순수한 접근으로부터 시작된 모더 니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현대성은 필요 없는 장식을 배제하고 자연적 재료의 본질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건축물의 지오메트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건축에서의 근대는 18세기 중엽이후 건축에 대한 이성적, 과학 기술 적 지배를 통한 합리화의 확대 과정으로 이해 할 수 있지만 모더니즘은 19 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특정 시기에 출현했던 급진적인 미학적 경향과 이념적 색채를 띤 사조로 성격 지어진다. 근대 건축 운동은 모더니즘의 실 천으로 근대의 사회적, 건축적 문제에 대한 시대적 도전에 대한 건축 사 회의 응전으로서 근대 세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오늘날의 모더니즘은 건축적 재료와 함께 색채와 빛을 이용하여 디자인 에 적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현대성이 실내 디자인 이미지와 가깝다. 또한 현재 현대성이라고 불리는 것은 한랭한 지역성의 특징으로 간결하고 단순 한 디자인과 따스함을 중요시 하는 스칸디나비안 현대성과 1980년을 전후 하여 수년간 매우 유행했던 스타일로서 쿨모던성 이라고 불려지기도 했던 이탈리안 현대성으로 나뉘어 진다. 쿨모던은 차갑고 단단한 인공소재, 금속 성 소재와 타일, 돌, 유리, 가죽 등의 재료가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현대성의 특징은 직선적이고 현대적이며 색채는 브라운 계통(아 이보리, 베이지, 브라운)이나 회색계통(흰색, 회색, 검정) 등이 주를 이룬다. 현대성 스타일의 대표적인 소재는 스틸을 들 수 있다. 현대성 스타일은 젊은 세대들에게 많이 선호되고 있는데 재료와 표현, 형태등에 의해 샤프 함, 냉정함, 정밀한, 치밀한, 기계적인, 도시적, 진보적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6) 자연성(Natural) 일반적인 자연성은 ‘자연의’, ‘자연으로부터의’란 뜻으로 문학이나 예술에 서 시작한 “자연주의적 경향”을 말한다. 패션에서의 내추럴리즘은“자연스 러운, 자연에 가까운” 상태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21세기를 맞은 현재 내추럴리즘이 선호되어지고 있다. 이것은 사회 환경이나 문명이 발달할수 록 인간의 자연과 가까워지려는 성향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내추럴리즘이 많이 선호되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환경 친화성이 중요시 되는 사회 흐름과 각박한 사회 속에서 편안한 안식을 찾 기를 바라는 인간의 자연 회귀에 대한 욕구에 의해 시작 되었다. 자연성의 특징은 자연적 소재를 많이 사용해 인간에게 친근감을 느끼도록 하고 자연 소재를 직접사용 하거나, 자연의 이미지를 담은 인공 소재를 사용해 자연 성을 표현 하기도 한다. 특히 로하스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재활용소품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리싸이클링 재료 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데 이는 자연성스타일의 표현에서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색조는 자연의 느낌을 그대로 사용한 아이보리나 온화하고 세련된 중회 조 색의 거친 질감을 사용해 여유로움과 풍요를 느낄 수 있다. 7) 캐주얼(Casual) 캐주얼은 맑은 톤의 색상이 경쾌하고 순수하며 신선한 분위기의 실내를 연출한다. 때문에 자유를 즐기는 젊은 층에서 주로 선호하지만 현대에는 연령에 상관없이 다양한 연령층에게 환영 받고 있는 디자인이다. 캐주얼의 특징은 가볍고 산뜻한 색과 소재로 디자인해 자유롭고 즐거움이 느껴지는 활기찬 디자인이라는 것이다. 캐주얼 스타일은 1970년대 대니쉬 모던 라이 터 우디(danish-modern lighter woody)로부터 발전 진화되었고 1980년대 에는 더욱 자연 스러운 느낌의 스타일로 변화 했고 1990년대에 들어 더욱 감각적인 스타일로 변화 하여 밝고 화창한 느낌을 나타내었다. 1990년대 캐주얼 스타일은 과도기적, 캘리포니아 룩으로 알려지고 있다. 캐주얼은 이지 라이프스타일 룩(easy-lifestyle look)을 추구하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는 도심에 사는 사람들, 중산층, 젊은층과 맞벌이 부부, 자녀가 있는 가족을 위해 편안하고 즐거움을 추구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한 캐주얼은 단순함의 기본속에 기능적이고 감각적인 디자인 요소가 가미 된 것으로 실용적이면서 쉽게 쓸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고 매우 개성적이 고 독창적이다. 때문에 자유롭고 편한 이미지로서 신선함, 경쾌함, 생동감 있는 활동감, 친숙함과 즐거움의 표현이 디자인의 주된 컨셉이 된다. 3.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관련 선행연구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볼 때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을 연구대상으로 측정한 연구는 박영석 외(2006)과 권성태(2006)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찾아보기가 어렵다. 그러나 건축학 및 주거환경분야에서는 디자인과 관련 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디자인의 유형을 역사적인 배경과 시대적 흐름을 바탕으로 표현방식 과 고유한 특징에 따라 체계적인 분류를 실시한 김경숙(2004)연구는 국내 외 대표성을 지닌 5개의 잡지인 ‘월간 인테리어’, ‘Architectural Design' "Interni', 'Interior Design', 'Maison'을 선정하여 지난 10년간 게재되었던 실내디자인 사진자료를 이미지 유사성에 따라 스타일별 군집화하여 각 스 타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델파이분석을 통해 전문 디자이너 들에 의해 진행된 스타일 유형별 명명화를 실시한 결과 낭만성, 민속성, 고 전성, 하이테크, 우아함, 컨트리, 현대성, 미니멀, 내츄럴, 캐주얼 스타일 10 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10개의 유형을 에 정리하였다.

 

박영석 외(2006)은 레스토랑 실내디자인 선호도와 고객의 내적반응과 행 동의 관계를 검증하였는데, 레스토랑 실내디자인을 김경숙(2004)의 10가지 실내디자인 스타일인 낭만성, 민속성, 고전성, 하이테크, 우아함, 컨트리, 현 대성, 미니멀, 내츄럴, 캐쥬얼을 적용하여 고객의 내적 반응인 서비스품질 기대와 고객의 외적행동인 방문의도 및 체류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측정하였 다. 분석결과 10가지 레스토랑 디자인 스타일이 모두 서비스품질 기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방문의도에는 컨트리 스타일만 제외하고 나머지 9가지 레스토랑 디자인 스타일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또한 체류의도에도 10가지 레스토랑 디자인 스타일이 모두 정(+)의 유의 한 영향을 미치었다. 즉,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가 고객이 기대 하는 서비스품질과 방문의도 및 체류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 로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권성태(2006)도 박영석 외(2006)과 마찬가지로 레스토랑 실내 디자인을 물리적 환경요인으로 보고 레스토랑 실내디자인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반응의 매개역할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권성태(2006)는 레스 토랑 실내 디자인을 환경지각차원에서 감정적 분위기, 물리적 분위기, 감정 적 조형성, 물리적 조형성, 오락성으로 요인화 하였다. 분석결과 레스토랑 환경지각의 물리적 분위기만 제외하고 나머지 감정적 분위기, 물리적 조형 성, 감정적 조형성, 오락성 4개 요인이 고객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환경지각의 감정적 조형성과 오락성을 제외한 나머지 물리적 분위기, 감정적 분위기, 물리적 조형성 3개 요인은 혼잡지각에 부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레스토랑 환경지각 의 감정적 조형성과 오락성을 제외하고, 물리적 분위기, 감정적 분위기, 물 리적 조형성은 고급성 인지반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레스토랑 환경지각은 물리적 조형성만 제외하고 독특한 인 지반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물리적 분위기, 감정적 분위기, 물 리적 조형성은 신뢰성 인지반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레스토랑 실내디자인의 환경지각 요인 중 물리적 분위기 요 인은 소비자의 만족도 및 감정반응과 인지반응 생산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 3 절 점포이미지 1. 점포이미지의 개념 동기란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개인 내부의 추진력 또는 신체적 에너지를 활성화시켜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시하는 내적 상태 이다(박시사, 2001). 이미지는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으 로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점포이미지는 소매상들에게 중요한 관심요소이다 (진기홍, 2008). Martineau(1958)는 소비자가 마음속으로 점포의 기능적, 심리적 속성에 의해 특정점포를 정의하고 이러한 속성들이 고객 유도의 힘으로 작용한다 고 주장하면서 점포이미지는 점포의 개성으로 정의하였다. 그가 점포이미 지에 대해 처음으로 소개한 후 많은 마케팅 관련 학자들로 부터 그 개념에 대해 정의되어져 왔다. Arons(1961)는 점포이미지를 소비자가 지각하는 점포의 특성, 점포에 대 한 느낌, 점포에 대한 인상으로 일반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점포의 특징적 의미와 관계성의 복합체라고 하였으며, Kunkel & Berry(1968)는 Martineau(1958)의 정의에 학습이론을 통합하여 점포이미지를 개인이 특정 점포에서 구매와 관련된 전반적인 개념화 또는 기대되는 보강요인으로 정 의하였다. 몇몇 연구자들은 점포이미지를 일종의 태도로 보았는데, Doly & Fenwick(1974)는 점포이미지는 태도적인 개념으로 소비자가 점포에 대해 갖는 전반적인 인상으로 소비자가 지각하는 중요측면에 중요도를 부여하여 평가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James, et. al.(1976)는 소비자가 중요시 하는 점포속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한 태도의 집합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점포이미지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복합적 차원으로써 소비자 마음 속에 상호작용하는 총합요인(Marks, 1976)으로 Jain & Etgar(1976)는 소비 자가 점포에 대해 일정한 기간 동안 형성해 온 점포에 대한 인상으로 정의 하였다. 그리고 마음속에 그려지는 전반적인 인상의 묘사(Dichter, 1985)로 써 Sirgy & Samli(1958)는 특정 소매점에 대한 소비자가 인지하는 고정관 념, 특징적 이미지라고 정의하였다.

 

Mazursky & Jacoby(1986)는 일련의 지각 혹은 어떠한 현상에 관련된 기억으로부터 추론되는 개념으로 소비자가 특정 점포를 방문 시 노출되는 다양한 마케팅 자극에 의해 형성되는 전반적인 점포에 대한 인상이며, 이 것은 관찰가능한 객관적 요소와 심리와 연관된 주관적 속성의 상호작용으 로 형성된다고 하였다. 또한 Bloemer & Ruyter(1998)는 특정 점포의 특성 또는 특정적인 속성 에 의한 소비자들의 복잡한 지식으로 보았고, Mitchell(2001)은 소비자의 제한된 동기와 인지적 능력으로 복잡한 정보를 단순화시키고자 하는 소비 자의 해석이라 하였으며, Pan & Zinkhan(2006)은 점포가 소비자들에 의해 지각되는 방식으로 점포이미지를 정의하였다. 이상건(2006)은 점포이미지를 고객이 특정점포의 속성에 대해 일정기간 형성해 온 주관적 지각, 인상, 신념의 총체라고 정의(Jain & Edgar, 1977; Doyle & Fenwick, 1974)하였다. 또한 진기홍(2008)은 점포이미지는 소비자 가 특정 점포에 대해 느끼는 즐거움 또는 친근감으로써 특정점포에 대한 호감, 신뢰, 만족 등과 같은 고정관념적인 총체적인 인상으로 정의하였으 며, 김영미(2008)는 점포이미지는 소비자가 특정점포를 방문하는 동안 다양 한 마케팅 자극을 경험하여 형성되는 점포의 전반적인 이미지로 정의하였다. 즉, 점포이미지는 소비자가 특정점포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주관적인 지 각 및 여러 가지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형성되는 점포에 대한 총 체적인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2. 점포이미지의 구성요소 점포이미지는 소비자를 점포로 유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김정희, 2002) 로써, 소매업의 형태에 따라 그 구성요소들이 달라지며 동종업태 내에서도 점포의 종류에 따라 구성요소의 중요성이 달라진다(김영미, 2008).

 

이러한 점포이미지의 중요성이 대두된 것은 치열한 경쟁시장 속에서 목 표시장의 요구에 맞는 점포이미지를 개발하여 소비자들을 유도함으로써 경 쟁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점포이미 지를 형성할 수 있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설 상철․권승오, 2002).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점포이미지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기능적 이미지, 심리적 이미지로 설명하고 있다. Martineau(1958)는 점포이미지에서 기능적 속성으로는 취급제품, 가격범 위, 신용정책, 레이아웃과 같은 속성이며, 심리적 속성은 친근감, 귀속감, 흥미감과 같은 감정이라고 하였다. Fisk(1961)는 점포이미지 결정의 요인으 로 입지의 편의성, 제품 적절성, 가격수준에 따른 가치, 판매노력과 점포의 서비스, 점포의 친밀성, 거래 후 만족으로 영향평가에 필요한 개념적 모델 을 제시하였다. Kunkel & Berry(1968)는 점포이미지를 기대된 행동으로써 12가지로 상 품가격, 상품품질, 상품구색, 상품의 유행성, 판매원, 입지편의성, 기타 편의 요소, 서비스, 판매촉진, 광고, 점포분위기, 조정행동에 대한 평판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Lindquist(1974)는 여러 학자들의 연구에서 점포이미지 요인 을 분류하여 크게 9가지로 상품성, 서비스, 고객특성, 편의성, 촉진활동, 점 포분위기, 기업요소, 거래 후 만족으로 구분하였다. Doly & Fenwick(1974) 는 점포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써 상품, 가격, 상품구색, 스 타일, 점포의 입지로 설명하였다. 또한, 점포이미지를 객관적 속성과 주관적 속성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객관적 속성은 상품구색, 가격, 신용정책 등의 관찰 가능한 기능적 특성을 말하며(Lindquist, 1974), 주관적 속성은 쾌적한 분위기, 점포에서의 소비자 의 심리적인 부분과 연관되어 있는 편안함과 즐거움 등을 말한다 (Oxenfeldt, 1974).

 

Jain & Etgar(1976)는 점포이미지 형성의 영향요인으로 품질, 구색, 바겐 세일, 서비스, 가격, 점포의 전반적 서비스, 판매원, 다양성, 신용정책, 반환 정책, 입지, 장소의 배치, 편의성, 가격정책, 사회적 지위, 분위기, 판매와 특판, 광고, 점포의 일반적 질 등 19가지로 구분하였으며, Hansen & Deutscher(1977)은 점포이미지 형성의 영향요인으로 상품, 서비스, 고객관 계, 물리적 시설, 편의성, 촉진, 점포분위기, 제도적 요인, 거래 후 만족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Dickson & Albaum(1977)은 소매업의 점포이미지를 가격, 상품, 점포 레 이아웃 및 시설, 서비스와 종업원, 촉진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Zimmer & Golden(1988)은 개방형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가격, 품질, 서비스, 판매촉 진, 광고, 명성, 판매원, 입지 편리성, 외형 특성, 물리적 시설, 장식 배치 등으로 요인화 하였다. Engel et. al.(1990)은 상품의 가격과 품질, 구색, 디자인, 판매원, 점포위 치의 편리성, 서비스, 판매촉진, 점포내 분위기, 기타 편리성 요소 등의 요 인을 점포이미지의 구성차원으로 제시하였고, Ghosh(1990)은 입지, 상품, 점포분위기, 고객서비스, 가격, 광고, 인적판매, 판매 촉진 프로그램을 제시 하였다. 또한 Shim & Kotsioplous(1992)는 점포이미지를 구성하는 주요 속성으 로 대인판매, 고객서비스, 점포의 시각적 이미지, 가격 및 반품, 손쉬운 구 매, 브랜드 명성 및 유행성, 품질 및 다양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Chowdhury, et. al.(1998)는 상품품질, 분위기, 종업원 서비스, 구색, 편리 성, 가격 및 가치를 제시하였다. Collins-Dodd & Lindley(2003)는 점포이미 지가 점포 브랜드지각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점포이미지의 측정하기 위해 상품의 다양성, 직원서비스, 점포분위기, 가격, 상품의 질과 전반적인 태도 등의 속성을 이용하였으며, Sit, et. al.(2003)는 쇼핑센터를 이용하는 소비 자들이 점포이미지 형성에 고려하는 요인으로 상품성, 접근성, 서비스, 점 포분위기, 엔터테인먼트, 식음시설, 보안성의 7가지로 추출되었다. 한편,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권순기 외(1999)는 점포이미지를 점포분위 기, 서비스, 상품품질, 판매원 등으로 측정하였으며, 김홍범․이상미(2002) 는 브랜드개성과 점포이미지연구에서 점포이미지속성을 4가지 요인인 청결 /서비스/가치성, 분위기, 시각적/공간적 디자인, 상징성 등으로 구분하였다. 전종근․이태민(2004)은 점포이미지를 5개의 요인인 상징적 이미지, 서비 스, 광고명성, 구색, 품질대비가격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신종국․공 혜경(2005)은 점포이미지가 유통업체 상표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연구에서 점포이미지를 제품구색, 품질, 가격, 점포 분위기, 촉 진, 서비스, 전반적 이미지 등의 7개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이상건(2006)은 패밀리레스토랑을 방문하는 고객의 점포이미지의 측정요 인으로 위생, 서비스, 분위기, 맛과 가격 4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김영미 (2008)는 고객서비스, 점포분위기, 제품의 다양성 등의 3가지 요인으로 구 분하였다. 이상과 같은 소비자들의 점포이미지 형성의 영향 요인의 구성요소를 요 약하면 과 같다.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의 제기 최근 국민소득의 증가, 주 5일근무제,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여가시간 의 증대, 핵가족화, 문화생활에 대한 의식향상, 건강에 대한 관심고조 등의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요인의 변화가 국내 외식산업의 성장과 발전의 요 인으로 작용하여 가구 당 외식의 빈도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지 난 IMF 이후에도 국내 외식산업은 연 20% 이상의 성장을 거듭하여 그 규 모가 42.5조(경제기획원 통계청 통계조사, 2005)를 넘는 실정이다 . 외식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외식업체들이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위해 서는 차별화된 경영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중 고객이 직접 방문하고 외식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독특한 차별화는 고객의 기호와 선호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이는 외식고객들이 외식을 단지 음식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장소로 인식하 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탈 혹은 기분전환 등의 동기와 특정 레스토랑이 지닌 분위기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소비자들과 그들의 욕구를 충 족시키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맞물려져 다양한 제품 혹은 서비스가 생산 되고 있어, 성공적인 레스토랑은 틈새시장과 세분화된 집단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고객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특히, 우리의 식생활에서 차지하고 있는 외식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커져 가고 있는 추세로서, 2005년 이전까지는 한 달에 2-3회 외식을 하는 고객 이 가장 많았으나 2006년에는 1주일에 1회 이상을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거의 절반가까이 차지하였고 최근에는 그 빈도가 더욱 늘어나고 있어 외식 은 이제 더 이상 특별한 날에 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월간식당, 2007년 1월호). 따라서 소비자의 외식형태가 다 양화, 개성화 되어가면서 이러한 새로운 추세(trend)에 맞는 신업종의 출현 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제품이 구매되거나 소비되는 장소의 중요성이 Kotler(1973)에 의해 언급된 이후로 유․무형적인 상품을 판매하는 레스토랑도 자신만의 독특한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해 많은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레스토랑이 지니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서비스 스케이프(service-scape)와 유사한 의미 로서, 서비스스케이프는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촉각적 요소로 구분되고, 분위기 혹은 환경적 단서를 포함하는 서비스 공간내의 환경적 요인들을 총 칭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Bitner(1992)는 자연적이거나 사회적 인 환경을 제외한 인간이 만들어낸 물리적 환경을 서비스스케이프라고 하 며, 이를 주변요소, 공간 및 기능성, 표지판 및 상징 조형물로 구분하여 설 명하였다. 이와 같은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독특한 개성을 표출함으로써 고객의 욕구를 자극시켜 고객들의 외식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 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의 방문고객은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지각뿐 만 아니라 레스토랑 방문을 통해 학습된 객관적이면서 주관적인 지 각인 점포이미지(Hartman & Spiro, 2005)를 갖게 된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과 마찬가지로 고객이 지각하는 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는 복합적인 차원으로서 고객의 마음속에 상호작용하는 복합요인이다(Marks, 1976). 즉, 점포이미지는 고객이 특정 레스토랑을 방문하는 동안에 노출되는 다 양한 마케팅 자극을 경험함으로써 형성되는 레스토랑의 전반적인 인상이다. 이런 점포이미지는 레스토랑과 같은 소매업 분야에서 주요 개념 중의 하나로 연구되고 있으며(Mayer, 1989), 소비자의 구매행동 및 소비심리학 에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점포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유형적 혹은 무형 적 속성을 포함한 다중속성모형이 형성되어 왔다(James & Etgar, 1976; Birtwistle et al., 1999). 한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과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와 관련한 학계의 연구의 방향을 살펴볼 때, 박영석 외(2006)와 권성태(2006)의 연구를 제외 하고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관련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에 레스토랑의 물리적 특성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과 학습을 통 해 형성된 고객의 레스토랑에 대한 점포이미지와의 관계를 통해 다양해지 고 개성화된 외식 고객의 구체적인 외식소비행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제 2 절 연구의 목적 레스토랑이 지니고 있는 인테리어의 디자인 이미지와 고객이 지각하는 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는 외식고객의 구매행동을 유발시키는 원동력으로써 외식소비자행동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이와 같은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는 구매행동 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의 선행요인으로서 고객의 지속적인 반 복구매행동을 유지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에 레스토랑 마케터에게는 매우 중요한 정보원천으로 작용하고 이를 토대로 경쟁력 있는 마케팅전략 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스토랑 방문고객을 대상으로 고객이 지각하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고객의 지각속에 상호작용하는 총합요 인인 점포이미지가 고객의 만족 및 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하위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개념 및 유 형을 파악하고, 측정항목을 도출한다. 둘째,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에 대한 국내․외 기존문헌들을 토대로 측정 변수를 설정한다. 셋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규명한다. 즉, 감성적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기능적 이면서 심리적인 점포이미지 지각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연구 개념 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넷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레스토랑 점포이미지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다섯째, 레스토랑 고객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다. 여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 포이미지의 차이검증을 한다. 일곱째, 외식행동 특성에 따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 이미지의 차이검증을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이미지 및 점포 이미지의 개념 및 특성을 밝히고, 이 개념들이 고객 구매행동의 종속변수 인 고객만족과 충성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레스토랑이 차별화되면서 경쟁력 있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 고자 한다.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 포이미지에 대한 국내외 논문 및 서적, 간행물 등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과 관련하여, 서울지역에 운영하고 있는 고급 레스토 랑 방문고객을 연구대상으로 채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방법으로는 연 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표본에 대한 형태의 어떤 국면을 이해하거나 측정하 기 위한 목적으로 응답자로부터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자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사전에 교육을 받은 면접원을 통한 면접법을 사 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부 점포에 편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각각 할 당하여 배포하였다.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SPSS Win Ver. 11.5와 AMOS 5.0을 이용 하여 연구가설의 검증에 앞서 연구 개념들에 대한 신뢰성 검증과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 미지와 점포이미지의 관계는 정준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두 변수간의 관 계를 검증하였고, 그리고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 가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 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에 따라 본 연구의 범위를 살펴보면 총 5장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은 서론으로 문제의 제기,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여 연구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제 2 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개념 및특징, 점포이미지의 정의 및 유형, 그리고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관하여 기 존의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상호 영향관계를 개념화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의 설계와 연구가설의 도출을 위한 토대를 마련 하였다. 제 3 장은 실증조사를 위한 부분으로 연구모형의 설계와 연구가설의 도 출, 실증조사의 설계 등에 관련된 사항을 기술하였다. 제 4 장은 실증조사결과의 분석으로서 표본의 특성과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개념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연구가설의 검증 등에 대하여 제 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 5 장은 결론으로서 연구의 요약, 시사점, 본 연구의 한계 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이미지 1. 이미지의 개념 이미지란 심상, 영상, 표상 등을 뜻하는 말로서 라틴어의 imago에서 유 래되었으며 프랑스어로 image라고 한다. 이는 인간의 마음속에 그려지는 사물의 감각적 영상을 가리키며, 주로 시각적인 것을 말하지만 시각이외의 감각적 심상도 이미지라 한다. 심상은 원래 직접적인 외적 자극에 의하지 않고 의식에 나타난 직관적인 내용을 가리키는 것이며, 기억의 심상이나 연상의 심상도 이에 해당된다(두산동아백과 2002). 이미지란 행동 준비상태로서 인간행동 방향을 규정하는 필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미지란 머릿속에 그려진 초상이지만 그 영향 력은 매우 큰 힘을 발휘한다. 그리고 이미지는 보이지 않지만 실체 그 자 체이다. 이미지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또다시 행동에 영향을 미 친다(최현창 1994). 여기에서 이미지는 개인이나 집단이 가지고 있는 어떤 것이 아니고 그 개인이나 집단에 관하여 품고 있는 어떤 것을 말한다. 즉 개인이나 집단이 행동하는 무엇이 아니라,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에 의해 발생하는 타인의 반응인 것이다. 따라서 이미지란 조직에 대한 타인들의 이미지이며 사람들 의 머릿속에, 즉 사회 속에 존재하는 것을 실제의 체험과 직선적인 감각에 서 오는 실존적 인상(Schulz 1985)이며, 의미작용을 갖는 대상과 사이에 안 정된 심적 체계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성적 사람에게 호소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감각적으로 사람들의 마음에 들어가는 것이다. 또한 이미지의 형성에는 사람의 감성 전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 적인 인상은 추론되고 분석되어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것이며 완 전히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인 제어만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존재방식을 고객에 대하여 검토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메시지와 시간(일본능률협회 1991)으로써, 메시지는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는 정보를 말하며, 시간은 정보발신자와 정보수신자가 갖는 정보 발신과 수신간의 정보를 인지 지각하는 시간의식이다. 레스토랑의 메시지가 발생될 때 고객에게 그 메시지가 어떻게 수용되고, 이해될 것인가 하는 것은 고객의 가치체계나 예비지식 등에 의해 좌우되 며, 미래의 이미지에는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있다. 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이미지가 현실에 접근하거나, 현실이 이미지에 접근할 때 예전부 터 수용하고 있던 메시지는 새로운 이미지를 낳게 되어, 이미지의 내용과 확실성이 강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풍부한 창조력을 갖고 아이덴티티가 높은 이미지 안정성을 갖는 레스토랑의 풍부한 메시지를 고객의 내·외부로 서로 정보를 발생·교환하면 서 레스토랑의 이미지가 고객에게 전달되고 고객 상호간에 이해와 공유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레스토랑의 고객에 대한 메시지 발신은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메 시지 수용과정에 대한 교류와 소통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배려와 시간 흐름과 변화에 따른 고려가 있어야 하는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이어야 한 다. 왜냐하면 이미지는 결코 정적인 것이 아니고 다이나믹하게 변화해 가 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미지를 갖거나 이미지를 창출한다는 것은 메 시지 즉 정보를 어떻게 수용하고 발신하며, 상호자극시킴으로 개인과 타인, 조직과 사회 간의 상호 이미지를 교류와 소통을 통하여 형성해 가는 것이다(김영걸 1995). 따라서 레스토랑 이미지란 점포가 고객에게 발신하는 모든 정보를 말하 며 각기 정보가 상호 복합적인 의미작용을 위하여 보다 안정된 이미지체계 를 갖추어야 한다. 2. 이미지 통합에 의한 VMD(Visual Merchandising) 이미지 통합이란 이미지를 전달하는 모든 요소를 하나의 의도된 질서체 계로 통합시켜 그 이미지 전달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통합이라는 것은 조직체의 실체를 이미지화 하는 것 으로 조직체의 대사회적 기본이념을 구축함과 동시에 정보발신 전략과 그 체계의 조직화를 이룸으로서 조직체를 정보발신자로서 일관된 모습을 갖도 록 하여 정보홍수 사회 속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다(김인철 1992). 기업에 있어서 이미지 통합의 가장 주요한 주제는 기업의 문화와 커뮤니 케이션이다. 전자는 기업이 갖는 차별화되고 독창적인 기업문화이며, 다른 기업과 차별화된 행동양식, 규범, 이념이나 활동 즉 유기적인 운용의 총체 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지속가능한 기업 생존을 위한 기업 문화에 대한 연구와 재구축의 혁신이 필요하다. 한편, 후자는 그 기업의 내,외부에 대한 전체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총체를 가리키며 이를 위해서 운영시스템이나 서비스 등 조직이 발신하는 메시지의 내용과 효과 등에 대한 대내외적 활동을 말한다. 결국 이미지 통 합이란 기업이 추구하려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소통의 전략을 세우는 작 업이고, 기업을 둘러싼 여러 환경에 대해 행해지는 정보활동의 총체이다.

 

따라서 기업의 실체를 정확히 인지 이해하는 한편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 를 고객과 함께 공유하고 기업으로부터 재생산되는 정보를 고객의 기억 속 에 축적, 집약되어 갈 수 있도록 핵심이미지(image core)를 고객 의식 속 에 만들어 두어야 한다(일본능률협회 1991). 이 핵심이미지로써 시각적 심볼이 될 수 있도록 레스토랑이 발신하는 모 든 정보가 이를 근거로 통일되고 일관되어야 한다. 이것을 비쥬얼 머천다 이징(VMD)이라 한다. 따라서 레스토랑의 성격과 이미지를 상징하고 구현 하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이미지는 레스토랑 이미지 코어로 매우 중요하고, 이미지 통합 개념에 의한 레스토랑의 비쥬얼 머천다이징 수단으 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는 고객과 레스토랑이 커뮤니케이션하는 이미지 코어가 된다. 이를 위하여 레스토랑 인테리어 이미지 형성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전제 조건이 요구된다. 첫째, 하나의 장소성의 이미지 형성으로써, 주변의 다른 레스토랑과 차별화된 독창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킨다. 둘째, 상징적인 의미 의 전달로써, 레스토랑 이미지 전달매체로 레스토랑 인테리어 이미지를 전 달한다. 셋째, 기능의 조합과 다양성으로써, 지속가능 디자인 체계로 각기 다른 기능적 요구에 대해 다양하게 조립 구성되며 변화에 적응이 가능토록 한 다. 넷째, 시각적 질서와 안정된 지각환경으로써, 많은 레스토랑 구성요소 를 상호 관통하는 일관된 디자인 이미지로 시각적 균형과 조화된 서비스와 환경을 조성한다. 다섯째, 관리 및 시공상의 경제성으로써, 반복되는 요소가 표준화되어 시 공과 유지관리가 용이한 경제성 확보가 필요하다.

 

3. 이미지 스케일 인간이 대상에 대하여 갖는 이미지는 자연으로부터 누적된 경험에 의해 보편적 형성된 감성의 공통언어에서 기초한다. 언어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색채는 번역을 하지 않아도 색채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색채 는 다소 지역과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편적으로 감성 그 자체이며 이미지로 인간에게 보편적 감각이 전달된다(박상호 1993). 1966년 일본의 시게노부 고바야시에 의해 설립된 일본색채디자인연구소 에서 색채이미지 스케일이라는 색채연구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색채의미전달 을 위한 언어적 표현과 시각이미지의 유사성과 차이의 표현으로 색채와 언 어를 분류하여 이미지 체계화를 하였다(박필제 외 1999). 사람들의 색채에 관한 이미지에는 어떤 공통적인 감각이 있다. 이것을 형용사로 나타내고 색과의 관계를 연구하고 스케일화한 것이 이미지스케일 로 좋아함과 싫어함 등의 가치평가와 풍토, 시대조건에 좌우되지 않는 보 편적 객관성을 갖는다. 이미지 스케일상의 색채와 언어는 거의 이미지가 일치하고 이미지는 색 채 뿐만 아니라 형태, 질감, 인테리어, 패션, 제품 등 감성적인 모든 것을 심리적으로 정리해서 종합적인 의미를 붙일 수 있다. [그림 2-1]는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언어 이미지 스케일을 나타낸 것이다.

 

제 2 절 인테리어 디자인 1. 인테리어 디자인의 개념 건축물의 주어진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만든다는 목표 아래, 주어진 예 산의 한계 내에서 종합적으로 융화된 능률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창조하는 공간계획을 실내디자인 즉, 인테리어 디자인이라고 한다(김수경, 1991). 인테리어 디자인은 실내장식으로써, 건물의 내부를 용도에 맞게 미적으 로 구성하는 일 또는 기술을 말하는데, 과거에는 건축물의 실내구조 주체 와 분리하여 단순히 내장한다는 의미에서 파악하려는 경향이 강했으나 20 세기에 들어서면서 실내는 생활의 실제와 밀착된 기능적이고도 조화를 이 루는 공간구성이어야 한다는 합리적인 개념이 나타나면서 장식이라는 측면 보다는 설계로서의 기술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건축과는 별도로 인테리어 디자인을 전문으로 다루는 직업 분야도 독립하게 되었으며, 오늘 날의 실내장식이란 인테리어 데코레이션을 뜻하기보다는 인테리어 디자인 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황종원, 2008). 인테리어 디자인을 크고 무거운 의미의 디자인적인 측면과 비교적 작고 가벼운 의미의 데코레이팅으로 나누어 생각할 때, 디자인 측면은 장치로 데코레이팅 측면은 장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은 벽, 천장, 바닥 등 구조체를 포함한 실내의 큰 덩어리를 다루는 장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와 더불어 실내의 마감재료, 가구와 장식물 등을 배치하는 실내연출이 다 같이 인간환경의 건축행위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인테리어 디자인은 건축행위의 결과로서 주어진 특정 공간에 대하여 그것에 담겨질 내용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일련의 행위라는 총체적 개념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내용물의 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투입하는 새로운 가치의 선택에 관한 의사결정의 방법이라는 개념으로 전개될 수 있다 (김수경, 1991). 이러한 인테리어 디자인은 레스토랑 등 외식산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 로 작용하는데, 소비자들은 외식을 할 경우 단지 음식을 먹는 것에 만족하기 보다는 그 과정에서 느끼는 일탈 혹은 기분전환 등 외식을 하면서 느끼는 감정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어떤 분위기에서 식사를 하는가가 매우 중요하 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외식업 경영자들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 하여 인테리어 디자인을 마케팅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여 자신만의 독특 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안옥희 외, 2005). 인테리어 디자인의 구성요소는 크게 일차적 요소와 이차적 요소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일차적인 요소는 바닥, 벽, 천장, 출입문 등을 말하고, 이차 적인 요소는 가구, 장식물, 조명, 커튼 등을 의미한다. 실내의 바닥은 레스 토랑 전체의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모든 공간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물리적이고 시각적으로 그 공간의 전체 디자인에 영향을 주게 된다. 벽은 가구 자체가 되기도 하고 기분, 성격, 분위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공간 의 형태와 크기는 이러한 벽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벽은 내부를 보호해 주고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것 외에 동선과 전망을 결정짓기도 하며, 내 부의 특징 등을 좌우하며 단열 및 소음차단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음 으로 천장은 실내를 보호하고 조명, 음향효과, 냉난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천장높이, 형태, 방향, 재료, 색, 질감과 조명계획들에 의해 실내디 자인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어느 요소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출입문은 고객이 처음으로 상점으로 들어서는 장소로서 그 상점의 분위기 및 특징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문은 출입 및 환기, 통풍, 방범, 프라이버시 룸, 냉난 방 등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차적인 요소 중 가구는 테이블, 의자, 옷걸이, floor-box 등을 말하는데, 사용에 용이하고 면적을 잘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공간구획에도 용이 하여야 하며 각 요소간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장식물은 그림, 식물, 스탠드 등으로서 역시 상점의 분위기와 가구 등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실내의 전체적인 균형 및 포인트 등의 역할을 하고, 기능성과의 조화도 고려하여야 한다. 조명은 전체 혹은 부분, 국부 조명 등 이 있는데, 조명에 따라 상점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실내의 분위기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을 하여야 할 것이다. 커튼은 광선조절, 흡음, 보온, 장식, 프라이버시유지 등의 역할을 한다. 장 식커튼은 그것의 본래 기능인 실내에 들어오는 빛의 조정기능과 실내의 내 부가 들여다보이는 것을 막아주면서 단조로운 실내에서 장식물로서 설치되 어야 한다(김수경, 1991). 인테리어 디자인에는 각기 다른 기능과 특성을 지니고 있는 실내공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원리가 있는데, 그 원리는 제대로 측정되어질 수 없 지만 추상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의 결과로서 나타난 실내에서 그 원리들이 어떻게 지켜지고 적용되는가 하는 것은 파악될 수 있다. 이런 인테리어 디 자인에는 균형, 리듬, 강조, 색채, 조명 등 다섯 가지의 객관적인 원리들이 포함된다(Phyllis, 2005). 인테리어 디자인의 다섯 가지 객관적인 원리를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균형은 생활영역에 퍼져있는 하나의 기본적인 물리법칙으로서 균 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시각적인 배합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내의 균형을 위해서는 시각법칙에 따라야 한다. 실내의 균형을 위해서는 시각법칙에 따라야 하는데, 대칭균형, 비대칭균형, 방사형균형들이 실내의 조화를 이루는데 많이 응용된다(안옥희 외, 2005). 대칭균형은 안정적이면 위엄은 있으나 정적인 특징이 있다. 그리고 비대칭균형은 대칭균형에 비해 동적이면서 세련미를 주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방사형균형은 중심이 되는 것의 주위에 있는 사물들의 원형을 돌면서 균형을 잡는 것으로 사각형 으로 된 공간에서 신선한 대비감을 준다(김인화, 2007). 둘째, 시각적인 움직임을 가리키는 리듬으로서 어떤 디자인이든지 균형 다음에는 반드시 리듬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리듬은 연속성이 생명 이라고 할 수 있는데, 반복되고 발전되어 가는 무늬의 조직적인 움직임이 연결되어 전체의 리듬을 이루게 된다. 상점 등 실내 분위기의 전체적인 조 화와 개성은 전체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리듬에 따라 그 성격이 드러나는 데, 이러한 리듬은 반복, 교차, 진행, 대조 등을 통해서 나타난다(황종원, 2008). 반복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는 것으로, 단순한 반복은 단조 롭고 용이하지만 시각적 반복의 변화를 가진 연속적인 리듬을 되풀이할 경 우에는 매력적인 리듬이 되며 이러한 복잡한 연속리듬에 의한 반복을 교차 라고 한다(홍지원, 2004). 셋째, 초점이나 흥미의 움직임이라 할 수 있는 강조로서 이는 초점이나 흥미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디자인에서 특히 몇몇 부분에 주어지는 강도를 말한다. 어떤 한 사물을 강조하려면 다른 한 사물을 가볍게 다루어 야 한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강조는 지배와 종속의 문제이며 그것들을 일정한 비율로 나타내야 한다. 디자인에서 어떤 부분이 강조되어 있는가는 시각적인 중량감 혹은 전체에 흐르는 시각적인 분위기로 평가되는데, 강조 된 부분이 없는 실내공간은 밋밋할 뿐만 아니라 뚜렷한 성격을 갖지도 못 한다. 강조에 있어 디자인을 할 때 주의할 점은 한 곳에만 강조를 두어야 하는데, 하나의 초점을 강하게 부각시키고 이에 맞추어 나머지 부분들을 어울리게 해야 한다(안옥희 외, 2005). 넷째, 외장색 못지않게 인테리어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로 취급되는 색채 로서 실내의 색채를 결정할 때는 제일 먼저 바닥, 벽, 천장과 같은 넓은 면 들의 색조를 생각한 뒤에 세부적인 배색을 결정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서로 다른 색들을 통일, 조화, 안배시키는 색의 연출이 뒤따라야 한다. 상업 공간은 특히 색채효과를 중요시하는 곳이므로 업종과 고객층의 연령, 성별, 그리고 상점의 이미지 등 분위기에 맞는 색채계획을 세워야 한다. 또한 색 채연출 시 조명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 더욱 효과를 높일 수 있다(황종 원, 2008). 다섯째, 실내에 빛을 도입하여 사물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조명으로서 이는 실내의 분위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조명은 실내 분위기를 가장 쉽고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어 현대에 와서는 단순히 사물을 눈에 보이도록 주 위를 밝혀주는 기능보다는 특정한 분위기를 조성해 주는 기능이 더 높아졌 다. 이러한 조명은 상점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기능에 따라 선택하여야 하 는데, 상업공간의 내부는 다른 공간과 달리 빈번한 변화가 요구되는 공간 이며, 공간의 특성별로 그 요구되는 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공간의 특성에 맞게 가변성 있는 조명계획이 필요하다(안옥희 외, 2005; 황종원, 2008). 이와 같이 인테리어 디자인은 종합적인 결과의 표현으로서 어느 한 가지 기준만을 가지고 분류하기에는 복잡한 요소들이 서로 얽혀 있고, 시재적인 변화와 흐름을 같이 하고 있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각각의 고유한 영역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유영역들은 서로 결합하여 또 다른 디자인 스타일 을 만들어 내는데 이것을 Mix & Match스타일이라고 한다. 인테리어 디자 인의 특징을 분류하여 보면 현대성 스타일(modern style), 고전성 스타일 (classic style), 오리엔탈 스타일(oriental style), 자연성 스타일(natural style), 낭만성 스타일(romantic style)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타 일을 기본으로 하여 서로 다른 이미지들과 결합하거나 혼합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스타일의 이미지들을 만들어 내기도 하는데, 이런 스타일은 점점 복잡해져 가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직접적인 명칭이 되기도 한다(황종원, 2008).

 

흙이 좋은데 집에다 흙으로 시공하지 않는 이유로 흙집에 살아본 경험이 없어서 흙집, 황토의 장점을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며 흙으로 인테리어를 하는것에 대한 두려 움과 부담감과 번거로움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흙은 약한 재료라고 생각해서라고 하 였고 건강보다 편하게 살려고 하는 현대인들의 사고를 지적했으며 흙을 관리하는 사 람을 찾기도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들며 주택이나 집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다고 응답 하였다. 최근 개발된 현대방식의 흙건축공법들은 관리비용이 들지 않는데 비용에 대한 흙 건축의 홍보나 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8) 아픈 사람들이 오는 공간은 어떤 인테리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B.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도 흙집을 짓고 사는데 건강을 잃게 되면 건강의 중 요성을 더 잘 알게 되죠. 그러니 당연하게 건강에 좋은 흙으로 시공해야겠지요.” C. “흙으로 인테리어를 하는 것이 매우 권장되어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곳만이 아니고 다른 장소에도 몸과 마음을 동시에 힐링이 되는 장소에도 그런 공간이라면 흙으로 시공되면 참 좋겠다고 생각이 됩니다. 더군다나 아픈 사람들이 가 는 공간에는 더욱 진짜 흙으로 인테리어 해야 할 것 같아요.” F. “흙으로 해놔도 좋지 난 일반병원에 하얗게 해놓는 게 넘 싫어. 무섭고 근데 여 기는 맘이 편해 거스르는 거 없이 흙냄새도 나니까 나도 몸이 많이 나아지겠지. 하는 그런 맘도 생기고 그리고 난 또 여기서 치료받고 몸이 많이 나아졌고 그래서 좋아.” G. “ 분위기도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는, 안에 건축재료는 이런 건강한 인테리어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아픈 사람이 오는 곳인데 집도 그런게 필요한지만 아픈사람들 을 위한 곳에서는 인테리어를 넘 예쁘게 하는 것보다 건강하게 해야할 것 같고 특별 하게 진짜 흙이 필요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여긴 진짜 흙으로 이쁘게도 해놨고 건강하 게 해놔서 좋은 거 같아요. 그러고 진짜 흙을 쓰니까 흙냄새도 나서 좋아요.” H. “네, 시공 비용은 좀 될 수도 있으나 당연히 아픈 사람들이 오는 곳은 진짜 흙 으로 그리고 친환경으로 건강한 인테리어를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여유가 있거나 기회가 온다면 건강한 흙집은 사는 집에라도 하면 좋을 거 같아요. 건강을 한번 크게 잃어봐서요. 건강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크게 깨닫게 됩니다.” J. “아픈 사람들이 오는 데는 건강에 좋은 진짜 흙으로 인테리어를 해야 되는게 맞죠” 흙집에 실제 거주하고 있는 면담자의 응답으로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도 흙집 을 짓고 사는데 건강을 잃게 되며 건강의 중요성을 더 잘알게 되므로 당연히 흙으로 시공해야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건강을 크게 잃어 본 면담자는 아픈사람들이 오는 치 유 공간에는 비용이 좀 높더라도 건강한 인테리어가 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대 부분 예쁜 인테리어보다 대부분 건강한 인테리어로 친환경적인 흙을 주제로 진짜 흙, 원래의 흙이 시공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9) 흙집의 좋은 점, 흙집이 없어서 불편한 점, 흙에 대한 경험 A. “옛날에는 흙을 발라놓고 거기다가 또 한지를 바르거나 도배도 했거든 흙가루 가 내린다고 그래서 그런 게 생각나더라고.” B. “흙냄새가 많이 났어요. 황토가 수분을 머금고 있어서 수분조절능력이 있어 집 이 항상 뽀송뽀송해요.” C. “아파트 이사 오기 전에 황토로 거실 전체를 미장한 집을 구경한 적이 있어요. 새집증후군도 해결하고 건강에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어요.”

 

E. “흙집에 살 때가 일어나면 몸이 더 개운하고 피곤할 때 더 좋아요. 그리고 몸도 가벼워지고 바닥에 요 깔고 자도 흙냄새가 나서 좋았어요. 요즘엔 일부러 흙을 밟으 러 등산도 다니고 해요 사람은 흙을 밟아야 해요 우린 흙 밟으러 일부러 흙길로 다 니고 흙 만지는 게 좋아서 밭에 나가 일하고 그게 또 양식이 되고 건강해지고 안 할 이유가 없어요. 흙길이 없어져서 곡식이 더 안돼요. 수분을 빨아 들이지 못해서 콘크리트 해 놓은 것 때문에 바닥에서 시골길도 도로가 공용 도로에다 거의 콘크리트로 해 놨어요 사 람이 걸어서 다니는 것보다 차가 들어가야 되니까 그러니 더욱 아쉽지 흙길이 점점 없어져 가요. 그러니 점점 흙이 그리워지죠. 그래서 이젠 좀 자주 여기에 흙을 체험 하러 와야겠어요.” F. “옛날에 흙집은 좋은 게 있어요. 수분을 조절해 줘요. 요즘 집들은 메주를 못 뛰어 메주 해서 집안에 놔두면 여기저기 곰팡이가 꽉 껴요. 그래서 간수를 해야 그런 게 안 생기고 늘 하면 고민이거든 그래서 다른 곳에 못 두고 난 이렇게 나무에서 세 워서 하지 흙집은 수분을 조절해서 내 보내 줬다 하니까 그래서 메주가 썩거나 그런 게 없는데 지금 현대 집은 메주가 안 돼. 그래서 지금 우리도 매주를 쑤기는 하는데 쒀서 밖에 걸어두지. 매주 띄우는 건 황토방이잖아. 메주가 잘돼야 간장 된장이 다 맛있는데 우리 집에는 그게 안 되잖아 흙집처럼 공기도 잘 순환도 안 되고 그런 문 제가 있어 편한 것만 찾다 보면 참 중요한 거를 사람들이 좀 많이 놓쳐요. 그러니까 흙집이 좋은데 이제는 나도 흙집을 전체 지어서 살 수도 없고 지어서 살 면 좋은데 그러자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없는 게 문제야.” G. “10살 때까지 살고 엄마가 많이 그거 뭐라고 그래야지 바르는 거를 많이 봤어 요. 부엌도 하고 벽도 하시는 거요. 집이 컸는데 안방, 뒷방 그리고 사랑방으로 안채 말고 바깥에서 손님 오셨을 때 필요했고 다 안에는 흙으로 해 놓았어요. 그 위에다가 도배하고 주로 부엌 바닥은 흙바닥이고 그렇게 많이 다져져서 그냥 앉아서 엄마가 밥하실 때 옆에서 같이 앉아 있기도 했어요.” I. “어렸을 때부터 24살까지 나무 때고 시내 안에 살아도 흙집에서 살았어요. 자고 일어나면 몸이 가뿐해서 늘 피곤해도 바로 회복이 되었어요.” J. “난 어릴 적에 14살까지 산 곳이 흙집으로 되어있는 초가집에 살았어요 추석 되고 명절 때 이게 뭐야 부뚜막에 물로 해서 좀 이렇게 또 이렇게 매질하는 거를 봤어요. 그때는 그런 거를 다 집안에서 남자들이 한 데 아니라 부엌에는 어머님 들이 많이 하셨어요. 그리고 대나무 사이로 이렇게 심벽으로 해서 흙 바르는 건 아버 지가 하시고 그랬어요. 안쪽에는 도배도 했지요. 시간이 지나고 하면 흙이 좀 떨어지 고 하니까 바닥은 흙바닥이니까 자리를 깔고 그럼 그 위에다 이불 깔고 군불 때고 그래 살았지요.” 과거 흙집에 살았던 각자의 경험을 응답하였다. 흙집이 주는 장점으로는 피곤함이 사라지고 자고 나면 몸이 가뿐해지며 수분조절능력이 있어 집이 항상 쾌적하다고 하 였으며 메주를 만들 수 있는 여건이 되었으며, 단점으로는 흙길이 없어지는 현재 땅 의 수분함유량이 떨어져 곡식의 재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하였 으며 매번 흙을 매기고 했던 관리의 불편함을 언급했다. 10) 한의원에 흙으로 해놓은 곳을 방문한 적이 있으신가요? A. “그냥 진짜 그렇게 흙을 이렇게 해놓은 데가 다른 데는 없어. 흙을 해놨다 해도 여기처럼 안 해 놨잖아 없어.” C. “강남에 흙미장이라고 해놓은 곳이 있었지만, 일부분이었고 부분적으로 아트월 로 거실이나 데스크 쪽으로 되어있어 장식적인 효과가 있는 곳이어서 체험으로 느끼 기엔 부족했던 것 같아요. 치료실에 되어있지 않아서 그냥 환자들이 체험하기엔 역부 족이라고 생각이 돼요. 여기는 개별적으로 침구실에 미장을 해놓아서 가장 마음에 들 었고 몸소 체험하고 나니 다른 한의원과 차별된다고 생각이 드네요” F. “글쎄 난 여기 처음 봤어.”

 

I. “그런 데는 가본 경험이 없어요. 내가 다니던 한의원은 동네 시장 근처 한의원 일반적으로 시설해 놓은 곳이고 그리고 주로 종합병원이나 일반병원에나 큰 이런 거 해놓은 데가 없어요. 삭막하기만 하고 환자들이 너무 많으니까 그런 걸 더 해놔야 하 지 않을까 생각도 드는데 숨이 막힐 정도로 공기도 안 좋고 난 내가 환자이지만 큰 병원 가면 공기가 그래서 그런지 더 기운이 짝 가라앉는 게 더 아픈 거 같아요. 그래 서 밖에 더 나은 공기 맡으러 일부러 나가 있다가 내 순서 때 들어가기도 해요.” 거의 진짜 흙을 시공해놓은 곳에 가본 적이 없으며 흙으로 시공한 곳은 처음이라 고 응답하였으며 한 면담자는 강남의 한 곳은 일부분으로 장식적으로 한곳이라 체험 으로 느끼기엔 부족하다고 하였으며 오히려 침대에 개별로 미장을 해놓아서 몸소 체 험하니 다른 한의원과 차별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현재 대형병원 인테리어 경향으 로 삭막한 분위기로 조성된 내부 인테리어, 공기의 불쾌함 등을 토로하였다. 11) 한의원 흙건축 인테리어에 대한 소감이나 견해 C. “매우 인테리어 개념으로 좋다고 생각합니다. 흙도 이렇게 인테리어 개념으로 충분히 적용 가능성 있는 건축 재료라고 생각됩니다. 이곳만 아니라 다른 곳 병원이 나 힐링이 되는 곳에는 흙으로 시공이 되면 좋을 것 같아요. 특히 아픈 사람들이 가 는 곳은 더 진짜 흙으로 인테리어 해야 할 거 같아요.” D. “전반적으로 한의원에 흙을 체험하고 조금 뭔가 건강해진다는 느낌, 황토벽돌보 다 노란색 흙벽돌이 예쁜데 건강에도 좋으니 집에다 해두고 싶어요. 질감도 굉장히 특이하게 다가옴, 비용문제가 있지만, 건강에 좋으니 밝은색의 미장이나 흙벽돌로 하 고 싶어요. 벽돌 두께는 가구 식으로 벽돌을 쌓고 나무판을 올려놓거나 벽면에 쌓아 두어도 좋을 것 같아요.” 흙도 인테리어 개념으로 충분히 적용 가능한 건축재료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으 며 아픈 사람들이 오는 공간병원이니 힐링이 되어야 할 공간에는 더 진짜 흙으로 인 테리어 해야 한다고 하였고 건강하고 예쁜 인테리어로 집에도 시공하고 싶다고 응답 하였다. 12) 흙벽돌의 두께 C. “적용을 어떻게 할지에 따라 건강을 생각해서 시공하는 파티션이라면 두께가 괜찮지만 아트월 정도로 쓸 때는 부담스럽고 무거울 것 같고 자를 수가 없어 좀 얇 게 나오면 좋을 것 같아요. 셀프인테리어 하기에 굵기가 좀 부담스럽고 이 정도 두께 는 전문가가 있어야 할 것 같아요. 이런 문제가 해결된다면 새집으로 이사갈 때 해보 고 싶어요.” D. “벽돌 두께는 가구식으로 벽돌을 쌓고 나무판을 올려놓거나 벽면에 쌓아두어도 좋을 것 같아요.” 건강을 생각해서 시공하는 파티션이라면 두께가 괜찮은데 아트월에 적용하기위한 용도로 셀프인테리어로 하기에 흙벽돌의 두께가 좀 얇게 시판된다면 이사갈 때 적용 해보고 싶다고 하였으며 가구식으로 벽돌을 쌓고 나무판을 올려놓거나 벽면에 쌓아 두면 좋을 것 같다고 응답하였다. 13) 흙건축의 관심 대상에 대한 견해 D. “건강에 관심이 있거나 몸이 아프신 분들이 그렇겠죠. 많은 사람이 알고는 있는 데 정작 시공하는 방법이나 절차를 몰라서 앞으로 관리비용이 들지 않은 황토보드나 상품들이 나온다면 관리적 문제에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몸이 아픈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이 많을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관리비용이 들지 않는 황토보드나 시공이 간편한 상품들이 나온다면 관리적인 문제에서 좋을 것 같다 고 응답하였다.

