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골드세대에 대하여 피데스개발이 한국 갤럽에 의뢰, 2011년 주택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골드미스 & 골드미스터(Gold Miss & Gold Mr)’, ‘골드시니어(Gold Senior)’, ‘골드키드(Gold kids)’, ‘골드외국인’(Gold foreigner)35)등 으로 나누어 1-2인 가구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골드세대는 새로운 사회 문화를 형성하고 오늘날 시장의 주목대상으로 도시의 새로운 문화와 가치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4) 변미리, 신상영, 조권중, 서울의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울시정개발 연구원, 2008 35) www.ifides.co.kr - 63 - 본 논문은 보편적으로 도시형 소형주택을 선호하는 골드세대인 골드미스, 골드 미스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도록 한다. 골드세대(골드미스, 골드미스터)는 전문 직종 화이트칼라 계층을 중심으로 집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경제 구조를 가졌으며 동시에 결혼이나 가족 사회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견지하는 집단으로 1-2인 가구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사회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그 룹이 골드세대(골드미스, 골드미스터)들이다. (2) 골드미스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 혹은 대기업 사원, 연봉 4천만 원 이상 그리고 재테크로 늘린 부동산 등 자산 규모 8 천만 원 이상 등이 구체적인 조건이다.36) 골드미스는 지난 2001년 2,152명에서 2006년에는 2만7233명으로 5년 새 11.7배가 늘었다고 밝혔다. 골드미스는 탄탄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독신 생활을 즐기며 자기계발에 돈을 아끼지 않는 여성을 일컫는 신조어다. 위키 백과사전에서는, 골드미스는 한국어식 영어 올드미스(Old Miss)에서 나왔으며 비슷한 말로는 영어권에서 최근 유행했던 '알파걸'(Alpha Girl)37)과 일본에서 쓰인 하나코상(일본어: ハナコさん, ハナコ族), 중국에서 쓰인 떨이녀(잉여, 剩女)란 말이 있다. 골드미스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상당히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1998년 신문기사에 골드미스 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을 볼 수가 있다.38) 이들은 새롭게 등장하는 소비계층으로 결혼정보업계, 여행업계, 패션업계, 36) 위키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wiki/골드미스. 37) n. The dominant member in a group of girls; a girl who bullies other girls. by www. onelook. com. 38) MBC미니시리즈 ‘사랑', 경향신문 (1998년 2월 13일). - 64 - 미용업계, 외식업계 등에서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선도하고 있다. 이들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된장녀'라는 말도 쓰인다. 하지만 높은 자기 성취욕과 일에 대한 열정 그리고 전문직에 종사하는 뛰어난 두뇌가 이들의 가장 큰 장점이다. 이들이 주로 일하고 있는 직업도 2001년에는 주방장이나 조리사, 경영 관련 사무직, 의사, 디자인 관련직, 경영·회계 관련 전문직, 판매원, 의료장비 또는 치과 관련 기술직 등 7개에 그쳤지만, 2006년에는 36개로 늘었다. 이 가운데 경영 관련 사무직이 3,757명(13.8%)으로 가장 많았고, 학원 강사 2,919명(10.7%), 학교 교사 2,318명(8.5%), 금융 및 보험 관련 사무직 2,213명(8.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골드미스가 전체 여성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2001년 0.03%에서 2006년에는 0.27%로 높아졌다. 또한, 임금노동자인 골드미스의 비율도 2001년에는 50.3%에 그쳤지만, 2006년에는 82%로 늘었다. 이는 골드미스는 음식점 등 자영업 중심에서 전문직 임금노동자로 확대된 것이라고 한국 고용정보원은 분석했다.39) 이런 계층은 자기성취욕이 높으며 자신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는 등 경제적으로 구매력이 높은 층으로 최근 이들에 대한 마케팅적․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결혼을 늦게 하는 사회적 변화와 함께 직장에서도 성차별이 줄어듦에 따라 독신생활을 즐기고 또한 자기계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쇼핑과 해외여행 등 감성적인 만족을 위한 소비행위를 많이한다. (3) 골드미스터 골드미스터란 대학교 졸업 이상의, 직업은 연봉 6천만원이상의 전문직이며, 35-40세의 미혼남성을 말한다. 갈수록 결혼 적령기가 늦어짐에 따라 이처 럼 능력을 갖춘 골드미스터가 증가하는 추세다.40) 골드미스터의 수는 39) 한국고용정보원, 고학력전문직 미혼남녀의 취업구조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문서유형 학술발표자료 2009. - 65 - 2001년 6,441명에서 2007년 4만 1,293명으로 폭증했다. 골드미스터는 2001년 전체 남성 취업자 중 0.04%였으나, 2007년에는 0.26%로 6.5배 증가했다. 골드미스터의 직업으로는 2001년 금융직과 의사, 회계 관련직 등 7개 직업에만 있었으나, 2007년에는 문화·예술·영상 관련직, 자동 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직원 등 49개 직업에 다양하게 분포했다. 이 연령대 남자는 대부분 기혼이지만 미혼인 이들은 결혼보다, 자기 개발이나 취미,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다. 20대 못지않은 패션 감각을 지닌 골드미스터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가격에 구애받지 않고 소비하는 이들의 구매 성향 때문에 기업들은 골드미스터를 겨냥한 마케팅에 관심이 높다. 백화점에서는 남성 잡화 매장이 넓어지고 있으며, 골드미스터만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도 출시되었다. 화장품, 의류뿐만 아니라 골드미스터를 위한 미용, 소형가 전 시장도 형성되고 있다.41) 그러나 골드미스터들은 화장품이나 패션보 다 컴퓨터나 주변기기 등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 보이려 하는 특성이 있 기 때문에 실용성과 브랜드의 고급스러움 그리고 제품의 희소성에 더욱 무 게를 두고 상품을 구입한다.
AIO 방법은 국내 라이 29) Demby,E.(1974), Psychographic and from it came, in Wells W. D. ed, ‘Lifestyle and Psychographics’,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p.315-363. 30) 김은주(2010). 「미혼 직장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고경순(1992), “가치의식을 중심으로 본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레포츠 용품의 구매 행동 분석”, 『광고연구』, 제17호, p.75-107. - 60 - 프 스타일 관련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에서 흔히 사용 되고 있는 가치측정 도구는 VALS와 LOV이다. ② AIO(Activity Interest Opinion) AIO 방법은 국내 라이프스타일 관련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본 연구의 분석 방법도 AIO방법으로 분석할 것이다. AIO 방법은 웰즈 (Wells, 1975)와 플러머 (Plummer, 1971, 1974)에 의 해 제시되었다. 플러머는 AIO 분석에 대하여 “AIO 분석은 사람들이 그 들의 활동, 관심, 의견에 관한 질문에 응답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들의 활동은 그들의 작업 시간과 여가를 어떻게 보내는가로 측정되며, 그들의 관심은 당면한 환경에서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는가로 측정되고, 그들의 의견은 사회적 문제, 제도 및 그들 자신에 대한 태도로써 측정된다. 끝으로 나이, 수입, 거주자 등과 같은 기본적 사실을 조사하는 것이다.”라고 말했 다. (Plummer, 1974)32). AIO(Activity Interest Opinion)의 약자로 Wells & Tiger(1971)33)에 의해 전개된 분석방법으로 미시적 분석방법 중에서 라이프스타일 측정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활동(Activity), 관심(Interest), 의견(Opinion)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려는 방법으로 행동적 라이프스타일 접근 방법 및 혜택적 세분화 접근 방법에 비해 더욱 포괄적으로 수용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32) Plummer, J. T.(1974),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Life Style segmentation", Journal of Marketing, 38(Jan.), 33P 33) Wells & Tigent(1971), Activity, Interests and Opin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August). - 61 - 활동(Activity) 관심(Interest) 의견(Opinion) 인구통계학적 특성 일 (work) 가족 (family) 자신 (themselves) 나이 (age) 취미 (hobbies) 가정 (home) 사회이념 (social issues) 학력 (education) 사회적 조건 (social events) 직장 (job) 정치 (politics) 수입 (income) 휴가 (vacation) 공동체 (community) 사업 (business) 직업 (occupation) 오락 (entertainment) 기분전환 (recreation) 경제 (economics) 가족규모 (family size) 클럽회원 (club membership) 유행 (fashion) 교육 (education) 거주지 (geography) 공동체 (community) 음식(food) 제품 (product) 도시규모 (city size) 구매 (shopping) 매체(media) 미래 (future) 생활주기단계 운동 (stage in life cycle) (sports) 성취 (achievement) 문화 (culture) *자료 출처 : Plummer, J. T.(1974),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Life Style segmentation", Journal of Marketing, 38(Jan.), p.34발췌. [표 2-16] 라이프스타일 척도(life-style dimensions) ③ VALS (Value and Life-S tyle Survey) VALS(Value and Life-Style Survey)는 라이프스타일의 측정과 유형화에서 개인들의 각 생활에 대한 가치(가치관)가 가장 중요한 반영요소라고 보는 가치측정도구가 있다. ④ LOV (List Of Value) 케일(Kale, 1983)은 로키치(Rokeach)의 RVS에서 궁극적 가치관에 해당하는 가치요소 중 9개를 뽑아 실무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관 측 정도구인 LOV(List Of Value)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AIO 분석방법을 라이프스타일연구에 적용하였다. 국내 라이 프스타일 관련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인 AIO 분석방법은 라 이프스타일 척도를 활동(Activity), 관심(Interest), 의견(Option), 인구통계 - 62 - 학적 특징의 4개 부분으로 분류하여 수요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특정, 분 석함으로써 특정대상의 수요자와 비수요자의 차이 및 활동, 관심, 의견적 측면 등을 명확하게 규정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본 연구목적과 부합한다고 판 단되어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골드미스․골드미스터의 라이 프스타일 분석 시 행동적 라이프스타일 접근방법 및 혜택적 세분화 접근 방법보다 더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다. 2. 2. 2. 골드세대 (1) 골드세대 골드세대란 1인 가구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사회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골드 미스, 미스터들이다. 주로 역세권 지형을 중심 으로 분포되어 있다. 주로 30대 초반에서 40대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 집단은 오늘날 시장의 주목 대상으로, 도시의 새로운 문화와 가치를 만 들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문 직종, 화이트칼라 계층을 중심으로 1인 가구 집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경제구조를 가졌으며, 동시에 결 혼이나 가족,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견지하는 집단이다.34)
그 이후에 Feldman24)(1972)은 라이프스타일 개념의 모호함을 인정하면서 라 이프스타일의 범위를 다양한 사회집단 속에서 개별적인 사람의 참여를 통 해 영향을 받는 하나의 집단형상이라 하였고, 라이프스타일은 몇 개의 사회학적 변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고 했다. Gross, Grandal & Knoll(1980)25), David(1980)26)은 라이프스타일은 생활을 영위하는 기본정신과 인간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치가 생활로 나타난 결과이고 패턴화된 생활양식에 맞게 적합 시켜가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한 가족신념체계의 구체화를 위한 것이라 하여 가족의 연구에도 라이프 스타일의 개념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2) 라이프스타일 분석 방법 라이프스타일의 분석방법에는 거시적 분석방법과 미시적 분석방법으 로 정리할 수 있다. 객관적인 자료에 의해 사회 전체 또는 특정사회에 있 어서 라이프스타일의 전체적인 동향을 파악하려는 거시적 분석방법과 주관 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심리측정의 제기법을 이용해 사람들의 가치관이나 생활욕구 유형 그 자체를 측정 분석하여 사회적 경향을 파악하거나 예측 23) Rapoport, A. (1969), 'Housing Form and Culture',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24) Feldman, S. D. & Thielbar, G. W.(1972) 'Lifestyle; diversity in American Society,' 2nd Ed, Littler Brown & Co, Boston. p.1-3. 25) Gross, L. H. & Crandall, E. W. and Knoll, M. M.(1980), 'Management for Modern Families', Englewood Cliffs (New York : Prentice Hall. Inc) 4th ed. p.117. 26) David, G. M. (1980), 'Life Style in Mobile Surburbia', in S. A. Greyser, p.151-158. - 58 - 하는 것이 미시적 분석방법이다. 라이프스타일의 분석방법을 정리하면 다 음[표 2-15]과 같다.27) (권재일, 2011) 구분 객관적 자료에 입각한 분석 주관적 자로에 입각한 분석 거시적 수준 1. 사회 지표분석 2. 복지 지표분석 3. 인구 통계적 요인의 분석 ① 사회심리와 소비수요분석 - 대량 현상으로써 소비자 심리분석 ② 사회적 경향의 모니터분석 - 생활스타일 변수에 의한 조사 결과에서 계량적 방법에 따라 몇 개의 사회적 경향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시계열 분석이 초점임 ③ 사회동향 예측분석(SRI) - 가치관, 생활스타일의 변화방향의 예측이나 생활의 질 측정의 새로운 시도 미시적 수준 1. 인구 통계적 접근방법 2. 사회 경제적 접근방법 3. 생활재 보유 및 사용패턴의 분석 ①사이코 그래픽법 - 개인의 심리적 경향과 욕구 패턴 등에 의한 소비자의 분류 ②AIO 접근방법 - 생활스타일 변수를 세분화, 표준화, 조작 가능한 형태로 변화 ③ 생활시스템 모델 - 생활구조, 생활의식 및 생활행동의 3차원 에 걸친 다수의 변수를 조직적으로 변환한 방법 *자료출처: Plummer(1974), 홍성태(2005) 수정, 발췌하였음.28) [표 2-15] 라이프스타일 분석방법의 분류 거시적인 분석은 미국의 Yankelovich(1964)가 실시한 사회추세접근법 (Social Trend Approach)이나 Yankelovitor Monitor 조사가 있다. 한나라의 사회전체 또는 특정 지역에 있어서 라이프스타일의 전체적인 측정하는 데 쓰인다. Yankelovitor Monitor 조사는 소비행동이나 생활 활동을 규정하는 라이프스타일 요일을 문항으로 정리하여 항목별로 규정해서 그 상대적 중요도를 고찰하여 사회적 트랜드를 규정하는 방법이다. 미시적 분석에는 27) 권재일(2011),「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8) Plummer,J.T.(1974),'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Lifestyle Segmentation' Journal of Marketing, 38, p.34. 홍성태(2005), 대한민국 여성소비자: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패턴, 서울: 세종서적. - 59 - 심리측정으로 사람들의 가치관이나 생활 욕구패턴을 분석하여 사회적 경향의 파악이나 측정을 하는 방법으로, 사이코 그래픽(Psycho graphic) 조사와 AIO (Activities Interests Opinions) 조사가 있다. ① 사이코 그래픽( Psycho graphic) 접근방법 사이코 그래픽(Psycho graphic)은 심리적(Psychological)이라는 의미와 인구 통계적(Demographics) 의미를 부합하여 만든 단어이다. AIO 변수 군에 성격적, 기질적 특징을 표현하는 개성변수를 많이 사용하여 라이프스 타일을 분석한다. 심리분석이란 일반적으로 마케팅조사를 위한 행동과학 과 사회과학의 실증적 비사용자 분석 등이 소비자 행동을 충분히 설명 하거나 예측할 수 없을 때 제시되는 양적 조사절차를 의미한다. 세부적으 로는 상품, 광고와 PR, 포장에 대한 반응에 근거한 소비자들의 인간적 특 성을 찾으려는 것으로 정의한다. (Demby, 1974)29) 즉 인구통계학적인 변 인과 구별되는 성격적, 기질적 특징을 나타내는 심리적 경향변수들을 사 용하여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AIO 방법보다 광범위한 방 법으로 현재의 제품이나 상표에 충족되지 않는 욕구를 파악할 수 있다.30) (김은 주, 2010)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측정은 AIO (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기법 을 비롯하여 가치측정 도구인 RVS (Rokeach Value Survey), VALS (Value and Life-Style Survey) 그리고 마지막으로 LOV (List Of Value)접 근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31) (고경순, 1992).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들이 AIO와 VALS 그리고 LOV이다.
여기서 단색 톤으로만 이루어진 조 화는 자칫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레드나 블루 등의 원색, 화사한 라임, 또는 오렌지, 그린, 퍼플컬러 등으로 적절히 포인트로 사용해 변화 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의 색채는 1-2가지의 밝은색으로 제한하는 것이 공간을 넓게 보이는 포인트가 될 것이다. - 51 - (2) 가구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실내에 배치하여 생활에 사용하는 도구의 총칭. 가구는 일반적으로는 소파, 식탁, 침대, 책상, 의자 등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의 가구는 빌트인 가구 (수납기능, 확장기능)와 이동형 가구(기본기능, 복합기능)로 나눌 수 있다. 가구는 작은 공간을 효 율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 시키는 중요한 요 소이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는 공간이 작으므로 수납 기능을 적극 강화시 켜 활용한다. 공간을 넓게 쓰기 위한 기능을 가진 가구는 집에서 벽에 세워 놓을 수 있게 만든 월 베드와 월 소파, 움직이게 만들어 공간의 쓰임 새에 맞추어 활용하는 무빙책상, 책장 등 소형주택 안에서의 공간 활용 도를 높이는 요소로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의 중요한 요소이다. [그림 2-6]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가구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2 - (3) 패브릭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도시형 소형주택에서 가장 쉽게 공간을 바꿀 수 있는 실내코디네이트의 예로는 커튼류, 쿠션류, 카페트, 업홀스터리 등이 있다. 이러한 패브릭 소재 제품들은 패턴, 컬러, 소재 등의 디자인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가격 면에 서도 경제적이고 계절에 따라 쉽게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컬 러와 소재를 달리하므로 같은 크기의 방을 따뜻하게, 차갑게, 혹은 넓거나 작게 보이게 할 수 있다. 패턴도 마찬가지인데 밝은색이 넓게 보이게 하는 것 처럼, 수직선 같이 확장하는 느낌의 패턴과 큰 무늬의 패턴은 실내를 넓어 보이게 한다. [그림 2-7]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패브릭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3 - (4) 조명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조명은 실용적이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모던한 스타일이 적합하며, 특히 도시형 소형주택은 가구와 벽 사이사이에 LED 매립조명을 설치한다면 공간의 깊이감과 확장감을 더할 수 있다. 가구에 LED 조명이나 스포트 (Spot)조명을 매립하여 사용하면 공간을 밝 고 확장되어 보이게 연출할 수 있다. 좁은 공간일수록 부피감 있는 이동형 조명 (테이블스탠드와 플로어스탠드) 보다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붙박이 조명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다. [그림 2-8]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조명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4 - (5) 아트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대부분 주거공간은 아트웍을 큰 패턴으로 짜임새 있게 꽉 찬 포인트 벽 지 등을 활용하게 되는데, 소형 공간의 경우 조금은 여유 있고,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그리고 실제 벽화와도 같은 예술적인 접근을 한다. 이를 통해 그저 구조체에 불과한 벽면이 큰 예술작품처럼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빈 벽에 다양한 크기의 액자를 걸어두면 깔끔하고 인 상적인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천장까지 이어지는 통 거울을 방과 방 사 이 자투리 벽면에 설치하면 착시효과로 공간을 더욱 넓어 보이게 할 수 있다. [그림 2-9]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아트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5 - (6) 소품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소품은 공간에 통일된 분위기와 부분적 액센트(accent)를 주어 미적 충족과 예술적 효과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소형주택에서 소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지나치게 소품을 많이 사용하면 혼란 감을 주기 때문에 포인트 요소로 사용할 수 있는 소품을 적절히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배치 장소의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 주변 물건들과의 디자인 성격이나 색채조화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고, 실내장식 소품은 개인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선택한다. [그림 2-10]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소품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6 - 2. 2. 골드세대 라이프스타일 2. 2. 1. 라이프스타일 (1) 라이프스타일의 개념 라이프스타일이란, 사회학자인 Max Weber(1968)18)와 정신분석학자인 Alfred Adler(1969)19)에 의해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Alfred Adler는 개인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정의하고 있다. 개인별 독특성을 강조함으로써, 과거 생활양식에 대한 대처경험, 생활과제의 독자적 해결 및 미래에 대한 목표에 대한 노력 중 개인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라이프스타일이라고 하였다. 이는 라이프스타일 개념이 사회학자․심리학자에 따라 다른 개념을 표현하고 있지만 개인 또는 집단의 통합양식과 독자성, 창의성, 가치의식, 목표 지향적 등의 기호나 선호도에 상충하는 스스로의 생활을 능동적 주체적으로 형성하는 행동의 주체성에 그 동일한 의미를 내포한다.20)구체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은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시간을 활용하고 있는가 하는 행동과 자신의 주위환경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 자신과 주위세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대한 의견이 총체적으로 나타난다.21) 기존 연구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의를 토대로 할 때, 라이프스타일의 유형화와 이를 통한 시장 세분화의 개념은 Lazer(1963)22)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그는 라이프스타일을 18) Marx, W & Wittich, C.(1968), ‘Economy and Society,’ Vol.3, Bedwinster, N.Y, Vol. 1, p.305-306. 19) Adler A.(1969), by H.L. Ansbacher, The Science of Living: Anchor Book, Doubleday & Co., New York, p.38-47. 20) 김은주(2010), 「미혼 직장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박주현(2010),「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 행동연구」,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Lazer, W.(1963), 'Life Style Concept and Marketing,'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A. Greyser,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130-139. - 57 - “전체 사회 속에서 총체적 의미로 다른 부분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적인 생활양식”이라고 정의하였다. 그 이후로 Rapoport(1969)23)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해서 문화나 관습 또는 한 집단의 공통된 경험이나 가치관 등에 영향을 받아 특정 집단에 의해 영위되는 생활방식이라고 하였다. 즉, 주거형태는 사회구성원의 행동과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실내디자인 소 품이라는 용어에 대한 Friedman․Wilson(1984)의 정의는 ‘실내디자인을 완성하는, 옮길 수 있는 작은 물건 모두를 포함하는 것’ 이다. John F. Pile(1997)은 실내디자인 소품이라는 용어는 매우 다양한 물건을 포함하는데, 규모 면에서 는 가구보다 작고, 장식이나 전시, 혹은 이러한 목적을 혼합한 실용적 목적 으로 사용되기 위해 공간에 도입되는 사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것들 은 보통 이동이 가능하고 자주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실내디자인 소품 이란, 실내디자인에서 마지막으로 그 공간을 완성하면서 실용적으로 사용되 거나 장식적인, 혹은 둘 다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가구보다 작고 이동이 용이하여 자주 교체가 가능할 수 있어야 한다. - 46 - [그림 2-1]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2. 1. 3.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골드세대인 골드미스, 골드미스터들이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그들이 개성 있고, 개인적 가치의 목적성이 분명하고, 구체적인 실현을 위한 실용성을 위배하지 않는 범주에서 자기의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공간을 원하기 때문이다. 도시형 소형주택을 자기의 개성과 삶의 방식인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실내코디네이트를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실내코디네이트 요소가 필요 하다. 도시형 소형주택에서 좁은 공간을 퍼팩트하게 공간 활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의 구조와 가구들을 빌트인 퍼니시드와 빌트인 시스템을 사용 하여 공간을 활용한다. 또한,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 같은 젊은 세대들이 많이 거주하므로 디지털 시스템을 선호하고, 건강에 신경을 많이 쓰는 세대이므로 웰빙시스템을 만들어 쾌적한 생활을 요구한다.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일반 실내 주거코디네이트에서는 색채, 가 구, 패브릭, 소품, 아트웍, 조명 등을 분류해 실내코디네이트 하지만, 도시 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로는 공간의 구성, 시스템코디네이트 요 소 (디지털시스템코디네이트, 웰빙시스템코디네이트, 가전시스템코디네이트), 실내코디네이트 구성요소로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 등이다. - 47 - [그림 2-2]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디지털시스템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디지털홈 시스템 유형 디지털 홈 시스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 가사 관리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전자기기, 자동기기 등 PDA, 휴대폰으로 집밖에서 집안상태를 확인, 제어할수 있는 서비스 - 에너지관리, 방범, 방재, 원격제어 등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 외부에서 전송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주택안의 유무선 홈네트 워크에 연결하여 주택내 콘텐츠를 외부에 전송하는 서비스 - HDTV 유무선방송, 게임 등. 홈 데이터시스템 - 컴퓨터와 주변기기, 컴퓨터/가전기기간 연동하여 데이터를공유. - 교환이나 인터넷 검색, 원격 교육, 홈쇼핑 등을 하는 서비스 1)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 시스템코디네이트 (1) 디지털시스템 실내코디네이트 예전의 주택은 마감재의 고급화나 쾌적한 부대시설의 설치 등 안락한 주거환경을 꾸미는데 중점을 두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테크놀로지를 주거에 집약시키고 집을 둘러싼 기기들이 IT기술과 융합하여 디지털 시스 템의 홈 서비스를 갖추게 되었다. 특히 디지털시스템은 도시형 소형주택에 서의 좁은 공간에서 직접 많은것을 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시스템으로 홈 네트워크시스템, 가전제품 디지털시스템이다. 디지털 홈시스템은 크게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홈 데이터 시스템이 있다. [표 2-14] 디지털 홈 시스템 유형 - 48 - (2) 웰빙시스템 실내코디네이트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를 줄이고 편리한 생활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며 위생과 청결을 위한 신체적 건강 (전체 환기시스템, 개별 정수기, 자동 주방 배기센서, 은나노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음이온환경, 천정 냉난방 등)과 정신적 건강 (층간 소음 완충시스템, 친환경 LED 조명, 친환경 절수 수전과 양변기, 특수 공간, 자연요소 도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웰빙시스템은 실내 온도와 습도는 물론 계절과 낮밤에 따라 변하는 기온까지 감지해 사용자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느낄 수 있도록 제어 한다. [그림 2-3]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웰빙시스템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49 - (3) 가전시스템 (빌트인 가전 포함)을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도시형 소형주택에서는 1~2인 가구의 생활 편의성을 고려한 풀퍼니시드 & 가전 빌트인 시스템으로 다목적 공간을 만들어 낸다. 도시형 소형주택의 경우 기존 공간보다 가구 수용치의 한계가 크다. 풀퍼니쉬드 빌트인시스템이란 고품격 빌트인 가전제품인 천장 매립형 시스템 에어컨, 전기쿡탑, 광파오븐렌지, 드럼세탁기, 냉장․냉동고에 붙박이장, BAR 타입의 식탁 겸용 주방가구, 신발장, 책상(파우더장) 등 생활에 필요한 빌트인 가구를 말한다. [그림 2-4]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가전시스템(빌트인 가전 포함)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 50 - [그림 2-5]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 중 색채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2)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 (1) 색채를 이용한 실내코디네이트 실내 공간에서의 색채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부분이므로 코디네이트를 할 때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시형 소형주택은 좁은 면적의 특성상 공간이 자칫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색채는 대체로 밝고 화사할 수 록 공간은 더 넓어 보이므로 어두운 컬러보다는 밝은 계열의 바닥재와 벽 면, 천장마감을 선택하고 가구 역시 화이트컬러 톤으로 통일시켜 시각적으 로 깔끔한 인상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감성에의 요구는 실내디자인이 공간예술로서의 예술적 움직임을 자극하게 되었고, 20세기 미술에서 사회적 변화를 등에 업고 과거의 아트웍의 요소들이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실내공간에 풍부한 코디네이트 요소로써 작용한다. 아트웍(Artwork)이란 실내를 완성하는 모든 종류의 오브제(Object)를 의 미하며, 예술가로부터 분리되어 자립적인 생명을 획득하여 인격화되고, 정 신적인 호흡을 하는 독립적인 주체가 된다. 또한 하나의 본체로서 존재하는 대상이 된다. 아울러 이와 함께 계획적으로 창조하는 능동적인 힘을 갖추게 하여, 삶을 영위하고, 정신적 분위기의 창조에까지 관여하게 된다. 아트웍은 실내의 활력과 즐거움을 부여하고 리듬과 짜임새 있는 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전체공간에서 통일된 분위기와 예술적인 세련미 등의 고유한 개성을 표현하므로, 심리적으로 관망자 모두에게 미적 충족과 극적인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한다. 실내코디네이트에서는 실내 공간 내부를 기능에 맞는 아트웍으로 계획함으로써 미적 효과뿐만 아니라 합목적적(合目的的) 이미지 전달에도 상당한 효과를 줄 수 있다. ⑤ 조명 조명은 공간에 빛이라는 매개수단으로 양적, 질적의 효과적인 배분을 하기 위한 조명방식 내지는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공간을 연출 하는 것이 다.17) 조명은 공간을 최종적으로 표현해 주는 연출 요소이다. 17) 오인욱, 실내디자인학, 서울 : 기문당, 2002, p.257 - 43 - 조명 또한 빌트인(Built-in)과 이동형(Movable) 조명으로 나눠볼 수 있다. 빌트인 조명(Built-in Lighting)에는 천장, 스포트 (Spot), 브라켓 (Bracket) 등을 들 수 있고 이동형(Movable) 조명으로는 테이블스탠드(Table stand), 플로어스탠드(Floor stand)등을 들 수 있다. 과거의 발광체로서의 기능만을 전 담하던 조명은 최근 시각적 즐거움으로서의 기능도 더하고 있다. ⅰ) 빌트인 조명 (Built-in Lighting) 빌트인 조명(Built-in Lighting)의 종류는 천장, 스포트 (Spot), 브라켓 (Bracket)이며 일반적으로 브라켓으로 불리는 벽 부착형 조명으로 천장과 벽에 반사되어 공간에 퍼지는 빛은 다른 조명에 비해 한결 은은하고 부 드럽다. ⅱ) 이동형 조명 (Movable Lighting) 이동형 조명(Movable Lighting)은 테이블스탠드(Table stand)와 플로어스 탠드(Floor stand)로 분류된다. 벽 조명이나 천장조명은 전기공사를 동반하 지 않는 이상 주택설계 단계에서의 조명설계를 거의 벗어날 수 없다. 그 러나 테이블스탠드와 플로어스탠드는 위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실내코디네이션의 소품의 효과가 있으므로 가장 쉽게 변화를 시도해 볼 수 있는 조명기구이다. 단, 사람의 눈과 가장 가까이하는 조명 이므로 태양광선에 가장 가까운 백열전구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ⅲ) 테이블 스탠드 (Table Stand) 탁자나 콘솔 위에 올려놓은 테이블스탠드는 낮에는 소품역할을 하므로 구입 시 디자인과 색상, 크기가 전체 공간과 잘 어울리는지 고려해야 한 다. - 44 - ⅳ) 플로어 스탠드 (Floor Stand) 거실이나 침실 코너에 세워놓는 조명으로 플로어스탠드는 가장 보편적인 조명으로, 코디네이트 작업을 하기 이전에 전원공급 계획으로서 실내디자인 전기파트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어떤 색감의 조명이 어떻게 비추어지느냐에 따라서 적용된 요소들의 조화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에 따라서 색채는 변화하고 적용된 소재의 질감 표현이 드러나 분위기를 표현해 주기도 한다. 조명이 닿는 곳에 따라 원근감, 공간, 구체성, 구조적인 모양을 강조하고, 입체적인 유영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 특정한 정서적 효과, 분위기, 양식 등을 만드는 것이다. 어떤 환경에 비슷하게 하든가, 또는 그대로 보이게 할 수 있고, 아침인지 저녁인지, 날씨가 어떠한 지도 암시할 수 있다. 조명은 회화적인 아름다움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아무 매력도 없는 지저분한 분위기도 만들어 낸다. 모든 요소는 기본개념에 의해 전반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진행되며, 요소마다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여 코디네이트한다. ⑥ 소품 (Accessory) ‘소품’ 혹은 ‘accessory’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조그만 물건(小品), 혹은 부속물, 부속품, 부대물 또는 장신구’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서는 실내의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부대 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물품들이 있다. 이들을 일반적으로 실내디자인 소품이라 한다. 공간에 통일된 분위기와 부분적 액센트(accent)를 주어 미적 충족과 예술적 효과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실내장식 소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지나치게 사용하면 혼란 감을 주기 때문에 많은 양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 한, 배치장소의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 주변 물건들과의 디자인 성격이 나 색채조화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고, 실내장식 소품은 개인 - 45 - 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선택한다. Hepler․Jensen․Wallach(1976)는 그림, 화초처럼 순수하게 장식적이거나 스크린, 쿠션, 초, 거울, 책처럼 기능적일 수 있는 것 외에, 실내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한 실내의 구성 요소라 소품을 정의하였다.