 

제3절 소결 치유 효과를 체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 면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치유공간에 흙건축공법을 활용한 인테리어에 관한 기능적 효과와 진짜 흙을 인식하였는지에 대 한 인식 여부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60대 이상 연령이 높을 수록 보는 것 만으로도 진짜 흙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그 이하 세대는 흙이 떨어진다거나 유해한 인테리어 냄새가 나지 않는 것으로 인지 하였다. 2. 진짜 흙의 인식 경로로 화병(火病)전문 한의원의 환자들이 설문과 면담을 통해 마음이 편하였다로 응답하여 흙이 심신의 안정감을 가져다 주는 치유의 역할로 효과 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진짜 흙의 인식경로로 흙냄새가 나고, 옛날 흙집 살던 생각이 났다고 응답한 것 은 이미 흙집에 살아본 경험이 있는 세대들로서 흙의 효과에 해당하는 숙면을 취하 거나 몸이 개운하고, 피곤함이 사라진다로 응답하였으며 체험시간도 1시간~1시간30 분 정도가 적당한것으로 빠른 시간에 흙의 효과를 인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4. 치유공간에 흙건축 인테리어가 적극 권장되어야 하며 건강한 인테리어인 진짜 흙,원래의 흙이 시공되어야 함에 상당한 공감을 나타냈다. 또한 흙건축 인테리어를 집에다 해두고 싶다고 하였으며 설문에서는 연령대가 70대 이상으로 높을수록 전통 방식인 침구 치료실의 황토미장을 가장 선호하였고, 면담자들의 연령대가 60대 이하 로 낮을수록 현대방식인 컬러 흙벽돌을 가장 선호하였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인테리 어로 황토를 염두에 두고 있지만 예쁘고 건강한 인테리어로 입구에서 밝은 느낌의 현대방식의 흙건축 공법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도, 대기, 물리치료실, 명상실 용도인 다기능의 좌식 한식방공간에서의 한 지 조명과 신발을 벗고 들어갈 수 있는 점, 전체 공간의 한지창호, 계절별 흙벽돌 화 단도 병원같지 않고 집처럼 편안하고 친근한 느낌을 주는 장점이자 차별점으로 응답 하였다. 5. 타한의원이나 기존 치유공간과의 차별점으로도 앞서 응답한 선호 공간도 차별 점의 범주에 포함되었으며, 흙을 치유공간에 치료와 인테리어 개념을 적용한 획기적 인 인테리어라고 같은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치유공간에서는 삭막하고 딱 딱한 분위기, 나쁜 공기질, 공포감을 주는 흰색 인테리어, 친환경 건축재료의 미시공, 등을 언급하였으며 대부분 이러한 치유공간이나 흙을 적용한 한의원방문 경험이 없 었다. 단 한명의 유경험자의 응답으로 흙을 인테리어 개념으로만 적용하여 치료개념으로 체험하기에는 미치지 못하였음을 차별점으로 언급한 것으로 일부 흙을 한정된 공간 에 적용한 것 보다 많은 양과 가까이에서 흙을 체험하기를 선호한 것으로 분석이 되 었다. 또 다른 차별점으로 VOCs (휘발성 유기화합물)등으로 인한 새집증후군 증상이 나 타나지 않는 것과 실내 공기질이 우수한 점을 언급함으로 이미 몸으로 진짜 올바른 흙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 타한의원의 선행조사로 관리의 편 리성,시공의 간편성을 추구한 시공 공법을 탈피하고 화학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친환 경 건축자재 인증등급 HB(Healthy Building)의 최우수등급에 준하는 재료와 마감재 인 흙으로 흙미장(Plaster), 흙벽돌(Adobe), 흙페인트(Earth paint) 공법을 구현한 결 과이다. 6. 화병(火炳)을 다루는 치유공간일수록 집처럼 편하게 휴식과 스트레스를 경감시 키는 치유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이 되며, 아픈 사람들이 오는 공간일수록 적 극적으로 화학수지를 넣지 않은 건축자재인 재료와 마감재의 활용이 요구되어 지며 이러한 측면에서 진짜 올바른 흙의 이용이 절실하다. 7. 흙건축의 대중화에 대한 문제점으로 관리비용을 언급하였는데 관리나 시공비용 문제가 해결된다면 집에다 흙을 시공하고 싶다고 하였으며 의식부족의 문제도 지적 하였다. 과거의 흙건축 공법은 시공과 관리비용이 많이 들었지만, 최근에는 결합재의 최밀충전 효과(optimum micro-filler)에 따른 공법의 기술개발로 과거 수축이 많았 었던 문제점을 보완하였으며 또한 시공도 간편하며 비용도 저렴한 공법이 대중화되 었고 관리비용도 거의 들지 않게 되었다. 또한 사전에 흙건축을 인지하지 못했던 환 자가 흙의 효과를 체험 후 흙을 집에다 시공하고 싶다고 응답한 것은 의식 부족 이 전에 흙에 대한 교육이나 경험이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건강을 중요시하는 분들을 위한 다각적인 형태의 흙건축 교육이나 홍보도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실제 치유가 필요한 아픈 사람들이 오는 공간에는 화학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진짜 올바른 흙의 이용이 절실하며 또한 최근 공법기술에 따른 시공, 관리비용 절감을 위 한 홍보나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제5장 결론 치유공간에 원래의 흙의 필요성 검증을 위해 화(火)를 다루는 화병(火病)전문 한의 원의 인테리어로 일부 바닥(한식방 바닥은 황토미장으로 시공)을 제외한 전 공간에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ilic Design)의 개념을 차용하여 들판의 곡식, 한낮의 태양, 푸른 숲, 암석, 토양, 구름, 어두운 밤인 자연을 상징하는 색채를 적용하였다. 또한 합성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원래의 흙에 3가지 색의 흙미장(Plaster), 2가지 색의 흙 벽돌(Adobe), 4가지색의 흙페인트(Earth paint)공법을 적용하였다. 시공 후 흙의 치 유 효과를 체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유공간의 기능적인 효과와 인식에 대한 설문 과 면담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60대 이상 연령이 높을수록 보는 것만으로도 진짜 흙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그 이하 세대는 흙이 떨어진다거나 유해한 인테리어 냄새가 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하였다. 2. 진짜 흙의 인식 경로로 화병(火病) 전문 한의원의 환자들이 설문과 면담을 통해 마음이 편하였다로 가장 많이 응답하여 심리적으로 흙이 주는 편안함과 안정감을 통 해 흙이 치유의 역할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 진짜 흙의 인식경로로는 흙냄새가 나고, 옛날 흙집 살던 생각이 났다고 응답한 것은 이미 흙집에 살아본 경험이 있는 세대들로서 흙의 효과에 해당하는 숙면을 취 하거나 몸이 개운하고, 피곤함이 사라진다로 응답하였으며 체험시간도 1시간~1시간 30분 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빠른 시간에 흙의 효과를 인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4. 70대 이상에서는 전통 방식의 개별공간인 침구실 벽면의 황토미장을 가장 선호 하였고, 60대 이하로 낮아질수록 밝은 색상이 반영된 공용공간의 흙벽돌을 선호하였 으며, 그 이외에 계절별 흙벽돌 화단, 좌식공간의 한식방을 선호하여 이는 건강한 느 낌의 황토를 선호하면서도 밝은 공간과 미적으로 아름다운 흙건축 방식에 대한 욕구 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5. 응답자들은 기존 타 치유공간에 대해서는 삭막하고 딱딱한 분위기, 나쁜 공기 질, 공포감을 주는 흰색 인테리어, 친환경 건축재료의 미시공 등을 지적하였으며, 이 에 반해 흙건축 인테리어 치유공간에서는 병원 같지 않고 집처럼 편안하고 친근한 느낌을 장점이자 차별점으로 응답하여 이는 자연의 색채를 적용한 흙건축 인테리어 가 치유공간 요소의 심리적 요소인 편안함과 친근감 또한 특성요소의 친근성 쾌적성 을 만족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6. 대부분 흙을 적용한 치유공간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 공간의 아트월 흙인테리어를 경험한 응답자는 치료개념에 미치지 못하였음을 지적한 것으로 이는 아픈 사람들이 오는 치유공간에는 치료의 목적이나 치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원래의 흙, 진짜의 흙의 적용을 원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7. 사전에 흙건축에 대한 경험이 없던 환자가 체험 후 치유공간에 흙건축 인테리 어가 적극 권장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여 흙의 치유효과가 인식의 전환의 기회가 된 것으로 분석된다 8. 흙건축 인테리어 체험자들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인 VOCs로 인한 새집증후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점과 실내 공기질이 우수한 점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몸으 로 진짜 흙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시멘트. 화학수지 등을 첨가하 지 않은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등급 HB(Healthy Building)의 최우수등급에 준하는 재 료와 마감재인 흙으로 흙미장(Plaster), 흙벽돌(Adobe), 흙페인트(Earth paint) 공법 을 구현한 결과로 분석된다. 9. 흙건축 적용의 걸림돌로 관리비용과 시공비용을 주로 언급하였으며, 일부 의식 부족 문제도 지적하였다. 최근 흙건축 분야의 발전으로 지적한 문제들이 상당 부분 해소되었음에도 응답자들이 여전히 과거의 문제점들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흙건축 에 대한 정보와 지식 획득에 대한 체험과 교육이 모색되어야 함으로 분석된다.

 

10. 치유공간 요소 중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반영하였으며 치 유환경 특성 요소 중 자연 친화성에 가장 중점을 두고,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 에 기반하여 자연의 직접적인체험과 간접적인 체험의 개념으로 계획하여 치유공간에 흙, 빛, 식물, 꽃, 목재, 돌, 자연을 닮은 색채, 식물을 넣은 구피어항, 꽃무늬의 방석 과 쿠션, 나뭇잎 무늬의 방염커텐과 목조장식과 가구를 활용하여 시공한 결과 이를 체험한 환자들의 응답에서 심리적인 치유기능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반응을 이끌 어낼 수 있었다. 11. 바이오필릭(Biopilic) 디자인의 개념 중에서 치유공간에 적용할 색채로는 자연 을 상징하는 6가지 색채를 적용하였다. 재료로는 합성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자연재 료인 흙으로 흙건축 인테리어를 시공하였다. 그 결과 치유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 소인 색채, 형태, 빛, 자연이미지에 대한 연출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반영이 심리적인 요소인 편안함, 안정감, 친근감, 쾌적함 등과 특성요소에서 요구되는 자연친화성, 안 전성, 친근성, 쾌적성 등을 느끼도록 유도하는데 기여하였으며 환자들 또한 이로부터 치유 효과를 체험하고 만족하였다는 응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12. 치료실과 탈의실, 한식방 일부 바닥은 황토미장과 황토색 흙페인트를 활용한 치료 개념을 반영한 시공으로 재료와 색채로 구현하였다. 이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 과 일반적으로 흙집에 살아본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 황토색과 황토미장은 건강하 고 치유가 되는 색으로 인식하고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공간은 밝은 노란 색, 회색으로 시공한 컬러 흙미장과 밝은 노란색, 연두색, 흰색 등 컬러 흙페인트는 흙을 인테리어 개념으로 계획, 시공하였다. 이에 대하여 사전에 흙건축을 인지하였는 지의 여부와는 별개로 예쁘고 건강한 인테리어이며 부담스럽지 않고 밝아서 좋았다 는 인식을 보였다. 아울러 적극적으로 집에 인테리어로 시공하고 싶다는 응답도 나타 났다. 이 연구에서는 자연재료인 흙을 치유공간에 적극적으로 사용한 후 이를 체험한 환 자들을 대상으로 나타난 분석결과로 현대적 의미의 흙건축 공법의 이용으로 흙의 치 유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흙에 대한 인식 전환의 기회로 삼을 수 있었다. 이 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치유공간에 올바른 흙건축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 고자 한다. 향후 과제로는 새로운 연구유형으로 흙재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해 실제 치유공간과의 연계프로그램을 통한 효과 검증연구가 모색되 어져야 하며, 최근 치유공간의 현대화로 인해 대상과 분야가 다양하게 창출되어짐으 로 치유의 효과로 각 공간을 충족시켜주기 위한 현대적의미의 흙건축공법에 대한 가 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강화되어야 한다.

 

안내접수대의 흙벽돌(7)이 가장 좋았다고 면담자들은 응답하였으며 한식방(4)과 치 료실(4)이 동일하게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일반 벽돌과는 다른 거친 질감의 스플릿형 흙벽돌의 질감과 태양이나 들판의 곡식을 상징하는 자연의 색인 밝은 노란색을 적용 한 흙벽돌로 이는 밝은 느낌의 흙벽돌이라 더 좋았다고 하였으며 예쁜데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흙벽돌이어서 더욱 좋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은은한 한지 조명의 한식방 이 정감있으며 한의원에 맞는 인테리어로, 병원같지 않고 옛날 흙집 같다, 옆집에 놀 러 온거 같이 편안했다, 편안한 카페 같다라고 하였으며 신발을 벗고 좌식으로 앉아 있을 수 있는 공간이어서 좋았으며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여 가변식으 로 물리치료실 용도로도 사용할때는 누워서 지질 수 있어서 좋았다는 응답도 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입구에서부터 황토로 하지 않고 밝은 느낌의 인테리어로 흙을 시 공해놓은 것이 좋았다고 하였으며 암석이나 바위를 상징하는 회색으로 적용한 대기 실의 백토 미장도 그러한 맥락에서 느낌이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주로 60대 이 하의 면담자들이 밝은느낌의 인테리어를 선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70대 이상의 면담자들은 황토의 치료실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을 크게 잃었던 경험 이 있었던 분은 흙벽돌과 건강을 상징하는 황토미장을 한 침구실을 둘 다 선호한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구에 꽃을 연출하고 자연의 색을 상징적으로 적용한것과 공간 의 차별을 두어 전개하고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의 자연재료와 자연색채를 연 출한 것을 이해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처럼 편안하고 병원같지 않음 으로 응답한 것은 치유공간요소의 심리적요소에 해당하는 편안함, 친근감을 만족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진짜 흙으로 인테리어 한 것을 인식하셨나요? 그리고 어떻게 느끼고 알게 되셨 나요? A. “알았죠, 그래요. 우리 아버지가 그 전에 옛날에 흙집을 지으셨어요. 여기는 주 로 어떤 침대는 머리 쪽에 흙을 발라 놓은 데가 있고 어떤 곳은 이렇게 돌아가면서 흙을 발라놓은 침실도 있는데 나는 원장님방 바로 옆에 거기서만 맞았어. 침 맞을 동 안에 어떻게 이런 느낌이 오나 했지. 마음이 그게 편안한 건가 아니면 그냥 옛날 생 각이 나서 그런 건가 보다 이렇게 생각을 해서 옛날에는 흙을 발라놓고 거기다가 또 한지를 바르거나 도배도 했거든 흙가루가 내린다고 그래서 그런 게 생각나더라고. 흙 냄새가 나고 피곤함도 사라지고 숙면해서 좋았어요. 1시간 정도 잠깐 와서 누워도 그래도 느껴져서 좋았죠.” B. “바로 알았어요. 저희는 14년 전에 집에 황토 벽돌로 외부에 하고 실내도 벽에 황토칠 해서 흙집에 살고 있어요, 이렇게 흙집에서도 사는데 우리가 한의원에 인테리 어해 놓은 거랑 좀 공법이 약간 이렇게 다르지만, 여기엔 황토벽돌로 내부에 쓰고 황 토로만 했으니까요.” C. “들어가서 눈으로도 시공했다는 거를 알았지만 진단받는 동안 아주 편안하게 다른 병원과 차별화된 몸으로 느끼고 왔습니다, 편안했습니다. ” - 그러면 진짜 흙으로 시공한 걸을 느끼셨나요? “아 처음에는 모두 흙으로 한 거를 봤는데 인테리어한 지 얼마 안 됐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그런 곳에 가면 눈이 맵거나 따가웠는데 전혀 그런 게 없이 오히려 시원해 졌어요. 그리고 제가 뭐 모르는 2시간 동안 있었더니 마음이 편안해 짐을 제가 몸소 체험했습니다. ” - 그러면 그 체험 하는 동안에 또 몸과 마음이 편안한 거 말고도 다른 어떤 그런 느낌 있으셨나요? “침을 맞으면서 몸은 몸대로 좋지만, 일단은 마음이 편해지고 일어나기 싫을 정도 로 편안함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몸이 맑아짐을 느꼈습니다. 개운했다고 해야 할까요. 가벼워지는 거 같았어요. 그래서 좋아서 더 오래 머물고 싶었어요.” D. “아 그게 떨어지는 거 보고 진짜 흙인가보다 침대 누우려고 보면 흙가루 같은 것도 아래쪽에 조금 떨어지는 거 보고 알게 되었고 또 숙면 취하고 피곤한 게 덜한 거 같고 우선 마음이 좀 편안해지는 거 같고, 그 순간이 피로가 충전되어서요.”

 

- 보통 이렇게 두 오셔서 바로 이따가 숙면이 취해지셨나요? “보통 40분 정도 침 맞으면서 누워 있는데 금방 잠이 푹 드는 거 같아요. 집에서 자는 것과는 달라요.” E. “어릴 때 흙 놀이도 많이 하고 흙도 먹어도 보고 그렇게 놀았어요. 아 그래서 이게 진짜 흙인가 싶어 침대 옆에 이렇게 바로 다 이렇게 발라 놓은 게 가까이 있어 흙냄새도 났지만, 호기심도 있어서 침을 묻혀 어릴 때처럼 입에다 넣어 먹어봤지 그 러니 진짜 흙이더라고 그래서 확인하고 알았어요. 난 진짜 흙집에 살아서 그 효과는 아주 잘 알지요. 흙집은 그렇지 일단 자고 나면 몸이 개운해 피곤한 것도 없고 잠도 푹 자고 여름에는 진짜 시원하고 겨울에 아늑하면서 따뜻하고 흙집이 좋지요. ” F. “난 금방 알았지 그게 다른데 좀 틀리게 잠이 잘 없다거나 그럴 때 여기오면 그렇지 그런 게 없지 잠을 금방 푹 자니까 그리고 마음도 좀 편해지고 피곤한 것도 없어지는 것 같고.” G. “치료실 들어갈 때 사람들이 힘들게 하니 모서리에 손을 짚는데 저도 이렇게 짚다가 보면 사람들이 많이 짚어서 모서리에 이렇게 흙이 떨어지니까 흙이 아니면 안 떨어지는데 그러기도 하고 이제 들어왔을 때 인테리어를 한 지 얼마 안 되는데 따갑고. 치료실 들어갈 때 모서리에 이렇게 흙이 떨어지니까 그래서 진짜 흙이란 걸 알았어요. 인테리어를 한 지 얼마 안 되는데 따갑거나 전혀 눈이 맵지도 않고 인테리 어 한 냄새 같은 거 접착제 냄새도 나고 이상하게 기분 나쁜 냄새 나는데 여긴 오히 려 공기가 상큼하고 뽀송뽀송 한 거 같았어요. 그리고 제가 자주 와서 보는데 여기는 전혀 병원 같지 않아요. 아픈 사람도 오고 하는 게 흙 때문에 공기가 깨끗해서인지 물 같은 것도 깨끗하고 여기 식물들 제가 관심이 있어 유심히 보는데요. 병 안에 물 넣어 놓은 거 보면 물이 아주 깨끗해요.” H. “여기 공간에 와서 진짜인 줄 알게 되었고 이 정도 진짜 흙인지는 보고 알게 되었어요. 제가 집을 여러 채 지어봤어요. 집을 짓는 데 관심도 많이 있어요. 마음으 로 편안히 다가오니까 많이 오게 되고 실히 안정된다 이런 생각이 들죠.” I. “침구 실에서 침을 맞고 몸이 가뿐해진 거 보고 알았어요. 난 늘 몸이 피곤한 상태니까요. 몸이 가벼워지고 달라지는 게 느껴졌어요. 잠도 푹 자고 안정감도 들고 부드러운 느낌 받고 마음이 편안해졌어요. 그래서 계속 오래 더 있고 싶은 마음이 들 었어요.” J. “첨엔 흙인가 했는데 자세히 보니 알았어요. 난 흙에 관심도 많았어요. 보니까 이거 황토로 해놔서 좀 차별되게 해놓은 게 보면 기분이 좋고 특별히 몸으로 좀 느 끼는 건 잠을 좀 푹 자고 몸이 가벼워지고 그러는 거 같아요.” 60대 이상은 어릴 적 흙집에 살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이중 한 면 담자는 실제 황토벽돌로 시공한 흙집에 거주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보는 것 만으로 진짜 흙을 알아보았으며, 흙냄새가 나고 어릴 적 흙집에 살면서 실제 침을 발 라 흙놀이를 했던 옛 기억이 생각나서 침을 발라보고 옛날 흙맛이 나서 진짜 흙 인 줄 알았다고 답을 한 면담자도 있었다. 또한 실제 본인들만의 흙에 대한 추억을 얘기 하기도 하였으며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한 흙집의 효과도 언급하였다. 이중에 서는 흙집을 지었던 아버님 생각이 난다고 응답하기도 하였으며 어머님이 부엌의 흙 을 매기는 것을 보았다고 응답한 면담자도 있었다. 또한 흙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진 짜 흙임을 알았다고 답을 하기도 하였으며 수생식물을 넣어둔 물병의 물이 깨끗함을 관찰하고 이를 흙의 효과라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또한 50대 이하는 흙집에 살아본 경험이 없는 이들의 응답으로 인테리를 시공한 지 얼마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는 나 쁜 냄새나 눈이 따갑거나 맵거나 하지 않아서 좋았다고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모두 흙의 치유효과를 몸으로 체험하여 감각적으로 흙냄새가 나며, 뽀송 뽀송하여 쾌적하 다, 몸이 가벼워졌고, 피곤함이 사라지고, 안정감을 느끼고, 숙면을 취하고, 마음이 편해졌다는 응답을 하였다. 설문에서도 흙이 주는 안정감으로 마음이 편하였다를 가장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 왔는데 면담에서도 역시 마음이 편하였다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응답으로 숙면을 취하였다순으로 응답하였고 다른 효과들은 대부분 비슷하게 느낀 것으로 응답하여 흙이 가지고 있는 치유효과를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치유공간요소의 심리 적인 요소인 편안함, 안정감, 쾌적함을 인식한 것으로 흙이 이러한 심리적인 요소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흙의 체험하는 시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셨나요? A. “3시간 정도” B. “1시간” C. “보통 2시간 정도 머물렀는데 그 시간이 적당했던 거 같아요.” D. “1시간 정도” G. “1시간” H. “1시간” I. “1시간” J. “2시간” 흙의 체험 시간은 주로 1시간에 3시간으로 응답하였으며 흙집을 살았던 경험이 있 었던 응답자들의 과반수가 1시간 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4) 다른 한의원과 차별되는 건 어떤점이 다른가요? A. “흙집에 살아봐서 옛날 집처럼 병원 같지 않아서 좋다.” B. “획기적인 거 같아 놀랐어요. 일반 병원 같지 않고 집처럼 친근감 있고 편안하 게 느껴지고…… 그리고 시공을 흙으로 안 한 곳과는 확실하게 한 게(흙으로 시공한 것) 차별성이 있어요” C. “들어가서 눈으로도 시공했다는 거를 알았지만 진단받는 동안 아주 편안하게 다른 병원과 차별화된 몸으로 느끼고 왔습니다. 편안했습니다” “한의원에 개별적으로 이렇게 침구실에 흙으로 미장해 놓은 것이 다른 한의원과 비교해서 차별되었다고 생각되었고 황토미장으로 되어 있어서 몸소 체험하고 나니 다른 곳과 확실히 다르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치료실에 개별로 해놓은 곳이 별로 없죠” “다른 데랑 차별화 되면서 전체적으로 실내에 들어가면 눈이 맵거나 인테리어를 한지 얼마 안 되는 곳은 머리가 아프기도 하고 제가 몸이 예민해서 그런지 페인트 냄새에 여러 가지 불편한데요, 그런데 이곳은 일부분이 아닌 상당한 공간을 흙으로 인테리어를 다해서 체험효과가 더 크게 느껴집니다 ” “지금 현재 한의원에 치료실과의 차별화가 되어있지만, 그것은 인테리어에 매우 좋 다고 생각합니다. 흙도 이렇게 인테리어 개념으로 충분히 적용 가능성 있는 건축 재 료라고 생각되고 제가 방문을 많이 한 편인데 이제 갈 때마다 그렇게 느끼고 있습니다.” D. “황토 미장한 거 보통 한의원에서는 하지는 않는 방식이니까 그냥 그렇게 하는 방식을 진짜 흙으로 시공을 했다고 하고 진짜 속이는 것 같아요. 그런데 여긴 진짜 흙인 걸 알게 됐어요.” “전반적으로 한의원에 흙을 체험하고 조금 뭔가 건강해진다는 느낌 그 자체가 이 게 지금 황토잖아요. 이 자체가 몸에 좋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먹기도 하니 까 황토 이 자체가 원적외선이 나와 이제 몸이 좋아진다고 생각하게 되니 그만큼 내 가 실질적으로 오래 있지 않아도 황토라는 게 좋은 걸 아니까 아파서 왔는데 몸이 금방 나을 것 같은 느낌이 더 들기도 하고요.” “인테리어 개념으로 좀 봤을 때도 알고 있는 집이라 그러면 이렇게 황토를 바른 게 일반적으로 흙집의 개념인데 이렇게 딱 들어왔을 때 입구에 미장을 거실 쪽에는 어두운 황토가 아니라 밝은색으로 발라 놓고 진료실 쪽에는 이제 노란색으로 해놨는 데 지금 벽돌이 황토색 벽돌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벽돌이 아닌 것 같아 요. 지금 노란색으로 한 게 그리고 질감도 굉장히 특이하게 다가왔어요 ”

 

“뭔가 편안한 마음이 들었어요. 그렇게 들면서 이게 편한 게 아 진짜 흙 때문에 그 렇게 느낌이 온건 지 알고 나서 그때그때 또 요거 때문이라는 생각을 했었죠. 편하게 좀 숙면이 취해지고 그러고 나니까 느껴졌던 게 마음이 편해진 거 같고 전체적으로 가벼워진 거 같아요. 제가 올해 아기가 태어나서 늘 잠이 부족한데 여기에만 오면 숙 면을 금방 취하고 자요. 집에서 자는 거랑 달라요.” F. “그런데 이렇게 개개인이 들어가서 치료받는 그 공간에 이렇게 바로 가까이 침 대 위에다가 한 곳은 없잖아. 전체적인 곳보다 환자가 누워 있는 데를 황토로 했으니 까 아 여기 좀 틀리고 말고가 없어요. 개별로 해놓은 데는 환자가 혼자서 누워 있는 침대마다 다 흙을 했는데 그런 게 없어요.” “난 일반병원에 하얗게 해놓는 게 넘 싫어. 무섭고 근데 여기는 맘이 편해 거스르 는거 없이 흙냄새도 나니까 나도 몸이 많이 나아지겠지. 하는 그런 맘도 생기고 그리 고 난 또 여기서 치료받고 몸이 많이 나아졌고 그래서 좋아.” G. “여기 한식방이 들어오는데 신발 벗고 들어오는 곳이 있어 좋아요. 그리고 여기 엔 창호지로 조명도 만들어놓고 앉아서 있으면 바닥이 시원하기도 하고 겨울엔 따뜻 하기도 해서 진짜 옛날 흙집에 와서 있는 것 같아요.” “몸이 가벼워지는 것 같아요. 정말 따뜻한 게 좋을 때 앉으면 몸이 시원하고 가벼 워지는데 일반적으로 병원에 가면 이렇게 주저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이 많지는 않 잖아요.” “여기는 바닥 빼고 다 흙으로 돼 있다고 설명을 들었는데 진짜 그러고 보니 여기 안에 들어와 있는 것만으로도 치료가 되는 것 같아요. 흙냄새도 나고 마음도 편해지 고 몸도 가벼워지면서 상쾌한 게 기분이 좋아져요.” “보기에 들어왔을 때 전형적인 병원이라는 느낌이 아니고 편안한 카페 같은 느낌 이라서요 벽돌도 느낌이 좋고요. 그리고 뭔가 좀 아늑한 느낌이 있었어요. 황토를 입 구에 안 하고 좀 밝게 한 게 좋아요. 왜냐면 아마 황토로 했었으면 민속촌 분위기일 텐데 앞에는 현대식으로 한 게 맘에 들었고 다른 곳이랑 많이 차별되는 것 같아요.” “ 이제 들어 왔을 때 인테리어를 한 지 얼마 안 되는데 따갑거나 이런 거 있는데 전혀 눈이 맵지도 않고 인테리어 한 냄새 같은 거 본드 냄새도 나고 이상하게 기분 나쁜 냄새 나는데 여긴 오히려 공기가 상큼하고 뽀송뽀송 한 거 같았어요. 그리고 제 가 자주 와서 보는데 여기는 전혀 병원 같지 않아요. 아픈 사람도 오고 하는 게 흙 때문에 공기가 깨끗해서인지 물 같은 것도 깨끗하고 여기 식물들 제가 관심이 있어 유심히 보는데요. 병 안에 물 넣어 놓은 거 보면 물이 아주 깨끗해요.” “여긴 진짜 흙으로 이쁘게도 해놨고 건강하게 해놔서 좋은거 같아요. 그러고 진짜 흙을 쓰니까 흙냄새도 나서 좋아요” H. “먼저 다니던 데는 그냥 상식적인 수준이라고 할 수 있죠. 눈 딱딱하고 분위기 자체도 여기는 뭐 병원이라고 해도 집 같은 분위기라서 나는 이렇게 안정감을 주니 까 그게 좋지. 마음이 편안해지고 기분 좋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내 몸이 여기오면 나아지겠구나 하는 생각이요.” L. “내가 다니던 한의원은 동네 시장 근처 한의원이고 일반적으로 시설해 놓은 곳 이 고 그리고 주로 종합병원 큰 곳으로만 검사받으러 20년씩 다녔어요. 일반 병원에 나 큰 종합병원은 이런 거 해 놓은 데가 없어요. 삭막하기만 하고 환자들이 너무 많 으니까 그런 걸 더 해 놔야 하지 않을까 생각도 드는데 숨이 막힐 정도로 공기도 안 좋고 난 내가 환자이지만 큰 병원 가면 공기가 그래서 그런지 더 기운이 짝가라앉는 게 더 아픈 거 같아요. 그래서 밖에 더 나은 공기 맡으러 일부러 나가 있다가 내 순 서 때 들어가기도 해요.” I. “네 보니까 뭐 흙벽돌이랑 미장도 하고 이런 게 많이 다르네요. 흙으로 이렇게 다른데 하고 그 차별화가 되어 있는 것 같네요.”

 

“전체 한의원에 전부 공간이 맘에 들지만, 처음에 거실, 앞에 데스크 또 한식 방이 좋았어요. 흙으로 바닥에 미장했다고 했는데 특별히 바닥이 누우니까 따뜻해서 지지 기도 하고 여름엔 시원하기도 하고 다른 데는 그렇게 누워서 지지고 이렇게 앉아서 편하게 쉬는 그런 공간이 별로 없어요.” 다른 한의원이나 일반적인 병원의 딱딱하고 삭막한 분위기, 무서운 흰색 인테리어, 대형병원의 나쁜 공기질, 흙으로 인테리어하지 않았음을 지적하여 이런점들이 흙으로 시공한 점과 차별화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런 점에 불편한것에 반해 전체적으로 병원 같지 않고 집이나 카페같이 친근하고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이며 기분이 좋아 졌다고 응답한 것으로 이는 치유공간요소의 심리적인 요소중 친근감, 편안함과 물리 적요소의 자연이미지를 적용한것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흙의 인식 경로로 답을 하였던 부분이 차별점으로 들기도 하였는데 머 리가 아프고 눈이 맵거나 따갑지 않았으며 나쁜 인테리어 냄새, 본드냄새가 나지 않 고 공기가 상큼하고 뽀송뽀송하여 공기질이 좋아서 병원같지 않았음을 응답하였고 아픈 사람들이 오는 곳인데도 공기가 맑고 수생식물의 물병까지 깨끗한 것을 관찰한 응답자도 있었다. 이는 심리적요소의 쾌적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치료실 개념으로 황토로 개별로 미장한것과 인테리어 개념으로 입구에 어둡지 않 게 황토로 쓰지 않고, 시중에는 볼수 없는 질감의 밝은 흙벽돌과 밝은 미장으로 현대 식 인테리어로 개념차이를 둔 것이 차별적이며 예쁘고 건강한 인테리어로 거스르는 것 없이 진짜 흙의 흙냄새가 나는 것이 다른곳과의 차별된다고 하였으며 흙건축공법 으로 흙미장, 흙벽돌 공법으로 시공한 것 자체가 차별되었다고 하였고 많은 양으로 상당한 공간을 흙으로 시공한 것도 차별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한식방의 한지조명과 은은한 조도, 신발을 벗고 들어가서 좌식으로 앉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질 수 있어서 집처럼 편하 게 쉴 수 있는 공간이 있음이 차별 됨으로 응답하여 선호하는 공간이나 흙의 인식경 로에서 응답한 내용과 모두 대동소이하게 나타났다. 흙으로 인테리어한 한의원이 획기적인 인테리어이며 들어와 있는 것 만으로도 치 료가 되며 이러한 분위기로 마음이 편해지고 흙냄새도 나고 기분이 좋아지며 마음이 상쾌해지고 몸이 가벼워져서 몸이 금방 나을 것 같다고 하였으며 숙면을 취한 것이 집에서 자는 것과 다른 점으로 몸으로 체험한 진짜 흙의 치유효과를 차별점으로 응 답하였다. 5) 몸은 나아지셨나요? A. “여기가 화병 전문인지도 모르고 왔다가 힘든 얘기를 마음에 꼭 담고 있으니 돌덩이를 얹어둔 거처럼 힘들었어 6년 전 암으로 아들 먼저 보내고 삶의 의욕도 없 어졌지, 그런데 자연스럽게 흙을 보니 마음도 편해지고 아버지 생각도 나고 여기서 명상도 가르쳐줘서 했더니 돌덩이 내려놓은 것 같이 아주 편해지고 얼굴도 환해지고 좋아져서 가족들이 좋아해요.” B. “네. 갱년기 증상과 아들 잃고 여름이면 힘들었는데 많이 안정되고 힐링이 됐어요.” C. “늘 치료실 들어가서 침맞기 전에 누워서 5분 10분 지난 후에 잠이 올 정도로 몸과 컨디션이 좋아졌습니다.” D. “감기몸살 증상이 심했는데 도움이 된거 같고 열이 많이 날 때라서 한잠 푹자 고 나니 몸도 개운해지고 열도 내려갔어요.” F. “난 여기 다니면서 몸이 아주 많이 좋아졌어. 여러 군데 다녀도 별로 차도가 없 었는데 많이 회복되니 내가 좋으니까 다니지.” I. “한 달에 한 번 와서 실제로 일주일씩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내려오면 한 달은 잘 버텨요. 그리고 또 힘들면 올라가서 일주일씩 치료하고 내려오니까 이제껏 버티는 거 같아요.” J. “기분이 좋고 특별히 몸으로 느끼는 건 잠을 푹 자고 몸이 가벼워지고 그러는 거 같아요.”

 

화병 클리닉에 오는 환자분들의 대표적인 증상이 화로 인한 우울증이나 기력저하 증상인데 자식을 잃고 우울증에 시달리던 두명의 응답은 한의원 내원 후 치료와 마 음의 편안함을 얻고 안정되고 치유가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한의원의 화병치료 와 대부분 흙의 효과로 맘이 많이 편해졌다고 응답하여 흙으로 시공한 인테리어의 치유효과도 나타났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그 외 잠을 푹자고 몸이 가벼워져서 몸 이 좋아진 것 같다고 응답하여 흙의 일반적인 효과도 몸이 좋아지는 것에 일부 기능 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6) 집에다가 흙으로 시공해놓고 싶으신가요? 있으시다면 어느 공간, 비용은 어느 정도로 해놓고 싶으세요? A. “내가 자는 방에 해보고 싶은 마음은 있어. 가격이랑 애들이랑 상의해봐야지” B. “우린 단열을 다른 집보다 두세 배 더 비용을 들여서 했어요 ” “지금 흙집에 살고 있는데 나중에 아이들 집에 황토나 컬러흙을 권유하고 싶어요” C. “집에 전체를 못 하게 되더라도 침실에는 꼭 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거실에 흙벽돌로 파티션이나 아트월을 하고 싶어요. 컬러가 들어간 현대 방식으로 하 고 싶어요.” “ 향후 이사를 고민하고 있는데 집을 이사가게 된다면 건강에 좋은 친환경황토미 장과 흙벽돌을 인테리어에 써보고 싶어요. 특히 이사갈 때는 꼭 해야 할 것 같아요.” D. “보통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흙이라고 하면은 황토색을 생각하죠. 근데 그만큼 그게 이제 컬러를 바꿀 수도 있고 뭐 몸의 좋은 건강한 인테리어 쪽으로도 좋고 보 기에도 좋고 만약에 이렇게 컬러로 흙을 인테리어를 풀 수 있다고 하면 집에도 우선 은 건강에 좋으니까 해놓고 싶어요.” “비용문제가 조금 들기는 하겠지만 아 근데 그런 거 같아 비용에 상관없이 내 몸 이 좋아진다고 하면 방식은 지금 이제 인테리어 개념으로 벽에 황토를 바르는 것보 다 밝은색으로 미장이나 페인트 쪽으로 하고 싶고, 벽돌을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 고 관리비용도 거의 없을 거 같아서 더 활용하고 싶어요.” “황토벽돌보다 노란색 흙벽돌이 예쁜데 건강에도 좋으니 집에다 해두고 싶어요. 질 감도 굉장히 특이하게 다가옴, 비용문제가 있지만, 건강에 좋으니 밝은색의 미장이나 흙벽돌로 하고 싶어요” E. “찜질방 조그만 거 집에다가 하나 해볼까 생각도 해 옛날엔 어느 정도 그냥 갔 다 퍼서 발랐는데 지금은 사야 해요. 일반적으로 20~30% 정도 우리가 힘들어 못 하 고 기술자가 해야 잘할 것 같아요.” F. “하고 싶지만, 남편도 나이가 많이 들어 집에 신경을 안 쓰고 노인정이나 흙으 로 했으면 좋겠어요.” G. “자는 방이랑 거실 하고 싶어요. 비용이나 이런 것들은 이제 어느 정도 지금 시 공 방법보다 좀 더 나오더라도 많이는 말고요. 약간 색깔이 들어가 있는 현대 방식이 랑 이렇게 황토로 두 가지 방식 둘 다요 이런 황토방 같은 거 하나 있으면 좋겠어 요.” H. “네, 그럼요. 건강에 좋다니까 제 생각에는 집 전체는 흙벽돌하고 하고, 침실 쪽에는 흙미장으로 하는게 낫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듭니다. 사업을 하고 부도를 크 게 맞고 나서 집이 여러 채 있었지만 모두 다 없어지고 힘든 나날을 보냈습니다. 다 시 재기를 하고 있는데 이젠 건강도 나이가 드니까 걱정도 되구요 건강한 집을 지어 보고 싶어요. 전 전통방식의 황토미장도 하고 싶고 밝은색의 현대식 흙벽돌도 같이 쓰고 싶어요. 실내는 이렇게 황토로 넣고 황토가 색깔 좀 어둡고 전통 방식이라서 하 지만 더 건강에 좋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I. “흙집에 살고 싶어 보러 다녔는데 집 관리 문제며 시내에 일보러 나와야 하는 문제나 남편일이 시내에 있어서 아무래도 결정하기 쉽지 않았다. 멋있게 해서 지어 주면 좋지 살고 싶지 자식들이 지어 준다면 현대식으로 깔끔하게 그렇게 지은데 살 고 싶어요. 방 한 칸이라도 해놓으면 좋겠어요.” J. “현재보다 여유가 좀더 생기면 찜질방이라도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해요” 면담대상자들은 흙건축 인테리어 희망 여부로 흙집에 살고 있었던 대상자도 있었 으며 어릴 때 대부분 흙집에 살았던 경험자임으로 흙집에 살고 싶은 그리움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따라서 집안의 일부인 거실이나 집에 조그만 찜질방이라도 치유할 수 있는 공간이 있기를 원하였다. 또한 실제로 집에 황 토벽돌로 시공하고 살고 있는 면담자는 황토가 주거공간에 싫증이 나지 않아서 좋다 고 응답하였다. 이미 흙집에 살고 있는 면담자는 비용을 2~3배 더들여 지어서 거주하고 있었고 자식들에게 황토나 컬러 흙을 권유하고 싶다고 하였으며 비용은 조금 더 들거나 20~30%정도 선호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30대와 50대 60대 면담자들은 현대방식의 컬러 흙벽돌이나 미장을 선호하였으며 50~60대는 둘다 함께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면담자는 현대식으로 자는 방, 황토방으로 두 가지 모두 선호하였으며 밝은 벽돌로 건물 전체와 황토로 침실을 시공하고 싶다고 응답하였고, 60대 이상의 면담자들은 집에 황토방이나 조그만 찜질 방을 원하였다. 현대방식이 좋다고 하는 50대 면담자가 새집으로 이사갈 때는 꼭 황 토미장도 해보고 싶다고 하였으며 건강을 크게 잃어본 면담자는 침실에 전통방식의 황토가 더 건강한 인테리어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7) 사람들이 흙이 좋은데 왜 집에다가 시공 안 하고 있을까요? B. “사람들이 황토의 장점을 몰라서.” C. “집에 흙으로 인테리어 하는 거에 대한 용기가 없는 것 같아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는 것을 두려워하고 도전이 없는 것 같아요. 초기비용과 관리비용이 일반타일 을 깔고 일반 도배하는 거보다 많이 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부담감과 번거로움 때 문에 더 그런 것 같습니다.” D. “과거 흙이 약하다고 생각해서 이런 문제가 보완이 된다면 괜찮은거 같아요.” E. “건강보다 깨끗하고 편안하게 살라고 하는 것 같애, 또 다른 이유도 있잖아 흙 집에 안살아 봤으니까 좋은걸 모르는 거지.” F. “흙집이 좋은데 이제는 나도 흙집을 전체 지어서 살 수도 없고 지어서 살면 좋 은데 그러자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없는 게 문제야 사람들이 편하게 살려고 하니까 옛날처럼 건강에 좋게 생각하지 않고 자산으로 많이 가잖아 우리집도 집에 대한 세 금은 없고 땅세만 나오는데 200평이라도 나이가 들어서 엄두가 안 나서 우리 아저씨 도 마음을 안 쓰려고 해. 누가 도와주면 해볼 생각은 있는데 메주도 띄우고 잠도 좀 자고 그랬음 좋겠는데 그냥 편하게 이러고 사는거야 사람들이 몸이 아팠을땐 흙집 생각하다가 좀 괜찮아지면 말고 다 그때뿐인 거 같아. 비용도 많은 걸로 생각되고 우 리 마을 노인정도 흙으로 해놓으면 좋을 텐데. 겨울엔 하루종일 거기서 놀다가 오니 까 정책적으로 인테리어를 해주는 계획을 하면 모를까 마을 이장과 다 의견을 모아 서 이루어지니 쉽지 않아.” G. “관리 비용이 많이드는 것 같아요.” I. “요즘 사람들은 집에 대한 의식이 별로 없다. 집에 있는 시간이 별로 없고 집에 머물면서 집이 주는 편안함이 건강에도 좋고 관리도 하면서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 이어야 되는데 서울사람들은 주로 집가격만 생각하고 살지 난 건강한 집 이런 집이 그립고 좋아요.” J. “의식이 없다고 봐야지. 주택에 대한 개념도 다르고 흙을 만지는 게 특수하게 만지는 사람이 따로 있고 관리하기도 힘들고 찾아서 일하기도 힘들어서 앞으로 홍보 나 교육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주택에 살다가 흙을 디디고 만지고 살지만 정신적으로 도 조금 여유가 생기면 생각도 해 볼 수 있는 문제니까 사실 흙은 우리 인간의 가장 기본이고 삶의 마지막이지 흙에서 나고 흙으로 돌아가니까 난 이런 텃밭 농사는 첨 지어보는데 지금 흙을 만지고 사는 게 맘이 편해지고 건강해지고 소일거리가 생기니 참 좋은거 같아요. 일하고 나서 식사하고 그러면 밥맛도 좋고 땀도 흘리고 그 기준은 다 그 흙의 효과를 톡톡히 보는 거 같아요. 온종일 있어도 기분도 좋아요.”

 

8. 한식방 환자들의 또 다른 대기 장소이자 [그림 42-2]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치료를 받는 공간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다도를 할 수 있는 가변적인 기능의 좌식 휴식공간이 다. 한의원에 내원하여 공간에 익숙해지게 되면 자유로이 앉아서 환자들 간의 대화나 소통의 장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전통 한식방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공간으로 한식의 툇마루를 오르는 느낌이 나도록 낮은 단 차이 를 두어 동선을 고려하고 편안하게 걸터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연출하였다. 바 닥은 전통 구들 느낌이 나도록 전기 온수 보일러를 설치하고, 그 위에 황토로 흙미장 공법(Plaster) 으로 시공 후 전통장판으로 마감하였다. 이는 바이오필릭(Biophilic)디 자인 요소 중 자연재료와 자연의 색인 흙의 색과 벽면의 흰벽지와 천장의 흰색은 자 연의 구름의 흰색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그림 42-1]를 보면 한식방 이미지를 위해 한지로 벽면 도배와 조명기능이 있는 한지창호를 만들어 ‘영담한의원’ 만의 특별하고 안락한 다기능 좌식 휴게공간을 적용하였다. 좀 더 편안하게 휴식의 개념을 치유공간 에 적용시킴으로 타한의원이나 치유공간과 차별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옛 흙집을 재현한 곳으로 보료를 두는 전통방식을 재해석 하여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의 간접체험인 꽃무늬가 있는 명상방석과 쿠션을 연출하여 치유가 필요한 환자에게 다도와 명상을 위한 공간을 연출함으로 집처럼 편 안한 치유공간이 되도록 배려하였다. 따라서 치유공간요소의 물리적,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적 요소 모두가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9. 약재실과 휴게실 약재실은 환기가 잘되는 건조한 곳에 주로 배치하도록 하는데 영담한의원은 원외 처방을 하는 시스템이며 공간이 협소하여 직원의 휴게공간 기능까지 고려하였다. [그 림 43-1]은 약재실의 기능이 되도록 목재로 선반장을 제작하여 약재를 보관하고, 전 반적으로 한의원과 동일한 이미지의 연출을 위한 개방형 문을 시공하여 일체감을 주 도록 하였다. 바이오필릭(Biophilic)디자인 요소 중 자연재료인 흙과 목재, 자연 빛과 색채를 활용하여 [그림 43-2, 3]에서 보이듯이 흙벽돌 파사드 뒷면의 공간으로 흙페 인트공법(Earth Paint)으로 마무리하였다. 경쾌한 느낌을 갖는 그린 계열의 색채로 푸른 숲을 연상하는 연두색으로 자연의 색을 적용하였으며 한지창호로 빛의 유입을 고려하였다. 직원 휴식을 위한 테이블과 의자, 위생적인 관점에서의 개수대, 냉장고 등을 배치하여 기능적인 휴게공간으로 연출하였다. 최근에는 한의학에서도 치료약의 형태가 냉장에 보관해야 하므로 안내접수대 바로 후면인 근거리에 배치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직원들의 동선도 배려하도록 하여 치유공간요소의 물리 적요소와 인지적요소, 기능적요소가 강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제4절 소결 흙은 그 자체로 자연치유력을 가진 동시에 친환경적이며, 정서적, 심리적인 안정감 을 주는 천연재료로서 기의 균형을 이끌어주는 천연 자연재료이다. 이 논문에서는 치 유공간의 기능을 확대하는 방안의 하나로 화병(火病) 전문 한의원 인테리어의 건축에 흙의 효과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설계와 시공 방식을 구체화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전국의 한의원 11곳에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사례를 현황 조사한 결과 숙박을 겸하는 형태의 한의원에는 한옥양식으로 전면 흙미장이나 흙벽돌공법으로 적용이 되 어 있었다. 또한 한의원 전체 내부에 목재와 함께 내부 벽면의 상부, 하부에 황토타 일이나 황토벽돌과 황토석으로 붙임공법으로 시공한 사례가 있었다. 대부분은 시공이 간편한 황토보드나 황토타일을 붙임공법을 이용한 한정된 공간의 찜질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흙과 허브를 섞은 형태의 인테리어 개념으로 접근한 한의원 사례도 조사되었는데 내부 벽면의 아트월로 적용하여 치유의 효과를 견인하지 못한 다는 아쉬운 점이 분석되었다. 2. 흙건축 공법을 활용한 타 한의원 사례에서 대부분 시공이 간편한 황토 보드나 황토 타일, 황토석 등 붙임공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를 벽면에 붙이기 위한 접착제의 활용이 친환경적이지 못한 제품으로 인해 자칫 유해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 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유공간에 시공의 간편함과 인테리어 개념만을 강조한 선호 경향으로 자칫 흙의 고유의 성질을 감소시키는 치유공간이 될 문제점도 발생하므로 이에 따른 유의와 화확 수지를 넣지 않은 원재료인 흙의 올바른 활용이 요구되며 이 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연구의 모색도 필요하다. 3. 한의원 인테리어를 한의원의 기능적 요소인 환자들의 동선에 따른 공간을 구획 (Zoning)을 하고, 동선에 따라 입구, 대기실, 안내접수대, 진료실, 상담실, 치료실, 탈의실, 한식방, 약재실과 휴게실로 공간을 구성하였으며 특별치료실로 추나와 온열 치료실이 별실로 구성되었다.

 

4. 바이오필릭(Biophilic)의 디자인요소인 자연재료와 색채의 활용으로 치료실은 황 토미장과 황토색 흙페인트, 탈의실은 황토색 흙페인트로 한식방은 바닥에 황토미장으 로 시공하여 전통방식으로 구현하였다. 그 외 공간은 자연의 색을 상징하는 지구를 감싸고 있는 태양의 색이나 들판의 곡식인 밝은 노란색, 암석이나 바위의 회색, 토양 의 흙의 색, 밤의 어둠의 색인 검은색, 푸른 숲을 연상하는 연두색, 하늘의 구름색인 흰색등 총 6가지색의 컬러를 가지고 3가지색의 컬러 미장과 2가지색의 컬러 흙벽 돌, 4가지색의 컬러 흙페인트인 현대방식의 구현으로 3가지 흙미장(Plaster), 흙페인 트(Earth paint), 흙벽돌공법(Adobe)을 활용하였다. 5. 치료실은 개별공간으로 흙의 효과를 적용하였고 그 외에 공간은 공용공간에 속 하는데 한식방은 현대에 맞는 인테리어 개념으로 재현하였으며 좌식서비스공간으로 적용하였다. 그 외의 공간은 인테리어 개념으로 공간계획을 하여 개별공간과 공용공 간을 차별을 두어 계획하여 시공하였다. 6. 치유공간의 요소의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반영하였으며 치 유환경 특성 요소 중 자연 친화성에 가장 중점을 두고 계획과 시공적용을 하였다. 또 한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에 기반하여 직접체험과 간접체험으로 계획하였으며 그 결과 치유공간에 흙, 빛, 식물, 꽃, 목재, 돌, 자연을 닮은 색채, 꽃무늬를 활용한 방석, 쿠션, 나뭇잎무늬의 방염커튼을 활용하여 치유기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연출 하였다. 7. 치유공간의 건축재료로 흙을 치유공간의 요소나 특성, 디자인의 근간으로 삼음 으로써 환자들에게는 환경과 소통하는 진정한 회복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흙건축에 관한 인식의 전환을 마련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게 된다.

 

제4장 치유공간에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인테리어의 인식조사 제1절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인테리어의 인식 설문 1. 설문 내용 한의원에 3개월에서 1년 이상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의원에 적용된 흙건축 인테리어를 체험하고 이에 대해 흙의 효과에 대한 인식여부를 100명을 대상으로 설 문을 하였다. 설문 내용은 환자의 연령대, 성별, 직업, 거주형태에 관한 질문, 내원 횟수, 기간 및 공간별 선호도에 대한 질문, 흙으로 시공한 한의원 인테리어 인식에 관한 질문, 흙인테리어를 체험 후 흙의 체험 소감(2개 이상)과 체험 시간에 관한 질 문, 흙건축 인지 여부와 흙건축 인테리어의 차이와 시공의 권장에 관한 질문, 흙건축 인테리어 희망 여부와 비용, 시공방식, 시공 희망공간과 대중화 견해에 대한 질문으 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기존 선행 발표되었던 흙건축 전시의 인식연구 형 태를 따랐다. 64) 2. 설문결과 및 분석 1) 인구통계학적 문항 (질문 1∼6) 한의원에 내원한 환자의 연령대와 성별, 직업, 거주형태, 내원 횟수와 내원 기간에 관한 질문으로〈표 9〉로 나타났다. 연령대는 주로 70대가 31%, 80대가 30%로 노 령자가 주를 이루고 그다음 60대, 50대 순으로〈표 9〉에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가 76%, 남자가 24%이며 직업은 주부가 5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 은 생산업무와 단순노동직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전문직에 속하는 환자가 10%로 나 타났으며 자영업 9% 사무직이 8%로 조사되었다. 거주형태는 주로 주택에 거주한다 는 응답자가 62%이고 아파트는 25%로 나타났다. 또한, 내원 횟수와 내원 기간에 관 한 질문이다. 한의원에 내원하신 지는 1년 이상 되신 분들이 59% 6개월∼1년 사이 가 35% 순으로 그림 13에 나타났으며 내원하신 횟수로는 30회 이상이 66%이고 10 ∼20회 사이가 28% 순으로 나타났다. 을 통해 나타난 결과, 주로 30회 이상 으로 1년 이상 내원하신 환자분들이며 그들은 주로 주부들로서 주택에 살고 있다.

 

연령대는 주로 70대가 31%, 80대가 30%로 노령자가 주를 이루고 그다음 60대, 50대 순으로〈표 9〉에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가 76%, 남자가 24%이며 직업은 주부가 5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 은 생산업무와 단순노동직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전문직에 속하는 환자가 10%로 나 타났으며 자영업 9% 사무직이 8%로 조사되었다. 거주형태는 주로 주택에 거주한다 는 응답자가 62%이고 아파트는 25%로 나타났다. 또한, 내원 횟수와 내원 기간에 관 한 질문이다. 한의원에 내원하신 지는 1년 이상 되신 분들이 59% 6개월∼1년 사이 가 35% 순으로 그림 13에 나타났으며 내원하신 횟수로는 30회 이상이 66%이고 10 ∼20회 사이가 28% 순으로 나타났다. 을 통해 나타난 결과, 주로 30회 이상 으로 1년 이상 내원하신 환자분들이며 그들은 주로 주부들로서 주택에 살고 있다. 2) 선호 공간에 대한 문항 (질문 5∼7) 한의원 공간 중 가장 선호했던 공간(2개 이상 답변 으로 황토로 미장을 한 침구치료실이 64%로 가장 높았으며 한식방이 46% 입구의 계절별 흙벽돌 화단이 32% 한지 창호가 23% 한지 창호 – 침구실, 원장실 한지조명 - 한식방이며 거실 흙 미장이 19%, 골동품 가구 - 약장, 재봉틀 다리 콘솔과 가리개가 12%로 응답하였다.

 

침구실의 침상을 목재로 개별 흙침대를 조성하여 누워 있는 침대 안쪽에 황토를 미장하여 침구 치료나 물리치료를 받는 동안 혼자서 편하게 충분한 흙의 효과를 누 리도록 하였다. 이는 기존 타 한의원의 흙적용 방식과는 차별을 두어 흙을 적용한 예로 천장에는 흙페인트와 한의원 내부 벽면에 흙으로 미장을 하였지만 가장 가까이에서 친밀하게 흙의 효과를 치유의 과정으로 의도한 것이 환자들에게는 적중한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가변적인 기능의 한식방을 선호한 것은 전통방식의 한식방을 재현한 것으로 바 닥엔 황토로 미장 후 장판을 한 뒤 온돌 기능을 두었다. 앉아서 차를 마시거나 지인 들과 함께 오신 분들이 서로 편안하게 정보를 나누는 환자분들과의 소통의 장소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은은한 한지 창호를 조명으로 한 인테리어가 정감 있는 대화를 나누는 장소로 사랑방 느낌의 한의원의 특별한 좌식 서비스 공간이 되었음을 시사하 고 있다. 또한, 1년 이상 내원하신 환자분들이 입구에 조성해놓은 계절별 흙벽돌 화단이 32%로 선호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가변적으로 계절별로 바뀌는 감성적인 꽃이 내원 할 때마다 들어오는 입구에서 주목되어 공감각을 자극하였고 동시에 치료 후 출구의 장소에서도 내원객의 감성을 유발하여 치유의 도구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바이오필리아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심도 있게 연구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인간이 자연을 사랑하는 본능이 치유공간 안에서도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고 할 수 있다. 한지 창호를 23% 선호한 것은 공간마다 한의원의 인테리어 개념에 맞는 창호 연 출이지만 침구 치료실의 빛의 유입을 고려하여 일몰 전까지는 인공조명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자연광을 치유공간에 적용하여 치유 효과를 구현하였던 것을 선호한 것 으로 추측이 된다. 침구 치료실에서 커튼을 가리고 은은한 빛이 충분한 휴식을 누리 기에 알맞은 조도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한의원 인테리어의 경향은 벽면을 거의 막 고 인공조명에 의존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대기실 (맞이 공간의 거실) 19%로 나타난 것은 밝은 느낌의 백토 미장을 하고 대 기하는 동안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의자를 ‘ㅁ’ 자 형태로 배치하고 내부에서 외 부에 있는 흙벽돌 화단을 바라볼 수 있도록 공간을 연출하였던 것으로 사료 된다. 내 부의 의자에 앉아서 계절별로 꽃이 화단에 심겨 있는 것으로 내다 볼 수 있도록 시 야를 조정한 것이 지루하지 않게 감상하도록 배려한 점과 함께 온 환자들이나 보호 자들과 대기 공간에서 소통의 장으로 활용한 것과 주로 노인이거나 불편한 상태의 환자들이 엘리베이터에서 입구로 진입하여 빠르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자동문을 설치 하여 접근성 있도록 배려하였다. 골동품 가구를 12% 응답한 것은 친근한 느낌의 가구와 장식적 느낌의 약장을 배 치하여 대기실에서 머무르는 동안 여러 가지 볼거리를 제공해주었던 것이 선호하였 던 이유로 꼽을 수 있으며 차를 마시면서 치료 전후에도 머무르는 공간인 한식방에 서의 가리개나 재봉틀 다리, 골동품 가구 연출과 진료실 벽면의 나무장식 또한, 안락 하고 편안한 분위기 연출을 위해 배치하여 한의원에 이미지에 맞는 공간연출 도구로 서 친근한 느낌을 주고 오래된 것으로부터 편안함을 느끼며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함 으로 나이 드신 환자분의 정서에도 적합한 공간연출로 이는 치유공간 요소 중 심리 적인 요소의 편안함이나 친근감이라고 할 수 있다. 10% 선호한 것으로 나타난 데스크(안내접수대)는 진입하여 정면으로 바로 보는 공 간으로 대기실에 머무르지 않고 바로 이 공간을 향할 때도 있다. 따라서 정면으로 보 이는 자연의 색채로 태양이나 들판의 곡식을 상징하는 밝은 느낌의 노란색 벽돌벽이 따뜻한 느낌으로 다가왔을 가능성도 있으며 벽돌벽의 질감이 자연스러워 그 느낌을 좋아했을 수도 있으리라 사료 된다. 또한, 직원과의 소통의 장소가 되며 치료에 관한 전반적인 안내를 받는 곳이라 환자로서는 집중하여야 공간이며 치료 전후로 거쳐 가 야 할 공간이므로 익숙해진 공간이므로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천장과 침구실 벽면의 흙페인트는 2%로 거의 선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 장의 흰색 흙페인트는 일반적으로 멀리 느껴지는 거리감이 있어 선호하지 않은 것으 로 보이며 흙페인트보다 일반적인 느낌의 페인트라고 생각하였을 수도 있으리라 짐 작할 수 있다. 침구실 좌우는 흙의색 흙페인트를 시공하였는데 침구실 내부 벽면의 황토미장이 치료의 효과로 가져다준 것으로 가장 많이 선호한 것으로 나타나 그에 반해 흙페인트는 미장보다 치유의 효과가 덜하다고 생각해서 가장 낮게 선호한 것으 로 추정할 수 있다.

 

3) 진짜 흙 인지 여부와 인식경로에 관한 문항 (질문 8∼9) 응답자의 60%가 진짜 흙으로 인테리어를 한 사실을 알았다고 답을 하였고 흙 느 낌 나게 시공한 줄 알았는데 체험 후 알게 되었다고 31%로 응답하였다. 잘 모르겠다 로 3%로 답한 분들은 내원 횟수가 10회 미만인 응답자들이 주를 이루며 몸이 아파 서 주위환경이 눈에 들어오지 않음으로 답을 하였다. 잘 모르겠다 3%는 내원 횟수가 10회 미만인 응답자들이 주를 이루며 몸이 아파서 주위환경이 눈에 들어오지 않음으 로 로 답을 하였다.