직사각형은 일반적인 공간형태와 쉽게 조화를 이루며 한쪽 벽에 접하거나 구석에 배치할 수 있어 점유면적이 작은 장점이 있고, 정사각형은 원형이나 타원형처럼 가족 모두 둘러앉아 자연스러운 식사 분위기를 형성하지만 점유면적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익스텐션(extention)테이블은 상황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16) 가구 [家具, furniture ] | 네이버 백과사전 - 39 - ⅴ) 책상 - 학습, 공부, 사무 등 정신적으로 집중을 요하는 작업을 위한 가구로서 작업에 맞는 상판의 크기가 요구되며, 문구나 작업에 필요한 소품 들을 정리하고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도 필요하다. 책상에서 물건을 보관 하고 정리하기 위한 서랍은 책상의 좌우편 중에 어느 한 편에 있는 경 우와 양쪽 모두 위치한 경우로 나뉘며, 책상과 분리된 경우도 있다. 아동 용 책상은 아동의 신체 크기에 맞게 적절한 크기가 요구되며, 아동의 성장 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좋다. ⅵ) 응접테이블 및 협탁 - 협탁은 침대나 소파의 곁에 두는 보조용 테이블로 휴식이나 취침 등의 행위를 보다 원활히 해줄 수 있는 가구이다. 구석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며 꽃, 책, 잡지류 등의 물품이 놓이나 책이나 신문 등을 수납 하기도 한다. 그 형태나 유형이 매우 다양하여, 엔드 테이블, 티 테이블, 나이트 테이블 등으로 구별된다. ③ 패브릭 패브릭은 공간연출에 중요한 소재이며 형태 이전에 패브릭의 느낌에 따라서 현재의 트렌드 및 사용자의 취향까지 반영되는 요소이다. 패턴과 직물의 소재는 트렌드에 따라 쉽게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분에 따라 적절히 교체하여 실내분위기를 전환하는데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낡은 가구에 새로운 패브릭을 적용함으로써 또 다른 느낌의 새 제품으로 변화시키게 하는 재미난 요소이기도 하다. 그 범위는 넓으며 종류는 커튼, 침장류, 가구의 업홀스터리(Upholstery), 쿠션 등이 있다. 최근에는 패브릭 월, 조명 갓 등 그 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있다. - 40 - ⅰ) 커튼 패브릭 중 실내 코디네이션에서 제일 큰 비중은 커튼이다. 커튼의 장식성은 천의 패턴에 따라 크게 좌우되므로 실내 코디네이션 계획을 할 때 커튼의 색과 무늬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크다. 커튼의 색과 무늬를 결정할 때에는 먼저 커튼을 실내의 다른 요소들과 조화시킬 것인지 대비시킬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커튼의 색과 배경색과의 유사조화는 실내에 가구나 장식물이 많아서 커튼을 강조하고 싶지 않을 때에 사용하면 좋다. 이와 반대로 대비를 원할 때에는 커튼의 색을 주변의 색과 보색으로 선택하고 무늬도 큰 것으로 고른다. 이 방법은 실내에 별다른 장식품이 없을 때에 면적이 넓은 커튼 자체로 화려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대체로 넓은 방 에는 큰 무늬가, 좁은 방에는 작은 무늬가 잘 어울린다. 커튼의 공간 분리 역할은 개성을 강조하는 최근의 실내에서 돋보인다. 커튼은 창에 가장 흔히 쓰이는 처리방법으로 그 역할은 빛의 조절뿐만 아니라 소리를 흡수하기도 하고 보온성, 장식성, 프라이버시 또는 벽으로 분리되지 않는 곳에서의 공간 분리 등의 역할을 한다. 커튼은 사용되는 천의 두께, 무늬, 색, 디자인에 따라 각기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두꺼운 직물로 된 커튼의 경우에는 육중한 분위기를 주며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된 효과를 주지만, 레이스와 같이 반투명한 직물을 사용하면 경쾌한 느낌을 주고, 밖에서는 안이 잘 들여다보이지 않아 프라이버시 확보용으로 사용된다. 커튼의 흡음성과 보온성은 두꺼운 직물일수록 크기 때문에 조용하고 따뜻한 실내를 만들려면 두꺼운 직물로 주름을 많이 넣어 커튼을 만들면 유리하다. - 41 - ⅱ) 침장류 패브릭 요소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침구이다. 침실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침구는 건강하고 명량한 침실 내 환경을 영위하기 위해 만들어진 생활용품 으로써 주로 섬유로 만들어진 침대커버, 매트리스, 이불커버, 베개, 쿠션 등의 제품을 뜻한다.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토털 코디네이션의 개념 때문에 침구 류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ⅲ) 업홀스터리 (Upholstery) 업홀스터리(Upholstery)란 오래된 앤티크 의자의 패브릭을 교체하는 수공 예 작업이다. 손상된 패브릭 부분을 복원해서 새 가구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는 것이 업홀스터리의 가장 큰 매력이다. 패브릭은 실크, 레이온과 비스코스 혼방, 벨벳, 실크, 면 등이 다양하게 사용된다. 동물, 새, 꽃이 있는 자연 무늬 프린트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손으로 수를 놓은 니들워크 제품일수록 값어치가 있다. 교체할 패브릭을 고를 때는 집 전체 분위기에 어울리는 것으로 가구나 커튼의 컬러를 고려하되 개인이 좋아하는 스타일에 중점을 두고 고르면 된다. 대체로 큰 무늬는 소파, 작은 무늬는 의자에 많 이 사용하는 편으로 좌우의 무늬를 맞춰서 대칭감을 주는데 신경을 쓴다. ⅳ) 쿠션 쿠션은 소파나 베드 위, 암체어(Arm Chair) 또는 소파 등 의자에 앉을 때 쾌적감을 주기 위하여 쓰는 서양식 작은 방석을 말한다. 쿠션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개 30-50 cm 사방으로 만들고, 모양은 정사각형․ 직사각형․원형․타원형 등이 보통이며, 인형․동물․꽃 모양 등으로 변형해서 만들기도 한다. 쿠션은 실용적인 목적도 있으나 실내 장식품으 로서의 구실도 크다. - 42 - ④ 아트 실내디자인의 흐름은 새로운 디자인 개념을 모색하면서 현대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확장을 거듭하는데, 이는 오늘날에서의 선택이 ‘감성적인 기준’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내용이 포함하고 있다.
(어두울 경우) 자주 (purple) 5RP 4/12 심리적으로 좌절감과 억제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강조의 요소나 특별한 분위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음 회색 (gray) N7 칙칙한 칙칙하고 지루한 공허한 흰색 (white) N9.5 다가갈 수 없게 하는 빈, 단조로운, 무기력한 비어있는 느낌 디자인의 난점이 없다. 검정 (black) N1 이상한, 추상적인 불길한, 감옥 같은 느낌 답답하고 공허한 [표 2-13] 색채 분석 < 출처 :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Frank H. Manhnke (1998) > 13) 강무진 외 8명, 실내건축을 위한 색채디자인, 기문당, 2000. 14) Frank H. Manhnke (1998),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최승희 번역, 서울 : 국제출판사. - 36 - ② 가구 주택이 자연환경과 인간과의 매개체라고 한다면 가구는 주택과 주택 사용자 간의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가구는 기능적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문화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주 공간의 실내 장식품으로 사용자의 취미 교양, 재력 등을 타인에게 과시하는 심리적인 욕구충족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15) 가구는 빌트인(Built-in)가구와 이동식(Movable)가구로 나눠 있다. 빌트인 가구에는 신발장, 옷장, 주방가구 등이 있고 이동식가구에는 소파, 테이블, 침대, 식탁, 콘솔 등이 있다. 최근 가구는 모듈화, 시스템화되어가고 있으며, 소파는 소파 베드처럼, 티테이블은 스툴처럼 기능이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주거 코디네이트에서 사용하는 가구는 이동식가구를 많이 다루고 있으나 요즘 소형주택에서는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빌트인가구가 실내코디네이트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가구 배치계획의 첫 단계는 계획에 필요한 모든 활동, 각 활동에 따라 필요한 실내장식품과 가구의 목록을 만드는 것이다. 그다음 상세하게 가 구 배치계획을 시작하고, 마지막으로 실용적인 면과 미적인 면에서 모두 그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가 있어야 한다. 가구 배치는 각각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야 하고 전체적으로도 잘 어울려야 하며, 아울러 동선의 형태도 합리적이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분명히 만족스러운 디자인이 될 것이다. 가구를 구입하거나 결정할 때는 다른 가구와의 조화, 벽의 색상, 바닥재, 몰딩과의 조화를 고려하여야 하며 실내디자인의 스타일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15) 한영호, 실내디자인 구성요소, 서울 : 형설출판사, 2000, p.23 - 37 - ● 빌트인 가구 (Built-in Funiture) 빌트인 가구는 주거에서 편리하고 안락한 생활과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도록 집안의 구조에 맞춰 제작하는 붙박이형 가구를 말한다. ⅰ) 수납기능 가구 수납기능 가구는 물품을 정리, 보관, 진열하기 위한 가구로 수납하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하며 거실수납장, 장롱, 책꽂이, 책장, 붙박이장, 드레스룸장, 다용도 붙박이장 등이 해당한다. 거실 수납장은 거실에 TV, 홈시어터, 장식품을 올려놓거나 물건들을 수납하여 거실 분위기를 정리해준다. 책꽂이장 및 책장은 책이나 물건들을 넣어두는 장으로 도시형 소형주택에서는 거실 한쪽을 활용하여 서재공간을 주거나 실을 분리하여 서재를 코디네이트한다. 특히 도시형 소형주택에서는 공간이 작으므로 수납 기능을 적극 강화시켜 활용한다. 보관을 위한 수납일 경우 먼지나 해충 등으로부터 보호하 기 위해 감추어져야 하며,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정리되어야 한다. 장의 문이 여닫이일 때 문이 열릴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이 필요하며, 진 열을 목적으로 한 수납일 경우 놓인 물품이 눈에 잘 띄고 잘 보이도록 코 디네이트가 되어야 한다. 또한, 많은 물건을 수납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어 느 가구보다도 효율적이어야 한다. ⅱ) 확장기능 가구 확장기능 가구는 공간을 넓게 쓰기 위한 기능을 가진 가구로서 집에 서 벽에 세워 놓을 수 있게 만든 월 베드와 월 소파, 움직이게 하여 공간 의 쓰임새에 맞추어 활용하는 무빙책상, 책장 등 소형주택 안에서의 공 간 활용도를 높이는 요소로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의 중요한 요 소이다. - 38 - ● 이동형 가구(Movable Furniture) 실내에 배치하여 생활에 사용하는 도구의 총칭으로 이동형 가구는 일반적 으로는 의자나 책상, 소파, 침대 등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말한다.16) ⅰ) 침대 - 다른 어느 가구보다도 안락성을 요하는 침대는 충분한 수면 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피곤한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에너지를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식용 가구이다. 사람이 누울 수 있는 크기로 1인용인 싱글, 2인용인 트윈이나 더블, 아동용 침대로 구분되며 침실 내에는 차지 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침실의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ⅱ) 소파 - 2인 이상이 앉을 수 있는 긴 의자를 총칭하는 말이지만, 일반 적으로 세 사람이 앉을 수 있는 3인용 의자를 소파라고 한다. 소파는 공간의 특성과 용도에 따라 하나하나를 독립하여 분리하면 재조립, 배 열이 가능하며, 가구배치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의자보다 부피 가 크고 무거워 공간을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소파를 설치할 때 는 공간의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ⅲ) 의자 - 입식 생활을 위한 대표적인 가구로 용도에 따라서 휴식과 안 락 위한 것과 학습, 작업을 위한 용도로 구분된다. ⅳ) 식탁 - 식사를 하기 위한 테이블로서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팔각형 등 상판에 형태가 다양하며, 식사의 분위기나 가구배치, 가족의 수 등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결정된다.
특히, 실내코디네이트란 공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실용적인 동선 확보와 그 기능성에 맞게 능률적 공간으로 표현하는 작업으로 공간별로 요 구되는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 등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배 치 및 디자인을 하여야 하는 작업이다. 더불어 기존의 연출된 형태와 사 용됐던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을 잘 이해하여 재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연출법이다. 8) n. coordinates: A set of articles, as of clothing or luggage, designed to match or complement one other, as in style or color. by www.onelook.com 9) www.google.co.kr/dictionary. 10) 박화선, 인테리어코디네이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3. 5. p.18 - 33 - (2) 실내코디네이트의 구성 요소 실내 코디네이트는 공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실용적인 동선 확보와 그 기능성에 맞게 능률적 공간으로 표현하는 작업이다. 공간 배치의 기초 콘셉을 기본으로, 실내의 완벽한 균형과 장식 요건의 의도 및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주거공간을 장식할 때, 먼저 스타일과 경향들을 둘러보고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다. 실내공간에 도입될 수 있는 물품들에 따른 요소는 굉장히 광범위하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으로 적용되는 중요한 요소들을 선정하여 구성하도록 하였다. 실내코디네이트의 기본 구성요소로는 색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 등을 들 수 있다. 실내코디네이트의 기본 구성요소를 잘 이해하고, 실내코디네이트의 공간의 변화와 함께 조화로운 연출이 이루어져야 하며 고객에게 때와 장소, 상황을 고려한 라이프스타일 코디네이트를 제안해야 한다.11) ① 색채 색채는 실내코디네이트를 전반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중요한 시작단계로써 적용되는 모든 요소를 지배하게 된다. 또한, 색채는 효율적인 분위기를 표현해 줄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까지 접목되는 배경이 된다. 색의 이미지는 각 색채감에 따라 추상적인 이미지가 있으며 사용자는 그러한 전달을 자연스럽게 공간 속에서 받아들이게 된다. 그리고 색채는 원색이 가지는 강한 이미지가 있지만 배색에 의한 색의 조화로 다양한 공간의 균 형감과 계획을 이룰 수 있다. 실내코디네이트의 공간 요소 중 색채구성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11) 김소희, 국내 모델 하우스의 거실 공간 코디네이트 연출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 2010, 11호 - 34 - 것은 색채가 건축적, 공간적 환경의 분위기와 질적 인상을 결정적으로 좌 우하며 이를 통하여 인간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공간 조 형의 모든 요소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상호 보조 작용을 할 때에만 색채 구성은 자기의 임무를 완성한다. 색채구성은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으로 크게 분류한다.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배색의 기본이 되는 색으로, 약 60-70% 면적을 차지하며, 전체의 느낌을 전달하는 배색으로, 가장 넓은 면을 차지, 전체 색채효과를 좌우 하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을 가미하여 결정 전체 면적의 20-30%를 차지 하며 주조색을 보완해주는 색으로 보조요소들을 배합색 으로 취급하며 통일감 있는 보조색은 변화를 주는 역할을 담당 디자인 대상에 액센트를 주어 신선한 느낌을 만드는 포인트로 전체 분위기에 생명력을 심어 주 는 역할로 전 체 면 적 의 5-10% 정도사용. [표 2-12] 색채구성의 분류 공간에서의 색채구성은 생리적, 심리적, 인간공학적, 기능적 그리고 미학적 요구들이 고려를 통한 색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 이 요구된다.12) 실내공간에서 색채에 의해 나타나는 감정효과가 실내디자인과 코디네이트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내공간에서 색 표면의 위치는 방의 성격, 심리적으로 인식되는 방법, 색에 대한 잠재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전혀 다르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바닥에 적합한 어떤 특별한 색조는 천장에 적용될 때 전혀 다른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색채 구성을 위해서는 표면과 색의 관계 그리고 형태와 색의 관계가 동시에 고려 되어야 한다. 표면이 넓을수록, 형태가 다양할수록 색이 전해주는 인상은 강렬 하지 않아야 한다. 오랜 시간 체류하는 공간의 색채구성은 눈에 두드러지지 않으면서도 12)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실내건축을 위한 색채디자인, 서울 : 기문당, p.17 - 35 -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13) 이를 바탕으로 Frank. Manhnke (1998)14)의 색채분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색명 색표 먼셀기호 바닥 벽 천장 빨강 (red) 5R 4/14 의식적인, 긴장한, 화려한 진취적인, 진보적인 간섭하는, 방해하는, 무거운 분홍 (pink) 10RP 8/6 바닥에 어울리지 않는, 우아한 달콤한, 심오한, 공격억제 우아한, 편안한 주황 (orange) 5YR 6/12 활동적인, 동적인 따뜻한, 밝은 자극적인, 주위를 끄는 갈색 (brown) 6YR 3/7 끈기 있는, 안정된 목재일 경우-안전하고 확실한 페인트일 경우-느낌이 덜하다. 답답하고 무거운 노랑 (yellow) 5Y 8/14 마음을 들뜨게 하는, 즐겁게 하는 따뜻한 (주황에 가까운 경우) 초조하고 흥분한 (짙을 경우) 밝은 느낌, 자극적인 녹색 (green) 5G 5/10 자연적, 부드러운, 편안한, 차가운(청록색에 가까운 경우) 시원, 안전, 고요, 신뢰성 있고 수동적, 초조함(자극적, 녹색일 경우), 불명료한(올리브색에 치우친 경우) 보호하는 느낌 파랑 (blue) 5B 5/10 힘들지 않은, 견고한 (어두운 색) 운동감을 느끼게 하는 (밝은 색) 차갑고, 냉담한, 공간이 깊어 보이는 느낌 시원하고, 전진하는 느낌이 적다. 무겁고 답답하다.
이 공간은 서비스 면적이어서 분양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서울시는 1-2인 가구에 적합한 강소(强小) 주택 모델을 개발해 보금자리 주택 등에 적용할 예정이다. 강소주택은 1-2인 가정을 위한 50㎡ 이하의 소형주택에 ‘작은 집을 넓게 쓴다’라는 개념을 접목한 주택을 의미한다. - 30 - 가구 형태의 변화로 갈수록 소형주택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다 강소주택은 소형주택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맞춤형 모델이 될 것이다.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한 관심은 라이프스타일의 다변화와 여가문화, 건강과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유형이 다양화된 이유에 의해 기존 주택 및 생활방식에 대한 새로운 방법 중 하나이다. 다양한 삶의 유형과 주택에 대한 새로운 가치문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목적성과 실용성, 비용의 문제이다. 예전의 주택 가치는 잘 팔리고 대중적이며, 수익성 높은 부동산 중심의 주택 가치라고 하면 도시형 소형주택은 수요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적용한 주거 문화의 새로운 유형이다. 우리의 공동주택 시장과 해외 사례가 다른 경향은 대형 택지개발사업, 재개발과 재건축, 주거환경정비사업, 뉴타운 등에 기대어 있는 우리의 주거문화와 가구당 주거면적의 소형화 경향과 사업규모의 소형화 개발 등 규모 면에서 다양화된 주거 상품이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다는 것을 비교 해볼 때 주택의 생산방식과 인식의 차이가 명확하다. 정부 혹은 대형 건설사 중심의 일방적인 제도적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보다는 다변화되어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디벨로퍼, 건축가, 엔지니어, 시공자, 코디네이터, 부동산중개인 등 주택 공급의 개별 주체들이 대형 주택 사업뿐 아니라 일반적인 소형 주택사업에서도 제도적 건전성과 역할분담, 사회적으로 유연한 입장정리를 통해 쾌적하고 질좋은 주택 공급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삶의 주체인 주거의 수요와 공급을 개인적 욕구가 충만한 현대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이제 도시형 소형주택은 투자가 아닌 실수요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개성 있고, 개인적 가치의 목적성이 분명하고, 구체적 인 실현을 위한 실용성을 바탕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 31 - 2. 1. 2. 실내코디네이트 (1) 실내코디네이트의 개념 시대가 변하고 예술적 가치가 삶의 중요한 요소로서 자리매김한 현대의 실내디자인은 물리적, 심리적 및 감정적 측면 등 모든 인류의 복지에 공헌하는 환경디자인의 한 부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실내디자인 은 시대 변천에 따라 현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용어로 디자인 작업의 해 석에 따라서는 실내건축(Interior Architecture)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최근 에는 실내디자인을 고도의 세분화된 전문적 작업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로 받 아들여 인간 환경을 창조하는 행위에 관계되는 창조적 분야로서 인식하고 있다. 이중의 한 부분인 실내코디네이트(Interior Coordinate)는 단순한 꾸미는 일에서 벗어나 환경디자인의 한 분류라고 할 수 있다. 실내디자인은 크게 3가지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실내Design 실내Element 실내Coordinate 실내공간의 크기와 동선을 고려한 배치 등 실내공간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일 실내공간 구성에 절대적인 요소인 설비, 가구, 라이팅 등 실내요소를 설계하는 일 실내공간을 이해하고 마감재를 고려하여 동선을 유지하며, 가구, 소품, 커튼, 소품을 활용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정리하고 위의 두 분야를 마무리 해주는 단계 [표 2-11] 실내디자인의 분야별 분류 이러한 실내디자인 범주 속의 실내주거코디네이트(Housing Interior Coordinate) 는 건물 내부의 공간을 인간이 생활하기에 쾌적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코디네이트 (Coordinate)의 사전적 의미는 영문사전에서는 조화롭게 연합하 는 의미-combine harmoniously-를 주로 내포하고 일반적으로 공간을 연출하 는 것을 공간 코디네이션이라고 칭하나 현재는 코디네이트 (Coordi-nate) 또 - 32 - 한 형용사, 명사, 동사로 a. 1. 동등한 2. 동격의 v. 1. 조직화하다 2. (몸의 움 직임을) 조정하다 3. (옷차림․가구 등을) 꾸미다; (옷차림․가구 등이) 잘 어울리다 n. 코디네이트 (색깔․소재․디자인의 조화 효과를 노린 의 복․가구)8)로 쓰이며 구글 사전에서도 역시 명사적 의미로 색깔․소재․디 자인의 조화효과를 노린 의복․가구9)라 설명하고 있다. 즉, 코디네이트 (Coordinate)란, 2종류 이상의 것을 조합하여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코디네이트 (Interior Coordinate)’로 사용하고자 한다. 주거 공간 측면에서 코디네이트는 디스플레 이,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데코레이션, 스타일링, 디스플레이 등과 비슷한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돼 왔으며, 현재도 그 부분이 명확하지 않다. 모델 하우스 관련업계에서는 실내코디네이트와 함께 디스플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부분적인 장식 코디네이트만을 코디네이트 범위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로 추구하는 범위는 건축 이전의 콘셉 작업에서부터 건축, 인테리어에 연이어 아주 작은 소품의 장식코디네이트 작업까지를 일 관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그 마감재와 컬러까지를 포함한 모든 디자인을 조정하고 조화할 수 있어야 한다.10)
7) 현대 경제연구원(2010), 경제주평 10-14(통권 394호), 2010.04.09. - 27 - 건설사 도시형 소형주택 개발 현황 GS건설 -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한 차별화된 콘셉트를 개발, 저작권 등록. - 각 시스템 콘셉트을 개발, 적용하여 상표권출원 - 콘셉트별 다양한 타입의 평면 제시, 총 5개의 평면에 대한 저작권 등록 롯데건설 - ‘캐슬 루미니’라는 소형주택 브랜드와 콘셉트를 개발. - 1-2인 가구들의 수요를 감안한 상품으로 빌트인 시스템특화 - Transformer + Multimedia + Fun 이라는 콘셉트 - 주거공간의 벽과 바닥 등 다양한 가구로 변화 현대엠코 - 8개 중소형 평면을 개발해 저작권 등록. - 5개가 '알파공간' 평면계획을 적용한 효율적 수납 LIG건설 - 신 라이프스타일 도시형 소형주택 상품개발. - 도시형 소형주택 평면, 가구시스템 개발 및 저작권 등록 반도건설 - 중대형에서만 적용하던 4.5베이 구조를 59㎡에 최초로 적용 - 소형 아파트 구조에 중대형 아파트의 구조를 대입하여 적용 토지주택 공사(LH) - 전용 50㎡이하 주택평면 4개를 개발하여 소형주택공급 - 전용 59㎡와 84㎡의 저층동 일부를 1-2층, 3-4층으로 나눠 복층 구조적용 서울시 - 1-2인 가구에 적합한 강소(强小)주택 모델개발 보금자리주택 등에 적용할 예정 (4) 도시형 소형주택의 공간구성 개발 현황 [표 2-10] 건설회사별 도시형 소형주택 공간구성 개발 현황 도시형 소형주택의 평면 구조가 바뀌어 가고 있으며 입주자들의 생활 패턴에 맞춰 맞춤형 공간을 제공하거나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 공간을 제공하고, 3면 발코니를 적용해 서비스 면적을 늘려주고 있다. 자투리 공간을 활용해 전용 60㎡에 방을 5개까지 뽑는 것도 가능해 졌을 뿐만 아니라 복층 아파트까지 등장하고 있다. 도시형 소형주택 좁고 불편하다는 편견을 깨고 공간 구조나 가구 등을 효율적인 배치를 하여 1-2인 가구가 사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게 한 것이다. - 28 - 이에 대형 건설사들도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하여 관심을 두고 차별화된 콘셉트, 라이프스타일, 구조, 소형주택이지만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시스 템들을 개발, 저작등록하고 있다. 대형 건설 회사들의 도시형 소형주택 개발 상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GS건설은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한 차별화된 콘셉트를 개발, 저작권등록을 하고 도심역세권 등지에서 공급할 계획이다. 차별화 콘셉트는 마이크로 유니트 시스템(가변형 구조), 컴펙트 퍼니처 시스템(빌트인 시스템), 베이 디바이드 시스템(임대수익형 평면) 등 3가지 콘셉트에 대한 상표권 출원하였으며, 스튜디오스타일, 로프트스타일 1ㆍ2, 오피스스타일, 아파트먼트스타일 등 5건으로 주로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평면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 평면에 대한 저작권등록도 마친 상태이다. 특히, 스튜디오스타일과 로프트스타일을 예로 들면, 스튜디오스타일은 학생들의 학습과 취미생활을 배려한 소형주택으로 2인 공동생활까 지 고려한 평면이다. 로프트스타일은 자유로운 삶을 즐기고 간섭을 싫어하 는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특성을 반영했다. 여기에 남녀의 라이프 스타일 차이를 고려해 골드미스터 평면에는 AV공간, 골드미스 평면에 는 수납공간을 강화했다. 롯데건설은 ‘캐슬루미니’라는 소형주택 브랜드와 콘셉트를 개발하고 1-2인 가구들의 수요를 고려한 상품으로 빌트인 시스템을 특화시켜 30㎡ 정도의 공간을 2배 이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특히 ‘Transformer + Multimedia + Fun’ 이라는 콘셉트의 주거공간은 평소에는 벽과 바닥이지만 문을 열면 4방향에서 침대, 옷장, 책장 등 다양한 가구로 변화된다. 편안한 휴식을 즐길 수 있는 평범한 주거공간에서 벗어나 다양한 체험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것이 롯데 건설의 계획안이다. - 29 - 현대 엠코는 2010년 8개 중소형 평면을 개발해 저작권 등록까지 마쳤다. 이 중 5개가 '알파(a)공간' 평면인데, 알파공간이란 서비스 면적을 입주자가 자유롭게 계획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효율적인 수납을 위해 안방, 주방, 거실에 각각 알파 공간을 선택하면, 각 공간을 확장 드레스룸, 냉장고나 소형가전까지 수납할 수 있는 주방 시스템 수납장, 가벽을 이용한 서재로 변신시켜 활용할 수 있다. LIG건설은 뉴욕, 파리, 시드니 등 세계 7대 도시를 테마로 한 신평면을 개발했다. 그 중 홍콩형은 전용 29㎡, 도쿄형은 전용 49㎡이다. 개인 작업 시간이 많은 전문직 골드미스터를 위한 도쿄형은 슬라이딩 도어를 달아서 마치 가벽처럼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했다. 홍콩형은 골드미스를 위 해 대형 드레스룸이 있고, 평소에는 수납장처럼 보이지만 선반을 내리 면 화장대로 쓸 수 있는 가구 디자인을 적용했다. 반도건설은 중대형에서만 적용하던 4.5베이 구조를 59㎡에 최초로 적용하였다. 4.5베이란 전면에 안방, 거실, 작은방 2개와 욕실의 채광창을 배치한 것으로 발코니를 확장하면 최대 90㎡까지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소형 아파트에 ㄷ자형 주방과 다양한 수납공간, 드레스룸, 안방에 딸린 화장실과 샤워실이 있다. 이에 앞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도 전용 50㎡ 이하 주택평면 4개를 개 발, ‘스튜디오주택'이라는 이름으로 소형주택 공급에 나섰다. 소형아파트 에 펜트하우스에서나 가능했던 복층 구조를 적용했다. 전용면적 59㎡와 84 ㎡의 저층 동 일부를 1-2층, 3-4층으로 나눠 각각 복층 구조로 만든 것 이다.
[표 2-5] 인구 구성비 추이, 통계청, 2010, 인구주택 총조사 - 23 - 시도별 총조사 인구 추이 ('00 ,'05, '10 ) - 2 4 6 8 10 12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백만명 00년 05년 10년 [표 2-6] 시도별 총조사 인구추이, 통계청, 2010, 인구주택 총조사 가구 구조 변화 및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1-2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 함에 따라, 이들 소형가구의 기호를 반영하는 주택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 고 있다. 국내 소형주택시장은 중대형주택 선호 탓에 공급 비중이 점차 감 소했다. 수도권의 재개발, 재건축 사업에 따른 소형주택 멸실 규모 증가로 소형주택 공급량은 부족한 상황이다. 최근 국내 주택시장 위축현상이 지속하 면서 대형주택을 중심으로 가격하락 현상이 보이지만 소형주택은 여전히 가격 강세현상을 보이며 주택 수요자들의 관심이 지속하고 있다. 이 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정부는 준주택 및 도시형 생활주택을 도입하 는 등 소형주택 공급확대에 적극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앞으로 소형 주택 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2018년 이후 국내 인구는 감소세로 전 환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가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특히 1-2인 가구의 비중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중장기 주택 수요 시장이 다변화됨이 예상된다. 특히 소득수준 향상과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1-2인 거주의 요구 면적이 증가할 것이며, 고급형 소형주택의 요구도도 높아질 것이다.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미혼 기간의 증가, 개인 중심의 생 - 24 - 활패턴 변화 등 라이프 사이클의 변화는 가구 구조를 가족단위에서 1-2인 가구로 분화시키고 있다. 2010년 인구 주택 총 조사에 의하면 일반 가구 수는 17,334천 가구로 05년 보다 1,447천 가구(9.1%)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고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 는 가족 유형 및 형태 분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05년 2.88명에서 2.67명으 로 감소했다. (단위 : 천가구, 천명, %) 2000년 2005년 2010년 증 감 증감율 ․일반가구수 14,312 15,887 17,334 1,447 9.1 ․가구당 평균 가구원수(명) 3.12 2.88 2.67 -0.21 - [표 2-7] 가구수 및 가구당 평균 가구원수, 통계청, 2010, 인구주택 총조사 2010년 1인 가구 비율 2005년 20.0%에서 2010년 23.3%(4,039천 가구)로 3.3% 증가 하였다.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1인가구비율(%) 6.9 9.0 12.7 15.5 20.0 23.3 [표 2-8] 조사연도별 1인 가구 비율, 통계청, 2010, 인구주택 총조사 2007년 통계청의 장래가구 추계에 따르면 국내의 1-2인 가구는 1990년 총가구 수의 22.8%를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에는 51.8%에 이르러 3인 이상의 비중을 넘어설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2와 같이 평균가구 수 가 2000년 3.12명에서 2009년 2.76명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5 - 년도 총가구수 1-2인 가구수 비중(%) 3인 이상 가구수 비중(%) 1980 7,969,201 1,222,582 15.3 6,746,619 84,7 1985 9,571,361 1,836,473 19.2 7,734,888 80,8 1990 11,354,540 2,587,194 22.8 8,767,346 77,2 1995 12,958,181 3,827,032 29.5 9,131,149 70,5 2000 14,311,807 4,954,981 34.6 9,356,826 65,4 2005 15,887,128 6,691,220 42.1 9,195,908 57,9 2010 17,152,277 7,430,941 43.8 9,721,336 56,7 2015 18,191,663 8,153,658 44.8 10,038,005 55,2 2020 19,011,815 8,953,745 47.1 10,058,070 52,9 2025 19,593,767 9,706,538 49.5 9,887,229 50,5 2030 19,871,144 10,295,614 51.8 9,575,530 48,2 [표 2-9] 장래가구 추이, 통계청, 2007, 인구주택 총조사 이와 같은 가구당 가구 인원수 감소와 1-2인 가구 증가 때문에 대형면적 주택에 대한 수요는 점차 감소하고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1인 가구의 7대 구조적 특징’ 연구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 증가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3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실용주의적 가족 가치관의 대두로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전통적인 가족 개념이 약화하면서 1-2인으로 구성된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IMF 이후 구직 활동의 어려움이 지속함에 따라 자기 경쟁력을 강화하고 ‘혼자’가 강조되는 개인 주의가 심화하였다. 