 

흙건축 인테리어 체험 후 흙으로 시공한 것을 어떻게 느끼고 알게 되었냐는 질문 은 먼저 마음이 편해졌다가 48% 흙냄새가 나서 37% 숙면을 취해서 35% 몸이 가벼 워져서 26% 피곤함이 사라져서 24% 또한 체험해보니 좋아서 더 오래 머무르고 싶 어서가 21% 옛날 흙집 생각이 나서 19%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로는 마음이 상 쾌하고 기분이 좋다, 쾌적하고 상쾌하다, 말씀을 듣고 알았다, 모두 좋았다, 또 흙집 에 살고 있다로 응답하였다.

이는 체험한 후 인식 경로로 2가지 이상 답을 하는 질문에는 흙이 가지는 안정감과 흙냄새로 감각적으로 공간을 체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면을 하고, 몸이 가벼워지 고, 피곤함이 사라졌다고 하여 흙의 효능을 몸으로 체험하여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설문에 참여한 대상의 61%는 70∼80대이며 지역적으로 경기도 파주에 살고 있으 며 진짜 흙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이유는 거의 소일거리로 밭농사를 하는 분들로 흙 을 자주 접하는 분들이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응답인 진짜 흙의 인식경로로 흙냄새가 나서 37% 옛날 흙집에 살던 생각이 나서라는 응답으로 19%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 분 흙집에 살았던 세대로 진짜 흙의 효과도 이미 알고 있는 세대들이라 몸으로 체험 한 흙의 효과를 숙면하고 35% 몸이 가벼워지고 26% 피곤함이 사라지고 24%로 차 이가 크게 나지 않게 응답한 것으로 알 수 있으며 흙냄새와 옛날 흙집에 살던 생각 또한 주택의 개량화로 과거 흙집에서 탈피하여 콘크리트로 시공된 농가 주택에 사는 이들이 과거 흙집의 그리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인 생의 대소사를 참고 살아온 것이 노화로 인한 질병과 함께 더욱 화병 증상이 심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은 화병 전문한의원의 주 고객이므로 마음이 편해졌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것으로 사료 된다. 이는 흙이 주는 안정감과 편안함의 치유효과라고 할 수 있다. 50대 이하 세대는 주로 업무나 구성원 간의 소통문제로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호소하고 업무상 시간에 쫓겨 체험해보니 좋아 오래 머무르고 싶다 응답함으로 시간상 흙의 효과를 충분히 누리지 못한 것으로 추정이 된다. 4) 체험 시간에 관한 문항 (질문 10) 흙의 효과 체험 시간은 1시간은 36% 1시간 30분이 29% 2시간이 적당하다고 답 하신 분이 26%, 2∼3시간이 9%로 대체로 1~2시간대를 선호한 것으로 에 나타났다. 대체로 1∼2시간대를 선호한 것으로 흙의 효과를 오랜 시간이 아니어도 체험 시간 은 치료시간인 1∼1시간 30분 사이로 단시간에 체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진짜 흙에 대한 인지도 빠른 환자분들이며 체험 시간 안에 충분히 흙의 효과를 느낀 것으 로 예측할 수 있다. 내원 환자의 나이가 70대 이상은 흙의 효과는 이보다 더 빨리 알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세대일 수 있다. 흙을 가까이하며 흙집에 살았던 기억으로 몸이 흙의 효과를 기억하고 있으리라 추정이 되며 이미 그 시간 이전에 알았음에도 답하는 항목이 1시간부터이므로 이에 답을 하였으리라 예측이 된다.

 

5) 흙건축 사전 인지 여부와 흙건축인테리어의 차이와 시공의 권장에 관한 문항 (질문 11∼13) 한의원 내원하기 전 흙건축에 대해서 거의 잘 알고 있었다를 50% 답하셨고 대략 알고 있는 분이 27%, 77%가 흙건축에 대해서 대략 알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 었으며 거의 잘몰랐다 13%, 전혀 몰랐다 10%로 응답하였다. 한의원 인테리어로서 흙으로 시공한 곳이 그렇지 않은 한의원과 차이가 나는지에 관한 질문으로 65%, 매 우그렇다 27%, 그렇다로 대답을 하여 92%가 차이가 있으므로 응답하였으며, 한의원 인테리어가 흙으로 시공하는 것을 권장하여야 하는지에 관한 질문은 69%, 매우그렇 다, 24% 그렇다로 거의 93% 긍정적으로 대답을 하였으며 기존 흙건축을 사전 인지 하지 못하였던 23%의 환자들이 흙건축 인테리어를 체험 후 흙의 효과에 대하여 인 지한 후 대폭적 공감을 보인 것으로 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주로 흙건축에 대한 사전인지도가 매우 그렇다 와 그렇다를 합하면 77%인데 이는 흙집에 살았던 세대들의 응답 비중이 컸으며 건강에 관심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고 한의원 인테리어에 흙으로 시공한 것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선호하였으며 앞으로도 치유공간에 흙으로 시공해야 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입장을 보였다. 6) 흙건축 인테리어 희망 여부와 비용, 시공방식, 시공희망 공간과 대중화 견해에 대한 문항 (질문 14~18) 흙건축 인테리어를 집에다 해두고 싶은가에 대한 질문으로 ‘매우 그렇다’ 가 56%, ‘그렇다’ 가 37%로 93%가 하고 싶다고 응답을 하였으며, ‘인테리어 비용에 관련된 질문으로 기존보다 20∼30% 정도면 할 것이다’ 로 응답하신 분이 56%이며 기존보 다 30∼40% 정도면 7%로 응답하였고, 기존보다 40∼50%는 11%, 건강에 좋다면 비용은 중요하지가 않다’ 고 답한 분이 26%로 나타나 여유가 있는 분들은 건강에 관 한 관심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전통방식과 현대방식에 대한 취향의 선택에 관련된 질문은 전통방식이 61% 현대방식이 25% 둘 다 원하는 분이 14%로 나타났으며 집 을 어떤 형태로 개선하고 싶은가에 관한 질문은 집전체가 23%, 개인방이 35%, 거실 이 27%, 기타로 15% 개인방과 거실 또는 집안 일부로 아트월이나 구들을 원한다고 로 응답하였다. 흙건축의 대중화에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관리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을 38% 제일 많이 답을 하였고 흙건축의 홍보가 미비하다가 21%, 선호 층이 넓지 않은 것이 17%, 의식이 부족해서가 16%로 비슷하게 답을 하였고 마케팅이 부재가 8%로 응답 하였음을 로 알 수 있다. 이는 흙이 충분한 치유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치료받는 동안 마음도 치유하는 효 과를 감각을 통해 감성을 느끼고 체험과 행동을 통해 인지함으로써 흙건축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며 더 나아가 흙을 집에 시공하고 싶다고 답을 하게 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비용은 대부분 기존보다 많이 추가되지 않은 것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나며 의외로 건강에 좋다면 비용은 중요하지 않다고 26%로 답을 하여 삶에 여유가 있는 분들은 건강에 관심이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인테리어 방식은 전통방식 61%을 주로 선호 하였으며 50대 이하는 현대방식을 선호하였으며, 개인 방을 35%로 가장 많이 하고 싶다고 하여 집안에 치유의 기능이 있는 공간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주로 20∼30% 비용이 추가되었을 때 고려해보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주로 현재 흙건 축의 대중화에 관리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였고, 건강을 생각한다면 비용이 중요하지 않다고 답을 하신 분들은 흙건축에 대한 홍보 미비로 문제점을 지적하였는데 현재 흙건축 기술의 개발로 흙건축의 시공 후 관리비용이 거의 들지 않아서 이러한 관리 비용의 염려에 대한 흙건축 교육과 홍보가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제2절 흙건축 인테리어 인식면담 1. 면담 내용 한의원에 내원한 환자와 치료 후에 치유공간 안에 적용된 흙의 효과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자 일대일 면담을 시행하여 한의원 내원이유와 진짜 흙을 인식하였는 지와 인식하게 된 경로와 흙건축에 대한 견해를 설문 외에 터놓고 설문에서 알 수 없었던 흙에 대한 본인들의 생각을 풀어서 질문하여 내용을 분석해서 시행하기로 하 였다. 총 10명을 대상 (70대 이상 5명, 60대 이하 3명, 50대 1명, 30대 1명으로 구 성)으로 선정하였으며 대부분 내원한 지 1년 이상 된 연구 참여자 (줄여서 앞으로 면담자라고함)로 치유 효과가 호전된 연구 참여자들을 위주로 면담을 시행하였다. 흙 으로 시공된 치유공간을 체험 후 내원하기 전의 병증이 호전되었음을 면담을 통해서 도 확인하였다. 2. 면담 결과 및 분석 1) 어느 공간이 가장 좋으셨나요? A. “그 치료실이 좋았어, 편하게 침을 맞으니까 그게 좋더라고 흙으로 발라 놓은 거 그거 보고 이렇게 옛날 생각도 나고 아버지 생각도 나고 들어오는 입구에 꽃도 이쁘게 해놓고 내 마음이 더 상쾌하고 기분이 좋아지더라고.” B. “데스크에 흙벽돌도 좋았고 치료실도 좋았지만, 특히 한식방이 가장 좋았던 거 같아요. 특별히 좋았던 공간이었지만 분위기도 있으면서 인테리어에서 주는 정감 있 고 한의원에 맞는 인테리어라서 맘에 들었고 차도 마시고 병원에 온 거 보다 옆집에 놀러 온 것처럼 편안했어요.” C. “제일 먼저 데스크 위에 있는 흙벽돌도 거친 느낌이 일반 벽돌과 틀린 질감 때 문에 너무 좋았고요. 치료실에 황토로 미장 해놓은 부분이요. 개별로 해놓은 곳이 별 로 없죠. 또 다른데 좋았던 곳은 어떤 곳은 거실 백토로 흙미장 해놓은 공간 좋았고 요. 제가 특별히 그레이색을 좋아하는데 너무 멋있는 거 같아요.” D. “침구 치료실 데스크 흙벽돌입니다. 인테리어로 해놓으니 이쁜 거 같아요.” E. “난 치료실이 가장 좋았던 거 같아요. 난 어릴 때부터 흙집에서 살아서 진짜 흙 이구나 했어요.” F. “내가 봤을 때 치료실이 제일 좋아.” G. “황토방이요, 여기 한식방이 들어오는데 신발 벗고 들어오는 곳이 있어 좋아요. 그리고 이제 창호지로 조명도 만들어놓고 앉아서 있으면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하기 도 해서 진짜 옛날 흙집에 와서 있는 것 같아요. 네, 한식방의 불도 아주 은은하니 좋아요. 그리고 거실 쪽도 좋았어요. 보기에 들어왔을 때 전형적 병원이라는 느낌이 아니고 편안한 카페 같은 느낌이라서요. 벽돌도 그 위에 느낌이 좋고요. 그리고 뭔가 좀 아늑한 느낌이 있었어요. 그 차별되게 황토를 바로 들어오는 입구에 안 하고 좀 밝게 한 거요. 왜냐면 아마 황토 벽돌로 했었으면 민속촌 분위기일 텐데 앞에는 현대 식으로 한 게 맘에 들었고 다른 곳이랑 많이 차별되는 것 같아요.” H. “전 앞에 벽돌벽과 흙미장 벽이 좋았어요.” I. “앞에 흙벽돌 느낌도 좋았고 한식방이랑 창호지 문은 창호지로 바른게 좋았어요.” J. “전체 한의원에 전부 공간이 맘에 들지만, 처음에 거실 아니면 뭐 앞에 데스크 또 한식방이 좋았어요. 흙으로 바닥에 미장했다고 했는데 특별히 바닥이 누우니까 따 뜻해 지지기도 하고 여름엔 시원하고 다른 곳은 그렇게 누워서 지지고 이런 앉아서 편하게 쉬는 곳이 그런 공간이 별로 없어요.”

 

제3장 치유공간에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인테리어의 계획 및 시공 제1절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한의원 인테리어 현황조사 국내에 흙건축 공법을 인테리어로 적용한 한의원의 현황을 조사하여 흙의 적용형 태에 따라 대상을 선정하였다.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흙을 적용한 사례는 숙박을 겸하는 형태의 한옥 양식이고 치유공간인 한의원에 한식 황토찜질방과 진료 실에 적용된 예이고 대부분은 황토찜질방을 별도로 시공하여 한정된 공간 안에서 흙 을 체험토록 하였다. 또한, 단순한 황토보드, 아트월 방식으로 시공의 간편함을 선호 하거나 인테리어 개념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최종 11개의 한의원에 흙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면 한정된 공간에 흙을 적 용한 사례인 찜질방은 벽면에 황토보드, 황토타일인 붙임공법(Board & panel)과 황 토벽돌인 흙벽돌공법(Adobe)로 시공하거나 바닥에는 황토바닥재나 황토석인 붙임공 법(Board & panel)으로 시공한 형태이다. 숙박형태를 겸하는 한의원은 진료실, 침구 실, 입원실, 한증실과 식당에는 황토미장(Plaster) 형식으로 흙을 적용하였으며 외장 재로는 황토벽돌(Adobe)로 시공하였다. 대부분 황토로 적용하였으며 인테리어 개념 으로 벽면과 아트월에 흙과 허브를 결합하여 컬러 흙을 적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이 러한 연출도 극히 일부분에만 적용한 것으로 치유의 개념으로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 이 있다. 또한, 대부분 시공의 간편함을 선호하는 흙건축 공법의 붙임공법(Board & panel)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흙건축 공법은 자칫 천연재료의 황토타일이나 황토보드를 벽면에 접착하기 위해 유해물질이 첨가된 접착제를 활용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보 인다. 시공의 간편함과 관리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다 보면 실제 치유의 효과를 주기 위해 시공하는 흙의 고유의 성질을 잃어버린 채로 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시공 후 초기에는 이러한 한정된 공간 안에 시공된 찜질방이 지속적으로 환기와 온도관리를 통해 황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전국의 한의원에 흙건축 공법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조사하여 이 중 최종 11곳의 한의원에 흙건 축 공법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림12-1, 2, 3, 4, 5]는 전남 순천시 매곡동에 소재하는 ㅇ한의원으로 내부 전 면에 목재와 함께 황토 타일을 시공한 사례이다. 안내접수대, 진료실, 치료실, 휴게실 과 내부 복도에도 목재와 시공이 간편한 스타일의 황토타일로 통일된 이미지로 적용 하였으며 찜질방에는 바닥에 황토석으로 붙임공법(Board & panel)으로 시공하였다. 한의원 내부 벽면에 황토 타일을 똑같은 형태로 시공하여 자칫 인테리어가 지루해 보일 수 있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다량의 황토타일을 벽면에 붙이기 위해 접착제의 쓰임도 문제로 보인다. 하지만 다량의 황토 타일과 목재를 활용한 치유공간이므로 일 정 시간이 지난 후에 환자들에게는 오히려 건강을 책임지는 한결같은 이미지로 상징 적인 치유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한정된 공간인 찜질방에 흙을 적용하는 한의원은 벽면에 황토 타일이나 황토 보드 인 붙임공법 (Board & panel)이나 황토 벽돌인 흙벽돌 공법(Adobe)으로 시공하여 시공의 간편함을 추구하였는데 이는 일부의 공간에 적용하여 치료의 개념으로 환자 들을 위한 치유공간이지만 공용공간으로 환자들의 내원시간이 중복되거나 혼잡할 때 에는 이용하기 불편한 단점도 있다. [그림 13-1, 2]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소재하는 ㅂ한의원으로서 한의원 내부에 는 황토 벽지와 황토 바닥재를 사용한 붙임공법(Board & panel)으로 하였으며 찜질 방 입구는 황토 타일과 황토 바닥재로 찜질방에 흙을 적용한 사례이다.

 

암환자들을 위한 치료목적으로 황토 외에 양자 보드판을 활용하여 내부 벽면이나 찜질방 천장과 벽면을 구성하였다. 치료의 목적으로 황토를 한의원 내부 벽면과 바닥 재, 황토 양자찜질방에 바닥재로 황토가 시공된 장판을 활용한 것이 시공의 간편함을 추구한 것으로 관리상의 어려움이나 비용이 추가되지 않는 장점도 있겠으나 공용으 로 이용해야 하는 단점으로 내원 환자 수가 많을 때를 고려하여 조용하고 편안히 쉼 을 쉴 수 있는 치유공간이 되지 못하는 것이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정된 공간에 황토찜질방을 시공하여 운영하는 한의원의 사례로 [그림 14-1, 2]는 제주 제주시 조천읍에 소재하는 ㅇ한의원으로 벽면은 편백나무인 목재로 시공하고 바닥은 황토로 붙임공법(Board & panel)을 시공한 사례이다. 바닥에만 흙 을 적용한 것이 아쉬운 문제로 남는다.

 

[그림 15-1, 2]는 대전 봉명동에 소재하는 ㅅ한의원으로 황토 벽돌을 활용한 흙벽 돌(Adobe) 공법을 활용한 사례이다. 황토보드나 황토타일보다 벽돌두께에서 보여지 는 흙의 양이 안정되고 흙의 사용량이 높은 것으로 더욱 나은 사례라고 할 수 있지 만 황토벽돌의 접착체 사용이 문제로 남는 사례이다.

 

[그림 16-1, 2]는 서울 오금동에 소재하는 ㅅ한의원 사례로 한정된 공간 안에 황 토 찜질방을 시공하였는데 시공이 간편한 황토타일과 편백나무를 소재로 하여 벽면 에 상단부 황토타일로 붙임공법(Board & panel)으로 시공하였다. 하단부에 편안하게 기대어도 황토가 묻어나지 않도록 관리상의 편의를 위해 목재로 시공한 사례이다. 이 사례도 흙을 일부 공간에 사용한 점이 다소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17-1,2]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소재하는 ㅈ한의원으로 현대식 상가 내부 에 정통 한옥인테리어를 구현한 한의원 사례이다. 목수의 고민이 남다르게 느껴지는 치유공간으로 계획과 시공까지 정통목수가 자연재료인 친환경 목재를 활용하고 내부 벽면에 황토 벽돌로 흙벽돌(Adobe) 공법으로 시공하였다. 과거로부터 내려오던 그대 로의 정통방식을 고수하여 재현한 것이 장점이며 좌식 스타일의 치유공간으로 환자 를 배려하는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느껴진다. 하지만 목재의 쓰임을 천장과 벽 면의 구성을 기본 구조로 한 것에 비해 흙은 하단부에만 적용한 것이 다소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대식 상가 내부에 위치하여 자칫 현대식을 선호하는 환 자들의 입장에서는 선호도가 떨질 수 있는 인테리어 방식일 수도 있는 것이 문제점 이다. 과거로부터 내려오던 방식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하여 일부 공간에만 적용하였다 면 다양한 성향의 환자들을 만족하게 할 수 있는 인테리어 디자인도 모색되어져야 한다. [그림 18-1, 2]는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에 소재하고 있는 ㅇ한의원으로 암환자들 을 위한 황토 요양원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의원 내부에는 한옥스 타일의 인테리어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하여 창문이나 문에만 전통 느낌을 연출한 사 례이다. 벽면에는 황토화석을 붙임공법(Board & panel)방식으로 시공하여 목재와 어 울리는 깔끔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그림 19-1, 2, 3, 4]는 울산 울주군 두동면에 소재하고 있는 ㅊ한의원으로 일부 한옥 스타일인 숙박이 가능한 형태의 치유공간이다. 인근의 마을과도 연계된 체험 프 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진료실과 숙소인 약재방은 한약재(백복령, 곤포, 유근피) 와 순수 황토로 만들어진 숙소이며 일반적으로 숙박을 원하는 초락당 하우스인 황토 토굴식으로 황토로 미장 후 흙의 떨어짐을 관리하기 위해 한지로 도배를 한 형태의 황토 게스트 하우스이다. 안정되고 편안한 한옥인테리어 스타일이 느껴지며 벽면에는 흙미장공법(Plaster)을 시공하였으며 주변 경관이 한옥 정취에 맞는 담과 수몰 지역에서 옮겨진 한옥정자가 잘 어우러지며 한식에 맞는 조경이 연출된 치유공간사례이다. 내부 벽면에 황토미장 을 시공한 황토한증막과, 치유가 되는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도 운영하고 있다. 그 옛날 한국의 시골집과 같은 소박함으로 담장을 낮추면서 모든 이들에게 열려진 공간이 됨과 동시에 자연 친화적이면서 전원적인 분위기는 환자의 치료율 향상은 물 론, 의료자체의 딱딱한 분위기로 자칫 경직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정서적 인 배려 또한 갖춘 공간치유를 위한 충분한 환경조성을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림 20-1, 2, 3, 4]는 전북 무주군 무주읍에 소재하는 ㅁ한의원으로 일부 한옥 인테리어 스타일로 시공한 전형적인 암환자를 위한 치유공간사례이다. 인근마을과도 체험 연계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암환자를 위해 한의원과 숙소 내외부 전면에 치유효과를 위해 황토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한의원이다. 또한 입원한 환자를 위한 철저한 생활프로그램으로 산책로와 운동, 약선음식, 치료 등이 온전하게 이루어짐으 로 암환자들 사이에서도 치유의 효과가 높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원 외부에는 황토벽돌로 외장재로 시공하였으며 진료실, 치료실, 입원실 내부 벽면에는 황토미장 으로 시공이 되어졌으며 황토한증막은 천장에서부터 벽면에 이르기까지 황토미장으 로 흙미장공법(Plaster) 과 황토벽돌공법(Adobe) 을 전면으로 활용한 우수한 사례라 고 할 수 있다.

 

[그림 21-1, 2]는 서울 서초구 논현동에 위치하고 있는 o한의원으로 흙과 허브를 섞은 형태의 흙을 흙페인트공법(Earth paint)과 아트월을 위해 허브를 섞은 흙을 이 겨서 바르는 형식의 흙미장공법(Plaster)의 방식의 일부분으로 적용한 인테리어개념 으로 연출한 사례이다. 일부 공간 대기실과 내부 벽면에 예쁘고 조형적인 느낌으로 시도하였으나 흙을 극히 제한된 공간에 일부 적용한 것과 치유의 공간인 치료실에 미적용함으로 치유공간을 인테리어적 개념으로만 해석하여 치유의 개념에는 미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실례이다. 하지만 자칫 무거워 보일 수 있는 흙을 디자인으로 활 용하여 또 다른 시각으로 보는 관점도 있지만 치유공간보다 상업공간의 인테리어용 으로 더욱 적합하다. 또한 흙과 허브, 숯 등 그 외의 성분으로 섞어서 벽면에 연출하 기 위해서는 접착력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문제점도 지적이 되며 흙의 본연의 성 질을 살린 연출도 모색되어야 한다.

 

[그림 22-1, 2]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소재하는 ㄱ한의원으로 위의 사례와 같은 인테리어 개념으로 접근한 사례이며 내부 벽면의 아트월과 안내접수대 후면과 입구 로 연결된 벽면에 흙과 허브를 섞은 형태의 흙이 적용된 치유공간이다. 이는 허브를 섞은 흙을 이겨서 바르는 형식의 흙미장공법(Plaster)의 방식의 일부분으로 적용하였 다. 컬러 흙을 실내의 가구와 내부 인테리어와 잘 소화될 수 있도록 연출한 것이 장 점이나 일부 한정 된 공간에만 적용을 한 것이 아쉬운 점이고, 흙을 치유의 효과로 견인하지 못한 것이 문제점이지만 디자인적인 접근으로 해석할 수 있는 사례이다. 제2절 한의원 공간특성과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인테리어의 계획 한의원의 공간 구성은 대기실 진료실(원장실), 치료실, 조제실, 탕전실, 약재창고, 휴게실(직원휴게실), 상담실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건물 내 약재 냄새의 유출문제와 좀 더 전문적인 약재 관리 문제로 원외탕전실을 주로 이용하는 한의원들이 많다. 영 담한의원은 [그림 23]과 같이 원외탕전실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자의 동선에 따른 구 획(Zoning)으로 입구, 대기실, 안내 접수대, 진료실, 상담실, 탈의실, 치료실(침구치 료, 온열치료, 추나치료), 한식방, 약재실과 휴게실로 공간을 구분하였다. 한의원의 공간 구성으로 입구에서 진입하여 안내접수대를 거쳐 대기실에 머물다가 진료와 상담을 하며 치료실로 들어가기 전까지와 치료하고 나온 이후 머무는 한식방 으로 공간에서 환자의 동선 흐름을 예측한다. 환자가 충분한 쉼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해서 치료실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인테리어 개념으로서의 흙 건축공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화학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등급 HB(Healthy Building)의 최우수등급의 재료와 마감재62)로 각 공간에 맞는 자연의 상징적인 컬러를 사용하여 적용하였다. 이는 생명을 사랑하는 자연친화적인 바이오필 릭디자인(Biophilic Design) 에서 강조하는 자연을 상징하는 색채를 유추한 것이다. 밝은 노란색은 한낮의 강렬한 태양의 빛이기도 하고 들판에 추수하여야 할 곡식의 색이기도 하다. 이러한 색을 미장이나 흙벽돌의 컬러로 적용시킴으로 자연재료를 좀 더 자연에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계획한 것이다. 또한 반대의 어둠 밤을 연상하는 검은색은 흙벽돌에 적용하였다. 또한 암석이나 바위의 회색도 흙미장에 적용하였으며 토양색인 흙의 색으로 흙페인트와 흙미장에 적용하였으며 녹색잎이나 푸른숲을 연상 할 수 있는 연두색도 흙페인트 색으로 적용하였으며 하늘의 떠있는 구름을 흰색으로 천장의 흙페인트 컬러로 적용하였다 따라서 3가지 색의 컬러 흙미장(밝은 노란색, 흙 색, 회색)이나 4가지 색(밝은 노란색, 연두색, 흰색, 흙색)의 컬러 흙페인트, 2가지 색 (밝은 노란색, 검은색)의 컬러 흙벽돌공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치료실은 치료개념을 적극적으로 강조하여 기능적인 흙의 치유효과를 견인하는 황 토 흙미장공법을 적용하기로 하며 천장도 전체적으로 흙페인트 공법을 써서 치유의 효과를 더한다. 한의원의 특성에 맞는 휴게공간이자 다기능공간인 한식방은 낮은 단 차이를 두어 전통 한식방을 재현하여 바닥에 구들을 놓던 전통개념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하여 황 토흙미장을 하고 장판과 한지로 도배하여 한의원 이미지에 맞게 연출하도록 한다. 또 한, 자연광을 끌어들이는 전통 한지창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한의원 내부 전반 적으로 은은한 자연 빛을 유도하기로 한다. 한의원의 시공도면은 본실과 추나와 온열치료실을 둔 별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 림 23, 24]와 같다. 치유공간임을 감안하여 일부바닥(한식방은 바닥을 황토로 시공) 을 제외한 모든 벽면과 천장을 흙건축 공법을 적용하여 인테리어 개념과 개별적으로 치료받는 치유개념을 분류하여 흙건축 공법 적용을 차별화함으로 치유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화학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등급 HB(Healthy Building)의 최 우수등급의 재료와 마감재인 원래의 흙으로 제조된 흙페인트(Earth pant), 흙벽돌 (Adobe), 흙미장(Plater)인 3가지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치유공간 디자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시각적, 육체적, 심리적인 자연 치유공간이며, 치유환경요소와 특성을 활용한 공간, 기능과 형태를 활용한 4가지 색이 흙페인트(Earth pant), 3가지 색의 흙미장재(Plater), 2가지 색의 흙벽돌(Adobe)을 활용한 흙건축 공법으로 조성된 치유 공간, 전통을 재해석하고 전통방식과 현대방식의 흙을 공간에 연출, 현대적 한방 메 시지를 전달하고 기의 순환과 소통을 통해 진정한 치유를 체험하는 공간이다. 또한, 치유환경에 맞는 요소인 빛, 치유에너지인 한의원에 맞는 건축재료인 흙, 따뜻함을 주는 컬러, 자연으로부터 기인한 곡식, 낮의 태양, 밤의 어둠, 암석, 토양이나 흙, 녹 색잎이나 푸른숲, 자연의 색, 자연재료인 목재와 돌, 옛날 느낌을 떠올리게 하는 가 구들, 계절별 특성을 보여주는 꽃을 흙벽돌 화단에 연출, 한지를 이용한 전통창호와 한지 조명, 사랑방 느낌의 좌식 건강 한식방, 빛을 차용한 환한 느낌의 흙벽돌 파사 드등 그 외 자연친화적인 오브제(Objet)를 연출하기로 한다. 이밖에도 바이오필릭 (Biophilic)디자인에 근거하여 간접체험으로 나뭇잎무늬의 방염커튼과 꽃무늬 쿠션이 나 방석등을 공간에 연출하기로 한다. 또한, 환자들의 동선에 따른 공간 구획(Zoning) 후 흙적용 인테리어 공법과 방식, 또한 동선에 따른 조닝으로 입구 – 대기실 – 안내접수대 – 진료실 – 상담실 - 탈의 실 - 침구치료실 – 온열, 추나 치료실 – 한식방 - 약재실 & 휴게실 순으로 계획 하 였으며, 각 공간 조닝에 따른 색채와 흙적용을 계획하며, 색채와 마감 재 계획, 동선에 따른 공간조닝 인테리어 계획도[그림 25], 색과 흙 적용 설 계한 시공도면[그림 26, 27]은 다음과 같다.

 

제3절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인테리어 시공 1. 입구 한의원의 가장 처음 맞게 되는 공간으로 친근한 느낌의 첫인상을 주기 위해 [그림 35-1, 2, 3]은 자연재료인 목재를 활용하여 현관 느낌으로 연출하고 외관상 일체감 조성을 위해 세로로 시공하였다. 또한, [그림 35-4, 5, 6]은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을 활용하여 한낮의 태양이나 곡식을 연상케 하는 자연의 색인 밝은 노란색과 밤의 어둠을 적용한 검은색 흙벽돌을 활용하여 자연을 사랑하는 환자분들의 심리적 인 치유를 위해 흙벽돌에 흙벽돌 화단을 만들고 수시로 계절별 특성을 보여주는 꽃 을 심어 장기간 치료에 지친 환자를 위한 서비스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2. 대기실 대기실은 환자나 보호자 등이 편안한 마음으로 쉬면서 기다릴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한의원 실내공간 중 출입구와 제일 근거리에 있는 공간이어서 자칫 혼잡한 공 간이 될 수 있다. 한의원에 대한 첫인상을 주는 장소이므로 가장 장식적인 요소가 필 요한 공간이기도 하다.63)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요소의 일부를 차용하여 약장 에 식물을 연출하였으며 이 장식적 요소로 한의원의 상징적 의미를 갖는 고풍의 약 장을 [그림 36-3]으로 배치하고, 인테리어 개념으로 [그림 36-2]에서 보듯이 암석 이나 바위를 연상하게 하는 회색의 컬러로 대기실 벽면을 백토로 흙미장공법(Paster) 으로 시공하였다. 여기에는 전통적인 한방학적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의미 가 포함되어있다. 천장은 하늘의 구름을 연상하는 흰색을 적용한 백색 흙페인트공법 (Earth Paint)을 적용하였다. 나이 드신 환자분들의 진입 편의성을 위해 자동문으로 시공하고 편안함과 친근함을 제공하기 위해 [그림 36-1]로 알 수 있도록 거실 느낌 의 천장 조명과 ‘ㅁ’자 형태로 각종 의자와 편안한 소파를 조화롭게 배치하였다. 소 파에서 유리문 밖의 계절별 흙벽돌 화단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자분과 보 호자들의 대기시간에도 감성적인 치유공간이 되도록 배려하였으며 이는 치유공간요 소의 물리적, 심리적, 기능적요소를 적용한 것이다.

 

3. 안내 접수대 환자가 실내로 들어섰을 때 눈에 잘 띄는 곳에 위치해야 하며 약재실과 서로 근접 배치해야 효율적이다. 진입 후 가장 정면으로 마주하게 되므로 온화하고 친근감이 느 껴지는 지구를 감싸는 태양이나 들판의 곡식을 상징하는 밝은 노란색의 스플릿 형 흙벽돌로 접수대 후면에 흙벽돌공법(Adobe) 으로 설치 시공하여 임팩트한 파사드 느 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특히 치유환경의 물리적 요소나 특성에 자연 친화성의 중요 성을 살린 자연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파사드의 흙벽돌 중 상단은 빛이 투과되도 록 시공하여 [그림 37-1, 2]에서도 보이듯이 자연 빛을 치유공간에 끌어들이도록 연 출하였다. 이는 빛과 식물, 동물은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기능 에도 해당하기도 하는데 식물을 늘어뜨린 구피 어항을 안내접수대 위에 연출하여 [그림 37-3, 4]로 자연 친화적인 기능을 한층 살린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안내접수대도 자연재료인 돌을 상판에 활용하며 하단에도 밤의 어둠의 색을 적용 한 검은색의 흙벽돌을 활용하여 재료의 통일성을 갖추도록 시공한 것은 내원한 환자 의 첫 번째 동선이자 마지막 동선임을 감안할 때 충분히 안정되고 따뜻한 인상을 심 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징성이 드러난 한의원의 로고를 부착하고 이와 통일된 이미지의 유니폼 착용으로 시각적인 측면도 강조하였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편리 한 작업동선과 환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으로 기능적인 역할을 배려한 것을 감안할때 안내접수대는 치유공간요소의 물리적,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적인 모든 요소를 적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 진료실 한의사의 주된 공간으로 피로에 덜 하도록 하여야 하며 대부분 한의원은 진료실에 서 의사가 연구 및 휴식을 취하기도 함으로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개수대와 가구 배치를 하였다. 또한, 환자와 의사와의 소통이 처음 이루어지는 곳인 만큼 [그림 38-1, 3]에서 보 이듯이 온화한 느낌의 난색 계열이자 자연의 이미지로 태양이나 곡식을 상징하는 밝 은 노란색으로 흙페인트 공법(Earth Paint)과 한쪽 벽면에 밝은 노란색의 컬러미장으 로 흙미장공법(Plaster)을 활용하여 현대방식으로 시공하였다. 그 위에 전통적인 느 낌의 장식물과 한의학을 상징하는 황금빛 노란색 인체 혈자리 모형도를 함께 배치하 도록 하여 진료실의 기능적 요소를 인테리어 개념으로 활용하였다.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의 요소로 자연광과 흙을 이용한 자연재료 시공, 한지 창호, 목조장식 등을 연출하였다. 또한, 한의원의 특성상 가족 단위 환자들이나 고령 의 환자들은 대부분 보호자를 대동하는 것을 감안할 때 여분의 자리도 함께 배치하 여 환자가 좀 더 편안하게 본인의 상태를 상담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자도 배려하는 공간을 구성하였다. 진료실(원장실)은 실질적인 진료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한의학 특유의 진단 법인 망진(望診), 문진(問診), 문진(聞診), 절진(切診)이 행하여지는 곳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에 맞도록 자연광을 활용한 한지 창호로 조성하며, 환자의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따뜻한 느낌을 연출하고 환자나 의사가 진료에 집중할 수 있도 록 방음을 중점으로 하였고, [그림 38-2]는 진료 후 침구치료를 하기 위한 용이한 동선으로 치료실 바로 옆으로 레일문을 배치하여 시공함으로 한의사의 동선도 배려 하였다. 5. 상담실 상담실에서는 집중 치료를 요하는 환자분들을 위한 안내와 상담이 이루어지는 공 간이며 직원들 간의 소통 장소이기도 한 공간이므로 한의원 공간 중에서는 가장 공 적인 이미지가 강한 곳이다. 상담자와의 편안한 상담을 위해 시선을 집중할 수 있도 록 가구를 배치하고 장식적 기능은 배제하였다. 따라서 [그림 39-1, 2]에서 보이듯 이 벽면은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의 요소로 흙을 이용한 자연재료 시공과 색 채의 활용이다. 현대방식의 백토미장으로 흙미장공법(Plaster) 으로 시공하였으며, 이 는 암석이나 바위를 연상하는 회색과 천장은 하늘의 구름을 상징하는 흰색으로 적용 하여 흙페인트공법(Earth Paint)으로 시공하였다. 이는 대기실과 연결된 통일된 이미 지로 유리 벽면을 활용하여 공간의 확장성을 살리고 내부에서 환자의 움직임이나 동 선을 파악할 수 있도록 연출하였다. 또한, 환자가 많이 내원할 경우, 각 업무의 연결 성을 돕고 유기적으로 어시스트해야 하는 공간이므로 안내접수대와 동선도 가장 짧 게 하여 원활한 업무 소통을 하는 기능적 공간으로 시공하였다. 따라서 치유공간요소 의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 기능적 요소를 강조하였다.

 

6. 탈의실 탈의실은 좁은 어두운 공간임을 고려하여 공간의 확장성을 배려함으로써 한쪽 벽 면을 은은한 자연 빛을 활용한 한지 창호로 빛의 유입을 고려하였다. 이는 바이오필 릭디자인의 요소로 빛과 자연재료인 흙과 목재, 한지를 활용한 시공이며 흙의색을 활 용하였다. 따라서 [그림 40-1,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치료실의 경계로 있는 벽면 의 외부는 황토로 흙미장공법(Plaster)으로 시공하였으며 치료실의 황토 효과를 누리 게 계획하며 탈의실 내부는 흙의 색인 흙페인트공법(Earth Paint)으로 마감하였다. 신체가 불편한 상태의 환자들을 위해 편안하게 탈의를 할 수 있도록 편안한 느낌의 목재를 활용한 옷장과 옷걸이, 신발을 벗고 쉽게 탈의할 수 있도록 목재 발판을 준비 하였다. 온열 치료 후 땀을 흘리거나 탈의를 원하는 환자들을 위해 넉넉하게 여분의 환자복을 준비하였으며 땀을 닦을 수 있는 수건대도 배치하였다. 치료를 시작하기 전 과 치료받은 후 이 공간을 모두 이용하는 곳이기 때문에 움직임을 포착하여 켜질 수 있는 센서 등도 시공하여 환자가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이는 치유공간요소의 물리적, 인지적, 심리적, 기능적 요소를 강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7. 치료실 한의사의 진료방침에 따라 치료실의 크기, 치료기기의 종류가 결정되며 치료침대는 프라이버시가 침해받지 않도록 배치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치료형태는 일 반적으로 온열치료, 침구치료, 물리치료, 약침치료 등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60분~90 분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보통 한의원 공간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환자가 머무르는 공간이며 치료와 치유를 위한 공간이다. 따라서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자연재료와 디 자인계획이 필수적,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환자가 개별적으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공간인 만큼 안정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치료에만 집중할 수 있도 록 계획하였다. [그림 41-1, 3]은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의 요소도입으로 자연재료인 목재 와 흙을 활용하여 치료실 침대를 목재로 개별방식으로 시공하고 벽면에 자연의 상징 적인 흙의 색으로 흙페인트 공법(Earth Paint)과 전통방식의 황토로 흙미장공법 (Plaster) 으로 시공하여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게 하였다. 최근 들어 일반적인 한 의원의 치료실 실내계획은 빛을 거의 차단하고 인공조명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이 나 타나고 있다. 하지만 자연 친화성의 특성 중 하나인 자연 그대로의 빛 즉 자연광을 치유요소로 차용하였고, [그림 41-2, 4]는 목재와 황토미장에 잘 어울리는 창호를 계획하여 시공하였다. 요컨대 치유환경의 요소나 특성,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 에서도 치유의 요소로 빛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어릴 적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자연재료인 한지를 활용하여 창호로 시공하여 전통 한방 치료를 받는 공 간임을 느끼도록 하며 혼자만의 치유공간임을 인지하도록 황토미장과 잘 어울리는 브라운계열의 나뭇잎 무늬는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의 간접체험으로 자연친화 적인 이미지의 방염 원단 커튼을 활용하여 타인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연출하였다. 흙은 치유환경요소 중 가장 기본적인 물리적 요소에 속해있고 자연 친화성이란 특 성에도 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흙 그 자체의 효과만으로도 안정감을 주 고 쾌적감을 느낄 수 있으며 치유의 효과가 있는 자연재료이자 친환경 건축재료이다. 흙의 냄새를 맡으며 숙면을 하고 피곤함이나 스트레스 감소를 경험할 수 있는 진정 한 의미로 치유의 효과가 있는 자연재료로써 치유의 효과를 강화하고 충분하게 휴식 을 취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하였다. [그림 41-5, 6]은 특별치료실로 온열치료실과 추나 치료실에도 흙의 색으로 같은 공법인 황토미장과 흙페인트를 적용하여 시공하였다. 특별치료실 공간도 탕전실 기능 을 활용할 수 있도록 목재로 가벽을 세워 상단은 자연광을 고려하여 한지창호로 시 공하고 하단벽면은 흙페인트로 마무리하며 치료실 공간을 분할하였다. 공간배치로는 특수 추나 베드, 추나 치료 베드 그리고 온열치료기를 배치하고, 한 쪽 벽면을 황토 로 미장하여 특수 치료 효과의 효율성을 최대로 높이기 위한 동선 배치와 흙을 이용 한 치유기능을 연출하여 치유공간요소의 물리적, 인지적, 심리적, 기능적 요소를 강 조하고 있다.

 

4. 치유공간 선행연구 분석 국내 치유공간에 관한 연구 경향을 보면 2000년 이후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본격 적인 연구는 2005년 이후에 진행되어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3) 특히 최 근 3년간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을 반영한 치유공간에 관한 연구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면서 주로 연구대상은 치유환경이론, 치유이론을 반영한 공공주택과 공공디 자인 평가체계 등이며 의료기관인 종합병원, 암센터, 재활병원, 어린이병원, 노인요양 병원, 한의원으로 형태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메디컬 리조트, 스파, 웰니스센 터, 노인복지관, 노인요양시설 등 의료기관에서 치유공간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그리고 주로 연구 분야로는 건축계획, 실내공간계획, 환경연구, 색채연구, 행태연구 등이며 연구유형으로는 치유환경요소, 공간선호도, 치유디자인요소, 바이오필릭 (Biophilic) 디자인, 건축재료, 동선 체계, 지원적디자인의 가이드라인, 리모델링 건축 계획, 등으로 나타났다. 치유공간의 선행연구로 조사된 논문의 편수로 박사학위 논문 7편 석사학위 논문 11편 학회 논문 4편인 총 22편으로 으로 정리하였다.

 

이에 따르면 치유공간의 계획 단계부터 시공까지 다룬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또 한 치유공간인 한의원을 연구한 사례는 2건이며 이설매(2011) 현대인을 위한 한의원 실내공간 계획과 박봉수(2003) 흙을 이용한 한의원 실내 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이 중 자연재료인 흙을 다룬 사례는 박봉수(2003) 흙을 이용한 한의원 실내 계획에 관 한 연구는 단 1건이며 치유공간에 흙을 적용한 계획과 시공절차를 거쳐 직접 흙의 효과를 경험한 환자들 대상으로 흙의 치유 효과에 대한 만족도나 의견을 연구한 사 례는 전무하다. 5. 한의학과 치유공간 우리 민족 고유의 한의학은 서양의학과는 근본부터가 다르며 나름 대로의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동양 철학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한의학은 인간을 자연의 한 부 분으로 생각하여 사람의 몸을 자연과 동화시키고, 순환시켜서 질병에 대한 자연치유 력을 증강시키는 것이 치료의 근간(根幹)이 되고 사람의 몸을 포함한 세상에 존재하 는 모든 것을 기(氣)의 조화와 균형이 깨질 때 질병을 얻는다고 한다.34) 이원구 한의사35)(2019)에 따르면 한의학에서 질병이 온다는 것은 신체의 기운, 혹 은 정신적 감정의 불균형이 질병의 원인이라고 보는 데서 시작을 하게 된다고 하였 다. 따라서 치유라고 하는 것은 신체의 불균형을 다시 제자리로 균형 있게 맞춰 가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한의학은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이나 동양 철학을 바탕으로 시 작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인간의 몸을 소우주(小宇宙)로 보는 동의보감 범주를 벗어나 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중국의 황제내경(黃帝內經)은 질병의 치료에 대해 전체적 으로 철학적인 부분이 많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질병 하나하나 에 대한 처방과 치료법들이 수록되어있는 차이가 있는데 결국은 인체에 어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기본을 다루는 제 1의 의서라고 하였다.

 

김진욱 한의사(2018)는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 [그림 7]을 통해 살펴보면 몸 안 의 흐름이 존재하는데 장부가 하나하나 막히지 않고 뭔가가 몸의 전체로 흘러서 연 결되어 있고 어떠한 흐름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한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 나로 흐름에 주목하고 이러한 흐름은 에너지의 생성, 운반, 소비, 배출이라는 흐름 속에 장부와 경락이 흘러가고 이를 통해 공기, 혈액, 물과 곡식이 흘러가고 있다고 하였다. 이런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더 잘 흘러갈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몸을 건강히 하는 방법이라고 하였다.36) ‘황제내경(黃帝內經)’37)은 중국 의학의 기초서적으로 동양 의학의 사상적 근간이 되는 의서(醫書)로서 세상이 음과 양이 라는 기의 원리로 움직이며 몸이 기를 이어받지 못할 때 질 병이 발생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질병의 치료 방법은 지방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질병이 원 인이 자신이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원활하지 못한 소통에 기 인하며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환자와 환자를 둘러싼 환 경의 흐름이 조화를 이룰 방안을 찾아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질병 예방을 위해 양생(養生)을 강조하는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보이는 ‘양생(養生)’의 의 미는 스스로 질병을 극복할 힘, 즉 자연치유력(自然治癒力)을 중요시 하는 개념이다.38) 치유공간의 하나인 화병(火病)전문 한의원의 인테리어 소재로 기의 균형을 맞추어 주는 동시에 자연치유력(自然治癒力 )을 키워주는 재료가 적합할 수밖에 없다. 천연 재료인 흙으로 치유공간을 시공하는 것은 풍수의 이치에 적합할 뿐 아니라 흙이 가 져다주는 심리적 안정감, 재료 자체가 갖는 내재적 치료 효과에 측면에서도 치유공간 과 조화를 이루는 소재이다. 이원구(2019)39)에 따르면 흙의 효과를 치유의 원리로 풀이하여 치유공간에 적용 한 것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에서 오행의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의 오행(五行)을 말하는 철학 개념으로 오행(五行)은 인체의 오장에 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 오장 하나하나에 적용된다고 하였다. 또한 그 중에 중앙토(土) 라고 하는 것은 음양의 균형을 잡아 주는 역할을 하고 토(土)가 중앙에서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는 기능을 한다고 하였다. 오행(五行)에는 상생(相生) 상극(相克)이라는 것이 있는데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넣고 목(木)은 화(火)를 생(生)하 고 화(火)는 토(土)를 생하고 토(土)는 금(金)을 생(生)하고 금(金)은 수(水)를 생(生) 하고 다시 수(水)는 목(木)을 생(生)하고 이렇게 서로 유기적으로 돌아가는데 화(火) 의 기운은 토(土)를 살려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화(火)기운이 있으면 이 화(火)의 성질은 토(土)를 생(生)하게 하기 위해서 내 몸에 내가 가진 화(火)가 토(土)쪽으로 에너지를 보내줌으로 내재되어 있던 화(火)가 토 (土)를 배양하는 데 소모되어 약해지므로 자연히 화를 해소하게 되는 것이 철학적인 원리라고 하였으며 [그림 8]은 이러한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그린 음양오행(陰陽五 行)의 개념도이다.

 

그래서 황토방에서의 편안해지는 느낌을 체험하게 되면 마음이 안정되고 몸의 통 증이 완화된다거나 하는 것이 황토(黃土)의 역할로 몸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주는 역할로 어떤 질병을 가진 사람이라도 체험 후에는 몸이 개선되고 편안해질 수 있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 중앙 토(土)의 개념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황토나 흙을 이용한 치유공간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다양한 질병을 가질 수 가 있지만 신체를 조화롭게 만들어 줌으로 질병이 있어도 유용하게 균형을 잡아줄 수 있는 그런 성질을 가진 토(土)를 활용하는 것이 화병(火病)전문 치유공간인 한의 원에 상당히 적합하다고 하였다.

 

2장의 이론적 고찰에서 살펴보았던 내용을 도식화한 [그림 9]는 치유공간과 흙건 축 개념도로서 치유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로 요구되는 치유 환경디자인 특성과 치유 환경요소, 바이오필릭 (Biophilic)디자인 등은 각 요소마다 그 안에 자연친화성을 강 조하는 치유공간의 건축재료가 흙을 포함한 자연재료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 다. 이러한 치유공간에 적합한 건축재료로 흙이 치유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요소로 언 급된다. 흙은 단일적인 기능만으로도 심신을 안정시키고 통증을 완화하며 각종 성인 병이나 해독력이 뛰어난 충분한 치유의 효과가 있는 자연재료이다. 앞서 살펴본 해외의 치유공간사례에서도 흙건축 공법 중 흙다짐(Plaster)을 활용하 여 대량으로 흙을 적용한 사례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흙의 적용 이 국내에서는 기의 흐름과 소통의 원활함을 중요시하는 한의학의 치유원리와 음양 오행(陰陽五行)의 상생의 원리에 따라 화를 중앙토(土)로 중화해 가라앉게 해주는 한 의학의 원리로 화병(火病)전문 한의원에 흙의 효과를 활용한 치유 환경의 조성 원리 를 담고 있는 개념도이다. 제2절 흙건축 인테리어 1. 흙건축 흙건축은 흙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건축을 말한다. 즉 흙건축은 ‘자연상태’ 의 흙을 소재로 하는 건축행위와 그 결과물이며, 좁은 의미로는 건축의 주된 재료로서 흙의 역할이 강조된 건축물로 정의한다.40) 생태건축을 추구하기 위하여 여러 재료들이 논 의되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온 전통적인 소재41)임과 동시에 주위에서 흔하 여 구하기 쉬운 재료이며 값도 싸서 새롭게 주목받는 재료이다. 또한, 사용 후 폐기 물이 남지 않고 자연으로 순환되며, 자재 생산을 위한 원 에너지가 극히 낮은 재료이 며 동식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예로부터 해독, 화상치료 등에 응급치 료제로 쓰여 왔다. 건강에 좋다는 상징적 물로 알려진 ‘지장수’ 는 흙이 가라앉고 난 뒤의 맑은 물을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원구42)(2019)는 한의원에 내원한 암환자 들의 임상으로 실제 지장수를 이용해서 체험하기도 하였으며 암환자들에게 탁월한 효과가 있었음을 밝히기도 하였고, 실제 복룡간(伏龍肝)이라는 흙은 아궁이 내부에서 오랫동안 열에 의해 단단하게 생성되므로 열을 견뎌낸 이 흙을 한약재로서 산부인과 질환인 하혈 증상, 종기, 설사에 자주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주택의 개량화로 구하 기 힘든 약재라고 하였다. 흙의 효용성이나 중요성은 현대에까지 그 의미가 이어진다. ‘교토 의정서’ 에서는 2050년까지 선진국의 철근 소비량을 90%, 알루미늄 85%, 시멘트 80%만큼 줄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들 재료를 대체할 대안으로서의 건축재의 필요성이 강조되 는 시대가 된 것이다. CRATere 부소장인 위고 유벤(Hugo Houben) (2003)43)은 흙 이야말로 미래의 건축재료로 가장 확실한 대안임을 강조한 바 있다. 흙건축은 기능적 의미에 더하여 생태적 의미도 갖는다. 문학이나 심리학적으로 접 근해 본다면 대지(흙)는 생명의 회귀지로서 모성, 근원, 자연, 고향, 민중의 터전, 가 난한 삶, 생명의 근원으로 해석된다. 성경의 창세기에도 흙은 인간의 시작의 의미이 다.44) 인간의 시초인 아담의 이름은 히브리어로 ‘붉은 흙’ 이라는 뜻이다. 인간은 흙 에서 나고 흙으로 돌아간다는 의미가 그대로 반영되었다 할 수 있다. 또한 허준혁(2013)은 인간(human)과 겸손(humble)의 어원은 흙(humus)이다. 단지 한 줌의 흙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흙은 나무의 뿌리를 보듬어 안으며 열매와 잎을 맺도록 양분과 수분을 제공한다. 흙은 언제나 사람의 발아래에서 사람을 우러러볼 때 흙은 진정한 흙일 수 있다. 흙은 머리 위에 얹으려 해도 안 되고 멋진 의자에 앉으려 해도 안 된다. ‘흙’의 성질은 더 이상 낮춰질 수 없는 ‘최저의 낮음’ , 한 줌의 힘으로 도 바스러지는 ‘연약함’ 이다. 겸손은 ‘흙’ 과 같은 태도를 말한다. 사람은 흙에서 나 왔고, 흙의 성질은 겸손함이니, 사람이 사람답게 되려면 흙과 같아져야 하며야 ‘흙’과 같이 되려면 겸손해야 한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이만함을 감사하고 겸손해야 한다45) 고 하였다. 황혜주(2016)는 흙은 경쟁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조화롭게 사는 것을 추구하며, 또 한 서두르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느리게, 차근차근 여유 있게 사는 것을 지향한다고 하였다. 시간의 존중으로 다른 재료와 다르게 수십억 년의 축적이 있는 재료이기 때 문에 흙은 드러내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해야 한다고 하였다. 겉멋 부리지 말고, 본질적이고 담백한 건축을 지향한다고 하였다.46) 이러한 흙의 생태적이며 본질적인 의미를 살펴본 바로 자연을 사랑하고 고향의 향 수를 불러일으키며 겸손한 인간의 건축인 그 매개체인 흙은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줄 이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치유환경에 절실한 자연재료임이 함축된 원형들이다. 앞서 살펴본 흙의 효과를 공간 안에서 제대로 활용하려면, 어떤 흙을 어떻게 활용 하는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흙건축에서 좋은 흙이란 주위에 가까이 있고 구하기 쉬운 흙이다. 굳이 신토불이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흙건축이 주변 여건에 자연 스럽게 조화된다는 점과 수송비 등 경제적 측면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 욱 그러하다. 좀 더 확장하여 생각해 보면 좋은 흙 재료란, 흙집이 폐기될 때 그 흙 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재료다.47) 그것이 흙이 갖는 자연의 순환성이 그대로 반 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관여하는 문제는 두 가지다. 첫째는 자연재료를 사용한 흙건축의 내구성이 다. 흙건축에 균열이 가지 않고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흙의 구성요소들의 입자를 조절하여 최밀 충전 효과(optimum micro filler effect)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공법이 관여할 것이다. 둘째는 자연 환원성과 관 련된 문제다. 가능한 시멘트를 섞지 말고, 화학수지를 쓰지 않아야 환원성이 유지된 다. 아울러 흙은 구우면 흙의 자체 특성을 잃어버리므로 굽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2. 흙건축 공법 흙건축의 공법은 사용 재료별, 구조 내력, 역사적 전개, 구축 방법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사용재료에 따라 재래식(저강도식)과 고강도식으로 나뉘고, 구조 내력 에 따라 내력벽식, 비내력벽식으로 나뉜다. 또 역사적 전개에 따라 흙쌓기, 흙벽돌, 흙벽돌, 흙다짐, 흙타설 그리고 흙미장으로 변화되어왔고 구축방법에 따라 개체식으 로 흙쌓기(Cob,Bauge), 흙자루공법(EarthBag), 계란판공법 (EPMethod), 메주공법 (MJ Method), 보강흙쌓기공법(BB, BF Method), 흙벽돌공법(Adobe), 일체식으로는 흙다짐공법(Rammed Earth Pise), 흙타설공법(Earth Concrete)이며 보완식으로는 흙미장공법(Plaster), 붙임공법(Board &Panel), 볏단벽공법(Straw bale), 흙짚반죽공 법(Earth Straw), 흙칠공법(Earth Paint)이 있으며 [그림 10]으로 정리하였다. 48)

 

3. 흙의 효과와 유사 흙의 문제점 1) 흙의 효과 건축재료로서 흙이 인간에게 미치는 효과와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이루 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황혜주(2008)49)는 지구 환경적인 측면과 주거 환경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흙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지구환경적으로는 천연자원의 절 약, 에너지 소비 최소화, 에너지 효율화, 오염 감소 등을 강조하고 있고, 주거 환경적 측면에서는 아래의 총 여섯 가지로 분류를 통해 흙의 효과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자연재료로서의 흙의 대표적 효과는 황혜주(2008)에서 보인 바같이50) 지구환경적 인 측면의 천연자원 절약, 에너지 소비 최소화, 에너지 효율화, 오염 감소 등이다. 이 중 주거 환경적 측면에 주목하면 여섯 가지의 효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흙은 살아있는 공간을 만든다. 황토, 시멘트 모형 집(가로 80cm×세로 60cm×높이 30cm)에 실험용 생쥐를 넣고 성장 실험한 결과, 황토 모형 집의 쥐는 암수 모두 평균 55% 이상 성장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반면, 시멘트 모형 집에서의 쥐는 몸무게가 감소하다가 암컷은 100%, 수컷은 20%가 폐사하였다. 또한, 황토와 시멘트 모형 집 사이에 교통로를 만들어 실험용 생쥐가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황토의 선호도가 72%로 시멘트선호도 28%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둘째, 흙은 습도조절 능력이 우수하다. 황토는 또한 습도 조절 능력이 우수하다. 콘 크리트로 둘러싸인 현대 건물은 자체적인 습도 조절 능력을 가지지 못하므로 에어- 컨디셔닝 장치에 의해서만 조절할 수 있다. 황토는 외부가 습하면 수분을 흡수하였다 가 외부가 건조해지면 수분을 방출하는 특성이 있다. 황토는 시멘트보다 수분을 흡수 하였다가 방출하는 능력이 3~4배에 달한다. 셋째, 흙은 탈취성능이 뛰어나다. 황토의 탈취율은 98%로서 시멘트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강력한 탈취력으로 실내공간의 악취 등을 없애주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창출할 수 있다. 넷째, 흙은 에너지 성능이 우수하다. 황토는 열성능이 우수하다, 40℃의 열을 공급 한 경우, 시멘트의 최고 방열 온도는 34.2℃인데 비하여 황토는 39.6℃에 달한다. 이 러한 성능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유리하며, 이런 방열 효과에 의하여 난방 시에 바닥 온도가 높게 되어, 온돌에서 ‘방바닥에 등을 지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축 열성이 있어서 난방 종료 후, 시멘트보다 높은 온도를 지속하게 된다. 실제로 프랑스 전력회사의 조사에 의하면 흙으로 지어진 집은 일반 집에 비하여 난방비가 50∼6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흙은 원적외선 방사량이 많다. 원적외선 방사효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 정 리할 수 있다.