둘째, 온라인 매체의 증가 등으로 생활의 편의성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초혼 나이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혼인율도 감소하면서 1인 가구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 26 -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부모 부양 회피, 황혼 이혼 증가, 남녀 평균 수명의 차이 등으로 고령 독거 가구가 증가하는 것도 1인 가구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7) 최근에는 독신 생활자나 이혼, 결혼 전의 독립생활 등의 이유 때문에 중산층 이상의 고소득 계층도 1-2인 가구를 형성하는 사례도 많다. 이들은 도시 근접의 소형주택 선호하며, 상당수는 도심에 있는 주 택의 거주를 원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소형주택의 제도 개선과 관 련된 공급 활성화 방안 소형주택의 가치발견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면 본연구의 방향은 소형주택의 고급화이다. 국내의 인구구조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동시에, 소형주택 수요자 들의 소득수준별 차등화에 따라 소형주택의 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소득수준이 높은 싱글족 및 1-2인 가구 증가로 자가 소유 비중 증가,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실버시장규모가 확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고령자를 위한 소형 주택 시장이 활성화와 함께 일정수준의 소득을 가진 소형 주택의 증가는 기존 서민중심의 소형 주택에서 벗어나, 고급 맞춤 형 소형주택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다만, 수도권정비계획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의한 수도권을 제외한 읍 또 는 면 (도시지역 제외) 지역에서는 1호 또는 1세대당 주거 전용면적이 100 ㎡이하이고, 민간건설 중형국민주택(국민주택중) 경우 민간주택건설사업자 가 건설하는 60㎡ 초과, 84㎡ 이하의 주택으로 정의한다(‘2009 주택업무 편람). 실제 법령상에서 ‘소형주택’ 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것은 주택 건설시 의무적으로 전용면적 84㎡이하의 소형주택을 지어야하는 ‘소형 주택 의무 비율’이다. 구분기준 관련법령 주거전용면적 60㎡이하 60㎡초과 84㎡ 85㎡초과 주거환경 개선사업 도정법2) 90%이상 10%이하 도촉법3) 80%이상 20%이하 주택 재개발사업 도정법 80%이상 20%이하 도촉법 60%이상 40%이하 주택 재건축사업 300세대이상 20%이상 40%이상 40%이하 300세대미만 60%이상 40%이하 [표 2-2] 주택사업별 소형주택 의무건설비율4) 2) 도정법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3) 도촉법은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4) ‘저가 · 소형주택 멸실 및 수요판단에 관한 연구, 시정개발연구원, 2007’ - 19 - 좀 더 구체적인 소형주택 관련 사항은 『도시 및 주거환경비법』과 『도시 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등에서 전용면적 60㎡ 또는 84㎡ 를 소형주택으로 정하고, 주택사업별로 소형주택 의무건설비율에 따라 주 택을 건설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주택시장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소형주택의 기준은 소형주택 의무비율 공급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추진 되고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준주택 제도 등과 관련해서 제시되고 있는 소형주택의 기준 또한 이를 반영하고 있다. - 20 - (2) 도시형 소형주택의 유형 ① 도시형 생활주택 국토해양부에서 내놓은 도시형 생활주택의 정책을 보면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에 따른 도시지역 내에서 주택법 제16조에 따라 사업계획승인을 얻어, 국민주택규모(1세대당 주거전용면적 84㎡ 이하)에 해당하는 주택을 300세 대 미만의 규모로 건설하는 주택을 말하며,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 유 형을 구분하였다. (주택법 제2조 제4호 및 주택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도시형 생활주택의 주요특성 입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지역 규모 20세대 이상 150세대 미만 인허가 주택법 제 16조에 따라 사업계획승인을 취득해야 함 유형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 기숙사형 주택 전용면적 구분 단지형 다세대 원룸형 주택 기숙사형 주택 주거전용면적 84㎡이하 12㎡-13㎡ 7㎡-20㎡ 거실구성 투룸 이상 원룸 (욕실제외) 원룸 (취사, 세탁, 휴게실, 공동사용) 용도구분 다세대 아파트, 연립, 다세대 아파트, 연립, 다세대 [표 2-3] 도시형 소형주택의 유형별 차이점5) 5) 국토해양부, 2010,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한 정책에서 발췌 - 21 - ② 준주택 준주택의 정의는 주택법상 주택으로 분류되지는 않고 있으나, 사실상 주거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시설을 의미한다. 준주택의 유형으로는 오피스텔 (건축법시행령 별표1 제14호), 노인복지주택(노인복지법 제32조 1항 제3호), 고시원(건축법 시행령 별표1 제4호 및 15호) 등이 있다. 준주택 법령개정 주택법 제2조에 ‘준주택’ 용어가 신설됐으며, 노인복지주택은 단독 및 공동 주택의 형태를 갖추었을 때 ‘주택’ 용도로 분류하고 있어 혼선이 우려되므 로, ‘노유자시설’6)로 관리하도록 하였다. 항목 주요내용 주택기금 지원 - 건축비의 최대 50% - 기존 고시원, 도심 오피스, 근린상가 등을 개량해도 지원 건축 가능지역 확대 - 상업, 준공업 지역도 가능 오피스텔 규제 완화 - 욕실면적 제한 폐지 바닥난방 규제 폐지 검토(전용85㎡초과) 주거환경 개선 - 세대 간 경계벽 및 주택 외 시설과의 벽은 내화구조로 설치 - 채광 및 통풍이 원활하도록 40m이내마다 1개소 이상 개구부설치 - 각 세대 전용면적의 1/20이상 환기창 설치 - 소음에 관한 기준은 주택 건설기준을 적용하여 경량 충격음 58dB, 중량 충격음 50dB 이하로 적용 [표 2-4] 준주택 제도 및 추진계획(안) (2010.1.26) 국토해양부 준주택 제도의 기본방향은 건축 가능한 용도지역이 기존 공동 주택보다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는 것과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준주택 건설을 허용하여 1-2인 가구의 직주근접형 주거 공급 활성화와 건설비용 절감을 6) 노유자시설은 아동관련시설, 노인 복지시설, 장애인시설, 그 밖의 다른 용도로 분류되지 아니한 사회복지시설 및 근로복지시설을 말한다. 아동 관련 시설 : 아동복지시설, 영육아 보육시설, 유치원 등의 이와 유사한 시설 노인 복지 시설 : 노인복지시설, 경로당 등의 이와 유사한 시설 장애인 시설 : 장애인 재활시설, 요양시설, 이용 시설, 점자 도서관. - 22 - 인구 구성비 추이(1960~2010) 0 20 40 60 80 100 60년 70년 80년 85년 90년 95년 00년 05년 10년 (%) 동부 읍부 면부 수도권 특광역시 위해 안전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항목은 설치 대상에서 제외하며 주차 대수 규정 완화 및 지자체와 관계없이 같은 기준 적용할 수 있다. 도시형 소형주택을 어느 정도 규모 이하까지를 도시형 소형주택의 개념으 로 정의해야 하는지를 면적의 경계로만 결정짓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 한, 앞의 연구사례들을 보면 아직 구체적으로 면적 기준만을 가지고 소형 주택의 개념에 대해서 명확하게 정의를 내리고 있는 사례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법, 도시형 생활주택, 준주택 등에서 정한 것을 바탕으로 도시형 소형주택을 84㎡ 이하의 소형주택으로 선정하여 사례분석 및 연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3) 도시형 소형주택의 개발배경 국내 수도권지역의 집중현상은 196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10 인구 주택 총 조사에 의하면 수도권 인구는 2000년 21,354천 명인 전체인구의 46.3%에서 20005년 22,767천명인 전체인구의 48.2%로 2010에는 23,616천명인 전체인구의 49.0%로 수도권 집중현상을 꾸준히 보이고 있다.
(3) 실내코디네이트 ( interior Coordinate ) 일반적으로 공간을 연출하는 것을 실내 코디네이션이라고 칭하나 현재는 코디네이트(Coordinate) 또한 형용사, 명사, 동사로 a. 1. 동등한 2. 동격의 v. 1. 조직화하다 2.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다 3. (옷차림․가구 등을) 꾸 미다 4. (옷차림․가구 등이) 잘 어울리다 n. 코디네이트 (색깔․소재․디 자인의 조화 효과를 노린 의복․가구)5)로 쓰이며 구글 사전에서도 역시 명사 적 의미로 색깔․소재․디자인의 조화 효과를 노린 의복․가구6)라 설명 하고 있다. 즉, 코디네이트(Coordinate)란, 2종류 이상의 것을 조합하여 전 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코디네이트’ 로 사용하고자 한다. 실내코디네이트가 실제로 추구하는 범 위는 건축 이전의 콘셉트 작업에서부터 건축, 인테리어에 연이어 아주 작은 소품의 장식 코디 작업까지를 일관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그 마감재 와 컬러까지를 포함한 모든 디자인을 조정하고 조화로울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적인 디자인 분야에 적용하여 공간에서 적용되는 색 채, 가구, 패브릭, 조명, 아트, 소품 등이 서로 조화된 언어로써 다루게 된 다. 이는 동시에 디자인이 어우러진 통합적인 언어로써 스타일을 다루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4) 김은주(2010). 「미혼 직장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론, 페이지 5) n. coordinates: A set of articles, as of clothing or luggage, designed to match or complement one other, as in style or color. by www.onelook.com 6) www.google.co.kr/dictionary. - 15 - (4) 골드세대 ( Gold Generation ) 1인 가구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사회문화를 형성하 고 있는 골드미스, 골드미스터이다. 주로 역세권 지형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주로 30대 초반에서 40대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 집단은 오늘날 시장의 주목 대상으로, 도시의 새로운 문화와 가치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문 직종, 화이트 칼라 계층을 중심으로 1인 가구 집단 내에 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경제구조를 가졌으며, 동시에 결혼이나 가족, 사회 적 관계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견지하는 집단이다.7) (5) 골드미스 ( Gold Miss )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 혹은 대기업 사원, 연봉 4천만 원 이상 그리고 재테크로 늘린 부동산 등 자산 규모 8천만 원 이상 등이 골드미스의 구체적인 조건이다.8) 학력, 외모, 경제력 등의 조건을 완벽하게 갖췄지만 결혼시기를 놓쳐 혼자 사는 30대 중․후반 전 문직 여성으로, 이 신조어는 미혼 직장여성층을 공략하기 위한 기업들의 마 케팅 전략에 의해 ‘골드미스’라는 용어가 유행하면서 ‘골드미스’라는 프린세 스 마케팅이 성행하게 되어 일반 대중에까지 유행하게 되었다.9) (6) 골드미스터 ( Gold Mr. ) 골드미스터란 대학교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직업은 연봉 6천만원 이상의 전문직이며, 35-40세의 미혼남성을 말한다. 갈수록 결혼 적령기가 늦어짐에 따라 이처럼 능력을 갖춘 골드미스터가 증가하는 추세다. 이 연 7) 변미리, 신상영, 조권중,서울의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8) 한국고용정보원 고학력전문직 미혼남녀의 취업구조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문서유형 학술발표자료 2009 9) 김민주외, 키워드로 읽는 오늘의 세상, 2011 트렌드키워드미래의창, p.198 발췌 - 16 - 령대 남자는 대부분 기혼이지만 미혼인 이들은 결혼보다 자기 개발이나 취미,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다. 20대 못지않은 패션 감각을 지닌 골드 미스터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이에 남성소비자의 광고나 마케팅이 골드미스터를 대상으로 새로운 패션과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 17 - 2. 이론적 고찰 2. 1.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2. 1. 1. 도시형 소형주택 (1) 도시형 소형주택의 개념 도시형 소형주택 면적의 경계가 어느 정도 규모 이하까지를 도시형 소형주택의 개념으로 정의해야 하는지 규정하기에는 난점이 따른다. 연구 사례들 또한 면적 기준만을 가지고 소형주택의 개념에 대해서 명확하게 정의를 내리고 있는 사례는 거의 없다. 관련 법령에 제시하고 있는 도시형 소형주택의 기준을 살펴보면, 먼저 주택법에서는 소형주택에 대한 별도의 기준은 없으나 ‘국민주택’의 기준1)을 제시하고 있다. 주택법 제2조에 의하면 국민주택이라 하여 주거의 용도로만 쓰이는 면적(주거전용면적)이 1세대당 84㎡ 제곱미터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점점 많아지는 1-2인 가구의 안정된 주거를 위하여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택건설 기준과 부대시설 등의 설치기준을 적용하지 않거나 완화한 주택정책의 하나로 도시형 생활주택을 들 수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2009년 5월부터 도입되는 새로운 주거 형태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도시지역에서만 건축할 수 있고 기반시설이 부족하여 난개발이 우려되는 비도시지역은 해당하지 않는 1세대당 주거 전용면적 84㎡ 이하인 국민주택 규모의 300세대 미만으로 구성된 주택으로 단지형 다세대(전용면적 84㎡ 이하)와 원룸형(12-50㎡), 욕 실․부엌이 설치되어 가구별로 독립된 생활이 가능한 집을 말한다. 1) 주택법 제2조 제3항. - 18 - 구분기준 관련법령 주택유형 내용 주택공급에 따른 분류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2조 국민주택 등 『국민주택』과『국가·지방자치단체·한국 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공사』가 건설주택 및 공공건설임대주택 중 84㎡이하의 주택 민영주택 『국민 주택 등』을 제외한 주택 [표 2-1] 소형주택의 주택공급에 따른 분류 국민주택규모란, 1호 또는 1세대당 주거전용면적이 84㎡ 이하를 말한다.
라이프스타일의 분석은 소비자들의 활동, 흥미, 의견과 관련된 수많은 특성을 총망라하기 때문에 구매자에 대한 넓은 시각을 제공하므로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가장 적절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토대 분석 이보영 (2006) 라이프스타일이란 각 개인에게 내면화되어있는 개성과 사회가치기준의 영향력 등을 도출한 개념으로 정의 개인 사회가치기준 양세화 (2006) 주거에 대한 가치관, 요구, 규범, 선호 등을 모두 아우르 는 개념으로 주거의식을 주거에 대한 태도, 가치 ,공 동체 의식을 포함시켜 측정 주거 주거의식 김완래 (2008) 건강소비자에 대한 인간적인 행동측면을 강조하고, 행동에 대한 결정변수와 동기 또는 인성연구를 시작함 건강소비자 행동, 인성연구 강순주 (2010) 라이프스타일의 주거의식은 주거요구가 나타나게 되는 심리ㆍ정신적 기반이며 개인의 거주 경력, 학습, 계몽, 광고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주거가치관을 형성케 하는 중요한 요소 주거의식 주거가치관 [표 1-4] 라이프스타일 국내·외 학자별 정의정리 라이프스타일의 정의를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이나 사회 전체의 고유하고 특정한 생활양식으로서, 소비자의 행동, 태도변화, 가치관 등을 포함한다. 각 개개인은 라이프스타일을 생산하는 생산복합체로서 이를 데이터화하여 생활측정방식을 분석할 수 있다. 소비자의 분석된 데이터를 정립하면 라이프스타일의 유형화를 할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의 가치관 뿐 만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 나며 주거의식에도 영향을 준다. 가치관, 요구, 규범, 선호도 등 심리ㆍ정신 적 기반으로 주거 가치관까지 파악하고 있다. - 12 - (3)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 라이프스타일 연도(년도) 제목 내용 박혜숙 (2001) 생활양식에 따른 실내디자인 선호유형 거주자들의 생활양식과 선호실내 이미지 및 실내 구성요소를 파악한 후 실내디자인 선호사례를 제시 김동욱 최진원 (2004)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는 테마형 디지털 홈 모델링 연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디지털 홈 시스템 선호도를 바탕으로 각 라이프스타일에 대응 하는 특성별 시스템구분 이주령 (2004) 거주자 중심스마트 홈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과 주생 활 양식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거주자 중심의 스마트 홈에 대한 계획지침제시 김란주 (2005) 라이프스타일을 적용한 디지 털 홈 실내설계에 관한 연구 미래의 주거환경의 변화를 고찰하고 현재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분류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제시 박수빈 (2005) 디지털 홈 디자인을 위한 아파트 거주가구의 요구에 관한 연구 거주가구의 주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서 거주자의 중심의 지능형 주거디자인의 방향모색 오찬옥 (2006) 디지털 홈디자인을 위한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연구 : 부산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주거디자인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를 규명함으로서 디지털 홈의 계획방향 제시 정상혁 (2008)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에 다른 새로운 가상주거 공간계획 다변화되고 있는 사회에 대응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공간을 계획하여 제안 신영숙 (2009)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공동주택 선호 디자인 특성연구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라이프스타일유형을 규명하고 공동주택의 디자인적 요소, 시설 설비, 커뮤니티 시설들에 대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선호도 파악 홍우전 (2009) 주거선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 주거선호특성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주거선호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도출 강순주외 (2011) 1-2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소형주택 요구도에 관한 연구 라이프스타일의 주거의식은 주거요구가 나 타나게 되는 심리ㆍ정신적 기반이며 이는 개인의 거주 경력, 학습, 계몽, 광고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주거가치관을 형성케하는 중요한 요소 [표 1-5]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선행연구 - 13 - 전체적으로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한 거주자 우선의 개념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거주자의 라이프스 타일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우선시되어야 하며, 이를 유형화하고 선호도를 파악하여 거주자의 욕구를 만족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사례들 의 유형화 도출을 이끌어내면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주거의식을 파악하고 주거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1. 5. 용어 정리 (1) 도시형 소형주택 주택법 제2조에 의하면 국민주택이라 하여 주거의 용도로만 쓰이는 면적(주거전용면적)이 1세대 당 84㎡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또한, 도시형 생활주택 또한 주택법 제16조에 따라 사업계획 승인을 얻어, 국민주택 규모 (1세대 당 주거전용면적 84㎡) 이하의 주택을 말한다. (2) 라이프스타일 ( Life S tyle ) 사회학자인 Max Weber3)와 정신분석학자인 Alfred Adler(1969)에 의해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정신분석학자인 Alfred Adler(1969)는 개인행동을 예측하는 있는 방법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정의하고 있다. 개인별 독특성을 강조함으로써 과거 생활양식에 대한 대처경험, 생활과제의 독자적 해결 및 미래에 대한 목표에 대한 노력 중 개인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라이프스타 일이라고 하였다. 이는 라이프스타일 개념이 사회학자․심리학자에 따라 다른 개념을 표현하고 있지만, 개인 또는 집단의 통합양식과 독자성, 창의성, 3) Marx, W & Wittich, C.(1968), ‘Economy and Society,’ Vol.3, Bedwinster, N.Y., Vol. 1, p. 305-306. - 14 - 가치의식, 목표 지향적등의 기호나 선호도에 상충하는 스스로 생활을 능 동적 주체적으로 형성하는 행동의 주체성에 같은 의미를 내포한다.4)
인구. 사회구조 변화에 다른 주택산업의 대응과제 인구 사회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주택산업의 대응책을 제시 이인석 김문관 2009 1인 주거중심의 도시형 생활주택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현대 도시생활 1인 주거의 주생활 패턴 및 주거 환경연구를 기반으로 소형주택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도시형 생활주택 공간계획 방향성에 대해 연구 권윤지 강순주 2009 미래형 소형주택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국내·외 소형주택 개발현황 및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소형주택 적용에 대한시사점을 제시 손은경 2010 소형주택 시장동향 및 전망 국내 주택 시장의 변화 소형가구 증가에 따른 소형 주택 시장의 성장 전망 일본의 소형주택 시장 현황 국내 소형주택 시장의 방향성에 대한 점검 및 대응 방안에 관하여 연구 김도연 윤재신 2010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기준 설정에 관한 기초연구 1-2인 가구의 새로운 주거 유형으로 공유주택을 제 안하고 법적기준을 토대로 공유주택의 계획 기준 제시 김혜연 이연숙 윤혜경 2010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은퇴 후 선호하는 주거계획 을 조사함으로써 공동 주택개발에 미치는 선호요인 을 파악 하여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는 공동주택개 발 방향 과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 지규현 외4인 2010 1인 가구주택 수요 증가의 도시 계획적 함의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주택시장의 변화와 정책적 과제에 대한 제안 및 도시 계획적 합의에 관하여 연구 [표 1-3] 도시형 소형주택의 선행연구 선행연구를 통해 본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인구 사회구성 변화에 따른 세계적인 1인 가구의 현황과 주거 특성, 국내 주택 시장의 변화 소형가구 증가에 따른 소형주택 시장의 성장 전망, 1-2인 가구의 새로운 주거 유형으로 공유주택을 제안하고 법적 기준을 토대로 공유주택의 계획 기준 제시, 등 1-2인 가구 소형주택의 제도개선과 관련된 공급 활성화 방안 소형주택의 주거형태의 현황 파악 및 가치발견 내용이 주를 이루고 골드세대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10 - 구 분 라이프스타일 정의 중심어 국 외 학 자 Lazer (1963) ①사회 전체 또는 일. 계층의 고유하고 특정한 생활양식 이라고 정의 구체적으로 풀이하자면 라이프스타일은 한 개인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 ②시장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영향을 받는 시스템 적인 개념이며, 생활양식에 의한 계층은 문화나 사회 집단과 개인의 기대와 같이 생활양식, 패턴과 가치관, 구매결정 그리고 소비자의 시장판단 등의 관계를 보이고 있음 생활양식 시스템적인 개념 Levy (1963)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많은 생산자원의 조합 이며, 개개인의 활동이 암시하는 하위 심볼로 합성된 움직이는 커다란 복합양식 복합양식 Duncan (1969) 사회생활에 있어서 하나의 통합원리라는 것을 지적 하고 정확하게 라이프스타일이라 해석 통합원리 Wells & Tigent (1971) 라이프스타일을 AIO (Activities, Interests, Opinion)으로 조직화하였음 AIO Wind & Green (1974) 시간과 돈을 사용하여 살아가는 총체적인 생활방식 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일반적 행동, 특정상품 또는 상표와 관련된 개인, 혹은 집단의 레저와 일, 소비 행동에 대해서 활동, 관심, 태도 등으로 나타내는 가치와 인간성을 근거로 분류함 생활방식 Plummer (1974) 생활양식 유형과 소비자 행동관계를 강조하였으며, 생활측정양식을 개발 생활측정방식 Engel & Blackwell (1982) 사람의 생활 혹은 시간과 돈을 소비하는 유형으로 활동, 관심, 의견의 통합적인 체계를 의미하며,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적 특성으로서 개인의 문화, 사회계급, 주거 집단, 가족 등의 영향을 받아 습득한 것이지만 구체적으로 개인의 가치체계와 개성의 파생물이라고 정의함 소비자 행동 Assael (1983) 어떻게 주어진 시간을 활용하고 주어진 상황 속에서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는가 등에 의해서 결정되어지는 삶의 형태. 삶의 형태 Feldman & Thielbar (1984) ①라이프스타일은 하나의 집단적 현상 ②다양한 생활영역 ③라이프스타일은 생활의 중요 관심사 ④사회학적 관련변수에 따라 달라짐 집단적 현상 생활영역 중요관심사 관련변수 Kotler등 (1997) 사람이 돈과 시간을 소비하는가에 대한 활동 부분, 자신의 환경 내에서 무엇을 중시하는가하는 관심부분, 자신과 주변환경에 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 는가 하는 의견 부분의 측면으로 정의 활동부분 관심부분 의견부분 (2) 라이프스타일 - 11 - 국 내 학 자 이해석 (2000) 개인의 삶을 영위하는데 소비하는 시간과 돈의 사용 패턴이며, 개인의 활동, 흥미, 의견 등에 의해 구체화 되어지는 생활양식 사용패턴 구체화 김영주 (2001). 최근에는 마케팅과 소비자 행동 연구 분야에서 소비 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하여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에 따라 구매행동을 분석함으로써, 기업들이 소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마케 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가 됨 마케팅 소비자 행동연구 마케팅 전략 최유돈 (2001)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므로, 기업의 마케팅 정책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 소비자의 구매행동 박소민, 이주현 (2002)
이를 종합하여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 이트와 골드세대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3장은 프로세스의 체계, 요인, 문제 및 조건을 규정하는 사례 연구단계로, 2장에서 도출한 평가요소 연구와 전문가 집단의 분석연구로 종합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선정한 대상에 대해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 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4장은 골드세대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 5 - 평가지표의 구축을 위한 연구의 구성 시스템을 완성하는 장으로 도시형 소형주택 잠재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 연구하여 평가지표로서의 평가요소를 정량적으로 검증․판별한다. 설문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평가 요 소에 대하여 실내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정성적 검증 판별한다. 5장은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소에 대하여 정량적, 정성적 검증 판별을 기반으로 Interior Coordinate Performance Program (ICPP) 평가지표를 구축한다. 6장은 결론으로 골드세대를 위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활동방향 및 연구를 제안한다. - 6 - 제1장 연구배경 연구목적 연구범위 연구방법 선행연구 고찰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도시형 소형주택의 수요 증가 골드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소 제시 제2장 이론고찰 도시형 소형주택 + 실내코디네이트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 골드세대 라이프스타일 제3장 사례연구 전문가 집단에 의한 분석 매트릭스 작성 사례분석 대상 선정 분석틀에 의한 사례 분석 종합매트릭스 작성 제4장 설문 평가지표 구축 평가지표 판별 설문조사 대상 선정 설문조사 및 분석 통계 골드세대를 위한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소 구축 전문가 집단에 의한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요소 판별 제5장 평가지표 구축 Interior Coordinate Performance Program (ICPP) 평가지표를 구축 제6장 결론 연구의 결과 및 향후 연구 방향 1. 3. 연구 구성도 [표 1-1] 연구 구성도 - 7 - 이론적 고찰을 위한 선행연구이해 국내․외 박사논문 및 학회지 도시형 소형주택 인구구성변화에 따른 도시정책 및 주택정책의 변화 1-2인 가구 소형주택의 제도개선 및 공급활성화방안 1-2인 가구 소형주택의 공간구성특성분석 및 개발방안연구 실내코디네이트 실내코디네이트의 정의 및 구성요소이해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적용 사례 및 판별 라이프스타일 라이프스타일의 정의 및 요인분석 마케팅과 소비자행동연구를 통해 라이프스타일의 유형화형성 가치관, 요구, 규범, 선호도 등을 기반으로 주거가치관 파악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 파악 거주자 우선개념을 중시하는 공간특성분석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 도출 및 선호도를 파악한 주거가치관 형성 1. 4. 선행 연구 고찰 최근 1-2인 가구 증가와 가구원 수의 감소로 국내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도시형 소형주택의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1-2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소형주 택의 제도 개선과 관련된 공급 활성화 방안과 소형주택에 대한 가치를 발견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는, 2000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내․외 박사학위 연구 논문, 관련학회 논문자료, 단행본 등을 중심으로 도시형 소형주택, 일반 라이프스타일, 골드미스와 골드미스 터의 라이프스타일 관련 연구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 1-2] 이론적 고찰을 위한 선행연구 이해 - 8 - [표 1-2] 에서 정리된 국내․외 박사논문 및 학회지 등의 자료들을 조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도시형 소형주택, 일반 라이프스타일,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로 분류하고 이에 맞는 연구목적 및 특성, 연구방법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시형 소형주택은 인구 구성 변화에 따른 도시정책 및 주택정책의 변화를 파악하고 1-2인 가구의 수요자특성 및 개발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소형 주택의 주거가치관을 확립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은 개인과 사회 전반에 걸친 고유한 특정 생활양식으로 라이프스타일의 정의를 내리고 유형화를 통해 사회 구성원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다. 가치관, 요구, 규범, 선호도 등 심리․정신적 기반으로 선행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하고자 하는 주거 가치관까지 파악하는 데 적용하고자 한다.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은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로서, 골드미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 존중 및 거주자 우선 개념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디지털 홈․스마트 홈을 적용한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변형된 주거형태를 적용하고자한다. 여기에는 골드미 스와 골드미스터의 라이프스타일을 연구 분석하여 선호도와 유형화 작업 을 통해 파악된 주거 가치관을 먼저 알아보고자 한다. - 9 - (1) 도시형 소형주택 연구자 연구 제목 연구 내용 변미리 신상영 조권중 2008 서울의 1인 가구 증가와 도시 정책 수요연구 인구 사회구성 변화에 따른 세계적인 1인 가구의 현황과 주거 특성, 1인 가구의 사회문화적 현상과 세대의식 변화 방향, 유형별 도시정책 수요 전망에 관하여 연구, 골드세대 언급. 김문헌 2008 서울시 주거환경 실태와 주택정책 방향 연구 서울시의 인구·가구 구조와 주거 이동의 주요 요인 및 실태를 파악하여 1-2인 소형가구 및 방3개 이하인 소형 전·월세 무주택가구의 주거환경 개선 을 위한 주택정책 마련 방안에 관하여 제시 대한상공회 의소 2009
1.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다원화, 다변화되고 있는 현대사회는 건축과 예술, 예술과 문화의 경계 를 넘어서 한 영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서로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 고 있다. 경제적 고도성장과 문화적 다양화는 우리의 생활습관이나 가족 형태에 현저한 변화를 가져왔다. 주택 품질에 대한 관심은 이른바 친환경주택을 비롯하여 주택의 품질이 나 평면의 진화를 가져왔다. 한편으로는 주거에 대한 수요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주택의 형태 또한 점차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이는 주택 시장에 인구 감소 및 1-2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는 주택규모의 소형화 및 주택유형의 다양성을 요구하고 있다.1)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인구감소 및 도시형 소형가구의 급증은 중대형 주택의 건설 감소로 이어지며 직주근접, 편리성 등을 이유로 수도권으로 1-2인 가구에 집중됨에 따라 도시형 소형주택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소득계층별 주택에 대한 선호도 차이가 극명해 지면서 지역별 차별화, 고급화에 따른 도시형 소형주택 시장의 양극화가 대두하였다. 특히 소득수준 향상과 사는 방법 변화로 1-2인 소형주택 거 주의 요구면적이 증가하였으며, 고급형 소형주택이 등장하는 등 주택시장 의 다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싱글족과 골드미스, 골드미스터 족의 증가에 따른 1-2인 가구 증가와 가구원 수의 감소로 국내 도시형 소 형주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 예상된다. 국내의 인구 구조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도시형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아 1) 이성미, 대중매체를 통해서 본 한국의 아파트 주거 문화특성, 연세대학교 박론, 2004, p. 1. - 2 - 지는 동시에, 수요자들의 소득수준별 차등화에 따라 도시형 소형주택의 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소득수준이 높은 싱글족과 골드미 스, 골드미스터 족 등 1-2인 가구 증가로 자가 소유 비중 증가로 도시형 소형주택 시장이 활성화와 함께 기존 서민중심의 도시형 소형주택에서 벗 어나, 맞춤형 소형주택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즉, 현재까지의 연구들이 도시형 소형주택 가치의 발견이었다면, 앞으로는 도시형 소형주택의 고급 화가 될 것으로 본다. 1인 가구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사회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골드세대인 골드미스, 골드미스터들이다. 주로 역세권 지형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고, 주로 30대 초반에서 40대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 집 단은 오늘날 시장의 주목 대상으로, 도시의 새로운 문화와 가치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강남역 주변, 전문 직종, 화이트 컬러 계층을 중 심으로 1인 가구 집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경제구조를 가졌으며, 동시에 결혼이나 가족,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견지하는 집 단이다.2) 본 논문은 골드세대(골드미스, 골드미스터)를 중심으로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를 찾아내 그들이 원하는 도시형 소형주택의 평가지표 구축을 위한 연구이다. 골드세대가 주택시장의 주요 수요층으로 부상하면서 그들이 원하는 독창 적이고 편리하며 심미적이면서도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할 수 있는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지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형 소형주 택의 실내코디네이트란 공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실용적인 동선확보와 기능성에 맞게 능률적 공간으로 표현하는 작업으로 각 도시형 소형주택의 공간 2) 변미리, 신상영, 조권중, 서울의 1인 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울시정개발 연구원, 2008 - 3 - 구조, 시스템코디네이트 (디지털 시스템코디네이트, 웰빙 시스템코디네이트, 가전 시스템코디네이트), 실내코디네이트 구성요소 (색채 코디네이트, 가구 코디네 이트, 패브릭 코디네이트, 조명 코디네이트, 아트 코디네이트, 소품 코디네이 트) 요소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배치 및 디자인하는 작업이다. 즉 기존의 연 출된 형태와 사용된 요소를 적용하여 재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연출 지표이다.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도시형 소형주택, 내용적 범위는 골드세대를 대상으로 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요소로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지표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는 이론/분석(사례연구, 설문조사)으로 진행된다. ① 사례연구분석 매트릭스는 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 결과에 기반을 두어 현재 건설사인테리어팀, 인테리어회사, 실내코디네이트 회사의 대표이사 또 는 관련분야에서 10-20년 경력의 전문가들과 협의 후 구조화하였다. ② 사례연구는 준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 주상복합에 준하는 도시형 소형주택으로 전용면적 84㎡ 이하의 국내․외 도시권 지역의 2011 년 8월까지 분양된 모델하우스나 샘플하우스의 도시형 소형주택 유니트의 구 조별 실내코디네이트 연출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③ 설문연구 대상은 골드세대 중 도시형 소형주택의 수요자인 골드세대 (골 - 4 - 드미스, 골드미스터)로 범위를 한정한다. ④ 설문연구는 국내의 도시권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도시형 소형주택에 관심이 있는 30-40대 골드세대 (골드미스, 골드미스터) 104명을 대상으로 실 시하여 분석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골드세대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도시형 소형주택의 평가 지표 구축을 목적으로 각 장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 제시하였다. 1장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2장은 도시형 소형주택과 실내코디네이트의 이론적 개념과 유형 및 요소를 정리하여 도시형 소형주택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지표 제시를 위한 평가요소 를 추출한다.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골드세대 개념을 정립하고 골드세 대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한다.