 

① 물의 분자 운동을 활성화하여 인체의 세포운동을 촉진함으로써 활력을 증진한다. ② 공명 흡수 작용으로 물질의 분자 운동을 유발하여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③ 온열효과에 의해 모세혈관운동을 강화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 여섯째, 흙은 질병의 치유에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왔다. 고문헌의 문증들은 흙 치유 효과51)를 지지해 준다. 대표적 질병과 이에 대한 문헌 내용을 보이면 아래와 같다. ① 고혈압: 황토는 신진대사의 촉진을 도와줄 뿐만 아니라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켜 주므로 고혈압엔 물론 지압에 매우 좋은 치료 효과를 갖고 있다. 인체의 암이나 종기 등의 기타 유해한 세포들을 흙 속의 효소인 프로테아제가 분해하여 해독시켜주고 몸 을 정화해주는 기능을 한다. (山海京中) ② 성인병: 황토의 기(氣)를 받으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해 주며 통증을 완화해준다. 또한, 숙면을 도와 늘 상쾌한 아침을 만들어 주며, 요통, 어 깨 결림, 관절통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鄕藥集成方) ③ 환자나 노인: 황토로 집을 지으면 환자들의 치료 효과가 빨라지고 수술 후의 통 증이 완화되며 노인들의 잔병, 신경통, 관절통에 좋다는 민간요법도 있다. (東醫寶鑑, 本草綱目). ④ 스트레스나 과로: 왕실의 양명술에는 세상을 구하는 데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 고 예언했으며, 왕과 손자들이 피로할 때 황토집을 지어 피로 회복실로 만들어 줄 만 큼 황토는 피로한 분들에게 매우 효과적인 건강주택이라고 할 수 있다. (陽名術) ⑤ 당뇨병: 황토는 오장을 안정시킴으로서 당뇨환자에게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며 몸의 균형을 맞추어주고 황토에 있는 각종 효소가 분해되어 오랫동안 당뇨병을 앓아 온 환자라도 호전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東醫寶鑑, 本草綱目) 또한 이외에도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수험생들의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3~4시간 정도의 취침만으로도 숙면의 효과를 볼 수 있고, 해충이나 곰팡이 세균의 서식을 억제하므로 쾌적한 실내를 유지시켜 줄 뿐 아니라 성장발육을 도와주고 습도 조절이 뛰어나 아이들의 감기 및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주장도 있 다.52)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흙은 건축물에서 근원적으로 인간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치 유공간 창출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2) 원래의 흙 사용방법 건축재료로 사용되는 흙은 그 자체에 크게 3가지 약점을 지니고 있다. 첫 번째, 지 역마다 흙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 다르다는 점이다. 즉, 건축에 적용되는 흙의 성질 에 따라 다른 결과물이 나오므로 안정적인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 두 번째, 흙은 수분을 혼합하여 원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건조되고 강도가 확 보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흙은 수분 함유 상태에 따라 0.4% ~ 12%의 건조 수축 을 일으키며 재료 상태가 약화된다. 세 번째, 완전히 건조되어 강도가 발현된 흙이라 도 수분에 약하다는 점이다. 수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곳에는 흙을 사용하기 어렵 다. 이렇듯 흙은 그 자체에 건축재료로서 약점들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 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흙은 반응원리에 따라 입자 이론53)(Particle theory)과 결합재 이론54)(Matrix theory)으로 대별된다. 입자이론에 의한 반응은 외부 물질의 투여 없이 흙자체를 이 용하여 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물이 침투하게 되면 최밀 충전이 깨지면서 입자 간 응집이 풀리는 단점, 즉 물에 약한 단점이 있다. 결합재 이 론에 의한 반응은 점토분과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회가 반응하는 이온반응과 포졸란 반응에 의한 응결 현상으로서, 흙에 회와 같은 외부 물질이 투여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강도가 높고 물에 강한 장점이 있다. 이때 강도는 석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발현되는데 석회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강도는 올라간다. 석회 자체는 흙과 반응하 면 알칼리성이 없어져서 몸에 나쁘진 않다. 하지만 흙이 주는 부드러운 질감이 다소 감소되고, 석회가 들어간 만큼 흙이 적게 들어가는 것이므로, 필요한 강도 요구에 따 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흙의 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식은 흙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효과는 간 직하면서 건축재료로서 일정 정도의 성능을 발현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즉, 흙재료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올바른 흙의 사용방법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3) 유사 흙의 문제점 흙을 사용하는 많은 방식들이 강도와 내구성만을 추구하며 흙이 가지고 있는 본연 의 성질과 효과를 살리는 데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특히, 상업적으로 활용되 는 흙 건축자재에서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지며 흙 재료에 대한 불신의 주요한 원인 이 되고 있다. 이는 흙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질을 제대로 살려내지 못한 사용 방 식으로 “유사 흙”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사 흙”은 앞서 기술한 흙의 효과인 지구환경적인 측면과 주거환경적인 측면 두 가지 모두에서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흙을 건축재료로 사용하는 의미를 찾을 수 없으며, 이와 같은 사용 방식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흙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대표 적인 2가지 방식을 아래에 설명하였다. 우선, 시멘트를 사용하는 방식(cementation) 이다. 흙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사용하 면, 시멘트끼리 결합하게 되어 시멘트 수화에 의한 수화 반응물질이 생성된다. 그래 서 처음에는 강도가 높고 좋은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 결합이 흙을 둘러싸게 되 어, 즉 강한 결합재료가 굳고 그 결합 사이에 흙이 메워지게 되는 형태가 되어 흙의 고유특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또 흙과의 관계로 인해 장기적인 강도에 문제가 있 을 수 있다. 해외의 사례에는 흙에 시멘트를 섞어서 쓰는 경우가 흔한 경우이지만 전 통적으로 쓰여온 고유의 건축재료인 천연 흙을 치유공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흙의 특성을 살린 결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학수지를 사용하는 방식(imperviousness) 이다. 흙에 화학수지를 혼합 하여 사용하면, 화학수지가 흙 입자를 코팅하여 화학수지끼리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화학수지의 작용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 상태가 일정한 장점의 작용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 상태가 일정한 장점화학수지의 작용으 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 상태가 일정한 장점이 있으나, 이 화학수지가 흙을 코팅하여 흙의 특성을 발휘할 수 없게 함으로써 무늬만 흙인 상태가 되고, 화학 수지에서 VOCs등 유해물질이 방출됨으로써 차라리 흙을 안 쓰는 것만 못하게 될 수 도 있다. 또한 합성수지의 자외선 열화 현상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소 지가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새집증후군55)을 야기시키는 주범의 형태로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엔 등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고 눈 이 따갑거나 맵거나 해서 인테리어 마감재를 붙이는 본드에서도 이러한 유해물질이 검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이러한 유해물질로 인체에 해가 되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시각적, 코, 목안 자극으로 눈이 따갑거나 맵고, 비염에 시달리며 호흡이 곤란, 아토피성피부염, 두드러기, 천식, 두통, 현기증, 평형 장애, 불규칙한 맥박을 유 발하며 만성적일 땐 혈액장애나 간장 장애를 일으켜 재생불량성 빈혈이나 백혈병, 심 장병, 태아독성영향, 임신중독, 성장장애, 암등 질병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도 있 다 56) 앞에서 언급된 새집증후군에서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정리하여 [그림 11]로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인테리어용 접착제에 의한 새집증후군 오염 인자로 바닥이나 벽지, 크랙 충 전용(균열방지용)접착제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과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의 방출량을 측정한 실험57)에 서 박희봉(2018)은 포름알데히드(HCHO) 방출농도는 20,000 이상으로 실내 공기질 기준의 수백 배를 초과하였으며, 30일이 경과한 후에도 실내공기질 기준을 초과하는 농도로 방출되었다고 하였다. 3종류의 접착제는 모두 포름알데히드(HCHO) 의 초기농도가 80,000 이상 30일이 경과한 후에도 같이 1,000 전후 의 농도를 나타냄으로써, 포름알데히드(HCHO)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100을 월등히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TVOC 또한 초기농도가 수만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30일이 경과한 후에도 수천 의 농도를 초과함으로써, TVOC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500-1,000 을 월등히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앞서 흙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방식과 유사 흙을 사용하였을 때 미칠 수 있는 악 영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유사 흙은 사람들이 흙으로부터 기대하는 다양한 흙의 효과 를 차단하며, 궁극적으로 건축공간에서 흙이 할 수 있는 본질적인 역할 즉, 치유공간 창출을 불가능하게 한다. 앞에서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흙과 유사 흙의 내용을 정 리하면〈표 4〉로 나타낼 수 있다.58) 따라서 친환경재료나 마감재등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등급59)HB(Healthy Building) 등급을 획득한 재료를〈표 5〉를 통해 정리하였으며 이에 준하는 자재를 활용하여 유해 물질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친환경 건축공법으로 올바른 흙의 사용을 목표로 두어야 한다. 이러한 실내공기질을 결정하는 법적인 근거로서 그 심사기준을 한국공기청정협 회에서 정하고 있으며 산업표준화법 제 27조 단체 표준의 제정등 (법적 임의 인증) 에 근거하여, 국내에 생산되는 건축자재 단체표준인증 규정에 의하여 공인시험기관에 서 엄격하고 철저한 품질인증시험을 한 후 시험결과에 따라 제품에 인증등급을 부여 하는 단체표준인증(HB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국내 건축자재 생산업체 또는 수입 건 축자재를 대상으로 화학물질 방출강도를 평가하여 인증함으로써 건축자제 오염물질 방출에 대한 자율적인 품질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권장하며, 제품의 품질향상에 기여 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 적용대상을 건축물의 내장제로 사용되는 일반자재 (합판, 바 닥재, 벽지, 목재, 판넬 등), 페인트, 접착제등에 적용된다. 인증 심사 기준으로는 제 품을 제조하는 공장의 기술적 생산조건이 임증심사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심사하는 공장심사가 있으며 제품의 품질이 단체표준 인증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심사하는 제품심사로 나뉘어있다.

 

관련법으로 환경부 건축자재 사전적합확인제도가 있으며 실내공기질관리법 제11조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의 사용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실내공기질 관리 시행 령 제6조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여부의 확인, 제7조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 여부 확인의 예외 사항을 두고 있다. 따라서 대상제품군인 바닥재, 벽지, 접착제, 실 란트, 페인트, 페티제품군이 친환경건축자재인증인 (HB인증) 취득시 자동으로 등록이 되며 실내용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필수사항으로 실내마크를 부착하여야 한다고 명 시되어 있다.60)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현대인들은 급속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항상 긴장과 스트레스를 호소하며 심리적인 압박감에 시달린다. 이런 압박감은 마음과 신체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심리 적 요인이 되므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장치가 필요한 시점이다.1) 현대인들은 이제 잘 먹고 잘사는 웰빙(well-being)에 대한 요구를 넘어, 치유(healing)를 소망하게 된 것 이다. 2) 도심에 사는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휴식과 쉼의 공간에는 늘 자연이 들었다. 질병을 앓는 사람들에게 그 열망은 더하다. 진정한 의미의 자연을 만나게 하는 동시 에 실제 효과를 발휘하는 치유공간이 절실히 필요할 때이다. 최근 치유환경에 자연 친화성이 주요 요건으로 대두되고 치유공간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는 현상은 이러한 요구가 반영된 것이다.3) 치유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나 특성, 치유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디자인에서도 건축재료로서의 자연재료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이런 요구에 입각한다면 흙은 진정한 의미의 치유환경을 구축하는 건축재 료로서 필수불가결한 자연재료이다. 그러나 실제 국내에서 천연 건축재료인 흙을 적 용한 사례는 드물다. 일부 한의원에서만 기의 흐름을 중요시하는 치유공간으로 흙을 활용하고 있을 뿐이다. 그 외 공간에는 진짜 흙을 치유공간에 활용하는 것을 도외시 하고, 예쁘고 보기에 좋은 디자인, 시공하기 간편한 형태, 일부 한정된 공간에서의 인테리어 개념으로만 흙을 적용한 사례만이 확대되는 실정이다. 흙은 오래 전부터 인간에게 가장 가까운 자연환경으로 양식을 제공하는 터전일 뿐 아니라 치유의 기능을 가진 약이자 건축재료이었다. 흙 자체만으로도 진정한 의미의 신체적, 심리적 치유의 재료라는 점은 다수의 문헌을 통해 증명된 사실이다.4)

 

특히 아픈 사람을 위한 치유공간은 건강한 건축재료를 활용한 인테리어 계획이 우 선시 되어야 한다. 환자를 위해 흙의 치유 효과를 활용한 진정한 의미의 치유공간을 구성하고 이를 확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를 위한 기존 연구에서는 흙을 치유공간에 활용한 연구는 미진하며 시공 후 치유공 간에 대한 효과 검증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료로서의 흙을 치유공간에 활용하는 방안을 구체화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실제 환자를 다루는 한의원 현장을 흙건축 공법으로 설계하고 시공하였다. 시공 대상으로 삼은 한의원은 화(火)를 다루는 화병 (火病)전문 한의원으로 삼아 치유공간에 진짜 흙의 필요성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흙 건축의 설계의 주안점은 바닥을 제외한 전면적 공간에 흙건축 공법으로 시공하여 치 료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었다. 이는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에 기반한 것으로 자연재료인 건축재료의 활용과 색채를 설계에 차용하는 것이다. 또한 환자들 의 동선에 따른 공간구획으로 치료와 인테리어개념으로 차별을 두어 흙미장 (Plaster), 흙페인트(Earth Paint), 흙벽돌(Adobe)공법으로 시공하였다. 이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인 실제 흙의 치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설문 방법과 면담 방식을 활용하였다. 치유공간에 흙건축 인테리어의 기능적인 효과와 인식 여부 및 치유 효과에 대한 만족감을 확인함으로써 진짜 흙을 활용한 치유공간 설립의 필 요성을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된 결과는 아픈 사람들에게 직접적으 로 치유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치유공간에 흙건축을 활용하는 시 공설계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치유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향후 치유공 간을 바라는 사람들의 니즈 및 선호도를 확인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두 단계 절차를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이론적 고찰로 치유의 개념과 치유공간요소와 특성요소, 최근 치유공간을 위 한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2003~2019년까지 발표된 치유공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한의학의 원리와 이에 따른 치유공 간의 상관관계를 실제 흙의 효과를 치유공간인 한의원에 적용한 이원구 원장의 인터 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흙건축 인테리어에서는 흙건축의 정의와 흙건축공법, 흙의 효 과와 유사 흙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둘째, 치유공간에 흙건축 공법을 적용한 인테리어 계획과 시공으로 흙건축 공법을 적용한 한의원 현황조사를 하였으며, 화병(火病) 전문 한의원 환자들을 위한 친환경 인테리어가 절실히 요구되는 치유공간의 특성에 맞게 친환경 재료를 통해 치유 효과 를 견인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ilic Design)에 기반한 색채, 마감재를 계획하였 으며 이에 따른 설계와 시공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파주에 소재하는 화병(火病) 전문인 영담한의원에 일부 바 닥을 제외(한식방은 바닥-황토미장)한 천장과 벽면 전체가 치유환경에 맞는 친환경 건축재료인 흙을 주제로 디자인개념을 전개하여 화학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등급HB(Healthy Building)의 최우수등급의 재료와 마감재로 3가지 흙 건축 공법인 흙미장(Plaster), 흙페인트(Earth paint), 흙벽돌공법(Adobe)으로 시공하 였다. 환자들의 동선에 따른 공간을 구획 (Zoning) 하고 각 공간의 특성에 맞게 흙을 치료실과 한식방에 전통 황토로 미장(Plaster)과 흙페인트(Earth paint) 공법을 시공 하였으며, 그 외 공간은 인테리어 개념으로 3가지 색(color)의 컬러 흙미장(Color Plaster), 2가지 색 (color)의 컬러 흙벽돌(Color Adobe), 4가지 색(color)의 컬러 흙페인트(Color Earth paint)공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치유공간을 구성하는 치유공간 요소 중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에 더욱 중점을 두었으며 디자인 특성 또한 바이 오필릭(Biophilic) 디자인개념을 일부 콘셉트로 적용하였다. 이는 사전 계획 수립 하 에 이루어졌으며 2017년 6월 14일부터 7월 25일까지 인테리어 시공을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흙건축 공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시공 후, 흙의 치유 효과 에 대한 인식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치유 효과를 체험한 내원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설문과 면담조사를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설문은 인구 통계학적으로 관련된 문항과 진짜 흙의 인지 여부와 인식 경로, 치유 만족도의 확인과 선호공간, 흙건축 공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흙건축 대중화의 문제점 에 대한 견해를 설문 문항에 반영하여 빈도분석과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설 문은 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으로 자연 친화성5)을 대표하는 건축재료인 흙을 시 공한 인테리어 부분에 보다 집중 하였다.6) 면담조사는 설문 내용을 기반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심화된 응답을 얻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설문과 면담의 대상은 주로 3개월에서 1년 이상 내원한 환자 위주로 진행하였으 며, 설문 기간은 2018년 12월 1일에서 6월 28까지 면담 기간은 2019년 9월 1일부 터 10월 5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연구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설문은 100명, 면담은 10명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이 논문의 구성은 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방법 및 절차, 2장에서는 연구의 기본이 되는 이론적 고찰로 1. 치유공간의 개념과 정의, 2. 치유공간요소와 특성요소, 3. 치유공간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구성, 4. 한의학 과 치유공간에서 흙건축 인테리어에서 흙건축에 대한 정의와 흙건축 공법, 흙의 효과 와 유사 흙의 문제점 등을 알아보고 3장에서는 치유공간에 흙건축 인테리어 적용을 위한 계획 및 시공으로 1. 흙건축 공법을 적용한 한의원 인테리어 현황조사, 2. 한의 원 공간특성과 흙건축공법을 적용한 인테리어의 계획으로 설계 도면과 영담한의원 공간특성에 적합한 환자들의 동선에 따른 공간구획으로 각 공간특성에 맞는 흙건축 공법과 방식, 색채 및 마감재 계획, 흙을 적용한 도면과 입체 계획을 표와 그림으로 정리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3. 한의원 인테리어 흙건축 적용시공으로 계획에 의해 시공한 결과를 동선에 따라 공간을 설명하고 사진으로 내용을 구성 후 소결로 정리 하였고 4장은 치유공간에 적용된 흙건축 인테리어 인식조사로 설문과 면담을 시행하 여 조사 내용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소결로 정리한 후 5장은 결론으로 구성하 고 [그림 1] 연구 절차도로 정리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치유공간 1. 치유의 개념 신윤진(2014)은 치유(Healing,治癒)의 어원을 설명하면서 ‘heal'의 그리스어 어원은 `holos'로 ‘전체’의 의미가 있는 동시에 ‘whole(전체), health(건강), holy(신성한)’의 어원이기도 함을 지적했다.7) 또한, 치유의 사전적 의미는 앵글로색슨 어원의 ‘Haelen’에서 파생된 것으로 ‘완전 하여진다’의 의미를 지녀 정신과 육체, 영혼의 하모니로서의 건강을 의미하므로 질병 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정신, 육체, 영혼이 하나로 완전해진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추진(2014)은 미래학자이자, 교육자인 릴랜드 카이저 박사(Dr. Leland Kaiser, 1994)의 말을 인용하여 “치료(curing)는 과학적 테크놀로지와 환자 의 신체에 초점이 맞추는 반면 치유(Healing)는 영적(spiritual), 경험적 인간으로서의 환자에 초점이 맞춘다고 하였다. 치료는 하이테크(High Tech)이며 치유(Healing)는 하이터치(High Touch)다. 따라서 치유적 의료시설은 환자의 전 경험에 걸쳐 두 차원 을 모두 통합해야 하는 것이다.8) Linton(1995)은 ‘치료’란 의학적 수단으로 질병 상태를 건강상태로 회복시킨다는 의미이지만, ‘치유’는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지원을 더 하여 건강에 접근해 가는 방법이라 하였다. 즉 치유는 질병 상태뿐만 아니라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까지로 그 의미를 확대할 수 있다.9) 또한, 치유환경을 여러 분류로 구분하여 연구하고 있는 울리히(Roger S. Ulrich)(1990)10)는 정신적 치유환경의 구축에 우선순위를 주어야 함을 강조하였다.11) 기존논의의 견해를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의 연구 내용에 입각한다면 치유는 육체적 정신적 질병의 회복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이 말은 진정한 치유를 위해서는 심리적 환경적 문화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함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이미 환자가 된 사람에 대한 치유만이 아니라 예방 의학의 개념까지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의 치유가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려면 건 축재료의 측면에서도 일반적 접근을 넘어서는 방식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친환경 건축재료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개념을 실현하기 위함이다. 2. 치유공간요소와 특성요소 신동준과 김주연(2016)13)은 치유를 위한 공간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공간 조성에 따라 치유결과에 차이가 있다고 말하였다. 치유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문 화적 안정을 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는 측면에서 접근한 것이다. 치유환경은 일반인 의 건강증진과 환자의 회복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뿐만 아니라 신동준과 김주연 (2016)에서는 치유를 위한 공간 요소로 5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한 바 있다. 각 요소 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 이다.14)

 

이주영(2017)은 치유환경 조성을 위해 특성요소15)로 자연 친화성, 안전성, 접근성, 친근성, 사회성, 쾌적성을 들었는데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에게는 특히 자연 친화성을 고려한 환경을 조성하여야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자연요소를 활용하는 것은 환자의 치유환경조성에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서 빛, 물, 흙, 돌, 식 물 등을 직접적으로 활용하거나 색채, 마감재 및 공간계획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 라서 병원 내부에서 자연 조망이 가능한 계획이나 실내 조경, 중정, 테라스 등을 주 변에 계획하거나 자연물(나무, 식물, 꽃, 물 등)이 실내에 다양하게 도입되었는지도 주목하여야 한다. 환자들의 동선을 고려하여 진입이 용이하며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안 정성을 고려한 충분한 개방구조도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대부분 병원의 환자 층이 장애인, 노인일 경우 출입구과 엘리베이터가 근거리 에 있는 동선을 감안하여야 하며, 나무, 난색 계열의 벽지, 친근한 자연재료를 활용 한 인테리어를 집처럼 친근한 환경이 되도록 인테리어 개념과 치유개념을 차별화하 는 연출이 도출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색채, 가구 배치 등 공간 연출 계획을 고려하 고, 치유공간에 환자와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도록 사회적 요소를 적용한 서비스 공간 계획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쾌적성을 고려하여 자연채광과 조명과의 적절한 조 화, 온도와 환기, 병원 내부의 소음, 일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커튼의 설치를 고려하 여 진정한 의미의 치유공간이 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16)

 

3. 치유공간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구성 자연재료를 활용한 치유공간의 자연 친화성은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 개념 과도 상당 부분이 연관되어 있다.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17)은 바이오필리아 (Bio-philia)와 디자인(design)의 합성어로 자연 친화 관계의 확장으로써, 자연 및 자 연시스템과 인간의 작용을 촉진하고 장려하는 방식의 공간디자인을 말한다.18) 생물 다양성(biodiversity)의 보전을 참여하도록 만든 근본적인 대안으로 여겨지는 바이오 필리아(biophilia)19)라는 개념은 사회생물학(sociobiology)의 창시자이며 하버드대학 의 동물학 교수인 에드워드 윌슨(Edward O. Wilson, 1979)에서 시작되었다. 홍경희(2018)20)에서 보였듯이 바이오필리아(biophilia)는 ‘생명 사랑’ 또는 ‘생명애’ 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며, 여기서 생물은 자연환경에 대한 사랑의 의미로 ‘생명 (bio-)’의 좋아하다 또는 ‘호성(-philia)’이 결합된 합성어이다. 박지민(2018)은 바이 오 필리아에는 도시화가 지속되면서 자연을 찾고 그 속에 살고 싶어 하는 인간의 욕 망 즉 자연 생명체의 시스템 및 프로세스와 함께 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이 반영되 어 있다고 말한다. 또한, 인간의 바이오필리아(생명사랑) 유전자 때문에 인간은 해, 물, 공기, 흙 등 여러 자연요소와 교감하는 본능에 충실하면서 결국 행복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21)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은 크게 자연에 대한 직접적인 (Direct Experience of Nature)과 간접적인 체험(Indirect Experience of Nature)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 눌 수 있다.22) 자연에 대한 직접 체험은 실제 자연을 보는 것이고, 자연에 대한 간접 적 체험은 실제 자연과 직접적 접촉은 하지 않으나, 이미지, 형태 등을 통해 체험하 는 것이다. 직접적 체험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것 또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23)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에서 치유공간에 차용할 만한 요소 중 크게 색채와 식물의 이용, 자연재료, 빛의 차용이라고 할 수 있기에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색채는 주로 자연의 색채(Natural color) 로 인간은 주간 동물로 진화했으며 색은 음식, 물 및 기타 자원을 찾거나 이동 및 길찾기를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 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반면 과하게 밝은 색상을 생성할 수 있는 현대적인 능 력을 고려하면 건축 환경에서 효과적인 색상 사용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효과적인 자연색 적용은 일반적으로 토양, 암석 및 식물의 특징인 은폐색의 ‘토양’톤이 선호된 다. 과하게 밝은 색상은 조심스럽게 적용되어야 하며, 꽃, 일몰, 일출, 무지개 및 특 정 동식물과 같은 매력적인 환경 생태를 기반으로 하되, 인공적이고 매우 대조적인 ‘표출되는’색의 사용은 지양해야 한다. 지구톤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 색채 구성이 다. 가장 좁은 의미로, 지구톤 컬러는 "갈색을 약간 포함하고 있는 모든 색" 땅이나 흙의 색(지상)을 가리킨다. 또한 붉은 태양은 물론 갈색 흙, 녹색 잎, 흐린 하늘 등 " 자연색(자연에서 발견되는 색)"을 가리킬 수 있다. 이 팔레트는 따뜻하고 자연 친화 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캘러트(Stephen R. Kellert)는 자신의 책 'Biophilic design'에서 자연의 Earth tone color에 대해 인류가 진화하며 생존에 필요한 필수적인 도구인 식량과 자원과 물을 잘 찾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생존을 위해 활동하는 과 정 중 발생하는 위험의 감지에 따라 시각적인 접근을 통해 이동을 촉진하기 위함이 다. 이 과정에서 화사한 꽃의 색상, 무지개, 아름다운 석양, 반짝이는 물, 푸른 하늘 과 이 외의 세계 자연에서 유래한 색상들로 정리되었다. 지구색조에 의한 자연색상은 오늘날 디자이너에게도 긍적적 효과를 발휘한다.24) 이 논문에서는 캘러트가 주장한 자연색상을 토대로 자연색채를 추출하였다. 먼저 지 구를 감싸는 작렬하는 태양과 잘 익은 곡식을 대표하는 황금빛 노란색, 잘 익은 과일 과 아름다운 꽃을 이루는 주황색, 녹색 잎으로 이루어진 푸른 숲, 높은 하늘과 바다 를 연상시키는 청록색, 지구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낙엽과 암석, 토양에 해당하는 갈색 또는 밤색 등의 다섯 가지 색상으로 설정한 후, 분석을 위한 기준색은 NCS(Natural Color System) 로 추출하였다. 특히 꽃 피는 식물은 자연의 직접적인 경험을 부여할 수 있는 환경 중에 가장 성 공적인 전략 중 하나이다. 식물이 있으면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신체 건강에 기여하 며, 편안함을 개선하고 성과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단일 또는 고립된 식물의 적용은 유익한 효과를 거의 발휘하지 못한다. 건물과 경관의 식생은 풍부해야 하며, 생태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래종과 침입종보다는 지역적으로 토착종을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바이오필릭(Biophilic) 개념 중에 가장 중요하게 꼽히는 요소로 자연재료 (Natural Materials)인데 흙, 돌, 나무 등을 치유공간에 적용하는 것이며, 자연의 재 료는 긍정적인 시각 및 촉각적 반응을 꾸준하게 이끌어 내는데, 인공 재료는 이러한 성질을 완벽히 재현할 수 없다. 다만, 천연 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존의 스트 레스와 도전에 대한 적응 반응에서 유기물의 역학 특성을 반영하여 변형될 수 있다. 눈에 띄는 자연 건축 및 장식 재료로는 목재, 석재, 흙, 양모, 면, 가죽 등이 있으며 다양한 제품, 가구, 직물 및 기타 내부 및 외부 디자인에 사용된다. 자연광과 공기의 시뮬레이션(simulating natural light & air) 실내조명 및 가공 공 기는 건축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인공조명은 자연광의 스펙트럼 및 동적 품질을 모방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정화된 공기는 기류, 온도, 습도 및 대기압의 변 화를 통해 자연 환기의 품질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25) 로져 울리히(1984)는 바이오필릭(Biophilic)의 개념이 치유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최초로 측정하였다. 1972-1981년 미국 펜실베니아 주 교외의 병원에서 담낭 제거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관찰하여 창밖으로 자연풍경이 내다보이는 곳에 입 원한 환자의 회복이 벽돌담이 보이는 창가의 환자들보다 더 빨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26) [그림 2-1]의 도면은 벽면과 자연을 바라보는 상황을 이해하는 도면 으로 병실 내에서 창밖의 벽면을 바라본 환자들의 경과보다 자연풍경을 바라본 환자 가 다른 모든 변수가 동일한 조건에서 자연경관을 제공받은 환자들에 대한 회복 속 도는 가속화됐고 스트레스의 감소가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창을 통해 자연경관을 제 공 받은 환자는 7.96일 후에 퇴원하여 병원 외벽의 벽돌로 이루어진 경관을 제공받 은 환자가 8.71일 후 퇴원한 것에 비해 8.5 %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7)

 

[그림 2-2]는 벽돌로 이루어진 경관과 자연경관으로 이루어진 경관 이 두 가지 양 상을 이해하기 쉽게 그린 삽화이다.28) 또한, 울리히의 1990년 생태학적 관점 건강이 라는 보고서29)에서 치유환경에서는 스트레스를 요인들을 없애는 것만 아니라 환자를 좀 더 편안하게 해주고 환자의 정신적, 사회적 측면까지 고려한 요소를 더해야 한다 고 밝히고 있다. 자연환경이 환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혈압을 낮추며 통증을, 완화 하고 질병 회복을 개선하며 치유를 가속화 시킨다고 보고한 것이다. 주로 정원, 자연 풍경, 자연의 소리, 예술작품, 마음을 달래주는 음악,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색, 그 리고 가족들이 모여서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할 수 있는 공간을 더함으로써 치유 효 과를 확대한 것이다.30) [그림 2-3]은 이러한 치유 효과를 직접적인 자연이 아닌 간접적으로 실내에서 자 연을 접할 수 있도록 커튼에 자연을 연출한 사례이다.31) Beauchemin과 Hays에 의해 수행된 1996년 연구에서도 인공 조명으로 이루어진 방과 햇볕이 잘 드는 방을 비교했을 때 환자의 체류 기간이 감소한 것을 발견했다. 양극성 장애와 우울증을 앓고 있는 1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자연 광으로 이루어진 방에 있던 환자들은 평균 16.7일, 자연이 아닌 인공조명에 의존한 방에 있던 환자는 평균 19.5일 동안 머물렀다. 자연광에 대한 접근이 부족한 환자는 평균 2.6일 더 재원한 것이다.32)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이 적용된 대표적인 치유공간의 해외사례를 보면 세 계 각지에 지점을 두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는 매기 암센터이다. [그림 3-1,2]는 영 국에 있는 Foster+Partners, Norman Foster가 2016년도에 설계한 매기 암센터(맨 체스터 지점)의 정원과 온실이다. 정원 구성은 정원디자이너 댄 피어슨이 설계했다.

 

정원을 외부공간과 실내공간으로 구성하여 외부의 공간에도 자연을 느끼지만, 실내 공간인 온실에서 유리를 통해 외부의 자연을 느끼며 실내에는 식물 화분을 배치하여 자연을 느끼도록 배려하였다. 온실은 테라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자연 속에서 차를 마실 수 있도록 계획된 공간이다. 또한, 건물 곳곳에 테라스와 작은 정원이 연결되어 있으며, 정원의 외곽에는 큰 나무들을 배치해 주차장과 외부로부터 시선을 차단해주 는 역할을 한다.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 중 에서도 자연재료인 흙을 건축재료로 활용한 해외 의 치유공간 사례로 [그림 4-1, 2, 3, 4]는 오스트리아에 위치한 L.K.H Feldkirch 국립병원이다. 마틴 루어(Martin Rauch)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1993년에 완공되었 다. 정문 역할을 하는 180미터의 컨버터블 홀을 치유공간에 연출하였으며 자연재료 인 흙을 활용하여 6미터 높이의 흙다짐 공법(Rammed earth)으로 내부 벽면을 구축 하였다. 또한, 빛과 식물을 실내에 조성하여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의 자연 친 화성의 기능을 살렸으며 자연 빛의 유입을 고려한 온실의 기능을 구축하여 에너지 절감에도 기여하였으며 자연재료인 흙을 활용한 기술적이며 미학적인 치유공간의 좋 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림5-1, 2, 3]은 외부의 자연과 자연재료인 흙을 활용한 해외사례로 아프리카의 우간다에 있는 소아 응급 외과 센터는 Renzo Piano가 설계하였으며 2013년에 완공 되었다. 아프리카의 5세 이하 어린이들의 30%가 영양실조에 걸려 고생하고 있으며 영아의 사망률이 13.8%로 높아 단순히 의학적인 치료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사망 에 이르는 아프리카 지역의 아이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병원이 친환경적인 계획 하에 완공되었다. 주위 빅토리아 호수를 배경으로 광활한 대지 위에 물, 빛과 나무, 흙을 적용한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으로 벽면에 흙다짐공법(Rammed earth)으로 시공한 치유공간 사례이다.

 

[그림6-1, 2, 3]은 호주에 있는 New R.C. Mesley Animal Hospital은 동물을 위 한 치유공간이다. 이 동물병원은 흙다짐으로 외부벽면을 시공되었으며 실내 데스크 하단부에도 흙다짐공법(Rammed earth)으로 시공하여 공간의 일체감을 조성하였다. 사람에게도 좋은 자연재료인 흙을 동물을 위한 병원의 건축재료로 활용한 예와 병원 외부의 자연을 활용한 정원의 계획이 진정한 의미의 치유공간을 위한 바이오필릭 (Biophilic) 디자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바이오필릭(Biophilic design) 개념의 유효성에 대한 논의가 축적되어 해외 의 사례에서는 흙을 실질적으로 치유환경 조성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 발한 상황이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치유공간에는 대형병 원의 반영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치유공간인 한의원에 흙을 적용한 사례가 대부분 이다. 이 논문에서 자연재료인 흙을 한의원 인테리어의 건축재료로 활용하여 치유공 간을 구성하는 데 활용한 것도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자연재료의 활용이며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실질적 치유공간을 조 성함으로써 자연재료로써 이끌어 낼 수 있는 건강한 치유공간 구축이 무엇인지를 구 체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2010년의 UNIVERSALITY (유니버설리티: 보편타당적 가치)는 트렌 드 키워드로써, 세계화 및 윤리적 가치의 등장으로 넓게 확산된 시민 의식이 이를 뒷받침한다. 복잡한 환경으로 인해 우리 모두 단순하지만 의미 있는 행복의 순간들을 추구하게 된다. 인간이 가지는 가장 공통적인 삶에 대한 행복, 즐거움, 개인화된 라이 프스타일 추구, 반면 공동체로서 지켜야할 윤리의식 등 보편타당한 기 준에 만족할 수 있는 가치가 중요한 트렌드의 이슈가 된다. 인류는 끊임없이 유동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 또한 성 장하고 있다. 그 안에서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만드는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등장함에 따라 상호적인 영향 또한 증가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인터넷 사용은 2000년에서 2007년 사이에 유럽에서 200% 성장했다. 이러한 현상은 물리적인 거리를 줄이고 현실과 가상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가상공간과 실제의공간이 모호해지고 그 안에서 인간은 즉각적인 즐거 움을 찾는다. 즉 실제와 흡사한 디지털의 이미지와 초현실적인 상상을 통한 즐거움을 지향하므로 컬러 또한 밝고 화사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거공간은 도시의 변화와 거주자들의 영속적인 진화의 반영으로 인테리어는 구분이 모호해지며, 항상 재미있고 기능적인 공간 안에서, 더욱 더 유연해지고 쉽게 개조가 가능함을 추구하게 된다. 즉 전통의 가족 구성, 독신자, 이혼증가율에 의해 재탄생된 가족 등 주 거의형태가 분화되고 가족의 개념이 확대되었기 때문에 집이라는 공간 은 편리성 측면에서 어떤 환경에서든 적응 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 다. 이를 반영한 컬러에서는 모호한 컬러 톤, 콘트라스트가 강한 톤의 대비, 클래식함과 로맨틱 또는 모던함이 혼재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는 2010년 컬러트렌드를 휴앤톤으로 분석한 결과 2009년에 비 해 모든 색상과 톤이 고른 비중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2010년 주목 해야 하는 주요컬러로는 다양하고 미묘한 톤의 변화를 보이는 Yellow 계열이다. 2010년의 주요 색상은 Yellow으로 악센트로 활용되며 인테 리어 공간에서는 빛, 또는 따뜻한 이미지로 다양한 톤의 무드로 연출된 다. 현재의 트렌드 컬러는 또한 Yellow는 인테리어 공간에서 따뜻함의 빛 으로 해석할 수 있고 또한 톤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네온컬러에서 베이지를 바탕으로한 내추럴함, Golden Yellow 의 클래식함의 표현까지 가능하다.

 

또한 2009년의 Green컬러는 친환경의 의미로 해석되어 고급스러움을 차별화 하는 단서가 되며 2010년 클래식에 대한 재해석으로 이어진다. 고급 소재를 평범한 것과 혼합하고 클래식한 것들을 변형시키는 역설 적인 디테일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분위기를 취한다. 즉 평범한 것의 고급가공, 어울리지 않는 것들의 믹스를 통해 고급화하고 클래식함을 모던으로 해석하여 색채는 Colored Neutral를 통해 스킨 톤으로, Lgr 톤의 로맨틱하면서도 클래식함을 나타내는 혼합된 양상을 보인다. 2010년은 자연을 연상시키는 Green과 Blue가 확대되고 Yellow가 산 뜻한 포인트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Dark한 Neutral 계열이 강조 되는 현상을 보인다. Dark톤이 주는 저명도의 어둡고 무거운 이미지가 아닌 Tonal Dark와 같이 색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그림자가 드리워진 톤의 무드로 바뀐다. 마지막으로 Bright Tone, Dull Tone, Pale Tone의 증 가와 Acid Color, Neon Color또한 풍부한 팔레트를 형성하게 된다. 모든 가치가 한계점에 다다른 시대, 우리는 어떠한 새로운 영감도 얻 을 수 없으며 변화가 필요한 시기지만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지금까지의 반복일 뿐이다. 요즘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가장근 본적인 것으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자연의 원재료 및 컬러 그 원형으로 돌아가서 모든 것을 믹스하면 된다. 전통적인 것과 과학적인 것, 온갖 기술을 총동원하여 매혹적이며 상상을 뛰어넘는 새로운 디자 인 비전을 창출해야 한다. 색상 팔레트 또한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토 양, 바다, 산 등의 자연컬러로 Orange에 가까운 Red, Golden Yellow, Green에서 Blue의 컬러로 출연된다.

 

이상 2008년에서 2010의 트렌드를 정리한 결과 최근의 인테리어컬러 의 주요 이슈는 Green컬러에 대한 해석이 확대되어 친환경, 행복한 삶 의 추구, 사회공통의 윤리 의식으로 정리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2008년에서 2010년의 Key Color와 톤의 변화를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먼저 Neutral계열은 2008년 순수한 그레이의 변화, 2009년의 석고, 회반죽에서 연상되는 계열에서 2010년 Colored Neutral로 뿌연 그림 자, 따뜻한 무채색, 불투명 느낌 등 색감이 있는 모호한 컬러로 변화한 다.

 

2008년 휴앤톤에서 보면 Purple Color는 V, S톤의 선명함과 채도감이 낮지만 중명도의 Dl, Dk으로 세분화됨을 알 수 있다. Dark톤의 분위기 는 2008년 MoonLight Dark Tone으로 명시되며 2009년은 한밤중과 같이 어두운 다크 톤의 색상들이 선호되었다면 2010년은 엷게 퍼지는 듯 하며 그림자로 가려진 색조의 Tonal Dark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주요 색상팔레트를 살펴보면 Red는 2008년은 V, S톤과 YR계열로 더 해져 시각적으로 선명하고 강렬함을 더했다면 2009년의 모던한 레드 즉 Strong, Deep, Dark 등의 딱딱하고 경직된 느낌으로 전개된다. 2010 년 Red는 Multi Red로 Berry 컬러 즉 Rp계열로까지 색의 영역이 확 장된다.

 

2008년 Green이 Gray의 분위기가 더해져 저채도의 탁한 색조로 전개 되었다면 2009년 Green은 GreenYellow와 함께 V, S, B 톤의 선명하 고 정원의 싱그러움을 주는 컬러로 변화된다. 2010년은 Forest Green 이라 하여 울창한 숲이 연상되도록 Blue색상이 더해져 깊이감을 주는 풍부한 색상으로 전개되어질 것이다. 밝고 선명한 GY, G는 BG의 풍부 한 색상에 강조로 배색되어질 수 있으며 색상차이에 의한 대비로 인공 적인 느낌을 주며 전개될 것이다.

 

이처럼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Yellow, Green, Blue Color는 지속적 으로 확대되어 주목될 것이며 배색을 통해 풍부한 색감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Blue는 2008년 뿌연 느낌의 탁색조였고 2009년은 맑고 깨끗한 느낌 을 강조하여 B, P톤의 영역에 분포하고 2010년은 빛에 투영되고 따뜻 한 바람을 연상시키는 Turquoise Blue 즉 Blue Green의 색상에 가깝 게 변화할 것이다. 즉 Blue의 차가운 느낌이 아닌 따뜻한 느낌으로 연 출될 것이다.

 

2009년 인테리어컬러로 처음 등장한 Neon Color는 경기침체, 불황에 대하여 색채를 통한 기대심리와 희망적인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다. 그 러나 다소 딱딱한 느낌의 2008년 고채도의 색상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2010년 인테리어컬러트렌드의 색상과 톤이 고르게 분포하는 특징을 보 이는데 스스로가 빛을 바라는 듯 조금 명도가 높으며 따뜻하고 부드러 운 네온 컬러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Vivid Tone, Strong Tone, Bright Tone의 계속 강조되며 Acid Color, Neon Color, Chromatic Color 등의 강렬하고 원색적인 컬러들 이 등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2010년의 인테리어 컬러는 더욱 다채롭고 풍부한 색감으로 전개 될 것이다.

 

파스텔 색조 또한 2008년은 Lgr톤의 컬러로 전개되었고 2009년 밝고 부드러운 느낌의 로맨틱 무드로 진행된다. 2010년은 한층 생기 있고 컬 러감이 살아 있는 색조로 변화 한다.

 

인테리어Key Color는 2008년에서 2010년의 미묘한 톤차이로 변화하 고 있으며 5장의 인조대리석의 컬러 및 패턴디자인 개발 제안을 위해서 2010년 제시되는 인테리어색상의 영역 중 개발범위의 컬러와 톤을 선 정하였다. 최근의 이슈인 친환경, 에코 등의 내추럴리즘에 주목하고 현 재까지 꾸준히 출현하는 Green, Neutral, Yellow의 변화를 주목하고 톤은 Dp, Dark, Colored Neutral군을 선정하여 5장의 다른소재와의 결합을 통한 디자인의 컬러를 선정하였다.

 

4.2. 2010년 트렌드를 반영한 소재개발 테마 본 장에서는 2010년 트렌드를 반영한 소재개발 테마를 크게 3가지로 구성하였다. 2장의 공간 인테리어 변천에 의하면 소재의 진화는 인공의 것에서 천연의 질감을 선호하며 고급화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섬 유, 나무, 돌 등의 자연의 근원적인 소재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인간의 감 성에 맞는 소재의 개발로 이어졌다. 이것은 내추럴리즘, 에코디자인, 친 환경 등의 2000년 이후로 이어지는 큰 트렌드의 반영이며 주거환경을 움직이는 주체의 라이프스타일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2008년에서 2010년의 인테리어 트렌드 컬러변화는 다양한 컬러와 고 른 톤의 분포를 보이지만 그중 Green에 관한 사고의 변화를 컬러 와 라이프스타일로 연결 지을 수 있다. Green은 작게는 자연의 색으로 자 연의 생동감과 싱그러움을 표현할 수 있는 컬러다. 하지만 이것을 자연 의 근원으로 해석하여 가공하지 않은 천연, 야생의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으며 또한 인간과 함께 교감할 수 있는 치유와 편안함을 주는 인테리 어트렌드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주거환경과 공간인테리어 트렌드의 변천을 반영하고 2008년부터 2010년에 이르는 컬러트렌드를 반영하여 결정한 3가지 테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테마는 섬유의 부드럽고 따뜻함이다. 섬유의 유연함과 씨실과 날실의 교차에 의한 패턴 변화를 개발하였으며 섬유조직에 의한 단단하 고 결합된 이미지 또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석재가 가지는 차가운 느낌을 섬유가 가진 포근하고 부드러운 따뜻한 인조대리석개발이 가능 할 수 있도록 감성적으로 접근하였다.

 

두 번째 테마는 재질감을 통한 내추럴리즘의 구현이다. 좀더 내추럴하 고 클래식한 분위기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조명 하였다. 온화하고 절제 된 장식, 친환경 마감재, Green의 에코디자인을 부각하였고, 나뭇잎, 돌, 흙, 조개 등의 자연에서 얻어지는 거친 질감의 텍스쳐를 개발하였 다.

 

마지막 세 번째 테마는 빛과 온도의 교감이다. 차분하고 밝은 색상들에 의해 표현되는 신비스러운 분위기와 온도에 반응하는 디자인을 개발하 였다. 빛의 중첩에 의한 투명, 반투명의 효과를 디자인의 요소로 활용하 며 따뜻한 느낌을 추구하였다. 또한 절제와 비움을 근본으로 차분하고 편안한 분위기 조성의 디자인 이미지를 개발하였다.

 

5. 인조대리석의 컬러 패턴디자인 개발 제안 현재의 인조대리석 개발 방향은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하고, 주거공 간에서의 이미지와 조화롭게 할 수 있는 컬러와 패턴을 찾는 것이다. 또한 천연석과 같은 고급스러운 질감을 반영하여 그것과 유사한 느낌으 로 인조대리석을 구현하는 것은 현재의 인조대리석 생산업체가 지향해 야 하는 가장 중요한 관점이다. 그러나 천연석과 유사한 디자인 방향을 좇아 천연석의 구현만을 추구한다면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소재의 가능 성을 살펴볼 때 우선순위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인조대리석이 천연석과 그 표면이 같다면 인조대리석은 인공소재이므 로 그 경쟁력을 갖기가 어렵다. 때문에 디자인 개발의 가장 중요한 관 점은 인조대리석만이 가지는 장점, 즉 천연석과 유사함을 기반으로 하 되 인조대리석만의 차별화된 컬러와 패턴을 구현해야한다. 최근의 인테리어 경향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친환경 소재여야 하 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사회적인 책임의식을 가진 에코 디자인이 추세 이다. 또한 현재의 국내외 인조대리석 업체 역시 디자인 개발뿐만 아니 라 작업 환경, 생산, 제품 등의 세계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인증의 단계 를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인조대리석의 제품개발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정하였다. 첫째는, 현재 MMA계 인조대리석에서 가장 손쉽게 시도해볼 수 있는 방향으로 천연석과 유사한 이미지 제안이다. 3장을 근거로 천연석에서 보이는 파선, 물결, 번짐, 칩크기의 대비, 4가지 패턴으로 정하였다. 컬 러는 천연석과 국내 유통의 인조대리석을 휴앤톤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 석하였다. 두 번째는, 다른 소재와의 결합을 시도한 인조대리석 제안이다. 이는 기존의 화강석표면을 갖는 인조대리석과 차별화를 줄 수 있는 소재로 4장에서 제시한 2008년에서 2010년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의 변화에 맞게 컬러를 추출하고 2010년 트렌드를 반영한 소재개발 테마를 3가지 로 나누어 디자인 개발 컨셉을 정하였다. 인테리어 소재로서 인조대리석의 새로운 표면처리는 컬러와 패턴이 무 궁무진하겠지만 주거공간에서의 내장 벽체, 실내가구 및 조명, 기타 디 자인 제품 등의 적용범위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컬러와 패턴을 제안하 고자 한다. 인간의 감성은 소재에 대한 시각과 촉각을 중시한다. 때문에 가공하지 않은 자연친화적인 소재와 빛을 디자인요소로 적극 활용하여 표면처리 의 다양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최대 석재 전시라 할 수 있는 이탈리아의 MARMOMACC전시동향을 살펴보면 석재의 다양한 표면처리를 통해 돌과 전혀 다른 느낌의 질감 과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다양화된 표면처리의 경향과 다른 질감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 은 있어 왔지만 섬유의 조직처럼 보이는 부드러운 대리석, 따뜻한 대리 석, 섬유를 결합한 견고한 느낌의 대리석 등의 표면처리는 시도되지 않 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다른 소재와의 결합을 통해 인조대리석 표 면처리의 다양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개발 테마로 우리 생활 환경 속에서 가장 친근하게 접할 수 있고 컬러를 표현하는데 자유로운, 섬유느낌을 구현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섬유는 외형면에서 씨실과 날실을 엮어서 표현하며 다른 인공소재에 비해 감촉면에서 부드럽고 따뜻하다. 또한 방직, 뜨기 등을 활용하면 복 잡한 색의 표현이 가능하고, 유연하고 자유로운 형상 또한 가능하다. 일 반적으로 섬유는 커튼, 의자, 쇼파, 쉐이드, 이불 등의 인테리어 소재로 널리 애용되며 주거공간의 영역에서도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두 번째 개발 테마는 내추럴리즘이다. 내추럴리즘은 인테리어 공간에 서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컨셉이다. 하지만 2010년의 내추럴리즘은 기존 의 Green컬러에서 보이는 생동감과 싱그러운 자연, 가공하지 않은 천 연의 것을 모두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으로 주거환경에서 소재가 주는 편안함과 고급스러움을 테크놀러지를 바탕으로 재현해 내는 내추럴리즘 이다. 때문에 소재가 주는 편안함과 고급스러움은 시각과 촉각 등 인간 본연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자연을 모티브로한 소재의 재질감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세 번째의 개발 테마는 빛과 온도를 응용한 것이다. 빛과 온도는 따뜻 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그것의 활용에 의해 보이지 않았던 패턴을 드러나게 하고 반응 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소개 개발 컨셉을 3가지로 분류하여 인조대리석 시편을 제 작하였다. 현재의 MMA계 인조대리석은 액상의 시럽상태에서 경화시켜 제품이 완성되기 때문에 그 이전에 다른 재료의 투입이 가능하여 다양 한 표면처리의 시도를 할 수 있다. 본장에서의 디자인 제안은 상용화의 과정을 염두에 두고 천연석과 유 사한 디자인 개발과 동시에 변화하는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한 소재를 제안하고자 노력하였다. 5.1. 천연석과 유사한 인조대리석의 디자인제안 본장에서는 3장에서 분류한 천연석의 컬러를 모아 컬러와 톤의 밀집되 는 영역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에 유통되는 4개 회사의 인조대리석 (MMA, 엔지니어스톤)의 컬러와 톤 또한 천연석과 마찬가지로 정리하 였다. 그 후 천연석과 인조대리석의 밀집된 컬러와 톤을 비교 분석하여 천연석과 유사한 인조대리석의 디자인에 개발컬러 및 패턴의 범위를 정 하였다. 은 천연석의 컬러를 모아 한 장의 휴앤톤 시트에 정리한 것이 다. 컬러를 보면 R, YR, Y의 따뜻한 색과 G, BG, B, PB의 영역과 Neutral계열로 세분화할 수 있다. 톤은 대리석과 화강석에서만 Dp, Dk 가 출현하고 그 외의 석재의 분류에서 L, Lgr, Dl, Dp이 주를 이룬다. 종합해본 천연석의 휴앤톤 분포는 R, YR, Y는 Vp톤에서 Dk톤까지 고 르게 분포하고 GY, G색상은 컬러와 톤의 분포빈도가 낮으며 BG, B, PB의 색상에서는 L, Dk톤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Neutral계 열은 고명도에서 저명도까지 고른 분포를 보이며 인조대리석에 비해 깊 이감과 무게감을 줄 수 있는 Dp, Dk톤에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아래의 은 국내외 유통되는 인조대리석의 컬러를 모아 한 장 의 시트에 정리하고 천연석의 컬러분포와 영역을 비교한 것이다. 빨간 원은 천연석의 휴앤톤 분포이고 파란원은 MMA인조대리석의 휴앤톤 분포이다. 회색의 교차되는 부분은 천연석에 존재 하지만 인조대리석의 컬러와 톤 분포가 부족한 부분이다. 따라서 회색부분을 천연석과 유사 한 인조대리석의 컬러 및 패턴 디자인에 제안할 수 있는 구간이다. 본 연구자가 회색의 공간을 천연석과 유사한 인조대리석 컬러 개발 구 간으로 잡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기존의 MMA 인조대리석은 천연석과 유사한 컬러팔레트 를 보이며 휴앤톤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천연석에 비해 Vp, P, B 톤 등의 명색조에 밝게 분포하며 상대적으로 Dp, Dk 톤의 분포 가 천연석에 비해 저조하다. 왜냐하면 MMA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은 안 료에 의해 색이 구현되고 수지와 칩을 통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안료만 으로는 천연석의 Dp, Dk 톤과 같은 고급스러움을 연출할 수 없기 때문 이다. 그러므로 천연석의 깊이 감 있는 컬러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MMA를 구성하는 칩개발이 동시에 이뤄져야 할 것이다. 회색의 공간은 인조대리석의 특장점인 컬러 개발이 용이함을 강조하여 개발 컬러 구간으로 선정하며 표면 패턴은 천연석의 패턴에서 근거하여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 MMA의 Neutral계열은 고명도와 저명도로 확연하게 나누어지며 중간 명도인 N4에서 N5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 주거공간, 상업공간에서 포 인트가 될 수 있는 고채도의 V, S 톤의 다양한 원색은 인조대리석에만 존재한다. 이와 같은 고채도 색상은 칩이 없이 안료와 수지만으로 구성 된 Solid 인조대리석으로 원색의 강렬함을 강조한다. 엔지니어 스톤은 고급석재 소재로 인테리어에 적용하지만 현재까지 개 발된 컬러와 톤의 범위가 넓지 않다. 하지만 MMA계열과 마찬가지로 천연석과 유사한 구간에서 컬러와 톤의 분포를 보이며 더욱 천연석에 가까운 소재로 DP, Dk톤이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MMA의 인조 대리석에서 보이는 P, Vp톤의 개발이 필요하고 BG, B, PB의 색에서 는 Lgr, L, Gr의 톤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천연석, MMA, 엔지니어 스톤의 휴앤톤을 비교하여 개발이 필요한 색상과 톤의 분포를 알 수 있다.

 

는 개발한 디자인을 휴앤톤으로 분류하고 패턴으로 정리하였 다. ⇨ 컬러 개발 제안 - Neutral- colored neutral로 색감을 가지며 고명도 저채도 제안 - R, YR, Y의 Vp, Lgr, L톤 - N4, N5의 중간명도 Neutral색 개발 - Red_Dl, Dp톤 - 친환경의 이미지로 인조대리석에서 시도되지 않은 G색상, Dl톤 추가 - Purple Blue_Dl, Dp, Dk, Deep톤 - Deep & Dk톤의 변화와 다양화로 천연석과 유사한 무게감 있는 저명도의 컬러를 제안 ⇨ 패턴개발- 파선, 물결, 번짐, 칩크기의 변화는 천연석의 컬러와 패턴을 기준으로 한 제한된 범주에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써 패턴을 기준으로 이미지를 정리하였다. 파선무늬 이미지 제안은 선의 방향성을 달리하여 수직, 수평, 곡선, 비 정형의 파선을 교차시켜 패턴의 변화를 주었다. 또한 고명도 저채도의 색상으로 이미지 제안하여 톤의 미묘한 변화와 퓨어한 느낌을 강조하였 고, 수직의 파선을 이용해 무채색의 그러데이션 효과를 주었다. 물결무늬 디자인 이미지는 Tone in Tone으로 배경색과 물결의 패턴 이 두드러지지 않게 하였다. 색상은 Y, YR 의 따뜻한 느낌과 B, PB의 차가운 느낌으로 구분하여 L에서 DP톤의 변화를 주었다. 번짐무늬는 바탕색과 패턴색의 차이를 크게 하지 않고 칩의 크기를 변 화시켜 번짐무늬와 함께 분포하도록 하여 천연석과 유사하게 이미지를 제안하였다. 칩크기의 변화는 기존의 인조대리석 제조사에서 가장 대중화 되어있는 화강석 이미지로 칩의 색상을 유사하게 하고 밀도를 높여 표면이 하나 의 단색처럼 보이게 하였고, 반면 R, PB의 색상의 Dp, Dk은 칩의 형 태나 색상의 차이를 두어 블록커팅의 효과를 주었다. 패턴 또한 현재는 칩크기의 차이와 밀도감에 의존한 화강석의 패턴외 에 다양화한 패턴을 시도, 천연석과 유사하지만 차별화할 수 있는 풍부 하고 다양한 컬러의 개발이 필요하다.