따라서 정신적인 것을 포함한 대상,객체라는 뜻을 품고 있다.예 를 들어 ‘몽타주’,‘초현실주의의 콜라주’등과 같다.이러한 충돌들에 대응하는 파 편적인 조각이므로 ‘부분대상’이라 불린다. 인간은 공간에 설치된 오브제를 보고 시각적 형태에 대한 반응으로 그에 대한 심상을 가지게 된다.공간의 텍스트적 요소로서의 오브제는 공간에 놓여져서 그 것을 체험하는 인간의 잠재의식이나 정신작용을 강하게 일으키는 특정한 물체를 의미한다. 나.물성표현 시대에 변화에 따른 영역의 수평적 확장과 경계의 모호성으로 현재의 오브제 는 실내공간에 풍부한 어휘를 제공하는 요소로서 사용되고 있다.현대에 이르러 실내디자인의 특성 중 하나는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재료의 부각으로,공간의 배경 이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 요소로 대두되면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공간적 패러다 임을 표현하고,동시에 이미지를 창출하는 도구로 재료의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통하여 재료가 새로운 공간창출 표현매체가 되고,디자인의 차별성의 주요한 요소 가 되었다.재료와 요소의 부분 충돌로 공간에서 파편적인 부분대상이 되어 소비 이미지,상품의 이미지를 전달해 주고 있다.90년대 초부터 미니멀리즘의 절제된 경향을 띠며 물성과 공간성을 구체적으로 표현으로 발전해 왔다. 이미지란 어떤 특정의 사물이나 사항에 대해 가지는 기억,이상 및 태도 등의 총체로서 특정의 사물이나 사항에 대해 특정의 감정을 가지게 되는 영상이다.
이는 재료의 표현이 공간이나 상품의 이미지를 위하여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 하게 표현함으로서 공간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때문이다.이는 실내디자인의 구성 요소로서 오브제가 표현수단의 확장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브제와 마주하는 그 행위 자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는 공간 사용자와 대화적 매체로 정보전달을 위한 시각적 매체라고 할 수 있다.사회의 다 양성으로 인하여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료의 표현성은 상업적 영역은 물론 브랜드 이미지로 연결시킨 것이다.마치 ‘몽타주’,‘초현실주의 콜라주’등과 같이 파편적 인 조각이 되어 정보전달의 매체로서 공간에서 물성의 역할은 사회의 다변화에 따라 소비자 인식 변화를 반영한다.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모든 정보들을 통합하 여 몇 개의 두드러진 특징을 단순화 시켜 구조적으로 파악하려는 능동적인 과정 인 시각적 산물이라 하겠다. 다.공간표현 르 꼬르비제는 관찰자의 정서적 반응인 형태와 색채를 개념화 한 후 감각체험, 문화적 체험 등의 감각적 작용을 일으키는 오브제와 오브제 사이의 관계에 적용 하여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진보하는 속성을 말했다.그의 오브제이론은 외․내부 에서 시각적 조형이 강조되고 개념적으로 구조에 얽매이지 않으며,공간에 대한 표현이 신체의 움직임에 근거를 두고,새로운 공감창출 표현매체가 되어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서 공간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다.이는 오브제가 표현수단의 확장으 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오브제와 마주하는 그 행위 자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그의 공간표현은 그 자신의 의식과 개념을 개입하면서 관찰자에게 건축 물이 구축되는 구현의 대상으로서 감각과 욕구가 유발되어지는 정신적인 과정과 같은 심리적인 영향을 만들었다.멜로 폰티(Merleau Ponty)39)가 말했듯이 르 꼬르 비제의 공간은 물건이 배치된 실체적 또는 논리적 배경이 아니라 그곳에 오브제 가 놓일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관찰자에게 공간을 소유하게 하는 것이며,공간 을 향하여 관찰자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이것은 관찰자에게는 공간에 대한 즐 거움을 주고 관찰자의 신체 위에 공간에 직접적인 힘을 주는 것이다.이는 신체의 움직임에 근거를 둔 것으로 신체에 대한 세 가지 축으로 위·아래,앞·뒤,왼쪽·오 른쪽 구분과 중력의 구조의 수직적인 차원과 수평적으로 구분이 가능하고 또한, 우리의 활동구조인 붙잡고,앉고,걷고,손으로 만지고 보고,듣고,냄새 맡는 것 등으로 기본요소인 공간,물체,빛 등을 이용하여 상품의 시각적 인지를 공간에 부여함으로서 이미지를 공간으로 표현하고 있다.
3.종합논의
①몽타쥬,콜라주 기법 객체와 객체의 결합(동양과 서양,양식과 반양식 등)이며 단순한 결합이 아 닌 시각적,극적요소 등을 목적으로 하는 표현기법이다. ②구조체로 표현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몇 개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단순화시켜 구조적으로 파악하려는 표현기법으로 특징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여 사용한다. ③크기표현 및 인지교란 신체의 움직임에 근거를 두어 시각적인 인지를 공간에 부여함으로서 신체크 기,방향,각도 등의 요소를 자극해서 대상에 대한 성질 보다는 공간을 새롭 게 인지하도록 하는 표현기법이다. ④재료,기술 재료와 기술이 하나의 모습으로 읽혀져 공간의 가능성을 확장해 주고 새로 운 방법적 틀을 제공하는 표현기법이다. ⑤상징적표현 시각적으로 강조되고 배경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눈에 파악되는 볼 륨이다. ⑥지각조건의 변화 실제로 관찰자의 개인적인 체험에서 유발되는 심리적 기억 현상을 확대시키 는 표현기법으로 문화적 은유,풍자,이중부호,아이러니 등의 직관적이고 감 성위주의 표현기법이다. ⑦소리,빛 오브제가 시각,청각,촉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대상 으로서의 정신적인 것을 포함한 표현기법이다. ⑧유닛의 반복표현 감성표현에 대한 절제된 표현으로 비개성적인 표현기법을 말한다.즉,오브 제의 성격이 아니라 기본단위의 반복을 통해서 부분이 아닌 전체성을 표현 한다.
3.2.시대별로 본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표현특성 3.2.1.1960년 이전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20세기를 넘어가는 전환기에 대중들에게 결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이러한 변 화의 주된 동력은 공업기술이었는데,건축가들과 디자이너들은 모험심 보다는 심 중으로 고딕복고주의,신고전주의와 겨루었다.현대디자인의 탄생은 이러한 풍조 의 저항을 의미한다.북유럽에서 유겐트스틸로 알려진 아루노보는 과거의 단절을 표방한 최초의 운동이었다.아루누보는 여전히 전 세계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던 까닭에 하나의 과도기적인 운동이지만 주철(鑄鐵)및 연철(鉛鐵)그리고 알루미늄 과 유리판 등과 같은 새로운 소재의 가능성 및 구조와 장식을 보다 밀접하게 결 합한 실내에 적용된 오브제는 재료의 산물이요,기호와 상징의 의미 있는 구성요 소로 간주 되었다.1939년 2차대전 이후에 현대디자인 운동은 다양하게 발전 되면 서 유럽,미국,일본 등은 현대디자인을 자신들의 진보적인 경제문화를 보여주기 위해 박람회,디자인경연대회 조직 등을 통해 홍보하기 위한 진열장으로 사용했 다.그 결과 전후의 현대디자인은 민족주의의 다양성을 대표하였다.전 세계의 소 비자들은 자신의 집에 개인적인 열망을 표현하고자 했다.전후의 디자인과 관련된 오브제들이 인체와 자연에서 유추된 추상적인 형태를 가지기도 하고,또한 기계적 인 것을 버리거나,과학기술적 품질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경향이 점점 더 커 져갔다.디자이너들은 새로운 스타일을 물질적 오브제에 부여하는 일과 근본적인 원칙이 아니라 오브제의 목적을 중시했다.현대적 스타일의 대량소비와 디자이너 에게 열려 있는 과학기술의 가능성 그리고 시장의 국제화 등의 요인이 20세기 말 중요한 문화세력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엘 리시츠키는 회화와 건축의 결합이라고 묘사한 이 실내 디자인은 포토 몽타쥬 기법을 혼합한 단순하지만 강한 색상이 한데 어울려져 사 람의 눈을 끄는 강한 효과를 창조하고 있다.벽면에 설치된 기하학을 통해 운동 감,역동성이 생겼으며,2차원 구성에서는 살려내지 못한 부분이었다.이는 회화와 건축의 중간 영역에서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변화하는 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중첩을 통한 평면성구현이라는 회화적 구성개념을 입체적 공간적 상황으로 전환 시킨 것이다.벽면의 면들과 강한색채는 다각도의 관찰을 요구하는 역동적구조로 신체참여를 유발시켜 시공간적 상호작용을 강화시키고자 한 의도이다. 카를로 몰리노는 유선형 초현실주의로 묘사되는 스타일이 다.오브제를 신중히 병렬시킨 것이 특징으로 실내디자인은 기묘하면서도 환상적 이다.천정에 고정한 곡선트랙을 따라 움직이게 만든 조명등이 강한 인상을 준다. 월터 도윈 티그는 대량생산된 소비품을 실내디자인에 사용한 그는 황동조명기구,초록색 카펫,황갈색 벽면 등을 접목시 켜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었다.전시관은 구불거리는 길이 반마일이나 펼쳐지고 방 문객들은 포드 자동차를 타고 시험운전을 할 수 있었으며,설치된 높고 움직이는 의자에 앉아서 모형을 파노라마로 즐길 수 있었다.이 전시회의 업적은 기업의 영 향력을 알려주는 도구로 실내디자인을 마케팅 도구로 이용했다는 것이다. 아킬레와 지아코모 카스틸리오니새롭고 강경한 유럽의 아방가르드의 장이었다.조 콜롬보모든 좌석에 안경걸이,이어폰,재떨이를 비치한 혁신적인 작업과 발전된 기술이 적용 되었다.
3.2.2.1960년 이후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1960년에 이르러 디자인은 현대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젊은 소비시장 의 출현과 재미와 일상을 강조하는 풍조는 건축과 디자인의 토대가 되었던 합리 성과 보편적 인식을 크게 흔들어 놓은 계기가 되었으며,소수의 디자이너들이 디 자인을 공공연하게 대중적 상상력과 대량소비시장요구에 근거를 둔 대중문화가 주도 하도록 했다.1970년에 접어들면서 20세기의 마지막 30년 동안에는 다원화 될 것이라는 생각이 틈새시장(nichemarkets)을 초래 했다.디자이너는 자신의 경 험과 직관에 의해 창조적인 사고의 진행과정을 거쳐 형태 도출에 이르게 되고 보 는 이는 이러한 시각적 형태에 반응,정신적 작용,즉,심상을 일으키는 물체가 오 브제이며 오브제 경향,공간 장치,구조물 들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디자이 너들은 근본적인 원칙이 아니라 오브제의 목적이 중요하다는 것을 지각하게 되었 고 시장의 국제화 요인으로 인해 자본주의 경제체계 속으로 통합되었으며 이시대 의 문화세력 중의 하나였다. 1960년대 이후부터 나타나는 실내디자인 경향들은 디자인사고 변천에 주목하 며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각 표현특성들을 연결시켜 일반성을 고찰하였다. 건축의 산업화에 있어서 주관적,기하학적인 규격화의 반복,기존 이미지의 채 택,미술품과 오브제 사이의 애매한 구별 그리고 사물성의 부각 등은 단순한 상자 형 벽체와 극도의 명료성과 유사성을 현대미술에서도 복합적으로 나타났으며,건 축에서 제3의 기계미학인 하이테크 이미지는 건축의 특성인 설비의 노출과 구조 나 재료의 노출에서 찾을 수 있다.이후 역사적 인용과 혼성적 모방을 통한 절충 적 경향을 나타는데 현재성의 병존,대중적인 기호,다양한 욕구,시각적,심미적 만족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에서 비롯된다.플라스틱을 싸구려 소재에서 세 련된 소재로 변모시킨,시대를 초월한 디자인 오브제들은 디자인 문제의 해결방안 을 제공하는 단순하지만 기발한 개념들이었다.조 콜롬보일체형 가구 설비세트는 대량생산된 가구에 새로운 소재와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다.
에로 샤이넨의 은 비행 모습 등을 연상 시키는 실 내디자인이다.인체에서 유추되어진 경우는 신체 일부분 또는 전체모습 자체를 직 설적으로 표현하거나,간접적으로 인체의 구성 형식을 빌려 공간에 표현되었다.
조지 넬슨의 소파 는 실내에 색과 위트가 있는 표현이 풍부해진 공 간을 만들었다.소파와 같은 일상적인 가구들은 관습이나 전통적인 요소들이 그 유추 대상이 되는데 이러한 오브제는 대부분 시대적인 사회상을 반영하는 경우로 직설적인 것과 암시적인 오브제의 표현특성이다.이러한 유추는 물체가 지니는 외 적인 형태가 그 소재가 되며,사실적이기 보다는 단순화된 형상을 지닌 것이 주된 개념적 표현 요소가 된다.베르네르 판톤의 은 60년대 유행 했던 우주시대를 모티브로 가구와 조명으로 이루어진 실내디자인으로 판톤과 제 조사의 합작이다. 전혀 엉뚱한 물체끼리 조합시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연상적,상징적 효과를 만들었다.포스트모더니즘은 제조사와 디자이너에게 보다 중대한 사회적 요구를 했다.디자이너 시대라고 불렸던 1980년대는 20세기 말 대량시장 맥락 속에서 디 자이너는 남과 다르기를 원하는 소비자에게 제품의뢰를 받아 그 제품이 곧바로 우상의 지위를 획득하였다.또한 미술관들은 디자이너에게 공적인 모습을 부여했 다.그 영향으로 디자인 개념을 광고나 마케팅과 밀접하게 연계시키는 결과를 낳 았다.현대에 이르러 미술작품과 실내디자인이 상징하고자하는 공통의 가치체계인 공간을 형성하는 요소로서 오브제의 재료는 다양한 양상으로 표현하는데 공간형 성에 영향을 주는 특성에 따라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추상적인 이미지는 눈에 보이는 형태가 아니라 작가 개인의 떠오르는 심상에 의존하는 것으로 기하학적 오브제와 단순추상의 오브제로,기하학적 오브제는 공 간에 조형의 기본 요소들을 도입함으로서 단순미와 반복을 통한 공간의 리듬감, 통일감을 얻는 것이다.소매점 쇼윈도우 디자인 역시 새롭고 도발적이며 장난스러 운 분위기를 반영 했다.막스 클렌데닝의 쇼윈도우는 충격 적인 소모성과 순간성을 주고 있다.1970년대 말에 이르러 소모적이고 순간적인 디자인이 성숙해 졌고,강압적인 보수성향을 제거하고 새로운 활력을 주도 했다. 스탁의 는 극적이고 환상적인 실내디자인으로 이름을 알렸 다.스탁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대상이 갖는 성질에 집중해서 오브제가 공간에 놓일 때 특정행위를 유발하고 개인의 심리적인 체험을 발생 시켰다.그가 만들어내는 대부분의 공간에서 초현실주의 화가인 살바도르 달리나,안토니오 가 우디를 연상시키는 생물체에서 유추한 듯한 오브제를 설 치하여 환상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론 아라드의 카 페의 실내는 자궁을 모티브로 곡면 으로 처리된 벽과 천정 채광에서 나오는 미묘한 조명으 로 이루어졌다.친숙함,관습적인 것을 역이용해서 공간 안에 전혀 예상치 못한 오브제로 실내공간이 부각 되었 다.실내디자인에 나타난 론 아라드의 오브제는 표현방 식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공간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추상의 이미지는 마음속의 심상을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것으로 필립스탁 과 론 아라드의 레스토랑에서 보듯이 비구상적이거나 유기적인 형태를 지닌다. 실내공간에 들어선 관찰자는 시각적 형태에 대한 반응으로 그에 대한 심상을 가지게 된다.공간에 놓여진 그것을 체험하는 인간의 잠재의식이나 정신적인 작용 을 강하게 일으키는 특징을 공간구성요소로 사용한 것이다.
3.2.3.종합논의
①강한색채 강한 색상은 눈을 끄는 강한 효과를 준다.작가의 회화적 구성 개념이 색채 를 입체적,공간적으로 전환시키는 1차적 표현기법이다. ②유기적 곡선 곡선의 면들은 다각도의 관찰을 요구하는 역동적 구조로 신체참여를 유발시 켜 시공간적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표현기법이다. ③산업생산물 예술과 관련 없는 물건이로 한 부분을 본래의 일상적인 용도에서 떼어내어 보는 사람에게 잠재된 기억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를 말 한다. ④유희적 강렬한 형태 잘 알려진 오브제를 공간과 시간을 초월해 병치함으로서 느껴지는 유머의 표현기법이다. ⑤새로운 재료,기술 하이테크기술과 이미지에 영향을 받은 개념으로 놀라운 기술발전을 표현하 는 표현기법의 하나이다. ⑥생물체 형상화 특정 생물,무생물 등의 형체를 형상화하여 그 특정 객체의 성격을 드러내고 자하는 표현기법이다. ⑦특정한 행위 유발 신체 움직임에 근거를 둔 중력의 구조와 수직과 수평의 차원에서 인체의 기 본요소인 공간,물체,빛 등을 이용하여 시지각적인 인지를 공간에 부여함으 로서 이미지를 공간에 표현하는 기법이다. ⑧상징과 은유 단편화,고정화,추상화로 본질과는 다른 형상의 의미로 전환되면서 생경하 고 새로운 관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환상과 유희를 주는 표현기법이다. ⑨시각적 환영 오브제의 대상을 지역,역사 등을 간접적으로 작가의 주관적인 사이에서 관 찰자의 감수성을 자극시키는 표현기법이다. ⑩실험적 형태 낯선 오브제와의 조합이나 오브제의 본성과 이미지를 비현실적인 배치로 새 롭게 재구성하는 표현기법이다.