 

5.2. 다른 소재와의 결합을 통한 디자인제안 2008년에서 2010년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의 변화를 살펴보고 컬러 군의 출현과 톤의 변화를 조사하여 개발소재에 적용할 컬러를 추출하였 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인조대리석은 칩을 분쇄, 믹싱, 경화시킨 후 가 열, 가압의 단계를 거쳐 생산된다. 그 후 분쇄된 칩의 분포도와 밀도감 을 잘 드러내기 위해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을 통해 고르고 매끄럽게 만 든다. 반복, 세밀한 연마과정을 거치면 표면이 매끄러운 광택을 유지하게 되 는데 이는 주방 가구나 테이블, 세면대의 상판에 사용될 때는 위생적이 고 오염에 강해 이상적이지만, 어느 분야의 인테리어 소재로 적용되는 지에 따라 감성에 어필할 수 있는 다양한 표면처리 방법이 다르게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인조대리석은 가공의 용이성으로 투각, 조각이 가능하고 코팅방법 처 리에서 투명, 반투명의 효과와 거친 질감을 그대로 살리는 브러시 가공 의 표면처리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제작한 인조대리석은 다음과 같 은 순서에 의해 제작하였다.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제조사마다 다소의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일반적 방법은 대동소이한 편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21%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와 79%의 메틸메타아크릴레 이트(MMA)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지시럽 100 중량부에 수산화알루 미늄(ATH) 115 중량부를 넣고 여러 가지 모양의 칩을 넣은 다음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여 인조대리석을 일정한 몰딩에 부어서 경화시키는 방 법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몰딩에 수지와 안료를 넣기 전에 몰드 표면에 광택제와 이형제를 미리 바르는데, 광택제는 대리석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기 위함이고 이형제를 바르는 것은 탈형을 용이 하도록 하는 것 이다. 이렇게 몰드에 1차적으로 광택제와 이형제를 도포한 후 수지시럽 에 충전제, 안료, 칩, 다른소재 등을 결합하여 경화의 단계를 가진다. 열을 가하게 되면 빠른 속도로 경화가 진행되지만 본 제작과정에서는 실온상태의 자연스런 경화를 촉진시켰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수지패널 내부에 여러 가지 패턴을 시각적으로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수산화알루미늄을 제외하고 인조대리석을 제작하였다. 수산화알루미늄은 수지 흡유량이 커서 몰드에 충전시킬 때 재료화합물의 점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제작과정을 거친 시편은 인조대리석의 일반적인 후 가공 공정 인 절단과 Polishing공정을 거쳐 일정한 사각형 모양으로 패턴이 잘 보이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4장에서의 인테리어 컬러의 변화와 테마에 따라 수지 시럽의 상태 에서 인조대리석의 다양한 패턴을 제안하기 위하여 섬유조직의 구현, 자연의 모티브, 빛과 온도를 이용하여 다른 소재의 응용을 통해 디자인 을 제작하였다. 1)섬유조직의 디자인 제안 인테리어 공간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섬유나 가죽을 수지 시럽에 함침 시키거나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수지 상태에 서 입체적인 섬유 조직을 구현하기 위해 평직과 능직을 변형하여 인조 대리석을 제작하였다. 섬유조직은 기존 칩의 형태가 아닌 미세한 돌의 입자를 반죽하여 원사 소재의 형태로 만드는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되었 으며 이 방법은 추가적인 상용화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2)섬유 단면을 확대한 디자인 제안 여러 가지 원사의 형태를 그대로 표현하기 위하여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수지에 돌가루를 반죽하여 나온 섬유 형태를 꼬아서 굵은 섬유의 꼬임 형태를 부여하였으며, 질감이 다른 섬유와 메탈릭 원사를 함침 하 였다. 또는 그물조직의 섬유에 Grass Bead를 넣어 자연스러운 섬유형 태의 조직을 표현하였다. 표면처리의 가공은 Polishing을 통해 입체적 인 느낌을 주면서 매끄러운 표면으로 가공할 수 있고 또는 섬유원단이 가지는 구김, 주름 등 입체적인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열성형 처리를 하 여 입체적인 느낌을 줄 수도 있다.

 

3)자연에서 모티브를 얻은 디자인 제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해 수지 시 럽에 자연에서 얻은 나뭇잎과 황토를 활용하였다. 친환경의 질감을 강 조하기 위해 나뭇잎의 결에서 얻어진 주름이 패턴이 되고 황토의 질감 은 따뜻함을 더한다. 황토의 자연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광물에서 보 이는 금박을 첨가하고 수지에 구김이 있는 입체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경화시켰다. 천연석의 마블링은 블루, 하양, 퍼플 등의 마블링을 구성할 폴리머클레이를 판형으로 만든 후 원형으로 다시 말고 그 단면을 컷팅 하면 천연석의 마블링을 얻을 수 있다. 마블링의 색상과 크기는 원형으 로 말 때 압력에 의해 조절 할 수 있다.

 

4)천연석에서 볼 수 있는 패턴을 재해석한 디자인 자연에서 얻어지는 천연대리석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하여 미립자의 펄(Pearl)과 빛의 은은함을 활용하기 위해 축광 소재를 사용하여 물결 무늬 형태, 번짐 형태, 파선, 큰 칩 형태 등으로 패턴을 구현하였다. 축 광소재는 평상시에 빛을 축척하여 빛이 없는 암흑 속에 빛을 발하는 소 래로 낮과 밤의 인테리어 소재에 다른 분위기를 제안할 수 있다.

 

5) 자개를 이용한 디자인 제안 준보석과 같은 고급스러운 느낌의 인조대리석을 제조하기 위하여 천 연에서 얻은 자개나 자개 가루를 넣어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자개가 루를 분쇄하여 화강석과 유사하지만 자개의 표면에서 구현되는 빛의 간 섭과 산란 효과에 의해 풍부한 화강석의 질감을 구현하고 또한 미립자 의 자개 가루를 이용하여 수지와의 배합에 의해 물결무늬의 구현을 시 도하였다. 자연스러운 마블무늬를 표현하기 위한 제조 공법으로는 비중이 각각 다른 2가지 수지를 활용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저 비중 수지를 먼 저 하단부에 투입한 다음 상부에 고 비중 수지를 투입시켜 하단부의 저 비중 수지가 자연스럽게 상부로 이동하면서 Marble 무늬가 형성되는 원리를 적용하였다. 또한 베이스의 수지와 자개가루의 혼합에서 저어주 는 폭에 의하여 작은 번짐 무늬와 큰 물결무늬 등 패턴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었다. 이것은 비중차이를 이용하고 경화 단계의 혼합에 의한 것으로 마블링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6) 빛을 디자인의 요소로 제안 빛에 의해 패턴이나 컬러가 다르게 보이는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홀로그램 박지나 Pearl을 활용하였고 투명과 반투명,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빛의 특성을 이용하였다. LED조명은 R, G, B 로 이루어져 빛의 혼합 원리를 통해 원하는 컬러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인테리어의 분위기에 맞춰 빛의 컬러를 바꿀 수 있는 빛을 적극적인 디자인요소로서 도입한 것이다.

 

7)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디자인 실내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소재를 활용하여 2가지 이 상의 색상과 패턴으로 보이도록 하는 감온변색 하이테크기술을 접목시 킨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일정한 온도에서 변하는 감온변색 안료는 트리페닐메탄계, 프로란계 등의 단독 또는 2종이상의 전자 공여물질과 비스페놀류, 알킬페놀류, 카 르본산 유도체 및 금속염 등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전자 수용물질이 포함된 캡슐형태의 모양의 안료이다. 이는 온도감에 따라 다르게 색이 구현되고 또는 다크 그레이의 표면이 투명하게 변하여 은폐 되어있는 패턴이 은은하게 드러나도록 디자인 하였다. 자연식물에서 유리섬유에 구현된 패턴은 컬러감이 PB색상이지만 주변 환경의 온도에 따라 약33 도씨에서 P, RP 까지 유사색상으로 컬러감이 변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이는 체온과 유사하여 사람의 손이 닿거나 열에 의해서 컬러가 다르게 변하는 교감할 수 있는 디자인의 제안이다.

 

이상과 같이 디자인에 있어 재료 자체가 표현의 주체가 되는 현 상황 에서, 다른 재료의 결합을 통한 컬러 및 패턴디자인의 연구는 본래 인 테리어소재로서 인조대리석의 영역을 확대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면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6. 결론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인테리어 소재 컬러디자인 연구에 대한 명 확한 이해를 위해 논문의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 하였 다. 2장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의 사회문화적 고찰을 주제로 주거환경의 변화 와 그 변화를 움직이는 주체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주거공간 안에서 사용되는 인테리어소재는 트렌드를 반영하고 무엇보다 주거환경의 변화와 사회적인 가치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재의 변 화가 전개된다. 때문에 현시대의 주거의 개념, 또한 인테리어소재의 핵 심 소비층인 주부를 표적 세분화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사회문화적 변화 를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주거환경 소재로서 석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의 화강석패턴이 가장 일반적이고 대중화 되어 있는 인조대리석이다. 이 소재를 국내외 시장에 내놓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인조대리석이 천연석 과 유사해야 한다는 소재적인 과제에 사로잡혀 인조대리석의 특징과 장 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연구자는 천연석과 유사해야하는 인 조대리석의 현실적인 과제를 인지하여 천연석을 출현 빈도수가 높은 상 업적인 분류기준을 통하여 천연석의 이미지 사진을 모아 색상과 색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2008년에서 2010년까지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의 변화를 정보지, 웹사이트, 문헌을 통해 분석하여 공통되는 경향을 정리하였다. 인테리어 컬러는 2008년에서 2010년의 컬러와 톤의 변화를 살펴보고 인조대리석의 디자인 개발방향의 컬러범위를 정하였다. 또한 라이프스 타일을 반영하고 5장의 디자인 개발 방향의 테마를 3가지로 나누어 제 안하였다. 5장에서는, 인조대리석의 컬러 패턴 디자인 개발 제안으로 2장의 라이 프스타일의 사회문화적 고찰을 통해 다양한 소재와의 결함된 인조대리 석의 컬러 및 패턴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테리어 컬러트렌드를 반영하고 3장에서 천연석의 컬러와 패턴을 근거로 하여 천연석과 유사 한 컬러와 패턴의 이미지를 제안하였다. 6장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현황들에 대한 분석의 결론을 종합하고 향 후 인조대리석의 컬러 디자인이나 패턴 개발이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범주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 람으로 제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국내외 유통되는 인조대리석업체는 제조사별로 칩 크기의 변형, 패 턴의 변형을 통해 매년 신규컬러를 출시하고 기본개발 방향에 있어, 천 연석의 컬러와 패턴을 모방하며 주방이나 욕실의 트렌드를 크게 벗어나 지 않는 제한된 범위 안에서 소극적인 개발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천연석을 대리석, 화강석, 그 외의 석재 트레버튼, 어닉스, 규암, 사 암 등 6개로 구분하여 색상과 색조를 분석한 결과 대리석만이 Rp, P 색상을 제외하고 고른 컬러와 톤으로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공통적으로 R, YR, Y 의 따뜻한 색 계열과 B, PB의 차가운 색, 그리 고 Neutral계열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외 인조대리석 개발 선두업체라 할 수 있는 듀폰, 삼성, LG, 한화 등의 색상과 색조의 범위를 조사한 결과 천연석의 범주와 일치하 였다. MMA 인조대리석은 천연석에 분포하지 않는 R, YR, Y의 P, B 톤이 개발되어 있으며 DP, Dk톤의 개발은 다소 미미하다. B, PB의 경 우 Vp, Lgr은 인조대리석에만 있는 톤이다. MMA는 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은 컬러구현이 자유로운 장점을 가진다. 또한 안료, 수지, 칩으로 인조대리석이 구성된다. 그러므로 천연석의 고 급스러움을 재현하기에는 안료의 색만으로는 힘들기 때문에 칩의 다양 한 개발이 필요하다. Neutral 계열은 고명도와 저명도로 확연하게 나누 어지며 중간 명도인 N4에서 N5의 개발이 필요하다. 엔지니어 스톤은 고급석재 소재로 인테리어에 적용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컬러와 톤의 범위가 넓지 않다. 하지만 MMA계열과 마찬가지로 천연서과 유사한 구 간에서 컬러와 톤의 분포를 보이며 더욱 천연석에 가까운 소재로 DP, Dk톤이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MMA의 인조대리석에서 보이는 P, Vp톤의 개발이 필요하고 BG, B, PB의 색에서는 Lgr, L, Gr의 톤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이태리의 최대 석재전시인 마모막(MARMOCC)에서 엔지니어 스톤 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천연석은 공극을 안료와 수지로 막아 엔지 니어스톤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엔지니어 스톤은 천연 석영칩을 90% 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수지와의 결합으로 비공질의 인테리어 소재로서 대리석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고 MMA특징과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그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할 수 있다. 4. 2008년에서 2010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를 정리한 결과 주요 이슈 는 Green컬러에 대한 해석이 확대되어 친환경, 행복한 삶의 추구, 사회 공통의 윤리 의식으로 정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10년 인테리어컬 러트렌드는 색상과 톤이 고르게 분포하는 특징을 보이며 더욱 다채롭고 풍부한 색감으로 전개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때문에 인테리어 컬러트 렌드의 영향을 받는 인조대리석의 개발컬러 또한 다양해 질 수밖에 없 으며, 인조대리석의 특장점인 컬러구현의 자유로움을 살려 소재로서 개 발되어야한다. 5. 본 연구자는 인조대리석의 개발 방향을 2가지로 잡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첫째는, 천연석의 색상과 색조의 범주에서 적용할 수 있는 패턴 을 조사한 결과 파선, 물결, 번짐, 칩 크기 등으로 분류되었고 이것을 이미지로 제안하였다. 둘째는,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하여 친환경, 빛의 컨셉과 섬유를 이용 하여 인조대리석의 개발시편을 제작하였다. 섬유는 씨실과 날실의 교차에 의해 여러 가지 다양한 패턴과 혼색이 가능하다. 단순히 현재의 칩 크기의 변화만으로 천연석과 유사하려는 업계의 노력은 당장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겠지만 지금의 대중적인 소 재가 나중까지 지속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므로 소재 개발에 대한 소극적인 의지보다는 석재가 가지는 차가움, 무거움의 발상을 전환하여 감성소재, 따뜻함을 통해 소재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인조대리석의 제한된 범위에 주로 적용되는 소재로서의 물 성 한계를 넘어 범위를 확장하고 새로운 소개개발과 표면처리를 제안 했다. 또한 다른 재료와의 혼합으로 다양한 표면처리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천연석을 모티브로 한 인조대리석 개발 시 천연석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 즉 화상처리를 통한 칩의 크기, 분포, 밀도에 대한 정량적인 데 이터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이용한 실제의 시편이 제작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천연석에서 보이는 컬러와 패턴을 이미지로만 제안하 는 것이 본연구의 한계점이다. 현재의 인조대리석을 생산하고 컬러 및 패턴을 개발하는 국내의 각 제 조사들 입장에서는 하나의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할 때 미적인 아름다움 보다는 투자 대비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응이다. 그러나 트 렌드는 변화하고 소재의 진화는 무궁무진하다. 따라서 개발가능성에 대 한 확신과 의지를 가지고 새로운 인테리어소재로 범주를 확대시키는 것 이 적극적인 방안이 되리라 본다.

 

(2) 엔지니어스톤 -Z:IN E-STONE (비아테라) LG화학은 산업재 사업본부에 HS사업부, LS사업부를 두고 바닥재 창 틀 인조대리석 등을 만들어왔지만 정작 고가 엔지니어스톤은 생산라인 을 가지고 있지 않다. 비아테라는 이탈리아어로 "대지로부터"의 뜻을 가지는 엔지니어스톤 브랜드이다. 아크릴계보다 뛰어난 표면 광택과 내 구성을 가지는 인테리어 통합 솔루션 브랜드로 Z:IN-E-Stone 이라 하여 천연석에 가까운 질감과 컬러로 리뉴얼 하여 21종류의 색상으로 판매되고 있다. 기존 비아테라의 색상에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하여 내추럴한 느낌으 로 Warm 한 Beige에서 Brown, Gray계열을 추가하여 YR, Neutral계 열을 세분화 하여 세계 석재산업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베로나 현지에서 생산 판매된다.

 

3) 한화L&C 한화L&C는 현재, 바닥재, 창호재, 홈도어, 부품·산업자재, 인조대리석, 필름&시트, 전자소재 등의 사업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사업을 다각화하 고 중국을 시발점으로 하여 북미지역과 세계 각지로의 비전을 추구하고 있는 기업이다. 한화L&C의 MMA아크릴계 인조대리석 브랜드인 하넥스는 1995년 상 업생산을 시작한 이래, 지속적인 연구 개발로 1998년 세계최초로 연속 더블벨트 캐스팅 공법으로 상업화에 성공하였으며 ISO14001, NSF51 인증 등을 취득해 환경 및 품질에 있어 안정성을 입증 받았다. 또한 하넥스의 성공적인 생산과 판매 노하우를 통해 고품격 자재인 엔 지니어스톤인 칸스톤을 2004년에 출시하여 미국 및 중국 등 해외시장 에 판매망을 확보한다. 2008년 대림콩크리트공업의 ES 사업부를 인수 해 국내 인조대리석 시장의 고가제품인 엔지니어스톤의 선점지위를 구 축했다. 특히 한화L&C는 미주 외 세계 2대 시장인 유럽 인테리어 자재시장의 공략을 위해, 이탈리아 베로나에서 열린 국제 석재 전시회 ‘2009 마모 막(Marmomacc International Exhibition of Stone, Design & Technology)’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화L&C는 한국과 캐나다에서 생산하고 있는 ‘칸스 톤’ 새로운 트렌드 제품을 대거 선보였는데 특히 Multi-Vein, Granite-Looking, 4-Tone 등의 제품들이 현지 바이어 및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었다. 한화L&C 의 강화천연석(Quartz Engineered Stone) 칸스톤은 99% 순도의 석영(Quartz)을 사용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탁월하고, 수분흡수 율이 매우 낮아 위생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인테리어 자재로 주로 주방 상판의 표면 마감재나 식탁 또는 테이블의 가구마감재, 상업용 건물의 고급 바닥재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프리미엄급 건축자재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 는 추세에 따라 ‘칸스톤’이 국내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며 “세계적인 규모의 석재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글 로벌 사업 기반을 확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화L&C는 그 동안 인조대리석 ‘하넥스’의 성공적인 생산과 판 매에 따른 노하우를 바탕으로 ‘칸스톤’ 부문의 성장을 견인하며 세계 일 류 표면자재 생산업체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올해 8월 준공된 캐나 다 해외 생산 공장을 통해 연간 65만m²의 칸스톤을 생산, 공급함에 따 라 기존 한국에서 북미시장으로 수출하던 칸스톤을 현지에서 직접 생산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제품을 현지인들의 취향에 맞게 공급함으로써 시 장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더욱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점유율을 확대하 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칸스톤을 비롯해 인조대리석 ‘하넥스, 바닥마감재 ‘미라톤’의 3개 브랜드가 최근 친환경 인증인 SCS(Scientific Certification System) 를 취득함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검증 받은 친환경 제품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는 한화L&C의 홈페이지에서 소개하고 있는 인조대리석의 적용사례이다.

 

(1) MMA계열-하넥스(Hanex) 하넥스 시트는 칩의 크기와 질감에 따라 제품군을 세분화 한다. 단색 인 솔로, 소형 칩을 사용한 듀어, 굵은 칩을 사용한 트리오와 매직, 투 명칩을 사용한 큐빅, 물결 무늬의 리플, 나무 무늬의 우드, 펄 칩을 사 용한 펄, 대형 칩을 사용한 자이언트 시리즈로 분류된다. 2009 국내 운영 컬러와 톤은 과 같다. 타사의 운영 컬러에 비 해 다양한 색상의 위치에 분포 하지만 톤이 세분화 되어있지 못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타 회사와 마찬가지로 Yellow Red와 Yellow Neutral 계열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베이지에서 브라운에 이르는 색채가 많은 비 중을 차지한다. 또한 하넥스는 따뜻하며 부드러운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다른 컬러에 도 따뜻한 느낌을 강조하여 전체적으로 노란빛의 색상이 강하다.

 

(2) 엔지니어스톤- 칸스톤(KhanStone) 아크릴계의 인조대리석보다 광택, 표면강도 및 내오염성이 우수할 뿐 만 아니라 뛰어난 물성을 지닌 고급형 인조대리석으로 친환경 인테리어 마감재이다. 인테리어 트렌드가 변화하고 표면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에 발 빠른 대응과 함께 엔지 니어스톤에 대한 미주 유럽에서의 관련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 는 추세이다. 2004년 국내생산으로 미국 및 중국 등 해외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망을 구축하고 2008년 대림 콘크리트 공업사의 ES사업부를 인수하여 국내 엔지니어스톤의 선점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뒤이어 2009년 캐나다 현지 법인에 엔지니어스톤의 공장을 준공하여 북미에서 원하는 엔지니어스톤 을 현지 제품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타 회사의 엔지니어스톤에 비 해 30여종의 다양한 색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브라운 계열이 다양하며 그레이와 블랙 또한 풍부한 화강석의 질감을 구현해낸다. 패턴 또한 축 척된 기술력으로 화강석의 패턴 외에 천연석에서보이는 물결(vein), 물 방울 번짐 무늬, 무광의 거친 석재의 질감을(brushed) 구현하는 등 컬 러와 패턴에서 차별화 하여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4) Dupont Corian 1802년 화약회사에서 시작하여 화학 및 에너지산업에 기반을 두어 현 재는 식품, 보건/의류, 에너지/공공설비, 안전과 보호, 건물과 건축, 전 자, 운송 등의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해 내는 종합 과학회사 이다. 특히 1980년대 중반부터는 국내에 첨단 생산 설비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와 더불어 주요 산업용 기초소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안전과 보건, 환경보호, 인간존중을 기업의 이 념으로 사회윤리 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듀폰사 인조대리석의 브랜드인 Corian®은 세계 최초 MMA계 인조 대리석으로 고밀도 아크릴을 주원료로 한 첨단 소재이다. 1971년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NAHB(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전시회에서 소개된 이후 다양한 기술혁신과 끊임없는 연구 개발을 통해 판재 길이 확대, 컴퓨터에 의한 색상관리 및 첨단 조 립기술과 색상에 맞는 전용 접착제 개발 등 35년 이상 인조대리석 분야 를 리드하고 있다. 초기에는 상업용 제품으로 욕실에 적용되었으며, 주거 공간 안에 주방 상판용의 인테리어 마감재로 확대 적용시켰다. 는 듀폰의 인조 대리석 적용사례이다.

 

(1) MMA- 코리안 코리안은 컬러에 따라 Extra Lights, Beiges, Naturals, Warms, Yellow Greens, Greens, Blues, Grays, Extra Darks, Brights의 10 개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색상군 별로 다양한 패턴을 포함하고 있다. 색상의 결정은 주변의 모든 사물들과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매년 전 세 계 트렌드를 반영한 새로운 색상들을 제안한다. 현재 코리안의 제품군 은 솔리드 시리즈와 투명성이 좋고 빛의 투과율이 좋은 일루미네이션 시리즈, 천연석에서 보이는 흐름 등을 형상화한 프라이빗으로 구분되어 운영된다. 코리안의 뛰어난 가공성으로 유기적인 벽면의 곡선이 재현가능하고 조각을 하거나 도려낼 수도 있으며 드릴로 천공도 할 수 있다. 표면은 석재의 느낌이지만 목재 가공과 비슷한 방법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사용 자만의 스타일, 그래픽이나 표면처리가 가능하다. 코리안의 표면은 내부가 균일한 무공질의 소재이다. 흡수성이 낮고 오염물이 침투가 어렵기 때문에 재생이 가능하며 쉽게 얼룩이 지지 않 고 세척도 편리하다. 마모되었거나 손상을 입더라도, 균일한 표면 마감 재이기 때문에 샌딩처리에 의해 복구가 가능하다. 또한 무독성, 불활성, 저 자극성인 친 환경 소재이며 상온에서는 물론 불꽃이 닿아도 유독 가 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난연 1급 소재이다. 듀폰에서 2006년 출시한 일루미네이션 시리즈(Illumination Series)는 빛의 투과 성질을 가진 제품으로 은은한 파스텔 색상으로 출시되었다. 빛의 투과성을 중요시한 제품으로 고명도의 채도가 낮은 Vp톤에 분포 되어 있다. 하지만 6mm 두께의 빛을 받으면 은은한 빛을 투과하고 표 면은 광택을 띄게 되는 등 빛 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조명분야로의 적용을 넓힌 사례라 할 수 있다. Blueberry Ice, Strawberry Ice, Glacier Ice, Lime Ice, Mint Ice, Arctic Ice 총 6개의 제품으로 구성 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이스블루, 아이스화이트의 2종만 운영되고 있다. 듀폰은 인조대리석을 기존의 단순한 인테리어 마감재로만 생각하지 않 고 빛을 이용하기도 하며 프라이빗 컬렉션(Private Collection)에서는 처음으로 비정형 패턴을시도하여 천연석에서 보이는 시간의 흐름이 담 긴 자연스러운 패턴과 예술적인 감각을 인조대리석에 재현하였다. 기존의 인조대리석이 칩 크기의 변화 및 분포에 의해 화강석을 재현, 또는 실험적인 칩을 개발하여 천연석의 깊이를 시도하였다면 듀폰은 대 리석 고유의 비정형적인 패턴을 인조대리석에 적용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는 듀폰의 기존 패턴과 신규 출시 제품군의 색상과 톤을 분석 한 표로, 베이지에서 브라운에 이르는 컬러 군에 분포가 집중되어 있음 을 볼 수 있다.

 

(2) 엔지니어스톤 계열-조디악 (zodiaq) 미국 듀폰사 엔지니어 스톤의 브랜드인 조디악은 천연 석영 93%를 함 유하고 있는 제품으로 자연 그대로의 깊이와 색감을 간직하고 있는 최 고급 인테리어 마감재이다. 천연광물 중에서도 강한 석영을 사용해 자연석의 단점을 보완하며 보 다 향상된 내구성과 내오염성, 내염성을 가진 제품으로 유럽과 미주 지 역에서 고급 인테리어 마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디악은 천연 성 분으로 웰빙 주거 트렌드에 적합한 고급 제품이다. 현재 미주지역에서 조디악은 프라이빗 시리즈와 리사이클 칩을 함유하 고 있는 테라시리즈로, 물결무늬의 오키테 시리즈로 구분하여 운영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운영되지 않지만 향후 소재의 고급화를 예상하 고 인조 대리석분야의 적용확대를 위해 그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유통되는 인조대리석을 MMA 와 엔지니어 스톤 으로 나누어 휴앤톤으로 분류하고 제조사별 특징을 알아보았다. 국내에서 현재 연속 캐스팅의 공정과정을 거치는 인조대리석 제조 공 정은 용융공정, 혼합공정 및 주조공정으로 나뉜다. 용융공정은 인조대리 석의 원료를 용융하는 과정을 말하며 MMA와 PMMA를 탱크에 넣어 예비중합과정을 의미하며 필터를 통해 혼합탱크에 공급하여 시럽의 형 태로 혼합공정을 가진다. 이 혼합과정은 다시 슬러리 공급과정과 개시제 공급과정으로 나뉘는 데, 슬러리 공급과정은 혼합탱크에 반응보조제 및 대리석의 표면을 구 성하는 칩을 추가하고 칩들 간의 부착력을 위하여 반응보조제인 개시제 를 공급하여 슬러리를 만든 후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그 후 다시 이송장치에 칩들과 시럽의 정량으로 연속 공급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개시제는 인조대리석을 형성하는 촉매 역할을 하며 마 지막 공정과정인 이송 벨트에 전달되어 압력과 열을 가해 경화시키는 과정이다.15) 이와 같은 인조대리석의 공정과정을 통하여 국내에 유통되는 인조대리 석 제조사는 각각의 단계에서 타 회사와 차별화될 수 있는 디자인, 또 는 천연석과 유사한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 유통되는 4개 인조대리석 브랜드를 살펴보면, 컬러군이나 패턴, 규격, 환경 및 품질 인증 등에 있어 많은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 다. 은 MMA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의 분포이며 R, YR, Y의 색상 과 B, PB, Neutral 계열로 나눠진다. 그러나 컬러는 천연석과 유사한 반면 R, YR, Y 의 Vp, P, B톤에 분포하여 천연석에 비해 고명도 군에 분포하고 있다. Neutral계열은 고명도와 저명도로 양분되어 N4, N5 등 의 중명도의 Gray의 개발이 시급하다. MMA계 인조대리석의 물성이나 특성이 제조사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 하기 때문에 사용 범위가 같다보니 컬러나 패턴에 있어서도 거의 비슷 한 분포를 보인다. 일부 상업공간에 포인트 색상으로 쓰이는 Vivid Color의 분포가 조금 다를 뿐, 주로 Yellow Red에서 Yellow에 이르는 색상군과 Neutral 계열의 분포가 많은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엔지니어스톤은 MMA보다 고급화된 소재로 천연석과 그 외관이 더욱 유사하다. 색상의 영역은 천연석, MMA, 엔지니어 스톤을 비교할 때 색 상의 영역은 같다. 그러나 엔지니어 스톤은 천연석과 그 외관이 더욱 유사하므로 DL, Dp, Dk 톤과 같이 어둡고 깊이감 있는 톤에 분포한다.

 

인조대리석 제조사는 천연석에 근접하기 위한 시도를 통해 제품개발 및 적용확대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의 친환경을 고려하여 금속 칩, 미러칩 등 리사이클 제품을 넣어 환경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상업용 상판으로 화려한 외관의 인조대리석을 만들기도 하고 천연석의 흐름에서 파선, 물결, 번짐 등을 구현하기 위해 수지의 비중 차이와 경 화 시간을 달리하여 자연스러운 물결을 디자인한다. 즉 칩의 비중과 밀 도에 따라 칩을 구성하는 색, 칩간의 결합을 위한 안료와 베이스 색상 이 인조대리석의 색상을 좌우하게 되며 이것은 다양한 재질감과 색상, 입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인조대리석이 천연석과 가까워지기 위해 연구 되어야 할 부 분은 칩디자인, 또한 칩의 밀도에 의해 생성되는 패턴, 또한 아크릴베이 스의 배경색과 패턴을 구성하는 칩의 이질적인 색상차이다. 최근 주부들 사이에 날로 인기가 높아가는 천연석 화강암 조리대에서 경우에 따라 건강에 해로운 수준의 라돈 가스가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 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16) 미국의 화강암 제조업계를 대표하는 마블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화강암 수요는 10배나 늘어났고 이에 따라 세계 각국으로부터 다 양한 종류의 화강암들이 수입되고 있는데 브라질과 나미비아산 줄무늬 화강암에서 특히 높은 농도의 라돈 함유량이 보고되고 있다는 것이 다.17) 이런 천연석의 우려로 인해 인조대리석의 컬러 및 패턴 디자인의 장점이 부각된다면 더욱더 적용범위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3.3. 표면처리 다양화 사례 인조대리석은 천연석에 비해 우수한 기능적인 장점을 가지며 디자인 면에서 많은 진보를 이루었다. 세계 최대 석재 전시회인 2009년 이탈 리아 베로나에서 개최된 MARMOMACC의 경향을 볼 때도 천연석 40%, 엔지니어 스톤 30%, 설비 및 접착제30%가 전시되었다는 것 역 시 인조대리석의 진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석재 전시의 규모와 흐름을 통해서 인조대리석이 지향해야할 방향과 석재시장의 흐름을 읽 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조대리석의 외관은 그 기술력과 함께 표면처 리의 다양화를 통해 저변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 마모막에서는 세계 최대 석재 전시 규모만큼 China관을 별도로 운영 하고, 브라질, 인도, 터키, 벨기에, 이란 등 많은 업체에서 천연석 및 엔 지니어 스톤을 출품하였다. 천연석 전시는 지역별 산지에 따른 컬러 및 패턴 의 차별성이 돋보였으며 이탈리아는 차별화할 수 있는 마블을 주 종으로 화려한 색상과 큰 패턴이 주류를 이뤘다. 인도, 터키, 브라질 등은 화강석과 마블이 혼재되어 있으며 화강석은 독특한 유채색 계열이며 마블은 YR 계열의 브라운톤이 선을 보였다. 중국은 화강석을 중심으로 뉴트럴 계열의 저가 석종이 중심이 되었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엔지니어스톤의 선발업체는 표면처리의 차별 화와 후발업체는 선진제품의 모방 및 품질 안정화와 차별화에 노력을 기울이는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유럽에서는 제조의 난이도가 높은 퓨어 화이트(Pure White)를 전시하여 기술력을 과시하였다. 미묘한 톤의 변 화와 칩 등이 이물질로 보이지 않게 하는 퓨어 화이트의 느낌은 첨단의 기술력이며 후발업체 또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노력과 차별화를 시도 하는 양상이었다. 석재 가공면의 기기 설비 면에도 표면처리인 조각, 블록 커팅, 대형 천 연석을 칩으로 발굴할 수 있는 기술, 표면에 무광의 느낌을 가진 브러 시 가공 등이 소개되었다. 석재전시에서 유럽지역의 선호 컬러는 인조대리석의 기본 컬러인 화이 트, 블랙, 베이지, 라이트 그레이 등이며, 포인트 컬러로 단색계열을 선 보였다.

 

특히 그리스, 포르투갈, 영국은 화이트를 선호했으며, 네덜란드, 스칸디 나비아는 블랙을, 엔지니어 스톤의 선두업계인 Caesarstone은 퓨어화 이트를 적극 홍보하고 있었고, 고가의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었다. 그 밖에 Technistone, Compac은 자체 회사의 컨셉인 Vivid 한 유채 색 위주로 전시하여 전시부스를 홍보하는 효과를 가지기도 했다. 또한 천연석을 가공 하여 엔지니어 스톤과 마찬가지로 표면처리를 한 제품이 50% 를 차지하여 석재의 표면처리가 다양화되었다는 것이 이번 전시회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MMA계 인조대리석의 표면처리 방법은 천연석의 공극에 안료와 수지 를 채워 넣어 엔지니어 스톤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작은 칩이 아니라 천연석의 단면이 크게 절단되는 블럭커팅은 또 하나의 창조적인 엔지니어 스톤의 표면처리로 응용될 수 있다. 표면의 가공된 느낌은 Burnt, Honed, Brushed, Sandblast, Waterjet 표면처 리의 가공을 주로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LG하우시스와 한화에서 보유하고 있는 물방울 및 흐 름무늬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거친 느낌의 브러시가공과 그 밖 에 천연석 활용한 Art-Marble, 반투명성 Marble 제품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마모막 에서도 꾸준히 등장하는 추세로 물결무늬, 빛을 활용한 표면처리는 당분간 계속 유지될 것이다. 제품의 사용 용도는 투명한 천연 마블과 엔지니어스톤의 소재에 빛을 활용한 디자인이며, 칩의 구성을 투명과 반투명으로 만들고 빛과 결합 하여 카운터 테이블이나, 세면볼로 활용하여 전시되었다. 또한 석재의 표면에 가죽이나 레이스의 가공처리를 차별화하여 전혀 다른 소재의 질감형태 또한 눈에 띄었다. 천연석재 전시였음에도 불구하고 고급 인테리어 소재로 엔지니어스톤 관련업체의 참여가 증가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캐나다 공장 준공이후 유 일하게 한화에서 한스톤이라는 이름으로 석재 전시에 참여하였다. 엔지니어스톤 관련업체의 참가현황은 Hanstone, Caesarstone, Okite, Quarella, Technistone, Santamagherita, Compac, Quantra, Vicostone, Stone Italiana, Dinesco, Silestone(가시공업체) 등이다. 이처럼 표면처리의 다양화 노력으로 인조대리석은 그 적용확대가 예상 된다. 은 마모막의 다양화된 표면처리의 전시 사진을 정리한 것이다.

 

4. 인테리어 트렌드의 변화 4.1. 2008년에서 2010년의 컬러트렌드의 변화 해마다 제시되는 인테리어 컬러트렌드는 최근의 이슈를 반영하고 있지 만 각각의 정보사이트별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인다. 따라서 본장에서 는 인테리어컬러트렌드의 변화를 살펴 보기위해 국내 인테리어 관련 업 체인 CFT(Color Fashion Trend), 삼성디자인넷, 인터패션플래닝, GS 그 외 정보지를 참고하여 2008년에서 2010년까지의 제시되는 컬러팔레 트와 트렌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업체별 제시하는 인테리어 컬러를 한 개의 시트에 휴앤톤으로 정리 하였다. 인테리어 트렌드는 제품트렌드의 주기만큼 빠르지 않으므로 S/S, F/W 의 특징은 도표로 정리하고 휴앤톤의 분류는 계절의 구분 없이 수집하였다. 인테리어트렌드의 주요이슈와 흐름을 정리하고 컬러 별 체인징 포인트를 비교하기 위해 색상별, 톤별로 Key Color를 정리 하였다. 2008년 인테리어 컬러 트렌드의 가장 큰 특징은 Gray, Colored Gray 의 증가와 Neutral 톤의 강세로 안정적이고 내추럴한 분위기 출현이라 할 수 있다. Neutral계열은 다른 색상과의 매치가 용이하며 꾸준히 등 장하는 인테리어컬러이다. 또한 Chromatic Color, Strong Tone, Vivid Tone의 등장으로 원색적이고 강렬한 컬러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채도가 높은 V, S톤은 주거공간 안에서 강조색의 영역으로 면적을 좁 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2008년에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자연을 연 상시키는 Yellow, 채도가 낮으며 차분한 Powdery Green Color의 증 가라고 할 수 있다. Powdery Green은 Lgr톤의 컬러, Gray와 차분하 게 배색되어 공간안에 편안함을 더한다.

 

2009년의 키워드는 자유로운 융합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색상이 고 루 제안되는 가운데 Blue, Green 컬러의 증가와 Light Neutral이 2008년에 비해 톤의 변화를 주며 증가하였다. 또한 2008년의 Yellow에 서 GreenYellow 까지 색상의 영역이 확장되었다. 최근 환경이 이슈가 되어 Green Color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함 께 친환경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컬러는 생동감과 싱그러움을 주며 선명해지고 Yellow에서 분위기를 확장시켜 따뜻함을 연상할 수 있다. 현재 Green 컬러는 단순히 친환경, 자연컬러로서 연상되는 이미 지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공동체책임의식을 더하여 자원고갈, 자연환경 보호 등 색에 대한 의미는 넓은 범주로 확대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Green은 환경 및 재활용에 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의 재고가 필요해지는 시기로 이러한 재활용을 활용한 리디자인은 기업의 사회책임의식과 더불어 앞으로 지속될 것이다.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우리 사회에서 중요해짐에 따라 아주 작은 자연 섬유 부스러기를 구별 할 정도로 작은 조각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나무 찌꺼기나 울 섬 유의 조각, 가죽 조각 등과 같이 천연 재료들의 희소성을 나타낼 수 있 는 새로운 재료를 창조하기 위해 재사용되고 압축되어 새로운 소재로서 의 내구성을 다진다. 주요색상은 Green으로 기술적 진보와 공존하는 자연스러움을 결합하여 편안함을 추구한다. 또한 세월의 흔적을 느낄 수 있는 심플함과 자연의 모티브에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색을 입혀 새 로운 공감대를 형성한다.18)

 

Green계열의 컬러 외에 트렌드 정보업체 (Intercolor, Jenkins, Nelly Rodi, Pantone, Peclers, Promostyl, Trend Union, Carlin, Mix, A+A)에서 제공하는 2009년의 인테리어컬러트렌드는 2008년의 연장선으로 V, S 한 채도감에 선명하면서 고명도인 Bright 한 느낌의 컬러를 제안하고 있다. 컬러는 경기침체, 불황 등에 활력을 줄 수 있고 공간 안에서 치유 와 위로의 효과를 주며, 시즌에 새롭게 등장하는 Neon 컬러는 빛을 발 하며,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톤에 있어서는 Light Grayish톤 은 감소되는 반면 고명도의 Light Neutral톤의 증가로 따뜻한 느낌과 부드러움을 주는 톤의 변화를 전망하였다.

 

4) 오닉스(onyx) 오닉스는 대리석의 일부영역으로 인식되기도 하며, 유백색의 반투명한 부분과 다른 빛깔이 줄무늬를 이룬다. 손톱이나 줄무늬 사이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이름이 유래되어 인도, 브라질, 독일 등지에서 많이 산출된 다. 보통은 유백색(乳白色)의 반투명한 부분과 다른 빛깔이 서로 띠 모양 을 이룬다. 이 줄무늬 부분은 미세섬유가 모여 있는 모양으로 간격이 줄무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이것을 염색하면 농담(濃淡)의 색조 를 띤다. 또한 오닉스란 말은 종종 종유석 ·석순 ·석회화(石灰華) 등의 단면에 줄무늬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의 오닉스의 Hue & Tone을 분류하면 R색상과 B색상에 주로 위치하며 줄무늬는 백색과 홍색을 띠고 있는데 이것은 오닉스에서 나타 나는 홍줄마노라고 하여 까메오 등의 보석 세공에 쓰인다. 톤은 R, YR에서는 L, Dl 이하의 Dp에 주로 위치한다.

 

5) 트래버틴(travertine) 물에 녹아 있는 탄산칼슙이 가라앉아 생긴 석회암으로 치밀하고 단단 한 줄무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천 침전물이나 종유굴 속의 석 순, 장식 석재로 쓰이는데 생산지로 이탈리아 산이 유명하다. 트래버틴은 쉽게 작업할 수 있는 석회암 재료로 건축자재로 애용된다. 얇은 톱으로 자르는 것이 다공성이 대체로 깨끗하게 작업된다. 여러 침 전 퇴적물의 층이 원인으로 현저한 수직적 줄의 지리학적 형태의 탄소 의 손실로 작은 구멍이 패여, 광택 전에 미적인 이유로 에폭시를 이용 해 구멍을 메워 투명감을 살린 표면처리를 한다. 트래버틴은 다공성으로 추운 기후를 가진 나라에서는 외장재로 사용하 기 적합하지 않다. 트래버틴의 구멍에 습기가 차게 되면 균열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은 트래버틴의 Hue & Tone의 분류이다. 색상은 난색 계열 인 R에서 YR에 위치하며 톤은 Lgr, L, Gr, Dl톤의 중명도 중채도에 위치한다.

 

6) 규암(quartzite) 규암(珪岩)은 사암이 변성 작용을 받아 형성된 암석이다. 대부분 석영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우 단단하다 색은 백색, 회색, 홍색, 적색, 갈 색, 흑색 등을 띠며 일반적으로 담색이며 유리광택이 있다. 백운모·규선 석·남정석·녹렴석·석묵 등의 광물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원래의 사암 에 함유되었던 점토질 물질이나 석회질 물질 등이 변성도에 따라 생성 된 것이다. 은 규암의 Hue & Tone분류이다. 수집한 이미지의 사진이 소량이기는 하지만 색상군은 R, B와 PB, Neutral로 나눠지고 톤은 P, L톤에 주로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천연석을 상업적인 빈도수에 의해 색상과 색조로 분석한 결과 색상에서는 공통되는 색상의 영역으로 Y, YR 과 B, PB, 그리고 무채색의 범주에서 명도차이를 두어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천연석의 컬러는 육안 측색 시 석재의 배경색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 며, 천연석재표면의 패턴은 조암광물의 질량과 분포에 따라 석재의 특 징을 나타낸다. 산출/연마과정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석재를 커팅하는 가, 의 기술력에 따라, 같은 석재의 경우도 예상치 못한 무늬가 나오기 때문에 통일된 방법의 커팅기술과 숙련된 과정을 거쳐 석재를 가공 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퇴적암 내부의 층과 수평을 이루어 평행하게 자른다 하더라 도, 구름 낀 형태의 줄무늬 패턴 출현으로 뜻하지 않은 무늬를 얻을 수 있다. 천연석 커팅가공에 따라 무늬는 다양하지만 천연석에서 출현 빈 도가 높은 유사한 무늬의 패턴으로 분류하였다.

 

전체 703개의 천연석 사진을 수집하여 패턴을 분류한 결과 크게 4가 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천연석의 흐름을 그대로 간직한 물결무늬 (vein), 물방울 모양의 번짐 무늬, 칩 크기의 대비에 의해 생성되는 무 늬, 석재의 압력으로 흐름과 다르게 생성되는 파선형 등으로 크게 구분 하였다. 그러나 석재의 이미지 중에서 여러 가지 패턴이 혼재되어있는 경우는 기타로 분류하였다. 대리석에서는 전체 272개의 석재의 이미지에서 파선30개, 물결무늬 26개, 번짐무늬 28개, 칩 크기 9개, 기타 79개 등으로 분류되었다. 화강석은 전체319개의 석재의 이미지에서 파선 21개 물결무늬 32개, 번짐무늬 12개, 칩 크기 99개, 기타 155개 등으로 분류되었다. 석회암은 전체 48개의 석재의 이미지에서 파선 3개, 물결무늬 10개, 번짐무늬 4개, 칩 크기 2개, 기타 29개 등으로 분류되었다. 오닉스는 전체 32개의 석재의 이미지에 파선은 보이지 않았으며 물결 무늬 5개, 번짐무늬 8개, 칩 크기 1개, 기타 18개 등으로 분류되었다. 트레버틴은 전체 16개의 석재의 이미지에서 파선 1개, 물결무늬 1개, 번짐무늬 3개, 칩크기 1개, 기타 10개 등으로 분류되었다. 규암은 전체 16개의 석재의 이미지에서 파선 3개, 물결무늬 8개, 칩 크기 1개, 기타 4개 등으로 분류되었다. 3.2. 인조대리석의 이해 3.2.1. 인조대리석의 정의 및 특징 인조대리석의 사전적인 정의를 살펴보면 굵은 콩알만큼씩 잘게 부순 대리석 조각에 시멘트, 칠감, 물을 섞어 반죽하여 굳혀 만든 돌, 건축물 의 바닥이나 기둥의 재료로 정의된다. 그러나 대리석(大理石, marble) 은 대부분 방해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석회암이나 백운암이 변성을 받아 생긴 변성암의 한 종류이며 그 표면의 색상과 패턴이 흰색과 갈색, 기 이한 무늬를 띠고 있으며 건설 재료를 비롯하여 조각용, 도예용 등으로 폭넓게 이용된다.9) 이와 같이 대리석은 변성암의 종류지만 국내에서 제작 생산되는 인조 대리석은 변성암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폭넓은 석재의 개념으로 인공적 인 재료와 결합된 모든 인태리어 소재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인테리어 재료 앞에 인조를 붙이게 되면 천연석의 모조품으 로 값싼 재료로 인식되지만 현재 국내의 인조대리석은 천연석을 재현하 려는 노력으로 천연석을 대체할 만한 재료로 각광받고 있으며 연구 개 발되고 있다.

 

인조대리석은 재료와 수지의 배합에 의해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제조 사마다 배합 비율이나 연구 개발되어온 설비 가공법에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인조대리석은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대중화되어 있는 아크릴계 수지의 MMA 대리석과, 천연석인 석영을 90% 이상 함유하여 수지와의 배합에 의한 엔지니어 스톤으로 구분하지만 이를 총칭하여 포괄적인 개 념으로 인조대리석이라 총칭한다.

 

아크릴계 인조대리석 제조방법의 구분으로는 결합제로서 사용된 베이 스 레진에 따라 아크릴계와 불포화 폴리에스터계(UPE) 두 가지로 구분 된다. 위의 소재 중에서 아크릴수지는 투명성, 내후성, 경도, 내열특성에 있어 다른 수지보다 대중적이며 우수하다. 또한 생활사용에 의한 표면의 긁 힘, 파손 및 이물에 의한 표면의 손상이 오더라도 간단한 표면연마 과 정을 통해서 원래의 패턴을 되돌릴 수 있는 반영구적인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불포화 폴리에스터 인조대리석은 투명도가 우수하여 인조대리석 을 구성하는 칩의 컬러감을 살려주지만 열경화성 수지이므로 열 성형이 어렵다. 따라서 천연석에서 보이는 투명한 칩의 효과 구현과 컬러감을 살린 단색 칩을 구성할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현재 국내에 유 통되는 인조대리석 시장은 MMA아크릴계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불포화폴리에스터를 수지로 하는 인조대리석 시장은 규모가 크 지 않고 제한적이다. 천연석에서 보이는 빛의 투과성을 인공적으로 재현하기 위해서는 필연 적으로 수지의 투명성을 살려야 한다. 따라서 인조대리석에 사용되는 수지는 투명함을 강조하여야 하며 다른 재료를 혼합하였을 때의 결합이 용이하여야 한다. 아크릴 수지 시럽은 아크릴계의 단량체와 이들의 중합물인 폴리아크릴 레이트가 용해되어 있는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시럽이다. 아크릴계의 단 량체로는 메타 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 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중 MMA계 인조대리석 은 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Methyl Methacrylate)에 폴리 메틸메타아크릴 에이트를 용해한(Polymethyl Methacrylate) 액상 중합 단량체를 의미한 다. 흔히 인조대리석을 제조할 때 아크릴 수지 시럽은 아크릴 단량체의 함량이 전체 중량의 65%이고 아크릴 중합물 합량이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수지 시럽에 천연 광물질인 무기 충전제로 수산화알루미늄 AL(OH)3-(Aluminum Trihydrate)을 사용하여 시럽 의 형태로 만들어져 아크릴의 원료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아크릴시럽 의 수지의 양이 충전제의 양보다 크면, 충전제에 대한 수지의 비율이 높아져서 인조대리석의 수축과 불규칙한 표면이 생성되므로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경도를 가지며 규칙 적인 외관과 매끄러운 표면을 위해서는 제조사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략 충전제의 양이 수지의 양보다 1.5배 정도 많아야 한다. 아크릴계 수지인 MMA는 치과 의치 혹은 LCD 패널 등에 사용되며 향균성 및 기능성이 뛰어나고 유려한 표면 및 내부입자에 균일하게 분 포되어 열 성형 가공, 접착, 샌딩 처리에 의한 표면광택 등 각종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염료와 안료의 자유로운 사용으로 다양한 색채 표현이 가능하고,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져 열가소성을 가지기 때문에 판으로 제작 후에도 디자인 변형 및 열에 의한 성형으로 주방가구 및 소품 등 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밖에, 인테리어 소재로 쓰이는 타 소재와 장단점을 비교 분석해보아 도, 여러 면의 물성에서 디자인 재료로서의 우수성을 확인해 볼 수 있 으며 최근의 친환경 소재와 재활용 자원을 활용한 소재적인 측면에서도 이용 가능하므로 그 우수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MMA계 인조대리석 제조사별 홈페이지 및 인조대리석 특징, 물성실 험, 홍보 및 자료 등에서 소개하고 있는 우수한 특징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인조대리석은 외관 자체가 천연석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천연석과 비교하게 된다. 천연석은 지층구조와 세월의 풍화작용 등 자연에서 얻 어지는 자연스러운 패턴과 고급스러운 질감으로 고급 마감재로 사용되 지만, 석재의 크기와 컬러가 유사하지 않고 가공에 제한이 있을 뿐더러 표면에 크랙이나 오염이 생기기 쉬워 위생성이나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MMA계 인조대리석은 천연석보다 굴곡 강도나 압축 강 도, 경도, 내오염성, 항균성(抗菌性) 등에 있어 더 뛰어난 물성을 가지고 있고 단가도 저렴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건축자재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인조대리석에서 지적되는 재 료적인 한계성은 ‘인조’ 즉 인위적으로 천연을 대체하는 물성이라는 시 장에 형성된 고정관념이다. 또한 현재의 인조대리석은 천연석을 재현하 고 있지만 그 표면과 외관은 천연석 중 화강석에만 국한되어 칩의 크기 와 분포 정도, 안료의 배합에 의한 압축성형에 있다. 최근 제조사에서 MMA계 인조대리석의 고급소재로서 엔지니어 스톤 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엔지니어 스톤은 MMA계 인조대리석의 장점을 유지하며 천연석의 칩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표면이 천연석과 유 사하다. 그러나 국내 엔지니어스톤의 컬러 및 패턴 또한 화강석(Granite) 을 재현하는 정도이고 최근 들어서야 천연석의 흐름(Vein)등을 재현하 려는 시도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설비 교체에 드는 자본과 시장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엔지니어 스톤이 국내시장에 형성된 가격은 천연석과 큰 차이가 없다. 아직까지 고가의 소재로 천연석과 유사한 외 관을 재현하는 기술적인 문제와 컬러 와 패턴에 대한 개발이 미흡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엔지니어스톤은 천연석과 인조대리석의 장점을 극대화 한 고급소재로 서 현재는 40평형 이상의 대형평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으 나, 소재의 고급화와 차별화로 특히 천연석재의 공극을 보완 할 수 있 는 무공질의 대체소재로 확대 사용될 것이다.

 

소재는 진화한다. 그러므로 시장 상황에서의 대중적인 것이 언제나 시 장을 점유한다는 편협한 생각을 버리고 새로운 시각과 다양한 재료로의 접근을 시도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인조대리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은 주거공간의 주방과 욕실이지만, 인조대리석이 가지는 기 능적인 측면과 미적인 면에서 다양한 표면처리를 통하여 소재로서의 경 쟁력을 높일 것이다. 3.2.2. 국내외 인조대리석의 현황 및 컬러와 패턴 분류 현재 국내외 유통되는 인조대리석의 생산업체는 제일모직, LG하우시 스, 한화L&C, Dupont 등 4개 업체가 대표적이다. 매년 인테리어 트렌 드를 반영하고 천연석과 유사한 표면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며 운용컬러와 신규컬러를 개발 제안하고 있다. MMA인조대리석이 일반적 인 소재로 대중화 되어있으며 소재의 고급화를 통해 엔지니어스톤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눠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1) 제일모직 제일모직은 1954년에 제일모직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된 섬유원사회사이 며 원사와 모직생산을 주력으로 하며 70년대 화학섬유와 의류업에 진출 하였다. 1980년에 들어와 섬유산업의 성장이 한계에 직면하며 비섬유 부문으로의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였다. 80년대 후반 제일모직의 스타론(Staron)은 ABS, PS, 합성수지, 인조 대리석 등의 첨단 플라스틱 소재사업에 진출하여 1993년 제일모직 자 체 기술에 의해 연속 캐스팅 공법에 의한 스타론을 출시한다. 뒤를 이 어 2006년 고투명칩 인조대리석인 템피스트(Tempest)를 출시하고 2007년 풍부한 질감을 살린 템피스트 스타일리스트 시리즈를 출시한다. 2009년 여수에 건축자재 엔지니어스톤 공장을 준공하여 20여종의 엔지 니어 스톤을 레디언스라(Radiaanz)는 브랜드로 개발 생산 중이다. 제품군으로는 MMA계의 인조대리석으로 스타론과 풍부한 화강석의 질감표현을 위하여 고투명칩을 활용한 템피스트, 브론즈, 골드, 펄, 금속 의 질감을 재현하는 템피스트 스타일리스트, 90% 이상의 석영과 10% 의 수지를 합성한 엔지니어스톤인 레디언스 시리즈로 구분된다. 스타론은 현대적이며 자연적인 질감과 색감을 구현하여 주방, 거실, 욕 실 등의 주거공간을 한 차원 올린 위생고급 자재로서 실용성이 돋보이 며, 정상의 품질과 기술력으로 세계적 인정을 받아 미주 등 해외에도 활발한 수출을 하고 있다. 철저한 품질과 생산관리 환경에 대해서도 ISO10)의 인증을 받았다. 또한 보건 및 환경 과학 분야에서 NSF 51 글로벌 환경기준인 식품영 역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검증받았으며, 미주 유럽지역에서 인조대리석 관련 회원으로 NKBA(National Kitchen & Bath Association, 미국), ISSFA(International Solid Surface Fabricators Association, 미국), WCI(Woodwork Institute of California, 미국) 활발하게 참여 하고 2009년에는 스타론이 미국의 홈디포11)(Home Depot)에 입점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2) 이는 90년대의 비섬유 부분에 대한 사업다각화의 시도와 2000년 섬유 업체의 간판을 화학업체로 바꿔 화학부분의 매출이 전체의 50%를 차지 하는 등 사업기반의 재구축과 동시에 케미컬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전자 재료사업을 미래를 짊어질 신수종 사업으로 육성하기로 결정하였기 때 문에 가져온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은 제일모직의 인조대리석 적용사례로 실용성이 돋보이며 자 연스런 질감과 다양한 색상 등으로 주거 공간뿐 아니라 상업 공간의 카 운터 테이블 등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1) MMA계열 - 스타론, 템피스트, 템피스트 스타일리스트 스타론의 제품군으로는 인조대리석의 표면을 구성하는 칩 또는 입자의 크기와 밀도감에 따라 솔리드, 샌디드, 아스펜, 페블, 브레시아, 쿼리, 탤러스, 메탈릭 등의 제품군으로 나눈다. 솔리드는 단색의 제품군으로 주거와 상업공간의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 과 밝고 자유로운 분위기 연출과 사용빈도가 높은 곳에 주로 쓰이며, 샌디드는 작은 모래 크기의 미립자들을 균일하게 조화를 이루어 단색칩 에 비해 변화를 준 시리즈 이다. 아스펜은 중간크기의 크고 작은 미립자들이 결합되어 흐린 베이스 색 상을 바탕으로 칩의 구성이 수정과 같은 패턴을 만들어내며, 페블 제품 군은 아스펜시리즈 보다 화강석의 느낌을 연출하기 위해 베이스 색상에 서 강조되는 크기가 큰 칩이 있으며 그 안에 중소형의 미립자가 골고루 혼합되어 아스펜시리즈 보다 칩들 간의 크기와 색상차이를 통해 화강석 의 깊이를 연출한다. 스타론의 제품군 중 디자이너 시리즈로 최근에 만들어진 제품군인 브 레시아와 쿼리 시리즈는 국내 시장과는 차별화를 두어 큰 칩을 선호하 는 미주 와 유럽지역을 타깃으로 한다. 화강석에서 보이는 풍부한 입자 감과 칩크기의 변화를 주고 브레시아는 반투명한 모자이크 칩의 특징을 가지며, 쿼리 제품군은 스타론의 제품 중 가장 큰 칩을 함유하여 화강 암의 질감을 재현해 낸다. 그 외에도 반투명 칩과 다양한 크기의 크리스탈 무늬의 탤러스, 메탈 칩을 함유하여 상업공간과 개성 있는 공간에 연출되는 메탈릭, 깊이 있 는 컬러감을 나타내는 텐드릴 군 등 다양한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다. 다양한 제품의 연속 캐스팅 라인으로 성형 가능한 판재의 규격은 12.3mm×760mm×3680mm 일반적이나, 3mm, 6mm, 9mm, 19mm등의 다양한 두께와 3070mm, 2500mm 등의 길이로도 생산 가능하며, 아크 릴계의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이므로 소형가구, 주방가구, 싱크볼이나 세 면볼의 유기적인 곡선 성형이 가능하다. 2006년 스타론에서 출시한 신규 출시 제품인 템피스트는 고투명 칩이 함유된 인조대리석으로 빛의 투과적인 성질을 이용한 색상과 패턴의 발 현으로 입체적인 패턴을 구현할 수 있었으며 연이어 2007년 스타론에 서 새롭게 출시한 템피스트 스타일리스트는 고투명칩에 골드, 실버, 브 론즈, 펄 코팅을 하여 천연석에서 보이는 광물질을 실감나는 패턴과 깊 이 있는 색상을 재현하였다. 현재 생산되는 MMA계열 스타론의 기존 패턴 제품과 신규 출시 제품 군의 색상과 톤을 분석해보면 와 같다. 주거공간에 주로 사용 되므로 색상은 옐로(Yellow), 옐로레드(YellowRed), 뉴트럴(Neutral) 에 집중 분포되며 톤은 베리페일(Vp), 페일(P), 라이트그레이시(Lgr), 그레이시(Gr), 라이트(L), 덜(Dl)톤에 골고루 분포되며 N7 이상의 명도 가 높은 군과 N1에 해당하는 저명도의 그룹으로 양분화되며 Gray계열 의 분포는 세분화되지 못한 특징을 가진다.

 

(2) 엔지니어 스톤 - RADIANZ 90% 이상의 고순도 천연 석영(Quartz)을 주성분으로 한 친환경 인테 리어 소재로서 내스크래치성 및 내구성이 탁월하고 수분 흡수율이 매우 낮아 MMA계열의 인조대리석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고품격의 인 테리어 자재이다. 주방상판 및 테이블 상판, 카운터 상판, 현관 디딤판, 욕실 선반, 세면대, 변체, 인테리어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가능하 며 천연석을 함유하고 있어 표면의 경도13)가 모스 경도 7을 기준으로 한다. 진공상태의 제조과정으로 천연석의 단층에서 보이는 공극이 거의 없는 무공극의 상태이므로 오염물질의 침투가 불가능하며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적은 위생적 소재이므로 항균성이 뛰어난 친환경소재이 다. 천연석의 함유로 깊이 있는 색감과 질감의 구현은 천연석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이다. 생산의 최대폭은 1520mm이며 길이는 3100mm, 두 께는 20mm나 30mm로 선택하여 생산이 가능하다. 현재는 20여종의 색상으로 운영되므로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될 수 있는 컬러군으로 화이트(White), 브라운(Brown), 레드(Red), 블랙 (Black) 계열의 색상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색상이 단조로워 인테리어 소재로서의 적용시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색상과 톤의 개발이 시급하 다. 칩의 크기 또한 중소형의 미립자 단조로운 조합으로 천연석에서 화 강석의 표면을 재현해 내고 있으나 고급소재이므로 칩 크기의 변화와 다른 천연석에서 흐름(vein)무늬, 크랙(crack) 등 다른 질감구현에 대한 시도가 필요하다.

 

2) LG하우시스 LG화학은 1947년 화장품 제조업을 기반으로 합성수지 성형제품, PVC 바닥재, 아크릴레이트의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내는 물론 세계 주요 거점지역에서 석유화학, 산업재, 정보전자소재 사업을 전개하 고 있는 종합화학회사이다. 1994년 처음으로 다양한 폭의 인조대리석 생산라인 설비를 구축하고 인조대리석브랜드 Hi-macs(Hihg Quality Marble of Art for Customer's Satisfaction)는 국내를 비롯하여 유럽과 미주지역을 거점 으로 판매되고 있다. ISO의 품질 관리 규정에 따라 환경 및 안전보건 관련 인증을 취득했으며, 2001년 NSF-51보건위생 규격을 취득하고, 국내에서도 친환경마크를 받아 안전과 환경에 대해 국내외적으로 인증 받았다.14) 특히 2009년 LG하우시스로 산업재 부분을 분리시켜 토털 인테리어 솔루션인 Z:IN이라는 프리미엄 브랜드를 운영하여 벽지, 바닥재, 창호, 도어, 욕실, 주방가구 등의 인테리어 자재와 설비를 제공하고 있다. Z: IN(지인)은 地人(자연과 사람), 知人(사람을 알아감)의 뜻을 담고 있다. 주거환경을 고려하고 인간과 소통할 수 있는 친환경브랜드의 가 치체계를 만들어 냈으며 화학회사가 주는 일반적인 딱딱함이 아닌 솔루 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전문 브랜드의 입지를 가지게 되었다. 은 LG하우시스의 인조대리석 적용사례로 주방용 상판 및 싱 크볼, 카운터 테이블에 다양하게 적용된 사례이다.

 

(1) MMA계열 -프리스티지 컬렉션, Hi-macs , 볼케닉스(화산암시리 즈), 볼케닉스 내추럴 LG화학의 아크릴계 대리석의 대표 브랜드인 하이막스는 우수한 가공 성과 다양한 색상, 고급스러운 질감으로 가정용, 상업용 등 미래의 주거 문화 및 상업문화를 주도할 소재임을 강조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열처리 공정과 열 성형의 처리 등 천연석과 달리 디자인에 따라 원하는 성형이 가능한 가공성의 용이함을 장점으로 한다. 단색의 솔리드 계열로, 칩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샌드, 그라나이트, 쿼 츠, 그 외에 항균 그레이드인 하이진, 펄이 들어간 페르나, 신규 출시 제품군인 볼케닉스와 볼케닉스 내추럴 등으로 나뉜다. 2004년 하이막스에서 출시한 볼케닉스는 브랜드 네임에서 연상되듯이 화산이라는 컨셉을 가지고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화산암 시리즈 로, 천연대리석에 더 가까운 깊이감을 재현하기 위해 투명 대칩과 칩의 크기의 대비를 통해 은은함과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뒤이어 로하스와 웰빙을 트렌드로 하는 소비자에 적극적인 대응으로 투명칩외에 다양한 색감이 혼재되어 있는 칩인칩(chip in chip)의 마블 칩을 사용하여 천연석에서 보이는 미묘한 컬러감과 어두우면서 깊이감 있는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딥그레이, 다크 브라운 등의 무게감을 가지 며 과감한 컬러의 볼케닉스 내추럴 시리즈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MMA계열의 제품은 인테리어 트렌드나 시장 요구에 따라 신규 컬러가 추가되어 운영되거나 기존 컬러가 제외되기도 한다. 2009년 LG는 기존 인조대리석 대비 천연대리석의 질감에 가까운 고 투명 칩 및 펄감을 포함한 프리스티지 컬렉션과 천연대리석의 무정형 웨이브를 그대로 살린 마블 제품을 론칭하였다. 프리스티지 컬렉션의 컬러는 화이트, 아이보리를 기본으로 블랙, 그레이 등의 15가지 컬러와 내추럴 트렌드에 어울리는 화이트, 베이지, 그레이의 5가지 마블제품 군을 출시하였다. 프리스티지 컬렉션은 내추럴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하여 출시되었으 며 소재 또한 천연석재에서 보이는 패턴을 구현하여 시공 시에 연결 부 위가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는 LG화학 MMA아크릴계의 기존 패턴과 신규 출시 제품군 의 색상과 톤을 분석한 것이다. 색상의 위치를 보면 크게 R, YR, Y, BG, B, PB, Neutral에 분포하고 톤은 L, Dl, Lgr에 집중 분포한다. 화이트에 가까운 고명도의 Neutral 계열에 미묘한 톤의 변화를 이루고, 난색의 색상 그룹에서 폭넓게 톤이 분포하며 B계열의 색상이 타회사에 비해 다양한 분포를 가진다.

 

2.1.2. 공동주거 공간의 변모 고찰 기본적으로 집의 개념은 보금자리라는 의미로 먹고 자고 쉬는 공간과 일하는 곳을 의미하는 '오피스'라는 공간으로 분리되어왔다. 하지만 요 즘은 이 두 공간에 대한 개념이 점차 '복합 문화 공간'의 개념으로 변 화발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는, 일상은 일과 가정이라는 단순한 사이클로 구성되어있었다. 그래서 일상을 구성하는 공간은 오직 주거목적의 주거 공간, 오직 업무 목적의 업무공간 이라는 이분법적 공간구성을 만들었다. 그러나 현대인 의 일상은 자체가 복합화, 다양화된 활동들로 확대되어 이러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변화하는 것이 대세다. 2000년 이후 공동주거공간으로의 아파트는 변모된 양상을 보이며 진 화되고 있다. 획일화된 아파트의 외부공간으로 인해 내부공간의 변형 및 진화가 필요하게 되고, 아파트라는 공동주택의 개념을 탈피하는 인 식의 변화를 위해 각 건설사들은 노력하고 있다. 주거공간에서 2007년의 이슈는 "유비쿼터스, 주상복합이다. 유비쿼터 스의 시대는 첨단아파트의 시대를 열고 리모콘 하나로 제어되는 홈 네 트워크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초고층의 주상복합형은 주거공 간과 상업공간을 복합하고, 호텔외관을 접목하고 아파트 외관에 조명을 설치하는 등 주거의 고급화를 이끌었다. 이러한 주거공간의 변화는 주 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것으로 점차 변화하게 된다. 2008년은 웰빙, 로하스,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관조적인 자세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어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 그러므로 아파 트에 친환경아파트의 이미지를 도입하고 기업은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 할 뿐아니라, 사회적인 책임 및 기업시민의식을 발휘하여 친환경에 의 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서울시는 디자인이나 친환경 요소가 뛰어난 시 내 아파트에 용적률 인센티브를 최고 20%를 더 주기로 하는 등 친환경 에 대한 관심이 높아 졌다. 각 건설사는 커뮤니티 시설을 차별화 하고, 공간이동과 분할이 가능한 가변형의 벽체, 또는 사각형의 프레임을 벗 어난 삼각형 설계하는 등 아파트의 변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2009년은 주요 이슈는 고갈되는 에너지 자원에 대한 반성, 친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이다. 이로 인해 자연과 환경을 중요시 하며 “녹색에너 지”를 키워드로 에너지의 실용성과, 외관 면에서는 최고급의 호텔식의 편의 시설을 갖춘 아파트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 화 한 수납공간을 넓힌 디자인이 많이 도입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방 개수, 거실면적, 소비자가 직접 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다용도실을 창고로 설계하여 수납을 최대화 하고, 단지 안에 게스트 룸 을 만들어 이웃 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아파트의 변모를 살펴볼 수 있다. 이제 2010년 주거공간에서 주목해야 할 키워드를 살펴보도록 하자. 현대인은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공간과 시간을 원하면서도 같은 취미나 관심거리를 가진 이웃 간의 소통을 원하므로, 커뮤니티 공간은 아파트 의 차별화를 가져올 것이다. 아파트의 공통공간이 확대되는 반면, 개인 적인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는 독립된 공간 또한 늘어날 전망이다. 출입구와 엘리베이터의 분리, 동간의 거리확보 등 사생활 침해를 최소 화 할 수 있는 개인적인 유닛공간과 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이 필요에 따라 분리되거나 결합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개인의 개성이 강해지면서 공간분할 및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여, 삶의 공간도 각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커스터마이즈된 공 간으로 세분화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싱글족 을 위한 욕실의 확대, 여성의 사회참여로 전문성을 고려하여 커리어 우 먼을 위한 파우더룸의 확대, 이웃과의 정보교류를 위하여 전업주부를 위한 주방의 확대, 재택근무를 위한 주거공간내의 오피스화 등 획일화 된 공간을 탈피하고 공간구조의 맞춤화와 인테리어 스타일의 선택을 통 해 맞춤형 아파트들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커스터마이즈된 공 간은 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야 하며, 또한 인테리어 소재면에서도 차 별화를 가져와야 한다. 최근의 그린 에콜로지 개념은 건축과 인테리어에 있어서는 필수요건 이며 그 적용방식 또한 진화하고 있다. 기획단계에서, 에너지의 절감과 주변시설과의 조화로움, 또한 조경 환경을 고려하고 시스템화 하는 등 천연자원의 고갈에 대응하는 재활용산업도 에코프로젝트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근원적인 에코프로젝트, 즉 친환경에 관한 관심은 아파트의 외 관뿐만 아니라 주거공간으로 확대되어 인테리어 소재 또한 가공되지 않 는 천연의 질감을 선호하는 등 내추럴리즘에 대한 회귀현상을 보인다.

 

첨단 디지털 통제 방식에 의한 공기정화, 채광 및 온도 조절, 유해물질 흡수 차단벽지, 음이온 방출 바닥재 등의 소재는 진보하고 고급화 하고 있다. 표면 또한 다양화 되어 인공적 재료에 천연의 질감을 더해 내추 럴리즘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2.1.3. 주거환경을 움직이는 주체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1980년대 이후 여권신장과 경제성장에 힘입어 여성의 경제활동이 크 게 증대됨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역할 패턴이 커다란 변화를 맞고 있 다. 여성의 고학력화, 사회활동 범위의 증가, 가사노동의 지능화, 출산율 의 저하 등으로, 많은 여성들이 점점 많은 소득과 자유 시간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여성의 지위향상과 활동영역의 확대, 가치관 의 변화를 수반하면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생기고 있다. 그러므로 주거환경을 움직이는 주체로 자리 잡은 주부를 대상으로 사 회적 가치의 변화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파악하여 미래의 표적 시장 의 세분화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불어판 세계 언어사전에 등록된 아줌마의 정의는 “집에서 살림하는 40 대 이상의 여자들, 자녀들을 다 키운 뒤 시간과 경제적 여유가 있어 높 은 구매력을 가진 한국 특유의 집단”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 사회 관념으로 소극적이고 정보에 둔한 소외된 그룹으로서 의사결정권 이 부재한 미약한 존재로서 아줌마를 정의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21 세기 감성적 체험마케팅적 시각에서의 주부는 삶의 정보 선두자이며, 조화와 열린 사고를 지니되 현실을 디자인 할 줄 아는 진정한 소비자로 조명되고 있다.3) 이제 주거 공간 내에서도 가장 강력한 소비 주체이고 핵심세력인 주부 를 대상으로 전국조사인 대홍라이스프타일 조사를 통해 아줌마의 패러 다임 시프트(paradigm shift)로 기본 가설을 설정하고, 논문4)을 근거하 여, 중산층 아줌마의 가치관과 소비행태 기준을 마련하고 트렌드 전망 을 위해 고소득층이며 트렌드 리더지역의 주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 해 지역별 주부의 특성을 정리하고자 한다. 아줌마의 지역별 분류는 서울 압구정, 대치동, 분당, 목동, 성북/ 평창 동, 중계동으로 분류하여 고소득층 전업주부 6개 지역에서 4명씩 24명 을 개별 심층 면접 조사한 결과이다. 피험자 집단은 향후 트렌드를 전 망하기 위한 그룹으로 기준은 40평 이상의 거주자(성북/ 평창동 제외) 와 외제차를 보유하거나, 승용차 3천CC이상의 자가용을 보유, 전문직 배우자를 둔 유자녀(有子女)의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줌마에 대한 트렌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남편과의 파트너쉽을 통한 가정의 재무 관리사- 이는 가족 내의 의 사결정권 및 최고 경영자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최근의 아줌마 10명 중 현명한 주부는 양육보다 재태크를 잘해야 한 다는 생각을 가지며, 여자 행복의 가치는 남편에 의존적이었다는 가부 장적인 가치관은 점차 감소 추세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계의 수입 중 부채 상환, 자녀교육, 건강, 휴가, 쇼핑, 저축, 실 생활비 순으로 지 출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한편 실제로 압구정과 분당은 자녀교육이 1위를 차지하는데, 과거의 개념으로 내조와 헌신의 전통적인 아줌마는 아니지만 자녀교육에 힘쓰는 전통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2) HUS-FRIEND는 남편과 친구의 합성어로 종속관계가 아닌 동료역 할을 수행하는 트렌드이다. 즉 동료이자 경제적 부담을 나눠 가질 수 있는 능력 있는 여성이TV, 영화, 가요, CF 등 대중문화를 통해 반영되 는 추세이다. 조사대상의 10명 중 7명이 향후 여성의 발언권이 커질 것 이라 응답하였다. 3) 전업주부의 이미지에서 파이낸셜 매니저라고 불리며 의존적이지 않 고 자본소득에 의해 부를 창출하는 여성의 능력을 의미한다. 그 중 아 줌마의 최고 재태크 방법은 49.3%가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4) 가족의 구성원 자체가 전통적인 형태가 아니라 핵가족화 되면서 부 모중심의 가족 구성원이 아닌 자녀 중심의 구성원으로 바뀌어 가는 추세이 다. EDU-STRESS 즉 자녀교육에 있어 아이들의 경쟁이 아닌 주부의 경쟁으로 인해 바뀌어가고 있다. 5) 과거의 “대학만 나오면....”이 아닌 “대졸이 주류인”시대로 변화하여 자식이 보다나은 부와 학력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자식의 커뮤니티를 관 리하고 유지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다. 6) 네트워킹과 정보를 공유하는 성향이 있다. 7)WOM(word of mouth)아줌마들은 아줌마의 사용경험을 중시하고, 신뢰한다. 남에게 듣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

 

아줌마의 구전은 특히, 주변인을 직접 만나서, 본인이 사용한 제품에 대 한 경험을 전달하는 것에 아주 익숙하다. 이러한 구절을 Experiential 와 Ex를 합성하여 Ex-WOM(word of mouth)으로 명명한다. 아줌마 10명중 3명은 최근 1개월 내에 구전을 했고, 구전내용은 ‘직접 사용경험’과 ‘제품 만족도’를 대부분 직접 만나서 전달한다. 이처럼 주부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관점을 정리함으로써 대홍기획에 서 지역을 세분화하여 일반적인 주부가 가지는 특징을 이끌어 냈으며 이것을 적극적으로 마케팅에 응용할 수 있다. 사회적인 가치추구의 관 점이 변화해도 주부가 가장 주력하는 것은 가계의 부채상환이었고, 자 녀의 교육에 관한 투자임을 알았다. 유난히 정보에 민감하여 입소문과 적극적인 홍보를 맡는 주부는 부동산을 제테크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 었다. 이와 같이 라이프스타일은 활동영역, 관심분야, 태도 및 가치관등에 의 해서 구체화되어 나타나는 개인이나 집단의 차별화된 생활양식으로서, 서로 다른 집단이나 계층 간의 전반적인 삶의 방식에서의 차이를 조망 하려는 목적에서 주로 사용된다.5) 라이프스타일이라는 개념을 마케팅 분야에 처음 소개한 Lazer(1963) 는 라이프스타일이란 전체 또는 사회의 한 부분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 로 갖는 타인과 구별되는 특성적인 생활양식이라고 하였고, Assael(1983) 은 타인과 구별되는 개인의 성향에 근거해 라이프스타일을 정의하여 개 인의 생활, 흥미, 의견 등으로 구체화되는 생활양식이라고 하였다. 즉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이나 가족의 가치관 때문에 나타나는 다양한 생활 양식, 행동양식, 사고양식 등 생활의 모든 측면의 문화적 심리적 차이를 전체적인 형태로 나타냄을 의미한다.6)

 

3. 주거환경 소재로서 석재의 연구 3.1. 천연석의 이해 3.1.1. 천연석의 정의 및 분류 천연석은 건축과 장식적 재료로 사용 할 수 있는 석재를 의미하며 건 축적 석재와 산업적 광물로 보석과 준보석의 범위까지 포함한다. 또한 장식적 석재와 화학적 인공적 요소의 석재들을 포함한 인공적 원자재 역시도 천연석의 특징이 고려되고 있다. 천연석이 토목·건축에 본격적으로 이용된 것은 서양문화가 유입되면서 부터이고, 석재는 고가(高價)이므로 구조용 보다는 장식용으로 많이 사 용되었다. 석재는 외관이 장중·미려할 뿐만 아니라, 마모·풍화에도 강한 점이 있으나 가공이 어려운 단점을 지니고 있다. 근래에는 가공기계의 발달에 따라 석재의 이용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건축 용도로 천연석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필수 적이다. ▸양적으로 충분해야 하며 경제적으로도 효용성이 있어야 한다. ▸재료의 이동이 쉽고 접근성이 용이한 장소에 채석장이 존재해야 한 다. ▸석재의 변형이 잘 보이도록 마지막 표면처리에서 충분히 가공된 것 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심미성을 위해 열이나 기계적 취급으로 원자재의 표면처리가 가능해 야 한다. ▸석재는 결점이 없는 완벽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석재는 각각의 독창성을 갖출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7) 새로운 기술의 발전 보급으로 이러한 관점의 중요성은 점점 감소되어 가는 실정이다. 다른 기술의 진보를 통해 석재시장은 변화를 초래하였 고, 적절치 못한 커팅이나 광택으로 인해 재활용 기술이 허용되고 있다. 1) 지리학적 분류방법 지리학적 분류방법은 암석의 생성과정에 의해 근거하며 석재의 표면, 물리적 화학적 광물적인 유사성, 각각의 특징과 함께 속하는 여러 명칭 의 암석으로 구분된다. 생성장소와 기간 역시 각각 달라 명칭이 동일해 도 산지에 의해 다른 물성과 특성을 지니지만 산지와 표면색을 기준으 로 명명된다. 암석은 생성과정에 의해 광물학적으로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으로 분 류된다. 화성암은 지하 심부에서 발생하는 고온 융해 상태의 마그마가 식으면서 생기는 암석으로 지표면에 분출된 상태에서 식느냐(화산암) 아니면 지표아래, 즉 땅속에서 식느냐(심성암)에 따라 차이가 난다. 가 장 큰 이유는 냉각속도로 지표면에서 빨리 식은 유문암, 현무암 등은 광물들이 결정을 이룰 시간이 충분히 없었기 때문에 결정이 보이지 않 고, 그에 반해 심성암에 포함되는 화강암, 섬록암은 결정이 크다. 일반적으로 화성암과 퇴적암은 높은 열과 강한 압력을 받아 성질이 변 한 변성암이 되며 화학조성은 일반적으로 바뀌지 않지만 바뀌는 경우도 가끔 있다. 퇴적암은 풍화한 암석편, 광물편, 화산분출물, 조개, 산호 등 각종 다 양한 물질이 물속에서 퇴적되어 굳어진 암석으로 이암, 역암, 사암, 석 회암 등이 있다. 역암은 입자가 굵고 자갈들도 박혀 있다. 강도도 상당하지만 시멘트 제조 외에는 많이 이용되지 않는다. 사암은 역암보다 작은 입자로 이루 어져 있다. 대부분 모래입자로 강도는 역암보다 약하지만, 서양의 건물 들 중에는 이 사암으로 지어진 오래된 건물들이 많이 있다. 이암은 입자가 매우 곱다. 진흙입자로 이루어져 강도도 사암보다 약하 다. 쇠못으로 긁으면 쉽게 홈이 패이고, 석회암은 대부분 바다 속에서 조개껍질, 생선뼈 등 석회질이 축적되어 생성되며 고지대에서 석회암층 이 발견되면 과거에 그 지역이 바다속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변성암은 화성암과 퇴적암이 생성되었을 때, 다른 압력과 온도 아래에 놓여져, 광물조성과 암석조직의 구조가 변화하여 변성작용을 받은 암석 이다. 지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조직과 화학적, 광물조합 등으로 분 류된다. 변성암은 지표 아래 깊은 곳에서 높은 온도와 위에 놓인 층들 의 높은 압력을 받아 만들어질 수도 있고, 수평적 압력, 대륙의 충돌과 같은 과정에 의해 동반된 마찰, 뒤틀림, 압력 등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관입한 마그마 주변의 암석이 열을 받아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결정이 일정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서 얇고, 부서지기 쉬운 것과, 고온에 서의 변성작용에 의해 단단한 암석이 많다. 침식과 융기에 의해 지표에 노출된 변성암의 예로는 줄무늬구조가 발달한 편마암 및 대리석이 대표 적이고, 슬레이트, 석영편암, 운모편암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천연석을 지리학적으로 구분하였지만 수많은 석재의 채석과 동시에 포함하는 광물의 유사성을 가진 석재라 할지라도 세월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예측하기 어렵고 또한 변형진행중인 석재가 있으므로 이 러한 분류법은 난해하다. 는 지리적인 구분으로 석재의 종류, 색, 모양, 질감, 물성 등에 대해서 정리한 것으로 석재는 산지에 의해 명명되는 것이 많고 수입업 자에 따라서 명칭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기본적인 석재의 종류와 대 표적인 명칭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8)

 

2) 상업적 분류방법 위와 같이 천연석을 지리학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광물의 변성 시간을 예측할 수 없으며 변형이 진행되는 중간 과정의 것을 기준으로 정리하 기에 석재의 구분은 난해하다.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형성되는 건축외 장용 천연석은 상업적 분류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증가 하고 있는 추세 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첫 번째는, 끊임없이 증가하는 천연석의 수는 이미 알려진 원석 외에 산출이 불가능한 지역의 천연석 또한 새로운 기계와 도구의 발전으로 개척이 가능하게 되었다. 두 번째는, 새롭게 산출된 천연석은 연마 공정을 통해 실용화되고 있 으며 더욱 다양한 질감과 문양의 처리가 가능해지므로 공급과잉으로 시 장에서의 가격이 낮게 책정되기 때문이다.

 

즉 기술적 진보와 시장의 요구에 의해서 공급이 증가하고 수요자와 공 급자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 새롭게 채석된 석재는 디자이너와 건축가의 요구대로 생산자와 공급자 에게 세계 각 국으로 보내진다. 그들은 연마기술과 심미적 질을 고려하 여 석재를 건축물과 다양한 디자인에 적용하고 테스트 공정을 거치게 된다. 처음의 채석 과정에서 마지막 연마 과정, 적용을 통해 테스트를 거친 새로운 석재는 천연석의 종류를 늘림과 동시에 시장에서 상업적인 성공 가능성의 판단기준이 된다. 석재의 특징은 내구성, 내화성이 좋고, 압축 강도가 높고, 가공에 의해 뛰어난 외관미를 얻을 수 있으며, 재질적으로 결정도가 높고, 흡수율이 낮으며, 내산·내구성이 있고 표면이 잘 오염되지 않는 것이 최상이며 외 관상으로도 조직이 균일하고 얼룩이 없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장에서의 천연석 분류기준은 다소 모호하지만 대량생산성 과 대중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시장성을 고려하여 대리석(marble), 화 강석(granite), 그리고 그 외의 석재인 석회암(limestone), 오닉스(onyx), 트래버틴(Travertine), 규암(quartite) 등으로 나눈다.

 

3.1.2. 천연석의 컬러 및 패턴 컬러는 석재의 질을 가장 잘 드러내는 도구이다. 하지만 자연에서 추 출된 석재의 색은 한 가지 색으로 설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어 석재의 바탕색이 흰색이고 이차색으로 석재의 무늬, 즉 패 턴을 나타내는 줄무늬가 있다면 무늬를 구성하는 석재의 컬러 또한 중 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이것은 재료에 있어 희귀성과 관련이 있으며 석 재의 표면색이 같은 빈도로 보일 수 없기 때문에 시장에서 석재의 가격 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가 된다. 석재의 색은 주로 포함된 광물(조암광물)이나 유기물에 의해서 결정된 다.

 

또한 같은 석재라 할지라도, 연마 방법에 따라 톤의 미묘한 차이를 나 타낼 수 있지만 본 장에서는 연마방법을 제외한 천연석의 바탕색, 즉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색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1) 대리석(marble) 대리석(大理石, marble)은 대부분 방해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석회암이 나 백운암이 변성을 받아 생긴 변성암의 한 종류이다. 중국 윈난성[雲 南省]에 있는 대리부(大理府)라는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실제의 산지는 점창산(點蒼山)으로서 중국에서는 점창석이라 하며 변성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흰색과 갈색, 그리고 표면에 비정형의 무늬를 띠고 있다. 대리석은 색과 무늬가 아름다워서 장식용 건설 재료를 비롯하여 조각 용, 도예용 등으로 이용된다. 가장 좋은 대리석이 발굴되는 곳은 이탈리 아로 탄산염질 퇴적암인 석회암이나 백운암이 광역 변성 작용, 때로는 접촉 변성작용에 의해 만들어진다.

 

대리석은 폭넓은 영역으로 구성된다. 어떤 재료는 독립적 영역으로 구 분되기도 하지만, 대리석을 이루는 여러 광물 중 어느 종류 하나는 함 유된 성분이 같아서 대리석의 범주에 포함되거나 또 다른 종류의 광물 은 변성을 받아 암석화되는 진행과정 중의 광물일 수도 있다. 대리석의 컬러는 대부분의 유기물, 황철석(黃鐵石, pyrite), 갈철석(褐 鐵石, limonite) 및 소량의 규산염 광물들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광물 때문에 컬러가 다채로워진다. 이외에도 흰색이나 엷은 녹색의 투휘석(透輝石, diopside)도 흔히 발견 되고 흰 엽편이 있는 투각섬석이나 엷은 녹색의 양기석(陽起石)도 볼 수 있다. 대리석은 종종 운모편암·천매암·편마암·백립암과 같은 변성암에 협재 되어 발견되며 습곡작용을 심하게 받았거나 화성암이 관입한 지역에 깊 이 묻혔던 지각의 오래된 층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런 변성지역에서는 흔히 화석에 많이 들어 있는 석회암이 순수한 대리석의 결정으로 변한 다. 때로는 이탈리아 카라라와 노르웨이 베르겐에서처럼 암석이 재결정되 어도 유기물의 구조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생성 된 암석을 대리석 또는 결정질 석회암이라 하며,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암석은 설탕처럼 보이는 조직을 나타내는 균등한 입자를 가진 암석이 다. 대리석의 종류는 몇 백 종류로 추정된다. 운반비, 시공비 때문에 가격 이 비싸진 것이지 원래 가격은 생각보다 훨씬 저렴하다. 대리석은 광택 마감, 무광택마감으로 구분되며, 계단, 내벽, 로비, 현관, 거실 등 주거 공간에 쓰인다. 대리석은 전체적인 분위기가 고풍스럽고 단아한 느낌, 포근한 느낌을 주어 건축용도 외에 조형물, 식탁, 장신구에도 쓰인다. 고품질의 대리석은 절단된 규격이 너무 작거나, 흠이 없고 스크래치 와 연결이음새가 없어야 한다. 대리석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이물질이 없는 하얀 대리석이 고급스럽다. 보티치노의 경우 흠이 없고 전체적으로 깨끗해야 한다. 대리석 시공 시 공극이 있으므로 바닥용도의 경우 배면방수를 기본으로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배면의 습기나 산화성분 등의 이유로 황변이 오고, 제거 도 힘들어 부식되기 쉽다. 석회암이 재결정 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 지는 대리석이 그렇듯 대부 분의 변성암들은 원래의 암석보다 강해진다. 대리석은 천연석 이미지 수집 결과 화강석 다음으로 그 수가 많으며, 다른 석재의 대부분이 컬러가 양분화되는 반면 대리석은 넓은 색상의 영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을 보면 R에서 Y까지의 Vp 톤의 고명도․저채도에 밝은 베이 지 느낌을 제외하고는 L, Lgr, Gr, Dl, Dp Dk 톤에 위치한다. 색상은 GY, P, RP의 영역을 제외한 컬러영역에서 분포한다.

 

2) 화강석(granite) 건축물의 외장재는 대부분이 화강석이다. 회색빛 나는 화강석도 종류 가 매우 많다. 포천석, 마천석, 문경석 등 모스경도가 다이아10, 화강석 7, 대리석 3이다. 이와 같이 화강석은 경도가 좋아서 건축물의 외장이 나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석재이다. 그러나 화강석의 특성상 삼투압으로 습기가 1.2m까지 올라올 수 있다. 습기가 올라올 경우 제거 가 힘들어 발수제를 도포하여야 하며 방수를 반드시 해주어야 한다. 화강암은 석영, 알칼리 장석, 사장석, 흑운모, 백운모, 각섬석등 다양한 광물 조성을 보이지만 대체로 반투명한 석영, 밝은 색의 장석류로 구성 된다. 물론 화강암도 종류에 따라서 분홍색 등을 띄는 것도 있지만 이 것도 광물의 종류에 따라 색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화강석은 지중에서 굳어 생겨난 심성암이므로 마그마가 천천히 식어서 만들어진 암석으로 광물들이 성장할 시간 여유가 많아 입자가 큰 (현정 질의) 모양을 가지게 된다. 는 천연석재 중 가장 출현 빈도수가 높은 화강석의 Hue & Tone 분석표이다. 색상이 3영역으로 나눠짐을 알 수 있다. Neutral 계 열의 명도의 변화로 세분화 되어 분포하며 유채색으로는 R, YR, Y의 난색과 BG, B, PB 등의 한색으로 나눠진다. 그러나 난색에서는 Lgr에 서 L, Gr톤의 밝은 느낌과 입자크기의 밀도감과 깊이가 느껴지는 Dl, Dp, Dk 톤에 주로 분포한다.

 

3) 석회암(limestone) 석회암은 지리적인 구분으로 퇴적암의 영역이기도 하고 진행과정으로 해석하면 대리석 그룹에 속한다. 이처럼 석회암은 대리석을 구성하는 물질이지만 재결정작용을 받는 동안 층리·화석 및 다른 퇴적암의 특징 이 대부분 사라진다. 대리석 부분에서 폭넓게 해석되는 석재로 지리학적 선봉에 의거해 석 회암의 컬러가 노랑과 회색으로 구분된다. 밀도는 대체적으로 정밀하며 침전물의 재료 때문에 작은 조개의 화석이 종종 발견되기도 한다. 석회암은 물속에 녹아 있던 탄산가스를 산호나 다른 바다 조류가 골격 으로 사용하기 위해 탄산칼슘의 결정으로 모아 암석화된 것이다. 결국 이산화탄소가 뭉쳐져 바위로 변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녹아있는 물 에 반응하면 용식작용이 일어난다. 우리나라의 석회암 지대에 삼엽충과 같은 고생대 생물의 화석이 발견 되고 고생대 때 퇴적된 퇴적암 층에서 석회암을 발견할 수 있다. 산호는 수없이 많은 개체가 모여 거대한 군락을 형성한다. 산호의 딱 딱한 나뭇가지 모양은 주로 산호의 골격이다. 산호의 유충은 자라면서 바위 위에 붙어서 단단한 골격을 만드는데, 이때 사용하는 주성분이 탄 산칼슘이다. 이렇게 산호와 패류 그리고 여러 종류의 해조류들이 모여 원시바다에서 군락을 형성하면서 이산화탄소를 석회암으로 변화시킨다. 을 보면 석회암은 색상의 구별이 베이지 계열이 출현빈도수가 높으나 색상은 YR, Y와 B, PB로 구분된다. B, PB의 한색의 영역이지만 채도가 낮기 때문에 Cool Gray처럼 차가 운 석재의 표면색을 보인다.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신뢰성과 더불어 변하지 않는 인간의 감성을 모두 충족하길 원하는 혼성(Hybrid)소비자의 다원화된 욕구가 나타나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을 비롯한 디지털의 발전은 경험하지 못한 가상의 공간을 가능 하게 했다.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차가운 디지털환경을 제공하지만 인간 은 동시에 아날로그적 감성을 보유하며 주체적이고 낙관적인 환경을 갈 망하게 된다. 주거 공간 또한 단순한 기능에 의해 분할되는 공간이 아닌 사회 문화 를 반영하고 거주자가 추구하는 자유로운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융합되 는 컨버전스(Convergence)를 지향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편의에 의 해 독립된 유닛(Unit)으로써 분리되는 공간을 지향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현재의 소비자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측면과 전통을 추 구하기도 하며, 금기시 되었던 것에 대해 개성을 추구 하는 등 경계를 넘나들며 현명한 커넥터(Connector)가 되기도 한다.1) 그러므로 기업은 제품 생산의 기술력을 보유함은 물론 다양한 색상, 디자인 소재, 표면처리 기술 등 차별화된 전략으로 소비자들의 니즈 (Needs)를 파악함과 동시에 이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업은 소비자 를 만족시키는 제품을 생산함과 동시에, 사회적인 책임감과 환경에 대 한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 인간을 둘러싼 자연환경에 대한 보호, 천 연재료의 고갈 등을 대처할 만한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여야 하고 다양 화된 디자인을 시도하는 실험적인 의지를 가져야 한다. 기업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디자인과 소재는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것이다. 인테리어 소재 중 인조대리석의 활용분화가 최근 넓어지는 추세이다. 인조대리석은 건물의 외벽에 주로 사용되는 천연석을 대체하며 주거 공 간 내에 주로 사용된다. 미려한 외관과 우수한 가공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대리석에 비하여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임의적인 형상 및 색상 패턴을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에 따라 주 방용 상판, 카운터 테이블, 내벽재, 욕조, 싱크볼, 세면대 등 각종 인테 리어 소재로 두루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용도 면에서 볼 때, 주로 주 방 상판과 욕실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물의 내벽 및 인테리 어 소재로의 활용은 다소 미약한 편이다. 이렇게 다양한 인조대리석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활용이 미약한 원인 은 트렌드의 소재에 맞추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벽지 및 인테리어 소 재에 비하여, 인조대리석은 천연석과 유사해야한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 으며, 주거공간에서 사용될 경우 벽지, 가구 등에 종속된 개념의 소재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인조대리석이 천연석과 유사해야한다는 근본적인 생각은 천연석에서 보이는 컬러의 자연스러움과 세월의 흔적, 단층의 구조, 지각의 변동, 지층의 깊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긴 표면을 재현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기술력, 경제성, 설비의 과정, 시장성의 기타 여 건으로 인해 현재는 천연석 가운데, 화강석의 외관과 유사한 표면재현 이 가장 대중화 되어있는 실정이다.

 

물론 현재 눈에 보이는 이익을 추구하는 것만이 현실적인 대응일 수 있지만 기술력에 대한 진보는 이미 포화 상태이다. 따라서 아이디어와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혁신만이 또 다른 대중화된 아이템을 만들 수 있 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계속해서 독립적인 인테리어 소재로써 인조 대리석의 적용 범주를 확대해 나가며 활용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조대리석에 관한 유사 문헌 연구로는, 2006년에 산업자원부의 지원 을 받아 작성된 “다기능성 건축용 인조석판 제조 상용화 연구”가 있다. 이는 디자인적 관점이 아닌 건축용 소재로서 설비 공정에 관한 연구의 관점에 치중되어있다. 2008년 송주연은 분양가 상환제도로 인해 인조대 리석의 고급화가 가능할지를 화학저널에 개재하였고, 김영호는 “친환경 인조대리석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그 외 다수의 논 문은 설비공정 또는 대리석을 건축자재로 평가하여 인조대리석의 칩과 합성, 기술적인 접근으로 인조대리석을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이 설비 공 정, 또는 건축 소재의 일부로 물성적인 특성을 분류하는 수준에서 인조 대리석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뤘을 뿐, 인테리어 소재인 인조대리석을 미적 관점과 컬러와 디자인의 관점으로 다룬 시도는 미미 한 편이다. 2009년 트렌드의 흐름은 크게 4가지로 핵심 키워드를 잡아 볼 수 있 다. 우선 ‘웰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과거에 비해 근원적 본질을 탐구하며 내추럴함을 극대화 하고 감성적 소재 사용이 더욱 확대되었다. 다음으로 자연과 테크놀러지를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다. 또한 대한민국의 문제만이 아닌 세계적 차원의 문제로 지적되고 고 민하고 있는 환경문제와 자원고갈문제에 발맞추어 사회 윤리의식을 바 탕으로 한 친환경 제품 구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삶의 방식은 개인화 현상이 과거보다 더욱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 문화 적 현상이 인테리어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우선 트렌드의 복합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미니멀 스타일을 지향하는 mix&match가 나타나며 풍부한 컬러감과 함께 천연 소재뿐만 아니라 다른 소재와의 결합을 시 도한 인테리어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본 연구자는 2003년 “패션디 자인에 반영된 Bobos 현상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를 쓰며, 한국인이 가지는 트렌드에 대한 조사를 하였으며, 그것이 패션 소 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당시 연구한 논문에 의하면 보보스의 특징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특징은, 어 울리지 않을 것 같은 것들을 서로 조화시켜 나름의 멋을 추구하는 ‘Mix & Match'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특징은, 자연친 화적이고 고전적이되 저급해보여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마지막 세 번 째 특징은, 예술적인 것에 대한 동경을 담고 있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감성이 따뜻한 사람’임을 강조하고 순수한, 편안한, 자연적인, 따뜻한, 고풍스러운, 단순한, 유기적인, 장인적인, 독특한, 진실한등과 같은 단어 를 좋아하는 특징도 나타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2000년 초․중반 트렌드의 흐름과 2000년 후 반의 트렌드는 완전히 달라지거나 대조적 모습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 라, 현재까지도 그 흐름과 맥락은 이어지고 있다. 그것은 크게 4가지로 요약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친환경 코드이다. 가공하지 않은 물성을 사 용하므로 고급화를 지향하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 녹색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그 비중이 더욱 커지 것으로 예상되는 이것은 환경오 염과 자원 고갈의 문제를 사회적 차원에서 함께 고민한다는 것이다. 따 라서 내추럴의 극대화로 자연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게 하며 친환경 제 품을 사용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윤리의식도 함양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추럴리즘의 확대를 볼 수 있다. 고감도의 테크놀러지를 통한 내추럴 환경을 유지하려고 하고 감성소재와 시각, 촉각 등 인간의 본능에 호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같은, 학문적인 바탕을 근거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향으 로 개발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인조대리석이 가지는 과제 즉 천 연석과 유사해야 한다는 점을 반영하여 천연석 표면의 컬러와 패턴을 통해 천연석에 가까운 인조대리석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향후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두고, 기존의 인조대리석이 가지는 석재의 차가움 과 대비되는 시각적 따뜻함과 촉각적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는 섬유직 물의 패턴과 소재를 응용하여 인조대리석의 개발가능성의 범위를 확대 하는 등 인테리어트렌드를 반영한 인조대리석의 컬러 및 패턴 디자인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의 사회문화적 고찰과 주거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사회문화적인 가치관을 고려하여 주거환경을 움직이는 주체인 주부를 지역별로 분화하여 조사한 대홍기획의 보고서 자료를 트렌드에 맞게 인용하였다. 최근 인테리어 트렌드는 역시 친환경에 기초한 자재의 사용을 소비자 의 건강과 환경을 유지 보전, 산업경쟁력의 제고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 다. 본 연구는 인조대리석의 주거용 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확대하고 섬유 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표면처리의 다양화를 위해 트렌드 분석, 웹사이 트 검색, 업체 카탈로그, 각종 문헌 등을 통해 석재의 이해, 응용, 디자 인화 등 단계 별로 소재적인 측면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인조대리석은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천연석의 대체품으로 개발 되기 시작했다. 이후 기능적인 장점으로 인해 점점 사용범위가 확대되 어는 추세이다. 이미 미국의 듀폰이 인조대리석의 인지도 있는 그룹으 로 국내의 제일모직, 엘지 하우시스, 한화L&C 와 경쟁구도를 가지며 인조대리석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 인조대리석 생산업체는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마케팅의 일환 으로 유해물질과 친환경에 근접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신제품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일반 소비자들의 높은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 하여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욕구와 차별화된 미의식을 지향하고 있기 때 문이다. 사용자의 편의성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차별화 된 미의식을 만족시키 고자 하는 기업의 노력은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소재를 탄생시킬 수 있 으며 이것은 나아가 기업의 장기적 발전과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는 산 업경쟁력을 높이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인조 대리석이 가지는 특징과 장점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재로서의 가능 성을 유도하여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는 기대를 전제하고 있다. 또한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소재가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하고 섬유소재를 이용하여 독립적인 공간 안에서 주도 할 수 있는 소재가 되기를 디자인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미래를 예측하여 시장을 형성하는 것은 사회전반의 모든 분야에서 이 뤄지고 있다. 정확한 미래의 예측과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사 회전반의 노력도 앞 다투어 행해지고 있다. 주거 환경에서도 현 시장 환경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를 관망하는 트렌드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양화 되고 분화되고 있는, 그래서 우리 눈에 읽을 수 없는 신선함과 새로움을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전략으로 디자인의 방향을 전개하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2003년 연구와 현 논문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연구의 바탕이 되는 배경 및 목적을 밝히고 구체적인 연구의 범위와 방 법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인 배경인 라이프스타일의 사회문화적인 고 찰부분으로, 주거환경의 변화, 주거환경을 움직이는 주체의 라이프스타 일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주거환경의 변화는 인간 생활의 안식처인 주택의 변화를 분석적으로 고찰하며, 주거환경을 움직이는 주체의 의식 변화에서는 주거 공간 인테리어의 직접적인 소비계층인 주부에 관한 대 홍기획의 보고서와 제일모직2009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전망을 인용정리 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석재를 천연석과 현재 유통되는 인조대리석으로 나눠서 분 석한다. 먼저 천연석을 상업적으로 많이 출연하는 빈도에 의해 분류하여 컬러 와 패턴으로 정리한 후 천연석과 유사한 인조대리석 디자인의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국내외 운용중인 인조대리석 색상팔레트 를 조사한다. 또한 석재 표면처리 다양화의 사례로 2009년 이탈리아의 MARMOACC 석재전시의 동향을 살펴보고 다양한 표면처리 디자인제 안으로 섬유의 조직에 의한 것과 그 외에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한 디 자인을 제안하여 소재로서 차별화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2008년에서 2010년까지의 인테리어 컬러트렌드의 변화를 정보지, 웹사이트, 문헌을 통해 분석하여 공통되는 경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인테리어 컬러는 2008년에서 2010년의 컬러와 톤의 변화를 살펴 보고 인조대리석의 디자인 개발방향의 컬러범위를 정하고자 한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고 5장의 디자인 개발 방향의 테마를 3가지로 나 누어 제안한다. 5장에서는, 인조대리석의 컬러 패턴 디자인 개발 제안으로 2장의 라이 프스타일의 사회문화적 고찰을 통해 다양한 소재와의 결함된 인조대리 석의 컬러 및 패턴디자인을 제시한다. 또한 인테리어 컬러트렌드를 반 영하고 3장에서 천연석의 컬러와 패턴을 근거로 하여 천연석과 유사한 컬러와 패턴의 이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6장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현황들에 대한 분석의 결론을 종합하고 향 후 인조대리석의 컬러 디자인이나 패턴 개발이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범주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 람으로 제언한다.

 

2. 라이프스타일의 사회문화적 고찰 본 장에서는 사회 문화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라이프스타일의 고찰에 앞서 2000년 초․중반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지속적인 흐름으로 전 개 되는 내추럴리즘에 관한 트렌드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에 정리하고자 한다.

 

2.1. 주거환경의 변화 2.1.1. 주거 환경과 공간인테리어 트렌트의 변천 인간 생활의 필수적인 안식처로써 주택은 사회내의 최소 구성단위인 가족을 비롯하여 이웃과 함께 생활하는 공동의 집단형태로 발전해 왔 다. 주택은 군락을 형성하여 오늘날의 공동주거 환경인 아파트의 모습으로 진화 되었으며, 주거환경에서 인간의 ‘안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불편한 주택 구조의 개선과 함께 주거환경에 관해 연구 또한 발전되어 왔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주거 형식은 공동 주거의 특성상 타 주거공간에 비해 외부의 환경이 획일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외관 및 외부 공간 보다 내부 공간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주거"는 삶의 기본바탕으로 우리의 생활과 분리되지 않으며, 밀접한 영향 관계에 있다. 주거의 형태는 항상 특정한 형태로 머물러 있는 것 이 아니라 역사적인 흐름, 인간의 욕구, 사회 문화의 변동에 따라 끊임 없이 변화하며 개선되었다. 또한 주거공간에 대한 사고와 인식도 변화 되어 주거공간이 삶을 위한 생활의 터전에서 자신의 개성 있는 삶의 방 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변화되었다. "주거"란 "사는 곳", "살고 있는 곳", 또는 "살림살이하는 곳",을 의미 한다. 이는 "집"을 뜻하면서 우리의 "환경"도 포함되는 포괄적인 의미 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항상 보다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을 추구하 므로 일반적으로 주거는 다양한 기능들이 만족되어야 하며, 이는 그곳 에서 살고 있는 인간의 욕구와 일치한다.

 

아파트는 서구의 주거형태에서 도입되었을 뿐만 아니라, 주거생활개선 이라는 차원에서 서구의 생활양식을 모방하려 하였기 때문에, 도입초기 에는 공간의 분할, 입식구조 등 서양의 생활양식을 토대로 그 형태가 구성되었다. 이후 이러한 형태는 한국인의 전통생활양식과 결합되면서, 일부는 주거환경의 변화를 유도하였고, 일부는 전통의 개조, 전통과 현 대의 혼합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것은 인간과 환경을 고려할 때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면서, 우리 의 주거문화에 적합한 새로운 유형으로 변화, 진화되고 있음을 뜻한다. 현대의 일반적 주거형태인 아파트는, 도입 초기인 1960년대에는, 심각 한 주택문화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었기 때문에 서민층을 대상으로 한 아파트가 주종을 이루었다. 1970년대에는, 생활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중산층이 선호하게 되어 아파트가 대형화와 고급화되는 경향을 띠게 되 었다. 1980년대에는, 아파트가 보편화되는 추세에 힘입어 평면 및 크기 가 다양해졌으며, 그동안 문제시되었던 대단위 단지화에 따른 단조로움, 교통, 고밀도화 등의 주거환경 문제를 개선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 다. 과거 아파트 주거구조는 거주자의 생활양식을 건축가와 디자이너의 의 도대로 유도된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만, 1990년대에는 주문식 평면형이 나 선택사양제도 및 사용자의 의견이나 설계안을 수용하는 등 거주자들 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였으며, 2000년 이후 호텔식 아파트, 친환경 아파트, 펜트하우스, 타운하우스 등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의 개성을 반 영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산업사회에서 공중보건, 의약발달,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독신가구 및 노령인구의 증가 또는 주거 수요 유형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데, 독신 자용 주택과 실버타운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여성의 지위 향상과 취업증가로 라이프스타일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응하는 대안으로 가족중심의 생활공간으로 주방공 간이 제안되며, 침실면적 감소와 주거환경에서, 주방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한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성화되고 있 다. 이로 인해 고급화된 가전제품과 가사노동의 감소, 핵가족화에 따른 지위상향으로 남편들도 가사를 돕는다는 개념이 당연한 것처럼 되고 있 다. 이것은 고학력화로 인한 이들의 능력을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 가하기 때문이다. 소득 및 소비수준의 향상과 3차 산업의 소프트화, 서비스화에 따라서 전문적인 직업, 기술적 직업종사자가 크게 늘어나는 직업의 다변화와 더불어 노동시간의 변화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대는 스튜디오형 아파트 와 호텔형 아파트 등, 다양한 수요계층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생활공간 의 아파트를 만드는데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게 된다.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환경에 대한 의식과 요구가 다양화되 고,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양식에 따른 주공간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업체들은 분양을 위한 자구책으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차별화 전략 을 도입하고 있다. 공간 기획형 아파트, 전통과 현대의 혼합, 재료의 믹스 등 전략에 따 라, 인테리어 소재는 진화하며 또한 친환경에 대한 사회고조 분위기로 인해 물성과 환경에 관해 기업이 책임의식을 가지고 주거환경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인테리어 소재의 변화는 아파트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주거 소비자의개 성을 연출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현대에는 무궁무진한 인테리어 소재가 존재한다. 외형적으로 단순한 아파트의 외장과 다르게 내장은 가족의 구성과 필요에 의해 결합되기도 하고 변형이 가능해야 한다.

 

1980년대 대형 평형을 효시로 인조석 마감재로 바닥을 처리한 사례가 있었다. 1990대 부터 바닥마감재를 천연대리석이나 인조대리석 등으로 꾸며 마감방식이 천연소재의 활용과 고급화 경향을 보였다. 평형의 대 형화 추세로 건강 및 휴식의 기능을 취하고, 고급화형 주거형태를 선호 하고 수입브랜드에 선호를 보이며, 차별화를 중요하게 여기게 된다. 이러한 천연소재는 친환경 즉 가공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이것은 고급 스러움을 추구하는 이미지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로 인해 나무결, 스틸, 돌, 섬유 등의 원재료의 혼합과 믹스가 성행 했다. 2000년 이후 주거공간의 트렌드는 모던과, 네추럴을 베이스로 젠, 믹스매치, 로맨틱, 클래식, 퓨전 등의 트렌드를 혼재되어 있는 양식으로 전환된다. 미래 주거환경은 ‘가족이 모여 사는 공간’의 기본적인 의미를 넘어서 자신의 필요에 의해 기능을 추가하고 공간을 분할할 수 있는 문화형식 을 갖는 쪽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여러 가지 트렌드의 혼합과 믹스를 통해 더 이상의 트렌드를 쫒는 것 이 무의미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한국인이 가지는 라이프스타일과 트 렌드를 정리하여 주거환경의 변화된 의미를 찾고자 한다. 제일기획의 “2009년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트렌드 전망” 조 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의 소비 트렌드의 키워드를 “분구필합(分久必 合)”이라 전망하고 있다. 분구필합이라 함은 중국인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말로 삼국지에서 '천하대세'가 '분구필합(分久必合)'이요 '합구필분合久必分'이라는 말이 나온다. 이 의미는 천하의 대세가 나누어진 것이 오래되면 반드시 다시 합해지고 합쳐진 곳이 오래되면 반드시 다시 나뉜다는 뜻으로 역사는 끊임없는 분열과 통합의 연속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2) 이들 4가지의 가치를 살펴보면 분(分)은 기존의 대중적인 명품을 의미 하는 매스티지(masstige)가 퇴보하고 소비의 극심한 양극화 현상을 보 이는 것을 뜻한다. 또한 대중화된 소비패턴이 아닌 초고가 저 관여 명 품의 지속적인 출현과 개인적인 소비의 기준으로는 제품은 점점 소형화 되고 자신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자신을 이입할 수 있는 개인상품이 증가 되는 반면, 초고가의 상품은 그대로 존재하는 등 양극 화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즉 이전의 소비자패턴을 보면 소득 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합리 적인 소비의 경향을 보였으나 지금은 법칙이 통하지 않는 시기이다. 수 입

 

고가 명품에 대한 막연한 환상이 사라지고 “ 자기만족적 가치” 에 따라 업 다운 (up-down)을 결정하는 “가치소비 시대” 가 도래한 것이 다. 구(久)는 불황으로 인해 점점 더 사람들의 마음은 황량해 지고 이 시 기 추억의 재발견과 재구성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연 탄, 장판 등에 대한 추억을 상기시키며 절약이란 단어를 떠올릴 수 있 는 과거 회귀형 상품이 등장할 전망이다. 유통은 맞춤형, 스킨쉽 서비스 라 하여 다소 생소한 어휘지만 사람들의 마음에 위로를 담을 수 있는 방문 판매형 유통이 증가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필(必)은 구매패턴에 관한 것으로 구매 전 사전 정보 탐색과 브랜드에 대한 의존도는 증가할 것이며, 기본적인 인간의 본능에 호소하는 광고 가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본능이라는 것은 사고를 요하는 것이 아닌 생각의 여지를 남김과 호기심을 유발하고 스토리를 감춘 상태에서 인간 의 감성 등 본능에 호소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합(合)은 가족을 위한 지속적인 소비와 번들 상품 및 묶 음, 공동구매, 또는 퓨전 형태의 제품들이 많이 등장할 것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분구필합”이라는 단어에서 보여지듯, 오늘날의 시대는 트 렌드가 무엇일까 고민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시기일 수도 있다는 생 각을 하게 할 만큼 다양화 되었다. 트렌드를 알기 위해서 트렌드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과거에 양극화 양상이나 분열 현상은 합쳐지는 반면, 오랫동안의 관계를 지속해 오던 것은 새롭게 세분화 될 수 있어야 트렌 드는 지속될 것이다. 우리의 주거환경 또한 트렌드와 일맥상통한다고 말 할 수 있다. 전통 방식의 주거형태에서 오늘날의 공동주거 형태의 아파트, 또는 고급화되 고 개성을 창출하는 공간으로 시대에 따라 그 의미는 변모하고 있다. 즉 주거공간은 서구화된 주택과 전통의 한옥을 퓨전으로 결합하는 반 면 가치관은 분리된 가족관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효(孝)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높은 교육열과 내 집 마련을 필수로 생각하는 전통적인 가족 관을 고수하던 세대는, 나이보다 능력, 직장보다 직업 물질주의를 중요 하게 생각하는 실리형 인간으로 1인의 독신자 가족 형태로 분리되고 있 다. 그리고 그 안에서 문제와 직장 내의 공동체의식, 책임의식을 가지는 반면 소비의 행태는 개인이 부여하는 곳에 최고의 소비를 한다. 주거공간에서는 주방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는 주방의 의미가 단순 히 기능적인 의미의 주부의 노동 장소에서 가족공동의 단란의 장소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거실 내에 위치하던 진열장이 주방에 자리를 잡고 주방가구의 형태도 일률적이고 직선적구조의 ‘유니트 키친’에서 다양한 넓이의 공간에 활용 할 수 있는 시스템키친으로, 더 나아가 자동화, 지능화된 기능적 형태의 주방으로 발달하고 있다. 향후 주방, 거실, 안방 등의 개념이 모두 사라 지고 자신의 필요의지에 의해 공간이 연출되는 유닛트의 결합에 의한 공간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과거 주방공간의 인테리어 소재로 돌아보면 1970년대 방식은 거실마 감방식의 연계라고 할 수 있었다. 13평형, 17평형 등은 거실과 주방 간 에 공간구분이 없이 통합적인 공간구성을 하고 있었으며, 폐쇄적이고 동선의 마지막에 위치하던 부엌을 실내로 적극 유입하게 되었다. 1980~1990년대로 갈수록 주거 공간 내 주방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거실과 주방이 모두 분리되어 독립성이 유지되며, 30평 이상 규모에서 는 독립된 기능을 중시한 형태로 변화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공간의 변화는 보였으나, 마감방식의 변화는 1990년 중반까지 변화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 이후 30평형 이상 아파트에 적용된 시스템키친을 살펴 보면, 수입브랜드가 과반수이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브랜드의 시스템키친을 사용하였지만 내장된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수입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신도시 건설 당시 발코니의 한두 평 공간을 이용해 만든 보조주방이 이제는 제2의 주방으로 확대되어, 세탁기능, 음식물 저장, 김치 냉장고 설치 공간 등으로 발달, 40평 이상의 기능적인 공간으로 점차 변화되는 특징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미래 기술의 발달과 라이프스타일이 주는 영향이 인테리어 마감방식의 차이에서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감재의 고급화와 천연소재의 마감방식의 선호는, 거주자가 요구하는 마감방식에서 주거문화의 질적 수준향상과 고급형 공간구성이나 마감방 식에서, 사용자측면의 다양한 개발이 시급함을 뜻한다. 13평,17평 등의 작은 평수에서도 마감재의 천연재료의 방식을 택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아파트 문화를 형성하고, 건설 회사 등은 거주자의 요구를 파악해 그 결과를 도입하여, 라이프스타일별로 차별화된 아파트 마감방식이 주거 문화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3.1.2 장식적 요소 1) 조명 조명은 판매 공간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판매 공간 의 조명은 고객을 유치하여 매장 안으로 유도하며 상품을 돋보이게 하여 고객의 시선집중을 상품으로 유도하고, 구매 분위기를 자아내고, 매입을 추진시키며, 고객이 공간 안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는 소비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매장의 조명은 공간을 환히 비출 수 있고,동시에 상품을 최고의 모습으로 보이도록 적합한 조명환경 을 만든다. 또한 디자인테마의 분위기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판매 공간의 조명은 주요 전체조명과 특수조명 두 가지로 나뉘어 있다. 전체조명은 천장이나 벽에 전체적인 조명을 설치하는 것으로 실내 전반적 으로 밝고 편안하게 환경을 만든다. 특수조명은 정해진 작은 공간을 돋보 이기 위해 특별히 조명을 집중시킨 목적으로 설치한 것이다. 빛의 분산방법에 의한 분류 조명은 빛의 배분에 따라 직접, 반직접, 반 간접, 간접, 확산의 5가지로 나눌 수 있다.25) 다른 공간 수요에 따라 다른 조명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매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등기구 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면 과 같다.

 

2) 색채 색채는 시각적 요소로서 공간에서 분위기를 결정하는 주된 요소 중 하나 이다. 매장 공간의 색채는 브랜드의 이미지 및 공간의 분위기를 고려해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인들을 잘 고려하여 적절한 색채 계획을 함으 로써 심리적 안정감과 공간의 연출 효과를 높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26) 색상이 고객들에게 미치는 영향 은 고객들의 시각적 느낌을 주는 것 외에, 사람들의 감정 및 기분에도 영 향을 미친다.

 

같은 브랜드, 쇼윈도의 다른 색상을 사용하면 사람들에게 다른 감정을 가지게 할수 있다. 유사하게 제품과 스타일, 진열장 구조도 동일한 상황에 서 색채의 변화는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나타난다. 매장 디자인에서 색채별로 느낌이 모두 다르기에 코디하는 분위기는 매 우 중요하다. 색채의 코디특성을 파악하면 소비자의 눈길을 끌 수 있고 소 비자들의 쇼핑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 색채는 고객의 주의력을 이끌 수 있는 디자인 요소 중 하나이며 고객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기 제일 쉬운 디자인 요소이다. 그러나 색상은 다양하 기 때문에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의 색상 선택은 우선 환경과 잘 조화가 되 어야 하고 색상들 간의 조화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현지의 문화배경과 지역적 특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색상디자인은 매장 상품 특색과 서로 조 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3) 마감재 소재가 지닌 표면의 질감, 촉감, 매끄러운 정도, 냉온감 등의 표면 상태 등은 재질감을 가리킨다. 질감은 먼저 촉각 혹은 눈으로 보는 촉감, 즉 시 촉감에 의해 지각된다. 촉감을 위해서는 느껴지는 질감을 촉감적 질감이라 고하며, 명암이나 무늬에 의한 효과로 실제의 표면과 다르게 보이는 질감 을 시각적 질감이라고 한다.27) 실내 디자인 마감재의 재질에 따라 다른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친 재질은 신중, 침착감을 주고, 부드러운 재질은 가볍고 정교한 느낌을 준다. 매장의 재료 선택은 브랜드 주제와 일치하여야 하며, 질감 처리는 질감의 균형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확하게 인테리어 재료를 선택하 면 매장의 예술 표현력을 높일 수가 있다. 마감재가 매장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증대되어 가고 있으며 사용방법 또한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에 통해 재료의 특징이나 이미지가 결정되고 공간의 분위기에도 영 향을 미친다. 최근 백화점에서 자주 사용한 마감재는 다음 과 같 다.

 

4) 가구 가구는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생활도구를 말하는데29) 가구는 가용적 인 요소로서 형태나 크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유형으로 디자인 할 수 있으며 매장의 분위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도 점차 중요성이 커지면서 공간을 계획하는데 있어 디자이너들에게 가구의 선택과 디자인은 중요한 활동이 되었다. 판매 공간에서의 가구에는 디스플레이 테이블, 쇼 케이스, 의자, 선반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가구들은 한 공간 안에서 각각의 기능에 따라 색채, 재료, 형태를 조화롭게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30) 의류 매장에서 쓰이는 가구의 종류는 전시대, 행거, 스툴 등이 있는데 이들 가구는 매장의 개성을 표현하여 분위기를 결정짓는 역할을 한다.

 

3.2 분석용 체크리스트 작성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에서의 구성요소와 매장 이미지의 이미지 스케일을 통하여 직접 현장 조사를 하여 체크리스트의 세부항목을 다음 와 같이 작성하였다.

 

제 4 장 사례조사 및 분석 4.1 조사 방법 및 조사대상의 선정 4.1.1 조사 방법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 현장 조사 사진,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인터넷, 인테리어디자인 전문지를 통해 연구 대상의 시장 상황을 파악하였다. 이론적인 데이터 및 사진 자료를 통해 사례분석의 틀을 작성 하였다. 둘째, 직접 현장 조사를 4회(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과 같다.) 실 시하면서 매장의 인테리어 핵심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각 브랜드 매장 인테 리어디자인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수집된 매장 사진을 Photoshop을 통하여 상품의 색채를 지우고 KSCA(Korea Standard Color Analysis)를 통하여 매 장 인테리어디자인에서 주조색 4가지를 추출하여 색상, 명도, 채도, 색조 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주조색을 바탕으로 색채 이미지 스케일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각 위치에 배치한 인테리어 이미지 스케일을 분석하였다. 셋째, 사례분석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여성 의류 브랜드 매장 이미지와 인테리어디자인 현황을 파악하였다.

 

4.1.2 조사대상 선정 "L"백화점 본점: 국내 연간 판매 최고의 백화점이며 "L"백화점 본점은 1979년 12월 개장 후 34년간 국내 유통업계 1위 자리를 지켜왔다.31) 또한, "L"백화점 본점 내 매장 디자인 브랜드 문화도 다양한 표현력을 갖고 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양한 백화점 중 "L"백화점 본점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한 구매 패턴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사에서 10대와 20대는 충동구매성향이 높고, 연예인을 이용한 스타광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연령대이다. 무 점포판매에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유명상표를 선호하고 상표충성 도 또한 가장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영캐주얼 시장은 다른 여성의류 보다 트렌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

 

본 조사연구의 브랜드 선택은 "L"백화점 본점 안의 여성의류 인기브랜드 를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L"백화점 홈페이지 중 의 여성 영캐주얼 코너에 입점한 여성 의류 인기브랜드는 아래와 같다.

 

이중 11개의 국내 브랜드와 9개의 해외브랜드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으며 해외 브랜드에 비해 국내 여성의복 브랜드 매장의 디자인이 더욱 자유스럽고 본국의 문화배경과 심미 수요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 었다. 본 연구의 조사는 "L"백화점 본점에 매장을 두고 있는 에고이스트, 온앤온, 보브, 쥬크, 씨씨콜렉트, 지지피엑스, 지컷, 에스제이, 듀엘, 시 스템, 티렌 11개 여성의류 브랜드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4.1.3 사례분석의 틀 이론적 고찰 및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직접 현장 조사를 하여 사례분석 의 틀을 다음 와 같이 작성하였다.

 

4.3 사례 분석의 종합 본 연구의 사례분석을 통해 기존 "L"백화점 본점 여성 의류 매장 인테리 어디자인 구성요소와 수집한 매장 이미지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4.3.1 구축적 요소 분석의 종합 여성의류 매장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주요하게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실내디자인의 구축적 요소부터 분석한 결과는 아래 과 같다.

 

1) 바닥 분석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바닥의 표현 형태는 단색바닥이 가장 많았다. 11개 조사 대상 중에서 6개 브랜드 매장의 바닥은 단색바닥을 사용하였으 며 텍스처나 무늬 있는 바닥은 5곳이었다. 그리고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 자인에서 색깔과 고저로 구역을 나누는 디자인 기법을 사용한 매장은 많지 않았다. 11개 조사 대상 중에서 고저로 구역을 나누는 매장은 단 3개 매장 만 있었으며 색깔로 구역을 나누는 매장도 3개만이 존재했다.

 

현재 백화점 여성의류 매장에서 가장 유행하는 바닥의 표현 형식은 단색 바닥 이고, 그 다음은 텍스처나 무늬가 있는 형식임을 알 수 있다. 2) 벽 분석 조사 대상 중에서 9개 브랜드 매장의 벽은 무늬 디자인 기법을 사용하였 다. 직선의 디자인 기법을 사용한 매장은 7곳 있었다. 그리고 곡선의 디자 인 기법을 사용한 매장은 1개만 있었다. 무늬의 종류가 풍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독특한 디자인 효과를 표현해낼 수 있었으며 무늬의 표현방식 은 상대적으로 구체화하여 매장의 주제를 잘 표현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조사 대상 중에서 8개 브랜드 매장은 평면 벽면을 사용하였다. 입 체 벽면을 사용하는 매장은 5개였다.

 

위의 분석을 통해 무늬로 구성된 벽과 평면 벽면이 가장 유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천장 분석 11개 조사 대상 모두 반듯한 천장을 사용하였고 에스제이 브랜드만이 입 체화 천장을 볼 수 았었으며 에고이스트 매장 천장에는 거대한 크리스털 커튼을 설치하여 웅장하고 화려한 느낌을 주었다.

 

사례조사를 통해 특별한 천장 형태로 독특한 표현 효과를 가져올 수 있 지만 현재 백화점 매장은 반듯한 천장디자인이 여전히 유행하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백화점에 있는 매장은 보통 면적은 크지 않고 천장고도 높 지 않기 때문에 지나치게 복잡한 천장을 사용하면 시각적 효과가 좋지 않 다. 특히 조명 효과를 망칠 위험이 있어 상품의 전시에 영향을 줄 수 있 다. 하지만 천장의 높이는 하나로 일치되어 편하게 천장 내부의 설비를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다. 4) 기둥 분석 11개의 조사 대상 중에서 4개 매장 내 기둥은 로고 전시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진열기능과 조명기능을 갖추고 있는 기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 로 파악되었다.

 

분석을 통해 백화점 여성의류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에서 로고 전시에 주 요 목적으로 디자인된 기둥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5) 동선 및 배치 분석 본 연구의 분석 결과 7개 매장은 입구에 주요 이미지를 설치하였다, 입 구에 주요 이미지를 설치하면 고객동선에 고객을 유인하는데 유효하다. 또 한, 4개 백화점 매장 동선과 배치의 타입에서 둘러싸인 타입을 사용하는 매장이 4개가 있었으며 자유로운 타입을 사용하는 매장도 4개가 있었다. 반 닫힌 타입을 사용하는 매장이 2개 있었으며 경사형 타입은 1개의 매장 이 있었다.

 

백화점 여성의류 매장에서 가장 유행하는 동선 및 배치의 타입은 둘러싸 인 타입과 자유로운 타입 배치이고, 그 다음은 반 닫힌 타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3.2 장식적 요소 분석의 종합 인테리어디자인의 장식적 요소를 분석하면, 여성 의류 매장의 장식적 디 자인은 몇 가지 중요한 구성요소로 표현된다. 즉 조명효과, 장식 재료와 색상의 배치, 가구의 사용 등 4가지 요소이다. 사례분석의 종합은 아래 , , 와 같다.

 

1) 조명 분석 전체 조명에 대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현재 백화점 매장디자인의 전체적 인 조명은 보편적으로 천장에 프로스트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하거나 원형 다운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11개 조사 대상의 전체 조명 중에서 6개 매장은 프로스트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하였으며 3개 매장은 원 형 다운라이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2개 매장은 두 가지 라이트를 동시에 사용하였는데 이는 따뜻한 색온도를 비교적 잘 표현하기 위한 것임을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특수조명 중에서는 백라이트와 스포트라이트 사용 은 보편적인 사용방법으로 파악되었다.

 

2) 색채 분석 사례분석을 통해 가장 많이 등장한 흰색 계열은 여성의류 매장의 디자인 에서 언제나 유행하는 주요 색상이며 어떠한 색상과 조합할 수 있다. 동시 에 노란색 계열과 갈색 계열은 11개 조사 대상 중에서 각각 3개씩 있었으 며 이는 유행하고 있는 색상이였다. 그리고 검정색 계열은 포인트 색상으 로 자주 활용하였다.

 

3) 마감재 분석 11개 조사 대상 중에서 7개 브랜드 매장의 바닥은 타일 질감의 바닥재를 사용하였다. 석재 질감 바닥재를 사용하는 매장은 3개의 매장이 있었으며 나무 질감으로 바닥재를 사용하는 매장은 1개 매장이 있었다. 11개 조사 매장의 다양한 입면 마감재에서는 도료 질감의 마감재가 8개 매장으로 가 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금속 질감의 마감재와 유리 질감의 마감재는 5개 매장으로 많이 나타났다. 천장의 마감재는 도료 질감의 마감재가 외에 다른 마감재가 없었다. 따라서 백화점 여성의류 매장에서 타일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바닥 마감 재인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으며 도료재질의 입면 인테리어 재료 역시 선 호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금속 질감의 마감재와 유리 질감의 마감재는 자기질타일 및 도료재질의 재료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백화점 매장은 모두 석고 보드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천장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파악할 수가 있었다.

 

4) 가구 분석 11개 조사 대상 중에서 모두 브랜드 매장은 행거와 계산대를 사용하였 다. 진열대와 스툴을 사용한 매장은 6곳 이었다. 그리고 쇼케이스를 사용 한 매장은 3개만 있었다.

 

가구 조사를 통해 현재 백화점 매장의 가구는 행거/계산대/진열대/스툴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을 보면 현재 매장 가구 디자인은 가구의 재질 및 형태, 공간의 전체형태나 벽면의 재질이 통 일되게 제작하여 공간의 배치가 어울리는 형식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 다. 4.3.3 매장 이미지 분석의 종합

 

매장 이미지 분석결과, 여성 의류 매장 이미지는 두 가지 중요한 방면으 로 표현된다. 즉 주조색의 선택과 구비한 이미지 스케일, 두 가지 방면이 다. 사례분석의 종합은 아래 및 와 같다.

 

분석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매장의 이미지는 댄디 이미지가 가장 많았다. 11개 조사 대상 중에서 6개 브랜드 매장은 댄디 이미지를 주요 이미지로 사용하였으며 내추럴 이미지는 4곳이었다. 따라서 현재 백화점 여성의류 매장에서 가장 유행하는 매장 이미지는 댄디 이미지이고, 그 다음은 내추 럴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사례분석의 주조색 종합에서 보면 댄디와 내추럴 이미지를 사용 한 주조색의 분포 상황을 다음 에 정리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한 결과로 댄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매장디자인에서 연한 갈색, 회황색, 어두운 회갈색을 활용하여 댄디 이미지를 더 효과적으 로 표현할 수 있으며 밝은 회 연두색, 밝은 연두색을 활용하면 내추럴 이 미지를 더 효과적으로 연출하였다. 동시에(그림 4-5)를 보면 주조색이 가장 많이 분포된 색조는 Gr톤 (중명 도, 저채도)이고, 그 다음 은 색조는 Dl톤 (중명도, 중채도)과 Lgr톤 (중명도, 저채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현대 여성 의류 매장 설계시 중탁색 조 사용은 보편적인 사용 방법으로 파악되었다. 중 탁색조는 수수한, 온화함, 어렴풋함의 감정효과를 갖 춰서 현대 여성 의류 매장이 추구하는 효과에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5 장 결론 20세기 후기부터 국제적인 대중문화, 소비문화, 포스트모더니즘 등 새로 운 문화 및 사상은 대중들의 생활방식과 사고방식을 바꾸었다. 새로운 생 활방식과 심미적인 문화는 현대 의복 소비의 개성화, 다차원을 향해 발전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생활방식을 기초로 하여, 매장 디자인은 소 비자의 기호를 브랜드의 기본모델로 삼아야 하고 나아가 사회문화 소비추 세를 긴밀히 따라야 할 것이다. 매장 디자인은 소비자가 표현한 내적인 가 치관을 돌출시키며 소비자의 집중력을 브랜드 문화체험에 내포해야 할 것 이다. 본 논문은 문헌조사, 현장조사, 사례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백화점 여성 의류 매장에서 어떻게 브랜드 패션의 시대흐름이 흐르고 어떻게 유행하는 인테리어디자인 요소를 사용하여 브랜드의 매장 이미지를 구축하는가를 실 증적으로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요소는 구축적 요소와 장식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동시에 이미지 스케일의 분석 방법을 통해 매장 이미지의 연 구를 진행하였다. 1) 구축적 요소는 매장의 바닥, 벽, 천장, 기둥, 동선 및 배치가 포함되 었고 구축적 요소는 매장 기능구역의 분포와 공간의 입체적인 조성이다. 장식적 요소는 매장공간의 조명, 색상, 마감재와 가구가 포함되었으며 장 식적 요소는 매장 디자인에서 중요한 공간 분위기를 연출하고 브랜드 문화 를 선도하며, 시각적 만족과 상품문화가치를 선도하여 중요한 방법 중 하 나이다. 2) 인테리어 디자인에는 주요 8가지 이미지 스케일(캐주얼/ 모던/ 클래 식/ 엘리건트/ 내추럴/ 로맨틱/ 댄디/ 시크)이 있다. 둘째, 자료수집과 사례분석 결과로 도출된 현재 유행하는 백화점 여성의 류 브랜드매장 인테리어디자인 요소와 매장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구축적 요소: 1)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닥의 표현은 단색바닥이며 다음으로는 텍 스처나 무늬가 있는 표현으로 파악되었다. 2) 패턴 구성된 벽면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그 다음은 평면 표현으로 파 악되었다. 3) 특별한 천장 형태는 독특한 공간표현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지만 현재 백화점 매장은 반듯한 천장을 여전히 선호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4) 기둥은 로고 전시의 중요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디자인된 기둥을 선호하는 것을 파악할 수가 있었다. 5) 배치의 선택에서 보통 시각적인 특징을 보여주기 위하여 입구부터 둘 러싸인 타입을 사용하였으며, 그 다음은 소비자가 접근하기 쉬운 자유로운 타입과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반 닫힌 타입을 선호하는 특징을 보여주었 다. 장식적 요소: 1) 현재 백화점 매장 디자인의 전체적인 조명은 보편적으로 천장에 프로 스트 스포트라이트, 원형 다운라이트를 사용하였다. 동시에 특수조명은 백 라이트와 스포트라이트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2) 색채는 흰색이 여성 매장 디자인에서 가장 선호되어지는 색상이며 노 란색 계열과 갈색 계열은 그 다음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검정색 계열은 포인트 색상으로 자주 활용되어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가 있었다. 3) 매장의 마감재 선택에서는 타일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닥재이며, 페인트 질감의 입면 인테리어 재료 역시 선호되어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금속 질감과 유리 질감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흰색 페인트 마감된 석고 보드를 이용한 천 장 재료가 주로 사용되었다. 4) 매장에서 선호되어지는 가구 디자인은 가구의 재질, 형태 및 매장 이 미지 벽면의 재질을 일치하도록 만들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매장 이미지의 선택에서는 브랜드문화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기본 원칙을 수립하여야 하는데 현재 댄디와 내추럴 이미지가 비교적 유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댄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연한 갈색, 회황 색, 어두운 회갈색을 활용하여 댄디 이미지를 더 효과적으로 연출하였다. 또한 밝은 회 연두색, 밝은 연두색을 활용하여 내추럴 이미지를 더 효과적 으로 나타내고 있다. 동시에 현재 여성 의류 매장에서 중탁색조는 보편적 으로 사용하는 색조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L"백화점 본점 여성 의류브랜드 매장의 인테리어디자인 구성 요소와 매장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여성 의류매장 디자인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설계에 적용함으로 써 매장의 소비자 집객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판매효과도 상승될 수 있을 것이다. "L" 백화점 본점의 국내 브랜드 여성의류 매장으로 한정지어 분석하였기 때문에 제한된 분석대상과 데이터들로 현재 다른 의류 매장에 대한 평가를 일반화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그래서 앞으로 다양한 의류 브랜드 매장의 인테리어디자인 요소와 매장 이미지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연 구의 결과가 향후 효과적으로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을 강화할 수 있는 디자 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경제적 성장에 따라 의류 판매의 경쟁 환경도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에 전문적으로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 소매 시스 템이 각광받으면서 기업은 신속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나 아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신속한 생 산 판매 시스템을 수립한다는 것은 현대 생산형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추구 하는 목표이다. 이중 의류매장은 의류 브랜드 문화의 중요한 자산이 되며 또한, 소비자와 만나게 되어지는 중요한 접점이 된다. 패션 전시 디자인은 20세기 중반 서양을 중심으로 급격히 발전하였으며 현대 패션 리테일 샵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가치 추구 니즈에 따라 단순히 상품을 판 매하는 공간을 넘어 감성, 문화, 경험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1) 이는 소비자들이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브랜드의 가치를 선택하는 것이라는 인식으로 바뀌었으며 의류 매장은 소비자에게 패션 브랜드의 문 화 이미지를 전시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가 되었다. 백화점은 판매촉진, 서비스 향상, 경영 및 회계의 합리화 등을 위하여 상점 조직을 상품별·고객별로 부문화하고, 이를 통합적인 기업으로 경영 하는 대규모 소매상을 말한다. 다른 판매 형태에 비해 백화점은 품질을 쉽 게 보장 받을 수 있으며 깨끗하고, 환불 및 교환이 쉽게 가능하다. 의류 기업은 백화점의 브랜드 파워를 이용하여 자사의 브랜드가 빠르게 시장에 확장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특히 여성 의류 매장은 매장 공간 중에서 가장 매력이 있는 부분 중 하나이며 매장 내부 공간 디자인과 매장 전시 디자인의 수준을 가장 잘 표현하는 부분이다. 2016년 2)에 따르면 여성 의류의 소비 지수는 최근 몇 년 동안 국민 의류 소비 지수 중 에서 가장 높게 증가하는 소비지수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 업은 더 많은 이익을 여성 소비자부터 얻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투입하여 매장의 디자인을 고급화 하고 있다.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 디 자인에는 상품의 디자인을 더 중요시해야 하며 소비자에게 마음이 잘 통하 는 느낌을 줘야 한다. 국내 여성 의류 브랜드는 의류 브랜드 중에서 고급 화가 제일 활발한 시장이며 시대의 현황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현재 "L"백화점 본점 여성 의류 매장 이미지 와 인테리어디자인의 현황을 알아보며 향후 백화점 여성 의류 매장 설계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여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의 공간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백화점 매장에 표현되는 인테리어디자인과 매장 이미지 현황 을 통해 진행한다.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의 연구범위는 구축적 요소 바닥, 벽, 천장, 기둥, 동선 및 배치와 장식적 요소 조명, 색채, 마감재, 가구 이러한 구성요소에 국한하여 분석한다. 매장 이미지의 연구범위는 매장 인 테리어디자인에서 주조색 4가지로 이미지 스케일을 분석한다. 또한, 국내 여성 의류 브랜드 백화점 매장 이미지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 해 "L"백화점 본점에 인기 영캐주얼 의류 브랜드 매장의 현장조사 및 사진 자료를 통해 진행한다. "L"백화점 본점은 국내 연간 판매액 최고의 백화점이며 1979년 12월 개 장 후 34년간 국내 유통업계 1위 자리를 지켜왔으며 동시에 본점 내 매장 디자인의 표현력도 우수하다. 또한 영 캐주얼 시장은 주로 20대를 대상으 로 하는데 20대는 충동구매 성향이 높으며 유명 상표를 선호하고 상표 충 성도 또한 가장 높은 연령대이다. 이러한 20대의 영캐주얼 시장은 다른 여 성의류보다 브랜드 표현력을 더 중시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여성 의류 브랜드,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매장 이미지 에 대한 정의와 분석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며 백화점 여성 의류 매장 인테 리어 디자인의 구성요소와 매장 이미지 스케일의 분류에 대해서 정리한다. 3장에서는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구성요소를 구축적 요소와 장식 적 요소로 분류하고 각 인테리어디자인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후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4장에서는 앞서 작성된 체크리스트에 따라 사례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사례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현장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여 "L"백화점 본점 내의 여성 의류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구성요소와 매장 이미지 스케일을 통 하여 선정된 각 브랜드의 여성 의류 매장 인테리어디자인과 매장 이미지 현황에 대하여 분석한다. 5장에서는 4장 분석내용의 결과를 정리 종합함으로써 백화점의 여성 의 류 브랜드 매장 이미지와 인테리어디자인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인테리어 디자인 요소와 매장 이미지 스케일을 제시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제 2 장 이론적 고찰 2.1 여성 의류 브랜드의 이론적 고찰 2.1.1 여성 의류 브랜드의 정의 패션의 변천은 역사 발전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패션이 인류 의 번영과 같이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이중 여성의류에서 좀 더 특별한 특 징을 보이는데 여성 의류 브랜드는 여성 의류의 스타일을 구별할 뿐만 아 니라 제품의 성격과 이념을 쉽게 전달하고 예술적 가치를 끌어올려 판매에 영향을 끼치는 문화적 중요성을 가지는 인지 시스템이 되었다. 또한, 여성 의류는 소비자의 물질적인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매력적인 상품을 소비자들 에게 알맞은 소비 체험에 맞게 좋은 품질의 상품을 제공하는 일로, 패션이 라는 물건을 팔면서도 정보나 서비스, 라이프스타일의 제공이 요구되는 분 야이기도 하다. 브랜드는 제품의 생산자 혹은 판매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자들의 것과 차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독특한 이름이나 상징물의 결 합체다. 브랜드 창조 법칙3)의 사전적인 정의에서의 한국 상표법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상표란 상품을 생산, 가공, 증명 또는 판매하는 것을 업으로 영위하는 자가 자기의 상품을 타인의 상품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 문자, 도형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을 말한다.4) 그리고 현대적인 의미에서 브랜드에 대해 유명한 광고인과 금융기관들은 브랜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위와 같은 브랜드에 대한 정의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여성 의류 브랜드란 기업들이 상품을 식별시키고 다른 기업의 상품과 차별화 시키는 상징물의 결합체라고 할 수 있다. 2.1.2 여성 의류 브랜드의 특성 과거의 여성들은 한 가족의 아내, 어머니로서 집안일을 책임져야 했기 때문에 자신에게 투자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여유, 정신적인 여유가 전혀 없 었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사고방식 또한 점차 변화되어 이제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남성의 사회진출 못지않게 빈번해지고 있다. 시대마다 여성들의 성향이 꾸준히 증가되어왔고 이제는 여성들의 달라진 라이프스타 일로 인해 새로운 사회적, 문화적 코드가 만들어지고 있다.5) 경제적인 발 전으로 전통적인 여성상에서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지 닌 여성상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의 소득 수준 향상 과 국민 소비(GNC)의 향상이 삶의 질을 향상시켰으며 이에 따라 현대적 여성 의류 브랜드가 더욱 세분화되어졌다. 의류에 대한 여성 소비자들의 개성화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가치 관의 차이가 큰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여성 소비자의 특징을 정리 하면 패션 브랜드에 대해 기능성 요구가 높은 편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 이다. 현대적 여성 의류 브랜드 특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차별성 브랜드를 개발한 기업을 밝힘으로써 다른 브랜드와 자사 브랜드간의 비 교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특성. 2) 인지성 브랜드가 존재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인지 개념에서 동조와 회상을 강화시 키는 특성. 3) 예술성 소비자들에게 심리적 가치 만족시킨 브랜드는 소비자의 구매 가능성을 높여 예술 비중을 강화시키는 특성. 4) 상징성 브랜드가 가진 속성, 편익, 가치, 문화, 개성 등을 위치를 측정하여 소 비자들에게 전달하는 특성. 5) 창의성 패션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자사만의 독특한 디자인, 기능성인 면을 부 각시키면서 자사의 사회적 이미지를 강화하는 특성.6) 6) 패션성 유행의 속성, 스타일, 요소, 문화, 개성 등을 표현하여 소비자들에게 전 달하는 특성.7) 7) 서비스의 전문성 소비하는 과정에서 그 브랜드의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전문적인 인상 을 형성하여 브랜드 구매를 유인하는 특성. 2.2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2.2.1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의 정의 1) 백화점 매장의 정의 백화점은 판매촉진, 서비스 향상, 경영 및 회계의 합리화 등을 위하여 상점 조직을 상품별·고객별로 부문화하고, 이를 통합적인 기업으로 경영 하는 대규모 소매상을 말한다. 하지만 동시에 현대의 백화점 디스플레이는 판매의 촉진을 위해 상품을 단순히 배열하고 장식하는 공간조형의 영역을 넘어서서 고객들의 심리적인 조건을 기본으로 하여 브랜드의 이미지와 상 품의 개념을 부각시키고 있다. 단순히‘주어진 공간에 오브제를 배치하는 행위’에서 그치는 것은 아니다.8) 전시물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이 해되어야 한다. 2) 인테리어디자인의 정의 인테리어(Interior)란 단어의 원뜻은 내부(內部)를 뜻하지만 여기서 인 테리어란 실내 공간 디자인의 의미이다. 실내 건축 디자인(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실내디자인(Interior Design), 실내디자인의 디자 인 단어를 빼고 실내(Interior, 인테리어)라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내부를 각각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계획하고 형태화하는 작업을 의미 하는 것이다. 인테리어 디자인 정의는 디자인에 의해 조성되는 실내의 모든 구성요소 들이 나타내는 총제적인 분위기의, 실내 마감재의 종류 및 문양 그리고 색 채의 특성을 통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을 정의하는데 일반적으로 내부 공 간의 형태, 규모, 실내 마감재, 가구, 조명 및 실내공간에서 사용되는 장 식품의 양식, 색상, 질감, 패턴 등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특성을 의미한다.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의 정의는 브랜드가 백화점에서 판매의 촉 진을 위해 디자인에 의한 공간의 형태, 규모, 실내 마감재, 가구, 조명 및 실내공간에서 사용되는 장식품의 양식, 색상, 질감, 패턴 등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판매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2.2.2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의 특성 백화점의 매장 인테리어는 백화점 조건의 제한을 받아서 같은 브랜드 전 문점에 비해 보편적으로 면적이 작고, 매장으로 통하는 동선이 비교적 많 으며 고객이 머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그러나 동시에 백화점의 상 업적 신용을 통해 브랜드가 빠르게 시장을 넓히고 브랜드효과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세부적으로 백화점의 매장 인테리어는 아래와 같은 특성들이 있다. 1) 시각적 효과의 중시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를 상대로 하며 취급 상품이 다양하고 풍부하여 원 스톱 쇼핑과 비교 구매가 가능하다. 백화점에서 브랜드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매장 인테리어를 할 때 시각적 효과와 브랜드의 이념을 중시한다. 2) 빈번한 이미지 변화 패션의 변화에 맞추기 위해 백화점에 있는 브랜드들 갱신 주기는 빠르게 해야 한다. 그래서 인테리어 마감재의 내구성에 대한 요구가 많지 않다. 3) 브랜드의 인식도 고객으로부터 높은 신용도 유지는 중요하며 브랜딩의 좋은 조건중 하나 는 인식도이다. 따라서 매장 인테리어에서 브랜드의 인식도는 중요하다. 2.2.3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의 구성요소 실내공간을 의미 있는 이미지 체계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그 공간을 계획 하는 실내디자이너에 의해 통합된 디자인 언어로서 재조직되어야 한다.9)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주관적인 인상을 형성하기 위해 객관 적인 물리적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의 주관적 표현 은 공간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인 바닥, 벽, 천장, 기둥, 조명, 색채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유형은 인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사물이나 대상물에 대한 객관적인 표현이 아닌, 기억되 거나 경험에 의하여 생성된 주관성이 강한 심상을 포함한다. 이 중 내부 공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벽, 바닥, 천장 등의 기본 요소와 함께 실제로 공간에 부가되는 가구, 재료, 색채, 실내 직물, 조명, 소품 및 액세서리, 식물, 자연 요소, 그래픽 등 다채로운 요소들이 도입된다. 물론 이들 요소 는 공간의 사용 목적과 표현 의도에 의해 범위가 달라진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은 스케일, 질감, 색채, 등의 속성을 제각기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 절히 통제되지 않을 경우. 실내 환경은 산만해지기 쉽다. 대체로 이들의 요소를 하나의 일관성 있는 디자인으로 통합하는 개념이 보편화되어 있 다.10)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의 구성요소는 공간을 구성하는 바닥, 벽, 천장 등 의 기본적인 요소와 가구, 조명, 재료 등의 부수적인 요소를 모두 포함하 는 것으로써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매장 공간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구성요소를 정리할 수 있었다.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 구성요소의 선행연구는 다음 와 같다.

 

각각의 문헌자료를 통해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 구성요소를 구분하는 요 소명칭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항목은 대체로 일치 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는 매장 디자인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매장의 공간 구성요소는 과 같다.

 

백화점의 의류 매장은 브랜드 전문점에 비해 보편적으로 면적이 작으며 다른 유형의 매장에 있는 파사드, 출입구, 계단, 쇼윈도 등 구성요소들이 없다. 또한, 백화점의 의류 매장은 브랜드의 보급에 더 치중하게 되는데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표현력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선행연구와 백화점 매장 실제 상황에 따라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구성요소를 와 같이 구축적 요소와 장식적 요소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구축적 요소는 변하지 않는 공간 본질의 개념을 의미하며 바닥, 벽체, 천정, 기둥, 동선 및 배치가 이에 속한다. 장식적 요소란 매장의 구조적 요소 보다는 시각적인 효과를 강조하는 요소로써 매장 공간 안에서 매장의 시각적 효과와 개성적 표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기업의 브랜드 전략이 나 고객의 욕구에 맞춰 다양한 쇼핑 환경의 연출이 가능하며 조명, 색채, 마감재, 가구가 장식적 요소에 포함된다. 2.3 매장 이미지의 이론적 고찰 2.3.1 매장 이미지의 정의 매장이미지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은 Martinean이며, 그는 매장 이미지란 기능적 특징과 심리적 속성에 의하여 고객의 마음속에 매장이 정 의되는 것이라고 했다.11) 매장이미지는 마케팅 관점에서 보면, 소비자의 관심 유도와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며, 해당 점포에 어떤 상품이 있고 어떤 고객을 배려하는 가를 전달하여 판촉에 필요한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등 바람직한 마케팅 을 전개하기 위해서 중요한 측면이다.12) 매장공간은 바닥, 천장, 벽, 기둥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요소들의 디자인 요소인 색채, 질감, 문양 등이 어우러져 매장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 매장이미지에 대한 정의는 디자인에 의해 조성되는 실내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나타내는 총제적인 분위기이다.13) 이러한 의미에서 매장 이미지는 지각과 관련된 각종 수단들을 사용하여 공간기능이나 디자인의 색채, 소재, 무늬가 소비자에게 주는 심리적 반응 을 의도적으로 계획하고 유도해 나감으로써 브랜드의 가치관을 반영할 수 있다. 2.3.2 이미지 스케일의 개념과 분석방법 현대 소비자들의 감성적인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들의 기호성향을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각 디자인 분야에서는 이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유형을 세분화하여 이에 따라 제품을 차별화하여 개발하는 전략 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 및 기호를 파악하기 위해 가장 중요시되는 것이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커 뮤니케이션을 위해서 각 디자인 분야에서는 소비자들이 어떤 감성적인 이 미지를 추구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방법적 접근이 시도되었다.14) 김명희(2003)는 도급순위 1-20위내의 건설사의 2000년부터 2004년 5월까 지의 서울 및 수도권 신도시에 건설된 모델하우스를 대상으로 이미지 스케 일을 이용하여 아파트 인테리어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함으로써 이미지 기능 에 중점을 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였다. 정상현(2006)은 브랜드 이미지가 높은 상위 5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이미 지 스케일과 NCS 칼라 시스템을 활용하여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와의 연계 성을 분석함으로써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하였다. 정로(2008)는 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하여 한국 중형(35평-40평)아파트에 인테리어디자인 트랜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실내디자인 스타일에 따른 주 로 사용되어질 색채를 예측하였다. 은진화(2011)는 4개 수입 화장품 브랜드 매장과 3개 국내 화장품 브랜드 매장을 대상으로 I.R.I 개발한 색채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매장 단색이미 지 스케일과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분석함으로써 남성 화장품의 판매 환 경을 개선하기 위해 매장 내 진열대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김혜란(2014)에서는‘에뛰드하우스’와‘홀리카홀리카’화장품매장(로드 샵)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미지 스케일과 시장분석을 이용하여 화장 품 매장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레드오션 속 틈새시장을 찾아 론칭을 계획 하는 화장품 매장을 위한 컬러마케팅 제안하였다. 현재 선행연구들의 실내 공간 이미지 분석 방법은 모두 이미지 스케일로 아파트 이미지나 매장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도 이 와 같은 이미지 스케일에 의한 분석 방법을 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선 행연구를 정리하면 와 같다.

 

1) 이미지 스케일의 개념 이미지 스케일은 다양한 색이 가지는 감정효과, 연상과 상징, 공감각, 전달 과정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조사하여 특정한 언어로 객관화 시켜 서 구성한 이미지 공간을 말한다.15) 이미지 스케일은 1966년 설립된 일본 색채디자인 연구소(NCD: Nippon Color & Design)의 시게노부 고바야시에 의해 개발된 방법으로 마케팅에서 활용되는 다차원 척도법이나 지각지도법 등을 응용하여 개발한 것으로 색 에 대해 느끼는 사람들의 공통 감각을 형용사로 표현하여 색과 언어=이미 지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따뜻한/차가움(Warm/Cool), 부드러움/딱딱함 (Soft/Hard), 선명함/희미함(Clear/Grayish)의 3축이 만들어 졌다. 이러한 이미지 스케일은 이미지 간의 관 계 파악을 위한 지각 지도의 작 성에 있어 그 기준 척도를 부드 러움(Soft), 딱딱함(Hard), 따뜻 한(Warm), 차가움(Cool)의 4가지 어휘를 사용하여 어떤 대상을 위 치시키는 방법이다. 따뜻함, 차 가움 축은 색상을 한색과 난색으 로 나눈 기준축이며 부드러움, 딱딱함 축은 톤의 개념을 기본으 로 하여 색을 부드러운 색과 강 한색으로 나눈 기준축이다. 유채 색과 무채색을 색상과 톤을 기초 로 계통을 세워 정리 후 S/H/W/C 이미지 스케일 상에 위치시키면 모든 색 은 따듯함(Warm)에서 차가움(Cool), 부드러움(Soft)에서 딱딱함(Hard)으로 의 이미지 공간에 정리된다.16) 여기서 기준이 된 톤에 따른 이미지는 과 같다.

 

2) 이미지 스케일의 분석방법 동일한 갈색 다갈색이라도 브라운색과 카키색은 컬러 이미지도 달라진 다. 브라운색은 캐주얼함이 있으면서도 엘리건트한 면이 있지만, 카키색은 캐주얼함이 강하게 느껴진다. 이와 같이 색상이나 톤이 다르다. 단색 이미 지를 하나하나 조사하여 색상과 톤을 통해서 이미지범위를 나타낸 것이 (그림 2-1)이다. 일반적으로는 2가지 색 이상의 배색에 의해 컬러 이미지를 나타내는 경 우가 많지만, 단색이라도 앞의 예와 같이 벽의 색과 바닥색을 분석할 때의 판단 기준으로 도움이 된다고 본다.

 

위에 소개된 이미지 스케일의 분석 도구를 통해 대상물의 의미를 명확 히 하는 방법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이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서 이미지 를 전략적으로 결정하거나, 감성을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판단 가능하게 된 것이다. 2.3.3 이미지 스케일의 분류 이미지 스케일은 프리티(pretty), 고저스(gorgeous), 에스닉(ethnic), 로맨틱(romantic), 캐주얼(casual), 다이나믹(dynamic), 내추럴(natural), 엘리건트(elegant), 쿨 캐주얼(cool casual), 모던(modern), 시크(chic), 클래식(classic), 댄디(dandy), 클리어(clear) 이러한 13가지로 분류할 수 가 있지만 인테리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8가지 이미지이며17) 이에 관한 내 용은 과 같다.

 

오늘날 의류 매장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매장 이미지는 소비자가 직접적 으로 상품을 체험하는 공간이자 브랜드 마케팅 측면에서 브랜드 개성을 보 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이러한 이미지 스케일의 다양한 연출을 통 해 차별화된 브랜드 매장을 추구한다. 동시에 이러한 이미지 스케일을 이 용하여 백화점 여성 의류 매장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제 3 장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구성요소 및 조사내용 도출 3.1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요소의 분류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정리된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구성요 소를 바탕으로 백화점 매장 인테리어디자인 요소의 표현 형태에 대하여 분 석하고자 한다. 먼저 각 요소별 개념 및 표현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3.1.1 구축적 요소 1) 바닥 바닥은 공간을 구성하는 수평적 요소로서 전체 공간을 지탱하는 가장 기 본적인 요소이다. 또한 주변의 공간을 한정하여 공간의 형태를 규정하면서 단위공간의 연속과 확장이 가능하다. 인간의 시각적 특성에 의하여 벽면 다음으로 시각적 자극이 많은 디자인이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 다.18) 그래서 바닥의 고저 차와 색채, 마감재로 변화를 주거나 강조할 수 있다.19) 이에 따라 매장 사진 자료 수집을 통해 바닥의 주된 표현 형태를 4가지 표현 형태로 정리하면 과 같다.

 

2) 벽 벽은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수직적 요소로서 외부방해 및 외부로부터의 방어 기능과 수평 방향을 차단하고 독립 공간을 형성한다. 벽은 공간의 크 기와 형태를 결정하며 공간과 공간을 구분한다. 사람의 활동은 기본적으로 수평방향의 활동이며 시선 활동도 눈높이를 기준으로 이동하므로 벽은 실 내 공간 중 시선이 집중되는 곳이다. 벽의 높이에 따라 시각적 특성을 달 리하게 되며 벽의 높이는 행위의 유형에 따라 상징적 경계, 시각적 개방, 시각적 차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벽의 높이를 결정할 때에는 공간의 용 도와 목적에 맞게 심리적인 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20) 또한 행거, 조 명은 다른 요소이며 매장디자인의 요소를 지탱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구 성요소이다. 그리고 벽은 매장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 고 있으므로 형상, 질감, 조명 등에 의해 실내 디자인의 주제를 표현하거 나 분위기를 연출하는 역할을 한다. 20) 김남호, 실내건축디자인총론, (서울: 서우, 2004)

 

현대 매장의 벽면 디자인은 다음 와 같이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천장 천장은 각 방이나 각 실의 위를 막아놓은 부분을 말하는데21) 천장은 바 닥면과 함께 공간을 구성하는 수평적 요소로서 바닥과 천장 사이에 있는 실내공간을 뜻한다. 그리고 매장의 천장은 지붕역할을 하면서 조명과 소 방, 에어컨, 방송 등 설비에 관한 시설의 적재공간을 제공한다. 천장은 실 내 높낮이의 조절만으로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전혀 다른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나 장식으로 공간을 새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천장을 낮추면 영역의 구분이 가능하며 친근하고 아늑한 공간이 되고, 높이면 확 대감을 주는 등 공간의 변화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22) 그렇지만 현재 국 내의 백화점은 대체로 소방과 통일성을 위해서 천장에 대한 일정한 높이와 재료, 색깔 기준이 있다.

 

4) 기둥 건축적으로 말하자면 기둥은 내부 공간의 수직적인 요소로서 상부의 하 중을 지탱하는 구조적인 요소로 주로 사용되나 하중의 부담여부와는 관계 없이 실내에 장식성을 부여하거나 강조할 때 또는 상징적인 요소로 사용된 다.23) 실내 공간의 기둥은 기둥의 위치와 수량에 따라 공간을 분할하거나 동선을 구분하기도 한다. 매장 디자인에서 기둥은 브랜드의 의도에 따라 매장의 테마와 특징을 표현으로 사용한다. 아울러 백화점 매장디자인에 대 해 기둥은 항상 전시 디자인의 중심으로 사용한다. 또한 로고 표현 기능, 진열 기능, 조명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기둥의 주된 표현 형태를 5 가지 표현 형태로 정리하면 와 같다.

 

5) 동선 및 배치 동선(動線)이란 어떤 목적이나 작업을 위하여 사람이나 물건이 움직이는 자취를 나타내는 선을 칭하며 각각의 기능에 의해 구분된 몇 가지의 블록 을 상호 분리하여 인접 또는 교차시킴으로써 각 부의 상호 관계를 효율적 으로 처리하여 사람, 물품, 정보의 유통을 부드럽게 하는 평면 계획에 있 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백화점에서는 주요 관심의 대상이 상품 자체에 있으므로 동선의 흐름을 유도하는 데 있어서 구성이 가장 중요하 다.24) 동선은 소비자들이 백화점에서 매장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바로 주요 동선이다. 주요 동선은 공공성과 보행하기 쉬운 기능을 가지며, 소비 자가 원하는 장소로 쉽게 유도할 수 있는 유도노선의 역할을 한다. 보통 현장 실제 상황에 따라 주요 동선은 길목 또는 에스컬레이터에 인접한 통 로가 있다. 보조 동선은 주요 동선이 고객의 유동성을 꾀하는 것에 비해, 보조 동선은 소비자의 분산과 체류를 목적으로 하는 동선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배치는 체계화된 배치구성이 필요로 하게 되고 이때 매장 내 에서 소비자의 공간구성에 의한 동선 배치는 보다 자유로운 동선을 구성하 여 역할에 맞는 행거의 적절한 배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배치는 가구의 위치, 매장에서 소비자의 동선과 이동 범위, 레이아웃 의 마주하는 방향과 형상, 가구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며 백화점에서 선호 하는 배치 유형은 다음 와 같다.

 

4-3. 인테리어 재료업체 4-3-1. LG하우시스

 

1) 회사 소개 - 회사명 : LG하우시스 - 대표이사 : 오장수 - 설립일 : 1947 락희화학공업 설립 - 위 치 : 서울시 영등포구 2) 사업 영역 : 건축 장식자재 기업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건축자재와 고기능 소재 등을 취급하며, 창호나 커튼월, 벽지, 바닥재 등 여러 가지 건축 재료들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연구센터를 두고 국내 사업장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웹에서 각 재료의 특징과 이미지 등의 정 보를 볼 수 있으며, Z-in 이라는 브랜드를 통해 인테리어 자재 등을 소개 하고 있다. 건축자재의 판매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스타일도 제안하고 있고, Z-in mall을 이용해 자재들을 온라인으로 구매, 시공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테리어 대리점이나 전시장을 지역에 두어 오프라인 으로도 제품을 살펴볼 수 있으며 구매도 가능하다.

 

4-3-2. KCC

 

1) 회사 소개 - 회사명 : KCC - 대표이사 : 정몽익, 정몽진 - 설립일 : 1958.8 ㈜ 금강스레트공업 설립 -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2) 사업 영역: 각종 도료와 건자재 생산 판매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웹 콘텐츠를 살펴보면, 회사에 대한 홍보와 취급하는 제품에 대한 소개, 고객센터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웹을 통한 홍보와 고객게시판 등의 콘텐 츠로 협력사들과 소통이 가능하며, 온라인으로 A/S 접수가 가능하다. 제 품들은 각 지역의 대리점들을 통해 구매가 가능하다. 계열사와 협력사를 통해 건자재를 시공, 판매하고 있으며, 또한 아파트의 재 도장을 온라인 으로 신청이 가능하고, 고객이 원하는 색상을 조색하여 공급 받을 수 있 다.

 

4-4. 조사결과 분석 본 장에서는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 홈인테리어 업체, 인테리어재료 업체의 인터넷 사이트의 콘텐츠 구성과 내용을 토대로 업체별 운영전략 및 네트워크의 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인테리어디자인 전문회사의 인터넷 서비스를 통한 현황분석 결과는 각 업체별 회사소개와 프로젝트에 대한 실적과 실적홍보에 대한 내용으로 구 성되어 있었으며, 대형 프로젝트 및 해외수주 전략, 대기업 시장의 비즈 니스 전략 등의 위주임을 볼 수 있었고, 네트워크 전략으로는 계열회사, 해외법인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홈인테리어 업체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를 재고한 전략적 디자인 홍보와 패키지 마케팅 중심의 콘텐츠 구성내용을 볼 수 있었으며, 지역 parter 또는 대리점 형태의 네트워크로 파악되었다. 인테리어 재료업체의 경우 각각의 브랜드 전략과 재료의 디자인 및 특성 에 대한 콘텐츠 구성내용을 보였고, 대리점과 온라인을 통한 판매 전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테리어디자인과 관련한 업체들의 웹 사이트를 통한 현황을 살펴볼 때 일반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의 경우 업체홍보 및 사업전략 위주 의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 보다는 홈인테리어와 재료업체의 경우가 비 교적 사용자의 참여가 쉬웠으며,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조사업체 대부분 다양한 내용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네트워크의 형태로는 지역 대리점이나 파트너 쉽을 맺고 있는 홈인 테리어 업체나 인테리어 재료업체의 경우가 접근성이 쉬운 것으로 파악되 었다.

 

인테리어디자인 시장의 비즈니스 활동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 됨에 따라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 또한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관련정 보 및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콘텐츠의 구성과 상호 정보교류를 위 한 서비스 제공은 필요하다고 본다. 인테리어디자인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인테리어디자인 시장의 규모 또한 확대되었고, 정보의 공유와 업체의 투명성 재고는 마케 팅 전략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인테리어디자인 업체들의 웹 서비스 유지 및 관리 비용은 그 한계 점으로, 업체의 여건에 맞는 비용과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개발의 비용은 현실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 시장의 확대는 수요자 증가로 연결된다는 측면에서 사용 자 서비스 강화와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의 구성 및 상호 정보교 류를 위한 서비스 제공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Ⅴ. 인테리어디자인 산업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선호도 조사 5-1. 조사개요 본 장에서는 인테리어디자인 산업 네트워크 구축 필요성에 관한 선호도 를 조사하기 위하여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전문성을 가진 실무자를 중심으로 수도권(서울, 경기) 지역의 인테리어 전문회사와 지방의 단종 업체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테리어디자인 산업 의 이해관계를 분석하고 격차를 해소하여,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네트워 크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5-2. 조사기간 및 방법 본 설문조사는 2015년 2월 10일부터 2015년 4월 30일 까지 수도권(서 울, 경기)지역의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와, 경남 진주 지역의 단종 업 체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수도권(서울, 경기) 지역은 36명 의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의 경영자, 현장관리자(현장대리인, 현장관리 기사), 설계, 공무 등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방문 인터뷰와 e-mail을 통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지방 단종 업체는 시공업체의 대표자, 현장시공 팀장, 현장시공 지원 담당자 22명에 대한 방문 인터뷰를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5-3. 설문지의 구성 및 조사결과 5-3-1. 설문지의 구성 설문조사는 인테리어디자인 업체 간의 이해관계를 파악하고 격차를 분석 하기 위해 수도권(서울, 경기)지역과 지방 업체별 각각의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구성은 수도권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는 실내건축공사 시공업무 진행 과정과 현황에 관한 질문 13)문항과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 구축의 필 요성과 활용에 관한 질문 4)문항으로 구성 하였고, 지방 단종 업체의 경 우 인테리어 시공업무 진행과정에 관한 질문 6)문항과 실내건축공사업 네 트워크 구축 시 참여도, 신뢰도 형성, 기대효과에 대한 기여도등에 관한 질문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5-3-2. 조사결과 1) 수도권(서울, 경기)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 설문조사결과 1-1) 일반사항 설문조사자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남, 여의 성별 구성비는 응답자 36명 중 남자 31명(86%), 여자 5명(14%) 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경력은 -10년 5명(14%), 11-15년 11명(31%), 15-20년 8명(22%), 20-25년 2 명(6%), 25-30년 6명(17%), 30년 이상 4명(11%)로 나타났다. 또한 담 당업무 비율은 설계 10명(28%), 시공관리 22명(61%), 공무 4명(11%)로 나타났고, 직위는 경영자 9명(25%), 현장관리자 27명(75%)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2) 실내건축공사 시공업무 진행과정과 현황에 관한 설문 - 수도권(서울, 경기)과 지방의 공사수주금액을 비교 한다면 그 비율은 어느 정도 인가에 대한 설문에 응답 업체의 대다수가 지방공사의 수주금 액보다 수도권 지역에서의 공사수주 금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서울, 경기)과 지방의 공사 건수를 비교한다면 그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의 설문에는 수도권 지역에서의 공사건수가 지방의 공사건수 보 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적으로 수도권 중심으로 산업 인프라가 형성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수 도권지역의 프로젝트가 지방의 프로젝트 보다 전체적인 면으로 볼 때, 수 주금액이나 공사건수가 더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 실내건축 현장 시공업무 진행에 관한 설문으로 공사주주시 시공을 어 떻게 실행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공종별 외주업체 발주가 가장 많았으며, 직접시공과 재하도급 시공 순으로 나타났다.

 

- 위의 질문 현장시공 업무진행에 대해서 ①(직접시공)을 하지 않는 경우 외부 업체 선정 시 어떠한 요인을 중요시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가격 경쟁력을 최우선요건으로 응답했으며, 신뢰도와 시공능력, 오랜 거래관행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선적으로 저가의 업체를 선정하되, 실질적으로는 계속적으로 거래 를 해오던 업체가 신뢰도가 있고, 시공관리가 편리하다는 측면으로 볼 수 있다.

 

- 지방의 공사 진행시 수도권 단종 업체와 지방의 단종 업체와의 협업은 어느 정도의 비율인가의 질문에 지방현지의 단종 업체보다 수도권 단종 업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 단종 업체와 협업을 하는 이유로는, 시공능력, 신뢰도, 가격경쟁 력 순으로 지방의 단종 업체보다 수도권의 단종 업체가 신뢰도나 시공능 력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방 공사의 경우 수도권 단종 업체보다 지방의 단종 업체와 협업을 하는 이유로는 지리적 근접성과, 가격경쟁력으로 나타났다. 지리적 근접 성의 경우 비용절감 및 관리적인 측면으로 효율성이 높다고 볼 수 있으 며, 가격경쟁력의 응답률이 높은 것은 수도권 단종 업체의 지방 공사 시 소요되는 물류비나 원거리 공사 시 소요되는 비용부분이 작용 한 것으로 보인다.

 

- 지방 현지 단종 업체들과의 협업 시 장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 도 지리적 근접성이 가장 큰 장점으로 나타났다.

 

- 지방 공사 시 현지 단종 업체들과 협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 는, 단기성 거래로 인한 지방 업체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하다는 점과 수 도권 단종 업체 보다 지방 단종 업체의 시공능력이 부족 하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방 현지 단종 업체들과 협업 환경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보완 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시공능력 향상에 대한 부분을 지적하였으며, 현지 업체들에 대한 정보의 부족과 신뢰도를 구축하는 것 또한 보완해야 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 현장 시공업무 진행시 수도권(서울, 경기) 단종 업체에 비해 지방 업체 들이 가지는 가장 취약점에 대한 설문에는 앞선 자료에서 나타난 것과 마 찬가지로 시공능력에 대한 부분이 가장 큰 취약점으로 나타났으며, 시공 기술 인력과 업체에 대한 정보 부족, 시공 후 즉각적인 공사비에 대한 청 구에 대한 부분도 취약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방 단종 업체와 협업이 많이 이루어지는 공종 (복수응답)

 

- 지방 공사 진행시 현지 단종 업체들과 협업 시공 경험으로 보아 사후 관리 및 A/S 만족도에 대한 부분에서는 시공 후 A/S가 발생 하였을 경 우, 대처 및 처리능력에 대해서는 보통 또는 그 이하로 부정적인 견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3)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과 활용에 관한 설문 - 현장 시공업무 진행에 있어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으로 설문에 응답한 대다수의 업체가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는 필 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를 통한 전문 업체 간 (실내건축공사업 전문 업체와 지방 단종 업체)의 신뢰도를 구축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의 결 과로는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를 통한 수도권(전문 업체)와 지방의 단 종 업체 간 신뢰도 구축에 대해서는 신뢰도를 구축 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방의 단종 업체와 수도권 업체 간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를 통한 신뢰도가 형성된다면 지방 프로젝트의 경우 실질적인 효과에 대한 “효과 가 크지 않을 것이다” 응답에 비해 비용의 절감, 효율적 관리 등의 “기대 효과는 클 것 이다” 의 견해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가 구축 될 경우 활용 할 의사에 대한 조사결 과는 적극적으로 활용 할 의사가 있는 업체가 많았으며, 이들 업체의 경 우 현지 지방 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기대효과에 대해 만족 할 만 한 기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분석 할 수 있으며, 소극적 활용 의사를 보인 업체의 경우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가 구축된 이후 어느 정도의 기간 경과 후의 상황에 맞게 활용 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가 구축될 경우 전혀 활용하지 않겠다는 업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지방 단종 업체 설문조사 결과 2-1) 일반사항 설문조사자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남, 여의 성별 구성비는 응답자 22명 중 남자 21명(95%), 여자 1명(5%) 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경력은 -10 년 4명(18%), 11-15년 3명(14%), 15-20년 8명(36%), 20-25년 3명 (14%), 25-30년 3명(14%), 30년 이상 1명(5%)로 나타났다. 또한 주 공 종은 시공관리 6명(27%), 전문시공 16명(73%)로 나타났고, 담당업무는 현장관리 5명(23%), 현장시공 16명(73%), 공무 1명(4%)로 구성되어 있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2) 인테리어 시공업무 진행과정과 현황에 관한 설문 - 인테리어 시공업무 진행과정에 있어 지역 내 공사와 지역 외 공사 건 수를 비교했을 때, 대다수의 업체가 지역 내 공사가 지역외의 공사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지방 단종 업체의 인테리어 공사 수주 방법으로 수의계약과 경쟁 입찰 에 대한 비율을 조사한 결과 경쟁 입찰 보다 수의 계약에 의한 수주가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다수의 지방 단종 업체의 경우 법인보다 개인사업자가 많고 인맥 을 통한 공사 수주가 많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 현재 지역 인테리어 공사에 대한 수도권(서울, 경기)지역 업체들의 공 사수주는 어느 정도라도 느끼는지에 대한 설문에는 전체적으로 수도권 및 지역 외 업체들의 현지 공사량은 대체적으로 많다고 체감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 인테리어 시공업무 진행에 있어 수도권(서울, 경기)소재 업체와의 협업 을 통한 공사 진행 경험이 있는가에 대한 조사에서는 수도권 전문 업체의 지방 공사 시 선호하는 협업 공종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대다 수의 업체가 수도권 업체와의 협업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서울, 경기) 등 타 지역 업체와 협업을 통한 공사 진행시 지역 업체가 가지는 가장 취약점에 대한 조사에서는 기술인력 부족을 가장 취 약점으로 보고 있으며, 특별한 취약점이 없다는 응답 또한 나타났다. 취 약점이 없다고 응답한 업체의 경우 수도권 업체와 협업 경험이 있는 업체 로 지속적인 협업여건이 조성되지 못함으로서 지방 업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으로 인한 결과로 보았다. 시공능력과 신뢰도 구축을 지목한 수도 권 전문 업체와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 부분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업체 간 상호 노력이 필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 수도권(서울, 경기) 등 타 지역 업체와 협업을 통한 공사 진행시 지역 업체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지리적 근접성 으로 수도권 업체가 느끼는 장점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2-3)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과 활용에 관한 설문 - 수도권 인테리어 업체와의 시공 협업 여건이 만들어 진다면(인테리어디 자인 네트워크 구축 시) 협업 시스템에 참여 할 것인가에 대한 조사에는 수도권(서울, 경기)지역의 전문 업체보다는 다소 소극적인 반응으로 나타 났다. 이는 수도권 전문 업체가 지방의 단종 업체 보다는 실질적인 기대 효과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수도권 인테리어 업체와 시공 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면 지역 인 테리어 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원활한 협업 여건이 이루어지고 지속적인 협업이 이루어진다면 지방의 인테리어 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 앞의 질문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 구축 시 참여도에 대해 “적극 참 여 하겠다”라고 응답한 업체에 대해 수도권 등 타 지역 인테리어 업체들 과의 원활한 협업을 위한 선행 조건에 대한 조사에서는 지속적인 협업관 계 유지와 신뢰도 향상이 우선이라는 결과로 조사되었다.

 

- 지방 업체들에 대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신 뢰도 향상과 새로운 기술에 대한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는 결과로 조사 되었고, 시공능력 또한 향상 시킬 필요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를 통한 업체간(수도권 인테리어 전문 업체와 지방의 단종 업체)의 신뢰도를 구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조사는 대체적으 로 신뢰도를 형성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조사결과를 보였다.

 

-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를 통한 신뢰도가 형성 된다면 지방 인테리어 공사의 경우 수도권 및 타 지역 업체들의 경우 지방 현지 업체들과 협업 을 통한 비용절감, 효율적 관리 등의 실질적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결과로 조사되었다.

 

4. 조사결과 분석 본장에서는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와 지방 단종 업체 각각에 대한 실 내건축공사 시공업무 및 진행과정, 현황을 통한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수요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공업무 진행과정에 있어 지역 내 공사와 지역 외 공사의 수주금 액 및 공사건수에 대한 조사결과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 지방의 단종 업체 대부분 지역 내의 공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의 지역 내 공사비중이 높은 것은 수도권 중심 의 산업이 편중되어 있음으로 비추어 볼 때 당연한 결과로 보여 지며, 지 방업체의 경우 대다수의 업체가 인맥위주의 수의계약 방식에 의존한 결과 로 분석된다.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의 경우 직접시공(17%) 보다는 외주업체나 재 하도급 시공이 많은(81%)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직접시공을 하지 않는 업 체의 경우 외부업체 선정 시 가격 경쟁력, 신뢰도, 시공능력을 우선요건 으로 선정하였다. 지방의 단종 업체가 체감하는 수도권 업체의 지방 공사에 대한 비율이 많 은 편이다(64%)라는 조사결과에 비해 지방 업체의 수도권 업체와 협업을 통한 공사 진행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기성 거래로 인한 낮은 신뢰도(53%), 시공능력 부족(39%)이 그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테 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와 지방의 단종 업체 간 협업 환경을 위한 조건으로 도 시공능력 향상(44%)과 신뢰도 향상(22%), 업체정보 (31%)로 나타났 다. 지방 공사의 경우에도 수도권 단종 업체와 협업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시 공능력(42%), 신뢰도(25%), 가격경쟁력(22%)로 나타났으며, 지방 단종업체와 협업 사유로는 지리적 근접성(47%)과 가격경쟁력(39%)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방 단종 업체의 가격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 은 지방 공사 시 물류비용등 기타경비가 증가되는 것이 작용한 것으로 분 석된다. 또한 지방 업체는 지리적 근접성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조사되었 으며, 가장 취약점으로는 기술인력 부족(45%), 없다(23%), 시공능력 부족 (14%), 정보력, 대금지급 요구(9%) 순으로 조사되었다. 없다(23%)의 경우는 수도권 업체와 협업 경험이 있는 업체로 조사되었으 며, 지방 현지 업체의 취약점인 시공능력 부족과 신뢰도 저하는 지속적인 협업여건이 조성되지 못함으로 인한 지역 업체에 대한 정보의 부족을 가 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또한 지방 업체의 경우 시공능력 보다는 기술 인력의 부족이 가장 취약점 인 것으로 조사되다. 이는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와 지방 현지 업체 상호간의 격차를 보여 주는 부분으로 업체 간 신뢰도 형성을 위한 노력과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의 필요성에 대한 수요자를 분석한 결과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의 경우 95%이상의 업체에서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조사 되었고, 지방 단종 업체의 경우 협업 시스템 이 만들어 진다면 참여 할 의사에 대해 적극 참여하겠다(18%), 고려하겠 다(82%)로 조사 되었다. 이는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의 경우 지방 공 사 시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를 통한 비용절감, 효율적 관리 등의 실질 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판단 한 것으로 보인다.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는 실내건축공사업 네트워크에 적극적인 입장을 보인 반면, 지방 단종 업체의 경우 다소 소극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조 사되었으며,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와 지방 단종 업체간 신뢰도가 형 성되어 있지 못한 부분의 영향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 다. 지방 단종 업체 중 적극참여하겠다(18%)라고 답변한 응답자는 수도권(서울, 경기) 등 타 지역 인테리어 업체들과의 협업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서 는 75%가 지속적인 협업관계 유지, 25%가 신뢰도 향상으로 조사된 것으 로 볼 때, 업체 상호간 지속적인 협업을 통한 신뢰도 형성이 중요한 요인 으로 분석된다. 셋째,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를 통한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와 지역 단종 업체 간 신뢰도가 구축될 수 있는가에 대한 조사는 신뢰도가 형성 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조사 결과를 보였다. 지방 단종 업체는 업체 간 신뢰도가 구축됨으로써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의 지방 공사 시 기대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조사되었고, 원활한 협 업 여건 형성은 지역 인테리어 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 로 분석되었다. 넷째,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 구축 시 활용에 대한 부분으로 인테리어 디자인 전문 업체는 적극적으로 활용(64%), 소극적 활용(21%)로 나타났 고, 지방 단종 업체의 경우 적극 참여하겠다(18%), 고려하겠다(82%)로 나타났다. 이는 주 시공자인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의 기대효과가 지 방 단종 업체의 기대효과 보다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보인 지방 단종 업체 또한 원활한 협업시스템 유지를 위해서 는 지속적인 협업관계 (75%)를 통한 신뢰도 향상(25%)이 필요하다고 분 석되었다. 지방 단종 업체의 고려하겠다(82%)의 조사결과는 수도권 인테 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와 지방 단종 업체 간의 신뢰도가 형성되지 못한 상 황으로 볼 때 다소 상호간 신뢰도가 형성되기까지의 기간은 필요하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Ⅵ. 결론 인테리어디자인에 대한 수요의 계속적인 증가와 진보되고 있는 인테리어 디자인 산업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는 산업의 불균형을 해소하 고 지역 간 정보교류를 통한 신뢰도를 향상함으로써 지역 균형적 발전과 산업을 활성화한다는 측면에서 그 경제적 가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있어 소비자에게는 보다 큰 만족 과 가치를 부여하고, 인테리어디자인 업체의 효율성과 생산성 및 부가가 치를 높이기 위한 측면으로, 감성적 디자인 산업으로 볼 수 있는 인테리 어디자인 산업에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활용한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있어 그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인테리어디자인 관 련 실무자 그룹을 중심으로 그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에 관한 업체들의 설문 및 인터뷰 조사 결과 적 극적인 필요성을 보인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와 다소 소극적인 반응을 보인 지방 단종 업체 간 산업의 격차는 보이고 있지만,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를 통한 격차의 해소와 신뢰도를 형성 할 수 있다는 점, 이를 통 한 협업여건이 조성될 경우 지역 인테리어 산업의 성장에 상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공통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 는 그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함에 있어 지방 의 경우 지역의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표본추출과 방문 인터뷰를 통 한 설문조사를 함에 있어 조사자를 위한 주관적인 답변에 대한 배제의 어 려움, 지역적 특성에 관한 설문의 보완, 다양한 지역에 대한 설문의 필요 성에 대한 부분은 연구의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산업 격차의 해소와 신뢰도 형성은 장기간 지속적인 협업을 통한 신뢰도가 형성되어야 하며, 업체 상호간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테 리어디자인 관련 업체들에 대한 데이터화가 필요하다는 측면과, 서비스디 자인을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적인 측면에서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대한 분석 등 장기간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은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 로 보여 진다. 하지만,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수도권 편중화현상과 불균형 현상으로 인 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는 인테리어디자인 업체와 소비자(고객)모두에게 부담으로 적용되어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 하는데 있어 현 실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볼 때,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체계로의 변화는 산업의 동반성장을 통한 서비스의 확대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차 후 연구에서는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특성과 현실적인 문제점에 대 한 보다 더 심도 있는 접근과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측면으로 조사 가 이루어져 인테리어디자인 업계의 경쟁력 확보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

 

2-3. 네트워크의 특징 네트워크의 일반적 특징33)은 1) 네트워크의 연계는 공급자들 사이에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고객들 과의 사이에서도 형성된다. 고객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부응하기 위해 활 동한다. 2) 네트워크의 연계는 상호작용적이다. 잠재적 고객들은 프로젝트나 서비 스의 초기 단계에서 자신들의 요구를 명시하고 중간 결과를 평가한다. 전 문성의 활용은 전통적인 전달 및 지불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무엇인가 얻기를 기대한다. 상호 기 대하는 성과를 명시하기도 한다. 3) 네트워크 내에서는 각 요소들이 자율적으로 관리된다. 리더가 없거나 과정이 관리되지 않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과정은 위계적 조직에서 요구되는 것과는 다르다. 각기 다른 국면에서 각기 다른 리더에 의해 움직이며 리더 자체가 계속 변화한다. 4) 네트워크 참여자, 즉 노드는 공동 목적을 공유한다. 하나의 비젼, 미션 또는 보다 구체화된 목적일 수도 있다. 참여자들은 공동 목적이 자신들에 게 이익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에서 활동하며, 결국 고객에게 이익이 된다. 네트워크상의 조직들이 자발적으로 참여 할 때 이익이 창출된다. 5) 네트워크는 변화한다. 네트워크는 역동적인 구조로서 참여자의 역할, 참여자의 규모, 유형 등은 변화하면서 목적을 달성한다. 6) 전자매체는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지지하는데 기여하지만 네트워크는 인간적인 것이다. 전자매체를 통한 대화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존중 에 관한 합의된 코드(code)가 있어야 하며 신뢰가 있어야 한다. 가상적 팀은 전자매체에 의한 의사소통이 과업 중심적이기 보다는 사회적인 연대 가치를 강화 할 때 효과적인 경향이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가 더욱 생산 적으로 되기 위해서 대규모 집단을 가지고 있더라도 작지만 활동적인 핵 심 인원을 보유한다. 내용을 정리해 보면 네트워크는 고객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며 상호작용 을 통해 목적을 공유하는 역동적인 구조이며, 인간적인 유대를 강조하면 서도 상황에 따라 연계의 형태와 내용을 조정하는 융통성을 발휘하는 특 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4. 네트워크의 효과 일반적으로 기업이 추진하는 네트워크 전략은 특정 네트워크 내의 기업 이나 기관, 기타 유관 조직들 간에 긴밀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의 정보공개와 상호협조를 통해서 개별 기업이나 산업의 효율을 제고 할 수 있다. 창업기업인 경우 에는 지역 네트워크 구성원인 정부기관, 금융기관, 자문기관, 전문계약업 체 등을 통해 기술, 자금, 판로 등이 지원을 받으면서 성장기반을 강화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이점은 크게 생산 및 비용 상의 이점과 마케팅상 의 이점으로 구분35)할 수 있다. 생산 및 비용의 이점으로는 1) 비용위험 분산 : R&D와 마케팅에 수반 되는 비용과 위험의 분산, 2) 벤치마킹을 통한 경쟁력 향상 : 생산 활동 과 서비스를 구성원들과 비교 하면서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가치를 창 출, 3) 혁신역량 제고 : 노하우 공유 및 R&D 집중을 통한 혁신역량 제 고, 4) 핵심역량 강화 : 비주력부문은 구성원들의 역량을 활용(협업)하 고 핵심역량에 집중(전문화), 5) 생산비용 절감 : 공동구매, 공동생산, 공 동판매, 공동 폐기물 처리 등을 활용함으로써 비용 절감, 6)규모의 경제 와 범위의 경제 달성 등이 있다. 마케팅상의 이점으로는 1) 시장 모니터링 강화 : 시장을 지속적으로 모 니터링 함으로써 사업 기회 활용 가능, 2) 매출의 증가, 3) 생산범위 확대 : 협업을 통해 생산가능 범위 및 공급가능 물량을 확대함으로써 마케팅 역량 강화, 4) 패키지 솔루션 제공 : 보완적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패키 지 솔루션 제공 가능, 5)새로운 시장의 신속한 개척 : 수요자 요구를 통 합생산 함으로써 시장 기회와 잠재력을 최대 활용, 6) 마케팅 역량 제고 : 교육 및 공동품질 보증을 통한 시장 신뢰성 향상 등이 있다. 네트워크 전략은 기업이 지식기반 경제에 적응하고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 을 극복할 수 있는 최적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의 우월성을 확보 해주며, 고정자산과 기술투자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유연성과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 줄 수 있다.

 

Ⅲ.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3-1.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현황 3-1-1. 인테리어디자인의 개념 인테리어의 개념을 살펴보면 사전적 의미로서 안의, 내부의, 안쪽이라는 용어로 쓰이고 있으나 보편적으로 interior design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 다. 인테리어 분야는 건축과 관련된 법제도의 영향을 받아왔고, 건축의 한분 야로 인식 되어왔다. 그러나 인테리어는 실내 공간에 대한 물리적, 환경 적 조건, 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능적, 정서적 조건 등을 고려하여 실내공간을 계획하는 작업으로 거시적 측면에서 환경에 대한 이해와 건축 적 이해를 바탕으로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계획이 이루어 져야 한다.36) 인테리어디자인은 건축과 함께 공간별 생활환경에 대한 디자인 문제를 총 체적으로 다루었을 때 한계를 명확히 구분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실내 디자인의 범위를 살펴보면 도시환경과 가로에서도 존재하며 건축자체의 영역에서도 존재한다. 각 공간별 실내 환경을 구체적으로 창조해 내는 실행 계획과 과정의 완성 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인테리어디자인의 과제는 건축공간에 기능적인 요소와 감성적인 요소의 결합으로 문화적인 공간을 구성하는 디자인 작업 이며, 결국 인간에게 쾌적한 환경 즉 생활공간의 창조성을 추구하는 것이 다.37)

 

3-1-2.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시장규모 국내 인테리어디자인 시장규모는 2012년 현재 등록업체는 4,440여개 업체를 넘어섰고, 기성실적은 8조 6000억원, 실내건축 협의회에 가입하 지 않았거나 건설업 면허를 취득하지 않은 일반사업자를 포함하면 약 20 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한전문건설 협회에서 발표한 실내 건축공사업의 면허 등록현황은 그림 7과 같으며, 등록 업체 수는 계속증가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등록업체 분포도는 그림8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서울과 경기지역 이 등록 업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산업이 편중 되어있음을 볼 수 있다.

 

산업의 수도권 편중화는 인테리어 산업의 수도권 편중화가 더욱 심화되 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11 에서 보듯이 최근 5년간(2008-2012)의 실내건축공사업체의 기성실적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서울, 경기)업체들이 실적구성비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수도권 편중현상이 심함을 볼 수 있다.

 

발주처별로 기성현황을 살펴볼 때 발주량 전체의 상당부분이 민간 발주 로 나타났으며, 지자체, 정부투자, 공공단체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경기에 민감한 산업임을 감안할 때 상황에 따른 증감의 폭이 발생하지만 민간부 분의 발주량이 많았음을 볼 수 있다.

 

공간별 실내건축 공사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 상업, 업무시설의 분포가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상업, 업무시설의 경우 부동산 시장 변화의 추이와 주거형태의 수요도와 경제지수에 따라 발주량의 변화 가 있지만 전체 실적 중에서는 가장 높은 구성비를 계속적으로 보이고 있 다. 인테리어디자인 업체의 현황을 조사해본 결과 실내건축 공사업 면허를 소지한 매출규모 상위1-25위 업체가 기성실적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경쟁력 있는 소수의 기업들이 대다수의 공사를 점유하고 있으며 나 머지 업체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 다.39) 국내 인테리어 사업자의 대부분은 영세업체들로서 기업운영의 효율성이 저조하고 체계적 마케팅 능력을 보완하여야 하며 사업의 전문성에 따라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한 보다 더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이 필요 하며, 이윤의 극대화를 위한 노력 또한 필요하다.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은 유행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가 심하고 클라이언트 의 요구 또한 다양하며, 대부분의 사업이 제휴업체 하청중심의 공사 진행 이 대부분으로서 각 업체들에 대한 분류 및 체계화가 시급하고 DB화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이 수도권 중심으로 편중되어있어 자재 구매에 있어 과도한 물류비가 발생되고 있으며, 고비용 저효율, 사후관리 서비스 미흡 등의 문제점 발생은 간접비용의 발생으로 연결되고 이는 결국 최종 소비 자에게 전가되는 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인테리어 시공의 적정한 단가,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공사 진행을 위한 기반마련을 위해서는 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e-Business 모델 개발 도입 등 지방산업과 상호 정보교류를 통한 동반상생 성장의 기반 마련을 위한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클러스터가 필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3-2.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문제점 국내 인테리어 산업의 발전요소 저해의 원인으로는 저가수주, 경기하락, 공사단가 저하, 업체 수 난립 등이 주원인으로 나타났다.40)

 

또한 고비용 저효율 체계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인테리어디자 인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다각도로 변화하는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혁신적인 디자인 경영마인드, 기술개발과 인력자원의 확보, 창조적인 마케팅이 전략이 필요하며, 인테 리어디자인 산업이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산업임을 감안 할 때 고 객의 니즈를 파악, 충족시키고 철저한 사후관리 위한 상호간 정보의 공유 는 성공 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3-2-1. 인테리어디자인 업체 경영전략의 문제점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있어 새로운 시장의 창출과 고객 유도를 위해서 는 경영 형태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개선시켜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장조사에서 부터 계획, 설계, 시공, 사후관리에 이르는 전체적인 부분에 있어 체계화와 합리적인 프로젝트 매니지먼트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은 인간 생활공간에 대한 가치를 부여하고 창조성을 추구하는 것이며, 기능적이고 합리적 계획을 통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 하는 산업으로 품질과 기술력을 통한 경쟁전략 수립으로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기존의 인맥 또는 기존 고객의 소개를 통한 수주형태의 운영은 선진화 되 고 있는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경쟁력과 신뢰도를 확보하는데 큰 어려움 으로 작용 할 가능성은 크다. 또한 안일한 생각과 주먹구구식의 경영 형 태는 유행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가 심하고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함으로서 결국 산업의 신뢰도 저하로 이어지는 결과를 가져 오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은 기존의 운영전략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 운 디자인의 개발과 시장의 창출로 고객을 유도해 나가야 될 것이다. 산업의 네트워크나 클러스터, DB화, e-Business 모델 개발 등은 인테리 어디자인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정보교류,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고 생산 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그 예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있어 고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새로 운 디자인 개발과 차별화되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체계적이고 합리적 인 경영전략을 통한 시장 창출, 고객과 소통을 통한 디자인 창출 능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3-2-2. 저가수주 위주의 문제 우리나라 인테리어 산업의 경영상 가장 어려운 점은 동종 업체 간의 심 한 경쟁이며, 또 한 가격결정 요인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이 업체 간 경쟁임은 공공연한 사실임에 틀림이 업다. 이는 인테리어 업체 간의 경쟁이 가격 경쟁으로 편중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동종 업체 간의 지나친 가격 경쟁으로 인한 제 살 깎기, 가격 경쟁의 심화에 따른 낮은 시공비와 이로 인해 충분한 자재와 인력 등의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 아 부실공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41)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현황으로 볼 때 경쟁력 있는 소수의 업체들이 시 장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수의 업체들은 공사를 통한 이익 보다는 수주 자체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상당수의 업체들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련정보나 경험이 충분치 못한 상태 에서 가격경쟁에 참여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업체들의 제안금액이 외부로 공개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실제로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어느 정 도 공유가 되고 있는 상황으로 보면 차후 유사 프로젝트 진행시 수주단가 의 하락으로 인한 프로젝트의 품질이나 시공 진행 과정상의 문제점이 발 생 할 것으로 보인다. 고급인력이 퇴출됨으로서 경험 및 노하우가 부족한 값싼 인력의 사용, 낮 은 등급의 자재사용, 공종관리의 부실에 대한 피해는 고객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는 현상이 반복되어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도 큰 지장을 가져올 것 으로 보인다. 저가수주에 대한 문제점들이 존재하지만 당장의 이익에 급급한 나머지 저 가의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발주자와 업체, 이러한 저가의 프로젝트를 또 다시 저가로 수주하는 업체와 물량확보를 위해 수익성이 떨어지는 프로젝 트를 수주하는 업체들로 인해 결국 산업의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 로 본다.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경쟁력은 기능적, 합리적 계획을 통한 새로운 공 간의 가치를 창조하는 산업으로 낮은 수주금액이 아니라 품질과 기술력을 통한 경쟁력 강화,상호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효율적 공정관리를 통한 시 공업무개선, 적정한 가격경쟁을 통한 산업의 활성화 등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합리적인 가격 체계의 조성은 고객에게 곧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신 뢰를 줄 수 있는 운영계획으로 시장을 창출하고 고객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겠다. 3-2-3. 디자인의 계획과 설계에 대한 인식전환의 필요성 건축이 기초 계획 설계 단계에서부터 설계비를 인정받는데 비해 인테리 어디자인 산업에 있어 디자인 계획에서 부터 전체설계에 대한 설계비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향은 공공연한 현실로 볼 수 있으며, 또한 클라이언트 들의 의식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계획과 설계에 대한 비용 절감은 우선 발주자에게 비용적 인 측면에서 이익을 줄 수는 있으나 디자인 도용 등에 대한 지적보호가 되지 않음으로써 디자인 개발에 대한 의욕이 저하되고, 창조적이고 기능 적인 계획 설계 보다는 기존의 디자인을 모방하는 정도의 설계로 인하여 오히려 클라이언트들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있어 디자인 계획과 설계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공간의 기능을 최대한 창조적으로 기획하는 것으로, 하나의 단순 결과물로 인식 하기보다는 전체적인 과정과 아울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다는 인식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 다. 인테리어디자인 업계는 적절한 설계비용이 책정됨으로써 보다 새로운 디 자인 서비스를 고객에게 전달 할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을 위한 계속적인 노력과, 스스로 디자인 설계에 대한 가치인식의 전환점이 필요하다고 본 다. 최근에 이르러 디자인 계획과 설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 러나 비교적 규모가 큰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지고 있어 일반적인 인테리 어 시공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이 점차 선진화, 전문화 되어가는 상황으로 볼 때 차 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디자인은 상황을 파악하고 컨셉을 제안하 며,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결과를 도출해 내는 창조적인 가 치 산업으로 인식되기 위한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Ⅳ. 인테리어디자인 산업 네트워크 서비스 현황 정보통신의 발달과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하여 사회의 각 분야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그 결과 컴퓨터는 이제 우리 일상생활의 일 부분이 되었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나 지식의 교류가 확대되고 그 영역 이 점차 광범위해짐에 사회전반에 걸쳐 인터넷 서비스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필요한 각종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서점이나 도서관을 방문, 또는 신문, 잡지, 관련 서적이나 연구자료 등을 직접 찾아보는 시대에서 이제 인터넷 에 접속하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웹서비 스의 보급에 따라 웹 서비스는 중요한 정보자원으로 대두되었을 뿐만 아 니라 그 어떤 통신매체도 하지 못했던 정보에 대한 대중의 욕구를 혁명적 으로 바꾸어 놓았다. 그 결과 인터넷 웹은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도 빠 르게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인터넷 웹 사이트가 소개 된지 불과 몇 년 사이에 인터넷 인구는 놀라울 정도로 증가 되었고42) 계속 증가되는 추세 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테리어디자인 업계에도 예외는 아니며, 인테리어디자인 에 대한 수많은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인테리어디자인에 대한 정보의 다양화는 고객이 원하는 디 자인을 충족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테리어디자인에 관한 시 공 및 견적의뢰, 자재 구입 등 인터넷을 통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 다. 인테리어디자인 업계의 인터넷 서비스를 통한 홍보와 마케팅은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하며, 그 방 편으로 홈페이지 개설 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와의 지속적인 유대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본 장에서는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 사례조사를 위해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 홈인테리어 업체, 인테리어 재료업체 들의 웹 사이트를 대상 으로 콘텐츠의 구성내용을 토대로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현황 등을 파악 하여 분석 하고자 한다. 사례조사를 위한 대상 업체 선정기준은 인테리어디자인 전문회사는 대한 전문건설협회 시공능력 평가액을 기준으로 상위인 업체를 선정하여 조사 하였고, 홈인테리어와 재료업체는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회사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4-1.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 4-1-1. 은민에스엔디

 

1) 회사 소개 - 회사명 : 은민에스엔디 - 대표이사 : 이승성 - 설립일 : 1998.12 ㈜은민인테리어 설립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13년 대한전문건설협회 시공능력 평가 2위 (실내건축)

 

2) 홈페이지 콘텐츠의 구성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인간중심의 창조” 와 “고객만족” 이라는 경영이념으로 디자인과 기술력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과 감성을 결합 시킨 디자인 전략에 중점을 두 고 있다. 소프트웨어 총판사와 업무 협조를 통한 소프트웨어의 체계적인 관리와 저작권 보호 효과를 얻고 있으며, 또한 정기적인 정보공유를 통해 소프트 웨어 라이선스의 최신정보 확인과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다. 계열사로는 은민C&C(일반건축), LSEM(건축자재 및 수입), 해외법인(중 국, 베트남)을 설립해 해외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4-1-2. 국보디자인

 

1) 회사 소개 - 회사명 : 국보디자인 - 대표이사 : 황창연 - 설립일 : 1983년 국보건업 창업 - 위치 : 서울시 마포구 - 2013년 대한전문건설협회 시공능력 평가 1위 (실내건축) 2) 홈페이지 콘텐츠의 구성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인간중심의 문화 공간 창출“의 기업이념을 목표 로 설립 ”건강경영“의 경영철학으로 수익성 위주의 기업 운영을 하고 있 다. 인테리어 기획, 설계, 시공감리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리모델링 공사 및 해외사업( 미국 합자법인, 베트남 현지 법인, 중국지사)개발 인테 리어에 주력하고 있다. 가구사업부를 두고 직접 디자인, 생산, 시공함으로써 고객의 요구를 최대 한 충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계열회사로는 KUKBO VINA CO., LTD와 KUKBO HOTELS & RESORTS INDIA LIMITED가 있다.

 

4-1-3. 대혜건축

 

1) 회사 소개 - 회사명 : 대혜건축 - 대표이사 : 권성우 - 설립일 : 1985년 인테리어 사업 개시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13년 대한전문건설협회 시공능력 평가 9위 (실내건축) 2) 홈페이지 콘텐츠의 구성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최적의 설계”와 “완벽한 시공”을 경영이념으로 고객의 성공과 만족을 기업의 목표로 내실을 다지고 있는 업체이다. 인테리어 디자인 전문 토털 서비스 업체로 인테리어 디자인의 컨설팅에서 부터 기획설계, 실시설계, 시공, 감리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른다. 주거 공 간, 숙박시설 공간, 주택 전시관 등의 인테리어 부문에서 특화된 실력을 갖추고 있다. 계열회사로 (합) 대혜비나 (Deahyevina Join Stoct Company)가 있다 프로젝트 모델하우스 프로젝트 이미지 주상복합 프로젝트 이미지 주거&커뮤니티 프로젝트 이미지 호텔&리조트 프로젝트 이미지 업무 프로젝트 이미지 유통문화 프로젝트 이미지 기타 기타 커뮤니케이션 공지사항 공지사항 채용안내 채용안내 FAQ FAQ 협력업체 협력업체 - 46 - 4-1-4. 삼원에스엔디

 

1) 회사 소개 - 회사명 : 삼원 S&D - 대표이사 : 김태열 - 설립일 : 1982.04.24. 삼원기업창립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13년 대한전문건설협회 시공능력 평가 3위 (실내건축) 2) 홈페이지 콘텐츠의 구성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환경 Design Service를 통한 고객만족을 기업이념으로 자연, 환경, 기술 의 일체를 통한 고객공간의 가치창조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화, 고 도화, 전문화된 종합 환경 Design Service 회사로의 도약을 위해 ISO 9001품질인증 및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센터와의 Design Partnership System을 갖추고 있다. 시공현장에 선진기술력 도입을 통한 품질향상을 도모하였고, 고급주거시 설에서부터 리조트, 호텔, 병원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프로젝트를 진행하 고 있다.

 

4-1-5. 다원디자인

 

1) 회사 소개 - 회사명 : 다원디자인 - 대표이사 : 조서윤 - 설립일 : 1995 - 위 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13년 대한전문건설협회 시공능력 평가 4위 (실내건축) 2) 홈페이지 콘텐츠의 구성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다국적 기업 및 국내 기업을 위한 인테리어 설계 및 시공 전문회사로 설 립하여 오피스 공간 인테리어 디자인과 시공에 주목을 받고 있다. 고객과 공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디자인 철학이 창의적으로 융합되 는 디자인솔루션을 제공하고, 건축설계부터 인테리어 시공까지 통합된 스 페이스 구축 실행 역량을 보유하여 고객의 효용가치중심을 실현하고자 하 는 업체이다. 경쟁사와 차별화와 내부적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해 통합적인 서비스, 전문 인의 리더쉽, 전문시장에 맞춘 서비스의 “가치 서비스” 전략을 구현하고 있다. 계열사로는 DDA건축사무소, 베트남 법인, 제주지사가 있다.

 

4-2. 홈인테리어 업체 4-2-1. 한샘 인테리어

 

1) 회사 소개 - 회사명 : 한샘 인테리어 - 대표이사 : 최양하 - 설립일 : 1970. 9 - 위 치 : 경기도 안산시 2) 사업 분야 : 가구위주의 홈인테리어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한샘 인테리어는 개성 있고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것에 요점을 두고 있다. 웹페이지 구성을 살펴보면 침실, 매트리스, 거실 등의 상품을 소개하고, 공간제안이라는 콘텐츠를 두어 신혼공간제안, 아이 방, 수납솔루션 등의 인테리어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한샘은 각 지역에 한샘 인테리어 대리점을 두고 지방에서도 가구나 인테리어 관련 생활용품 등을 판매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웹 사이트를 통해 리모델링 및 가구에 대한 견적을 받아볼 수 있고 직접 대리점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4-2-2. KCC 인테리어(홈CC)

 

1) 회사 소개 - 회사명 : 홈씨씨 인테리어 - 대표이사 : 정몽익, 정몽진 - 설립일 : 1958.8 ㈜ 금강스레트공업 설립 - 위 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2) 사업 분야 : 인테리어 자재 위주의 홈인테리어 3) 사업전략 및 네트워크 홈씨씨 인테리어는 건축자재 및 자재 전문기업인 KCC의 인테리어 브랜 드로 홈씨씨를 통해 공급되는 자재 및 제휴업체 자재를 사용해 시공하는 홈인테리어 업체이다. 웹페이지내의 자동견적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원하 는 디자인을 선택 할 수 있으며, 각 지역에 홈씨씨 인테리어 파트너를 두 고 그 파트너를 통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형식으로 운영되어지고 있다. 홈 씨씨에서 제공하는 인테리어 패키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인테리어에 쓰이는 제품도 소개를 하고 있다. 웹페이지내의 견적서비스는 고객이 보 다 쉽게 인테리어 견적을 낼 수 있도록 되어있다.

 

Ⅰ. 서론 1-1.연구의 배경과 목적 삶의 질이 향상되고 거주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디 자인이나 스타일, 사용되어지고 있는 인테리어 마감 재료들의 친환경적인 요소들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되어지고 있으며, 그 추세의 계속 된 증가는 인테리어 시장 규모의 확대로 이어졌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정보의 공유와 지식의 전달, 각종 매체와 동시간의 연결, 실시간 통신의 역할 등, 이러한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정 보기술의 변화와 산업의 변화는 기업이 추구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인테리어 산업에 있어서도 그 변화의 물결이 일 고 있는 상황이고, 많은 인테리어 사업자들이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최종 소비자와의 컨텍을 시도하고 있으며, 인테리어 자재 관련 회사들도 인터 넷을 통한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다.1) 이러한 인터넷을 통한 인테리어 디자인에 관한 정보는 콘텐츠 구성이 다 양한 대규모 도시나 수도권업체들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였고, 이를 통한 수도권 업체들의 지방 공사량의 증 가로 이어졌다. 지방의 인테리어 산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업체들은 Quality가 높은 디자인 역량이나 스타일, 다양한 인테리어 정보 등이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데에 당연시 되고 있고, 낮은 신뢰도로 인한 수주의 어려움과 인 맥위주의 공사 진행,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을 선호하는 지방 업체로서는 가격경쟁력 약화와 정보 교류의 부족으로 인한 활용의 미흡함으로 단순노 무나 부분적 마감처리, 일회성 협력업체로서의 활용 등의 한계점을 극복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도권 업체의 지방 공사량 증가는 상대적으로 고비용 저효율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사후 관리 서비스의 미흡으로 인한 클라이언트의 만족도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문제점들은 사회적 비용 의 증가2)로 이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산업의 패러다임이 공급자 위주에서 수요자 위주로 이동함에 따라 소비 자의 니즈를 분석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분야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인테 리어디자인 산업의 특성상 다양한 요구조건과 각기 다른 개성의 표현, 시 공간의 차이 등 수많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나 클라이언트의 니즈를 최대한 만족시키고, 인테리어디자인 업체 또한 효율 의 증대와 비용감소를 통한 수익의 증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인테리어디자인은 소비자 또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요구사항이나 특성 등을 파악하여 디자이너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그 목적과 기능, 형 태 등의 방향을 제시하고 수립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서비스 산업 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인테리어디자인 정 보에 관한 수요의 증가로 인해 오프라인 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으로의 급 속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한 산업 경쟁력 확보, 소비 자들의 요구 파악 및 생산성과 효율성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있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의 니즈와 제공자의 이익을 동반 할 수 있는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공 하는 서비스디자인 방법과 네트워크가 가지는 산업의 특성을 융합한 인테리어디자인 산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인테리어디자인 산업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수요도를 조사함으 로써, 업체 간 이해관계를 파악하고 인테리어산업의 지역 균형적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본 연구는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있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가치를 부여하며 소비자와 서비스제공자 상호의 이익을 동반 할 수 있는 통합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를 구축함에 있어 인테리어디 자인 산업에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적용한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 구축 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네트워크의 필요성에 대해 인테리어디자인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관련 실무자 그룹을 중심으로 선호도를 조사 하는 것으로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서비스디자인과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 특징, 방법론과 효과 등을 선 행 연구된 자료들을 토대로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2)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3) 인테리어디자인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수도권 (서울, 경기)지역의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용과 지방의 단종 업체용의 각각에 대한 A형과 B형의 설문형식을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인테리어디자인에 대한 비교적 이해도가 높고 전체공종과 시 공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실무자 그룹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도권(서울, 경기) 지역의 인테리어디자인 전문 업체의 경우 경영자, 현 장관리자(현장대리인, 현장관리 기사), 설계, 공무 등 프로젝트 매니지먼 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방문 인터뷰와 e-mail을 통한 설문조사 를 시행하였고, 지방 단종 업체의 경우 시공업체 대표자, 현장시공 팀장, 현장시공 지원 담당자를 대상으로 방문 인터뷰를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4) 위 설문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고 업체 간 이해관계를 분석하고 파악 하였다. 5)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Ⅱ. 이론적 고찰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생산성 증대와 효율성 및 부가가치를 높이고,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대한 고객의 니즈 를 파악하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된 자료를 토대로 서비스디자인과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 특징, 방법론과 효과 등을 이론적으로 정리하였다. 2-1.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이라는 용어는 경영, 마케팅 영역에서 서비스를 계획, 설 계하는 활동으로 정의 되었으며, 서비스 청사진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 되어 왔으며, 생산관리에서 제품의 생산 및 전달에 필요한 활동을 파악하 고 그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나 공정표등이 사용된 것처 럼 서비스의 생산 및 전달 프로세스의 설계도에 표준화된 프로세스 챠트 의 필요성에 따라 1984년 쇼스택(G. L. Shostack)이 Harvard Business Review에 Service Blueprint(서비스 청사진)을 제안 하면서 사 용되었고3) ,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화’ 도구로 사용된 것이 전통적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이라면 1991년 퀠른 국제 디자 인 대학의 미하엘 에를호프 교수4)에 의해 디자인 영역의 한분야로 소개 되면서부터 이후 학계와 기업 등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 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1-1. 서비스와 서비스디자인 관점의 차별성 기존의 디자인이 사용자의 관점으로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면 서비스 디자인은 서비스사용자, 서비스 제공자 나아가 사회적 관점까지 융합적 사고 및 통합적 사고로서 기존의 서비스 산업을 보다 부가가치가 높고 새 로운 서비스 산업을 창출함이 서비스디자인의 목적이다.

 

2-1-2. 서비스디자인의 정의 서비스는 소비자가 공급된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완성되며, 각각 의 환경이나 소비자 요구에 따라 변화한다. 서비스디자인을 구성하는 요 소는 서비스가 요구되는 환경, 오브젝트 또는 디바이스, 사용되는 프로세 스, 사용하는 사람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 사용자를 이 해하고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이거나 즐길 수 있는 환경에서 경 험하도록 디자인 하는 것이 중요8)하다.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은 사전을 비롯하여 서적, 학계, 기업에서 다양하게 정의 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핵심요소는 경험의 창출, 고객과 의 소통, 다양성으로 이 요소들은 서비스디자인 경영 전략 수립의 기반으 로 적용9)할 수 있다.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견해는 표2에서 와 같이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각계의 다양한 정의를 종합하여 정리해 본다면 “서 비스디자인은 제공자(Provider)가 사용자(Receiver)에게 새로운 가치를 부여, 브랜드가치를 높여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며, 사용자와 제공자의 상 호이익을 통하여 삶의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개별적인 결과물에 대한 문 제점이나 요구사항을 해결하여 소비자에게 편의성과 사용성 등을 높여 가 치를 더하게 해주며 사회 트랜드에 맞춰 필요한 기능과 기술을 통합하여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11)라고 정의할 수 있다. 2-1-3. 서비스디자인의 특징 기존의 디자인이 유, 무형의 물건을 만들고 각각의 기능요구에 의한 개 별 형(단품기능)으로 형상화하는 것으로의 시각화 위주의 디자인 이라면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의 터치포인트를 중시, 유형을 포함한 경험과 같은 무형의 요소까지 포괄하며, 감성적 경험위주의 디자인이라고 말할 수12) 있으며, 그 특징과 내용13)은 다음과 같다. -강화된 리서치 서비스디자인은 고객의 잠재 욕구를 발견하는 방법으로 디자인리서치를 매우 강조한다. 그래서 기존의 전통적인 디자인 프로젝트로 비교해 볼 때 전체 프로젝트에 있어 리서치 부분에 많은 예산과 인적자원이 투입되는 특징이 있다. -Co-Creation 서비스디자인 기업 직원은 물론 서비스 공급자 즉 고객사와 고객사의 최종사용자가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Co-Creation이라 고 하면 다 학제의 문제해결 전문가가 함께 협업을 하는 것을 연상하기 쉬운데, 서비스디자인 기업 뿐 아니라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공동 참여하 여 문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정의하고 해결책을 찾는다는 측면이라고 이해 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그러한 팀은 대부분의 경우 결과적으로 다 학제 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시각화의 강조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모든 것을 시각화하고 구체화한다. 그리고 시각화 해 내기 위해 다양하면서도 창의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시각화를 가장 큰 무기로 하는 디자인 기업 이면서도 서비스라는 무형의 대상을 다루어야 한다는 심대한 도전과제에 대해 그들의 시각화 능력이 극적으로 발휘된다 고 할 수 있다. 서비스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해내기 위해 서비스의 수행 절차를 만화나 일러스트, 사진으로 표현한 스토리보드 또는 인형극, 연기자의 역할극으 로 이루어진 영상, 심지어 실제 연기 등 실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특히 정제되고 완성도 높은 결과물로 승부하는 것 보다는 경험 프로토타 입 이라는 방법론과 같은, 다소 거칠더라도 많은 양의 감각적 경험이 가 능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해관계자의 경험을 다룬다 서비스 공급자와 고객의 경험을 분석하고 잠재 욕구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UX디자인에서 차용하고 있는 많은 도구와 방법 들이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서도 대부분 활용된다. 하지만 경험디자인에서는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서비스 제공자 의 내부 인력 등 사용자 외의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이 요 구를 분석하는 데에 이러한 방법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경험디자 인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물질적 요소(제품, 디자인 결과물)와 비물질적인 요소(서비스, 감정)의 통합화

 

서비스디자인의 가장 큰 특징은 형상에 대한 결과와 비 형상에 대한 결 과를 동일하게 염두하여 디자인한다는 것이다. 물건만 만드는 것이 아닌, 물건이나 서비스가 쓰이기 전의 형상과 감정부 터 이용하는 여러 순간을 종합하여 설계하고 계획하는 것이 특징이다.16) -반복적인 프로토타입 하나의 완벽한 결과물을 얻기보다는 감각적 경험이 가능한 형태의 체험 과정으로 프로토타입(시제품)을 만들어 시행해 보는 등 간단하면서도 빠 르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반복 수행을 하면서 결과물을 발전시키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고객이 경험하는 제품, 서비스의 가치를 극대화 시킨다.17) 2-1-4. 서비스디자인의 원칙 퀼른 국제디자인대학 Birgit Mager 교수가 주장한 서비스디자인의 주요 원칙은 다음18)과 같다. 첫째, 서비스를 제품으로 보라. 서비스도 차별화가 중요하다고 보았을 때 일반 제품을 디자인할 때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혁신에 투자를 해야 하 며, 이를 위해서는 제품을 디자인하고 기획하며, 마케팅, 광고, 영업을 할 때와 마찬가지 방법들이 잘 적용 될 수 있다. 둘째, 고객의 이득에 초점을 맞춘다. 서비스는 제품과 달리 한번 사고 끝 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찾는 상품이므로 서비스 자체가 고객의 이 득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셋째, 고객의 세상으로 직접 뛰어든다. 서비스디자인 할 때 가장 먼저 해 야 하는 원칙중의 하나가 고객의 세상에 직접 뛰어드는 것이다. 즉 서비스를 디자인 하는 사람들이 직접 고객이 되어서 고객의 입장에서 느껴봐 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고객의 경험을 디자인한다. 서비스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 의 경험이다. 다섯째, 눈에 보이는 증거를 만든다. 보통의 서비스는 눈에 보이지 않지 만 서비스를 한 증거는 보이게 할 수 있다. 고객의 감성을 통해 서비스를 받았다는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다. 여섯째, 열정적인 서비스 문화,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2-1-4.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서비스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해외 연구기관이나 컨설팅사 들이 제공하 는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는 사용하는 용어는 약간 다르지만 기본적인 프 로세스는 조사, 분석, 설정, 구축, 전달 단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와 사 용자간의 다양한 접촉점, 즉 채널(channel)에 따라 달라진다.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요소들은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 으나, 여정(journeys), 채널(channels), 세그먼트, 제안(proposition), 접촉 (touchpoints), 설계(architectures), 서비스 환경(service enviroments), 사람(personas) 등이 있다. 현재까지 정형화 된 것은 없으며, 각기 다르 게 사용되고 있으나 서비스디자인에 있어 각각의 용어와 사용자인터페이 스 용어는 실질적으로 내용적인 면에서는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19)

 

2-1-5.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다양한 서비스디자인의 개념만큼 서비스디자인의 방법론 또한 광범위하 고 다양하다. 서비스디자인은 경험디자인의 도구와 방법론을 그대로 사용 하지만 경험디자인의 포커스가 수요자 중심이라면 서비스디자인은 수요자 뿐만 아니라 공급자를 분석하는 데에도 사용하며, 경험디자인과 서비스디 자인은 정성적 디자인 리서치를 통해 잠재된 욕구와 문제점을 발견하는데 집중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태도와 관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 서비스디자인은 수요자뿐만 아니라 수요자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적용 대상의 범위에서 오는 차이 즉, 서 비스청사진, 이해관계자 맵 등의 방법론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부분에서 의 차이20)가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제품을 넘어서 서비스 영역까지 디자인함으로써 각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장 적합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22) 사용되는 방법론의 예는 표5와 같다.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서비스디자인은 “유, 무형의 서비스요소를 통합적으로 가시화하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출함으 로써 고객이 서비스를 더 높은 가치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 서비 스R&D 방법론이다“라고 정의하였다.23)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각계각층의 다양한 정의 속에서도 서비스디자인이라 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공통된 특징으로, 서비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와 서비스에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그 맥락을 중시하는 집중적인 디자인 리서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하고 그 들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개발, 창의적인 방법을 통한 특 화된 가시화 방법, 하나의 완벽한 결과물을 얻기보다 감각적 경험이 가능 한 형태로의 체험과정으로 프로토타입(시제품)을 만들어 시행해 보는 등 빠르게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한 반복수행으로 혁신적인 아이 디어를 구체화하고 고객이 경험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극대화한 다는 점에서 공통된 특징을 볼 수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서비스의 주체에 따라 사용자 지향적 서비스디자인(사용 자의 요구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디자인), 사회 지향적 서비스디자인 (기업의 이윤을 추구하고 기업의 이미지를 높이고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위한 디자인), 비즈니스 지향적 서비스디자인(공공성과 다중을 위한 디자 인)으로 분류24) 할 수 있다. 이미 영국 등 서비스디자인 선진국에서는 공 공분야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사례가 늘고 있으며, 환경, 주거, 에너지, 관 광 등 다양한 분야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방법론이 모색되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이 서비스산업에 불필요한 요소를 찾아내고 제거하여 효율성 을 향상시키고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출함으로써 전반적인 서비스 산업에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결과물에 대한 문제 점이나 요구사항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편익성과 사용성을 높여 가치를 더하게 해주며, 사회 트랜드에 맞게 필요한 기능과 기술을 통합하여 새로 운 문화를 만들어 내는 행위25)로 볼 때, 최근 국내에서 진행되는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 또한 공공과 기업, 서비스 산업의 실정에 맞는 서비스디 자인 방법론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될 것으로 기대되며 비즈니스 전략 을 강화하고 적용하는 연구 또한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2. 네트워크 2-1. 네트워크의 개념 네트워크는 상품과 서비스를 상호교환 할 수 있는 경로(Channel)와 프 로세스(Process)로 정의, 다수의 참여자 또는 참여그룹이 공동의 비전과 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상호 협력 과정으로 정의 하였고 일반적으로 크게 Node와 Arcs로 구성된다. Node는 네트워크 참 여자들로서 고유의 역할을 가지고 독특한 경쟁전략을 바탕으로 특정 활동 을 수행하는 구성원이라 할 수 있다. Arcs는 구성원 사이의 관계로 네트 워크 내 구성원들의 상호관계와 흐름 및 유인기구를 통칭한다고 볼 수 있 다. 여기서 흐름이란 정보, 지식, 자금, 물적 흐름을 위미하며, 관계는 신 뢰, 거래, 계약, 파트너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26)

 

2-2. 네트워크의 유형과 목적 네트워크는 구성원의 성격에 따라29) 1) 단위 구성원(nodes), 즉 개인인가 조직인가에 따라 개인 네트워크와 조직간 네트워크로 구분 할 수 있고, 신규 참여의 용이성을 기준으로 참 여가 쉬운 개방형 네트워크와 참여가 어려운 폐쇄형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다. 2) 네트워크 구성원간 관계의 성격에 따라 공식적 네트워크와 비공식적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다. 공식적 네트워크는 계약이나 법적기초에 바 탕을 두고 제도화 되어 있고 비공식적 네트워크는 공동이익에 기초하여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다. 3) 네트워크 구성원 간 관계가 위계를 반영하고 있는가에 따라 위계적 네 트워크와 비위계적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다. 위계적 네트워크는 구성 원들 사이의 권위적이며 위계의 관계를 갖고 있고, 비위계적 네트워크는 평등한 관계를 특징으로 한다. 4) 네트워크 내 권위관계라는 사회적 분업관계에 기초한 수직적 네트워크 와 수평적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다. 수직적 네트워크는 원재료의 공 급, 생산, 판매, 판매이후 서비스 등 가치사슬의 상이한 단계 간에 수직적 으로 조직된다. 수평적 네트워크는 동일한 단계에 있는 기업들 사이에 숙 련성, 지식, 인력을 수평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구성된다. 5) 네트워크 관계의 지속기간에 따라 단기적 네트워크와 장기적 네트워크 로 구분할 수 있다. 기술제휴와 같은 네트워크들은 일정기간 동안 구체적 인 목표를 위해 형성되고 있는 반면 구매협력과 같이 장기적으로 지속되 는 네트워크도 있다. 네트워크는 구조에 따라 전략적 네트워크, 창업 벤처기업형 네트워크, 혼합형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다.30)

 

1) 전략적 네트워크는 리더와 조정자의 역할을 하는 핵심기업을 중심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2) 창업 벤처기업형 네트워크는 핵심기업 없이 참여기업들이 특정 분야를 전문화한 후 상호 간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협력과 보완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3) 혼합형 네트워크는 대기업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대기업이 공급업체와 의 협력관계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트워크는 기능에 따라 혁신 네트워크, 공급 네트워크, 폐기물 네트워 크, 교육훈련 네트워크, 판매 네트워크, 통합생산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다.31) 1) 혁신네트워크는 상호 간 잠재된 혁신역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구축되는 데 공동 프로젝트 관리조직을 설치하여 프로젝트를 추진하거나 외부 지식 이전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2) 공급 네트워크는 중소 공급업체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고객에게 공 동 대응함으로써 협상력을 제고하려는 목적에서 구성된다. 3)통합 생산 네트워크는 생산기능을 연계하여 주문에 유연하게 대응하면 서 고객이 원하는 최종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여 공급할 목적에서 구성 된다. 4) 폐기물 처리 네트워크는 환경규제가 강화 되면서 확산되고 있는데 동 종의 생산폐기물을 공동수집, 저장, 수종, 처리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려 는 목적에서 구성된다. 5) 교육훈련 네트워크는 대학과 대기업 등이 공동으로 중소기업이나 협력 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교육 훈련계획을 수립하고 실시하기 위해 구성되고 있다. 6) 커뮤니케이션 및 마케팅 네트워크는 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노하우를 이전하거나 공동 마케팅 활동을 할 목적으로 구성된다.

 

7) 판매 네트워크는 일정 기중의 품질, 수량, 가격의 동종 상품에 대하여 공동 판매를 실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구성된다. 네트워크는 구성범위에 따라 기업 간 네트워크, 지역 네트워크, 클러스 터로 구분할 수 있다. 32) 1) 기업 간 네트워크는 혁신과 생산 효율성을 제고하여 경쟁력을 확보, 유지,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구성된다. 기업의 네트워크는 수요공급자 관계와 기술의 라이선싱, 연구개발과 생산의 위탁계약 및 합작투자를 통 해 구축되어 왔다. 기업이 공급관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목적은 생산의 상승효과를 목표로 생산기능을 연계하고 원부자재의 흐름을 통합함으로써 생산의 유연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조립 제조업에서의 전통적인 중층 공급구조, 즉 생산 하청구조를 공급 네트워크로 볼 수 있다. 계약이나 합 작에 의한 네트워크 구축은 기술과 기능의 시너지 효과를 목표로 추진되 고 있다. 기업의 네트워크 구축의 목적은 첫 번째로 공동 연구개발, 생산시설의 공 유, 마케팅 협력 등을 통한 시너지 창출 및 국제 경쟁력 확보, 둘째 노동 력, 자원 및 정보의 원활한 교류를 통해 수요와 기술변화에 대한 신속한 파악 및 대응, 셋째 거래비용 절감 및 다양한 니즈 충족, 넷째 기업 간 신뢰 구축과 위험 분담 등을 들 수 있다. 2) 지역네트워크는 기업 간 네트워크에 지역 내 기업지원기관(연구소, 교 육훈련기관, 대학, 지방정부 등)이 참여함으로써 구성된다. 지역 네트워크 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기초 과학기술, 정부 및 지원기관들의 제도적 지원, 지역 경제기반 및 수요 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여건이 조 성될 필요가 있다. 3) 클러스터는 일정 지역 내 연관기업과 기업서비스기관 및 지원기관 등 이 집적하여 상호관계를 통해 고도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네트워크로 볼수 있다. 특정 지역 내 산업의 집적화를 통한 네트워크 구축도 확대되고 있으며, 전통적이 집적지 내에 제조 기능뿐 아니라 구매, 물류, 컨설팅, 회계, 법률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업체들이 입주하면서 클러스터 (Cluster)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클러스터 내부의 기업들은 보완적인 기 능을 연계하기 위해 조합이나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성장기반을 강화하고 있으며, 여타 클러스터 내 기업과 네트워크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산업 클러스터는 전략적 기능을 연계한 시너지 효과를 목표로 형성되고 있다. 시장과 기업의 활동이 글로벌화 되면서 국내 기업 간 협력뿐만 아니라 국 외 기업 간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또한 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균형발전을 위한 산업간 체계적인 협력도 필요 하다고 보여 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