3.3.실내디자인사에 나타난 오브제의 공간구성 표현특성 폴 발레리(PaulValery)는 현대사회의 특성을 ‘복수화’로 규정짓고 ‘동등한 개인 들의 상호간에도 성립하고 적용함’으로 규정하고 있다.40) 모더니즘의 실내디자인 에서 기능성이란 실내의 물리적·물성적 관계의 해결을 의미하지만 실내디자인은 작가와 시대정신을 의미하는 복합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사 고는 근대적 합리성을 재해석하여 사회와 시대정신에 맞게 수정하려는 경향과 근 대적 합리성을 탈피하여 맥락주의적인 경향,근대적 합리성을 해체하려는 경향으 로 나타난다.41)통일된 담론으로 표현특성을 해석할 수 없는 실내디자인의 경향을 작가들의 디자인 개념과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1.탈구축적 자유 공간구성 모더니즘에서 실내디자인은 ‘서열’을 중심으로 한 공간의 위계가 존재하며 중 심과 주변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전후,좌우가 결정되는 논리적 배열공간이었다. 그러나 현대 실내디자인의 일부 작가들의 작품에서는 공간구성의 특징이 다양한 양상으로 표현되고 있다.독일 표현주의의 환상적 공간,러시아 구성주의의 비정 형적이면서 역동적인 공간,가우디를 중심으로 정형적 공간에서 탈피한 곡선적 공 간 등 공간구성의 특징들이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 했다. 리차드 로저스(Richard Rogers)의 는 실내공간이 실내의 파 티션뿐만 아니라 외벽,지붕,주요구조프레임과 연속적인 구조 체들도 해체되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모든 설비와 장비는 외벽이 담당하게 했다.구조체가 장식이 된 구조로 형태표현의 수단이 되었다.이러한 퐁피두센터의 연상은 1950년 과학기술 의 극적인 활용단계 초월하여,심미적 가능성에 주력하고 있으며,구조체가 상징 이 되는 심미성을 실현했다. 프랑크 게리(FrankGharry)는 에서 가능 한 많은 조각 난 부분을 만들기 위하여 완전한 형태를 던져 파열시키는 방법으로 얻어낸 조각 난 불규칙한 파편들을 사용하거나,기존 건물들을 해체시켜 전체를 부분파편으로 구성,미완성인 채로 옛것과 새것을 공존시켜 ‘형’과 ‘지’를 판독하기 힘들게 함으 로서 ‘시공 중(underconstruction)’이라는 느낌을 강조하여 멈추지 않는 건축을 표 현하고 있다. 게리하우스의 입면과 천정에 만들어낸 비정형적인 형태는 형태의 왜곡과 탈기 하학 등의 두 형태의 이질적 특성으로 인하여 우연적 풍부함을 가지게 된다.이는 조형적 인 관심에서 벗어나서 병치,중첩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유를 구가하게 된 다.
이들의 실내디자인은 즉흥성,우연성,미완성 상태의 혼성적 표현으로 분열적 이다.디자인의 목표는 ‘일시성’과 ‘우연성’그리고 ‘비의성’을 강조하면서 실내ㆍ실외 형태는 기능성과 관계없는 ‘자유방임(laisser-faire)'을 택하 고 있는 것이다.
2.환상적 복수 공간구성 한스 홀라인(HansHollein)의 실내디자인은 ‘의미의 내용물로 가득 찬 환영을 만드는 일로 인습과 기억,경험에 의해 의미를 전달하는 건축 은유적 접근을 시도 하고 있다.대표적인 예로서,그의실내의 종려나무는 여 행자들에게 앞으로 여행에 대한 기대를 유추하기 위해 반역사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반 사실적인 것과 사실적인 것,친숙한 것과 생소한 것,현재성과 과거 성을 동시에 절충시키며,실내디자인을 하고 있다.이러한 은유성은 다시 환영에 환영 을 더하는 ‘이중환상’을 나타낸다.홀라인의 실내디자인의 특성은 부분적이기보다 는 종합적으로 지향될 때에 보다 강력한 환상을 부여 받게 된다.함석과 황동으로 만든 열대 종려나무숲,벽면에 계속되는 피라미드대리석,석고로 만든 기둥 속의 기둥,하얀 네온사인으로 장식한 무대,붉은색,브라운색,노란색의 오스트리아 국 기,금빛 천정과 종려나무42)쉼터,둥근 천정의 금빛 별,옅은 구름이 깔린 푸른 하늘과 독수리 쌍 등은 관찰자의 시선 이동을 통해 이중환상을 나타낸다.여행사 실내디자인 의도를 그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건축은 문화적이다.그것은 표지이고,기호이며,상징이고 표현이다....(나는)의 미로 소통하고 연상을 드러내기 위하여 의도된 장치로서 오브제를 묘사하였다”.43) 찰스 무어(CharlesMoore)는 건축이 성취하여야 하는 요구에 대해 ‘꿈에 대한 요구’의 실천을 말하며,그의에서 ‘닫집’은 ‘집속의 집’으로 낯설 고 평범하지 않은 디자인 요소를 이입시켜 원초적으로 지각되는 장소성을 실현하 는 동시에 내적 가치와 감성들을 이끌어 내었다.꿈의 요구인 ‘닫집’은 그의 실내 표현의 매개체로 은유적,공상적 공간이 기능성 보다 우선됨을 표현하고 있다. 실내디자인의 일차적 목적은 영역성의 창조이며,디자이너의 역할은 거주자가 장소의 이미지를 체험할 수 있도록 자극을 한정시키는 것이다.44) 무어는 이 공간에 ‘의식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서 공간의 느낌을 강조한다.닫집 내의 천개(aedicule)는 기능성 보다는 우주의 중심이라는 은유적·공상적 방법이다. 사용자는 닫집이라는 형태로서 경험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홀라인과 무어의 실내디자인은 은유가 강해지면 공간소통에 있어서 극적인 내 용이 강해지고,은유가 약해지면 신비성이 더욱 늘어나 이중적 또는 다중적 표현 인 복수적 표현이 되어졌다.(이춘섭,2004)이들의 실내디자인의 환영성에는 전통 적인 재현의 수단인 장식이 등장하여 절대적 진리가 사라진 공간에 꿈의 속성을 표현,이윽고 리얼리티와 환영 사이의 구별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그리고 그것은 필연적으로 부단한 유희와 실험을 초래했다.
3.상징적 기호 공간구성 마이클 그레이브스(MichaelGraves)실내의 계단은 나무를,천정은 구름을,프 레임(frame)의 살구색은 인간의 피부를 표현하고 이들 전체는 자연을 은유한다. 실내의 요소들을 의미체(기호)로 사용하면서 그레이브스는 역사적인 주제를 실내 에 풍부하게 적용시키고 있다.또한,그의 비 관습적 재료의 사용은 관찰자에게 의외성을 주는 동시에 꿈,추억 등을 구성한다.이는 공간에서 관찰자의 경험은 사라지고 인지의 모호성이 콜라주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의 실내디자인에서의 색체와 곡면의 사용은 공간과 공간의 구별을 위한 것이며 공간 과 볼륨의 명확한 구분을 없애므로 그의 실내디자인은 이중적 함축성을 지니게 된다. “나는 정면성(frontality)으로 사물을 본다.나는 투시도를 그리거나 화가들 같 이 이를 평면화 시킨다.나는 공간의 연속성을 정면에서 발견한다.”45) 프린스톤 자택은 고전적 절충주의의 방법을 택하여 맥락성을 유지하려고 하였 다.실내디자인에 기하형의 주초,플루트가 있는 벽기둥,단대공,원추,원주,삼각 면 같은 전통요소들을 역사적 해석에 집착하지 않고 해체시켜 재구성하고 있다. 그는 실내기둥에 플루트의 효과를 내기 위해 푸른색의 둥근타일로 이 효과를 재 창조 했으며,주두에는 대리석 대신에 종석을 사용하고 있다.입면에서는 하이 르 네상스식의 거칠게 마감한 종석을 마감 재료로 사용하여 시각적·감성적 접근으로 실내디자인을 풍부하게 하며 맥락성을 유지하고 있다.그가 사용한 비역사적 적용 은 역사적 은유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며,이는 사용자에게 고전적 모티브를 사 용함으로 감성적 실내를 이루고 비관습적인 재료를 사용함으로 의외성을 주는 시 각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 로버트 벤츄리(RobertVenturi)는 ‘라스베가스의 교훈’에서 대중과 의사 전달이 가능한 상징과 기호를 통해 대중성과 일상성을 강조한다.벤츄리의 기호적 형태구 성의 태도는 팝아트의 개념으로써 일상적인 것들을 기념비적 의미를 가지는 표식, 상징으로 등으로 사용,실내디자인에 표현하고 있다.,에 사용된 문자는 객관성과 일반성을 넘어 형의 상징을 통한 기호 적 속성을 가진다. 길드하우스에서 창은 예외적으로 크기 때문에 전체가 주는 효과는 보통과는 다르다.극히 평범한 것을 사용하면서 그 스케일을 바꿈으로 긴장감을 촉발시켜, 파사드는 일상적으로도 보이고 그렇지 않게도 보인다.46) 길드하우스에 나타난 시각효과를 통한 파사드 하부의 흰색타일 치장,역사성이 있는 아치형의 적용 등은 관찰자로 하여금 의미전달체가 된다.외부는 내부에 의 해 결정되는 것은 그에게 있어 흥미를 반감시키는 낡은 주장이라고 생각한 것이 다.의미전달을 위한 ‘사인’은 ‘기념성’을 갖는다.상업용 광고물 같은 ‘길드하우스’ 라는 이름인 기호,문자를 병치하여 노인의 집 그리고 주변 환경에서 강한 독립성 을 가진다.
모리스는 삼차원적 오브제와 관찰자 사이에 형성되는 심상 적 운동생성(내부에서 편심을 일으킴)의 시간오브제이다.모리스는 물건을 조각과 구분하는 것은 작가의 결정과 오브제가 놓인 문맥이며 또한,관찰자가 작품의 미 완성에 기여하고,의미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지니게 되는 상황을 강조 하였으며 그는 내부공간에 작품을 공간화 하여 의미를 끄집어냈다.모리스는 ‘부분으로 분 리’되는 것과 형태와는 상반되는 ‘전체성이 지배하는’형태의 가치를 옹호 했다.이 는 사물-공간-관람자의 삼각관계에 대한 모리스의 논의를 뒷받침 한다.도널드 져 드27)사슬처럼 패턴화와 반복적으로 배치된,기본단위의 반복을 통해서 사 물(오브제)이 부분이 아닌 전체성을 획득한 것이다.하나의 전체로서 사물의 특질 을 흥미롭게 한 것이다.
3.맴피스 그룹의 오브제 1981년 결성하여 1988년에 해체된 ‘맴피스 그룹’은 캔디색상(candycolor),오브 제적 장신구,동물형상의 유리와 도자제품 등 하나의 제품을 개성있는 사물 (object)로 변화 시켰다.당시 값싸고 저속한 취급되어진 인조 합성 재료들을 개성 있게 표현 하였다.맴피스 그룹이 생산한 오브제 가구는 그 기능과 용도의 목적이 분명하지도 않고,당시 대중들의 취향으로부터 어긋나게 보였지만 소수의 수집가 들로부터 20세기 후반 문화의 상징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그 후 맴피스 그룹은 모 더니즘디자인 사상에 반하는 포스트모던을 상징하게 되었으며,가구뿐만 아니라 제품과 텍스타일,건축 등 디자인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획득하 였다.즉물적 오브제의 미학적 개념을 확대 수용함으로서 직관적이고 감성위주의 제작태도를 가진 디자이너와 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물질 중심표현을 교류시 키며 제품 -광고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가능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 영역이 확장을 이루게 되었다.맴피스의 리더인 소사스(EttorreSottsass)는 인조 합 성재료를 사용하면서 ‘제품제작에 소요되는 (물질적)재료들은 제품의 디자인에 포 함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과 함께하는 요소’라고 말하였다.재료를 선택하고 그 의 따른 기법을 생각하여 디자인을 결정하던 기존의 제작 프로세스 위주의 디자 인 사고를 ,자유로운 디자인,색상,재료를 동일한 요소로 결부시켜 동시 수용함 으로서 더욱 뚜렷한 조형적 표현을 강조한 것이다.
4.모더니즘 이후의 오브제 1960년대 이후 현대디자인에 수용된 오브제의 조형적 성향은 모든 재료의 물 리적 속성과 형태의 주제에 의해서 전환되어지는 추상의 객체변환 과정과 유사한 외형을 추구함으로서 과거의 전통적 디자인 방식에서 벗어나 오브제의 표현방식 은 매우 포괄적인 메시지를 내포하기도 하였다.미의 본질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관심의 발언의 도구로서 오브제 양식 을 차용해 나갔다.1980년대 초 미술은 자신의 이율배반적인 형태로서의 1970년대 의 예술경향과 대립하고 나섰다.냉담함과 정체성으로 특징 지워지는 미니멀아트 와 개념예술에 대립하는 주관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으로 자연의 형태,상상력,드 로잉,전통적인 양식의 복귀(회화,조각)에 대한 관심이다.추한 것을 그릴 자유, 솜씨의 소홀함,잡다한 재료의 사용,문화와 사회에서의 가장 저속한 생산물의 차 용 등은 프랑스와 브와롱의 작품은 일종의 영화화면 같이 풍부한 이 미지 구축을 하는 작품 안에는 오락기구,형상화된 친구나 전체적인 기억의 편린 들이 모아진 콜라주로 모든 것이 문화에 순종하게 되는 문화적 혼선의 모습을 가 장 명백하게 재현한 작가이다.28)형식적인 의미에 있지 않고 작가의 현재의 문화 의 의미를 담은 것이다.장 미쉘 바스키아는 문화의 이국주의 및 외곽지대 안에서 낙서(graffitti)를 취한다.가장 일상적인 벤치 위에,감옥의 독방 안에 표현을 함으 로서 삶에 있어서 기쁘고 슬펐던 친밀한 순간을 담아낸 작가이다. 조르쥬 루스29)는 폐허가 된 정류장 현장에 회화적인 기록을 함으 로서 형태를 왜곡하고,거리감을 강조함으로서 기념비적인 상징성 있는 작업을 했 다.이들의 작품은 모든 공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것이다.이들의 작품에서는 시대 적 분위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료함이 보여 진다.문화를 형상화 하면서 그것에 기능 자체를 조건 짓는다.현재의 문화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 내는 모든 것을 받 아들이고자 한 것이다.이는 동양과 서양의 절충적 대안으로 문화가 정보를 제공 할 때 의미는 일치하지만 그것을 반사하면 의미가 다양해지기 때문이다.
①탈영역화 일상적인 환경과 장소에서 떨어져 본래의 목적성과 기능 보다는,단순히 사 물 그 자체의 무의미함이 남게 되는데 이때 사물이 놓여진 위치와 그 자체 가 갖고 있는 의미가 동시에 인간 내부에 강렬한 이미지를 주면서 일상용품 이 주는 새로운 조형성이 드러나는 오브제의 표현기법의 하나이다. ②위계 및 경계의 해체 실제의 대상과 묘사된 것 사이에 존재하는 성질로부터 분리시키면,그 존재 사이에 모호함(전혀 다른 성질)을 표현할 수 있는 표현기법이다. ③의미의 다중성 오브제의 비합리적인 조합이나 변형적인 표현으로 강렬한 느낌을 줄 수 있 으며,표현에 있어 비합리적인 극치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어 오브제의 본질과 는 다른 현상을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이다. ④재료의 혼성 일상적인 이미지들은 경험적인 의미의 소재가 많은데 경험적인 이미지와 재 료는 인간의 의식 속에 확고한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료의 혼성은 이미지를 전환시킴으로서 관찰자는 더 많은 자극을 받게 되는 표현기법이다. ⑤시각적인 독립체 오브제 자체가 움직이거나 또는 조각의 형태를 취하고 있거나 차별하기 위 해 오브제를 공간적인 요소를 끌어들여 예술성과 가치의 상승을 유도하는 표현기법이다. ⑥유희성 풍자 또는 대중적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그 시대의 거울역할을 하는 표현기 법을 말한다. ⑦과장 시각적인 요소에 이질적인 요소가 도입되면서 충분히 인지되었던 대상이 이 질적인 요소로 인하여 환상을 심어주는 표현기법이다. ⑧질감의 확장성 관찰자의 사물에 대한 인식 중 재료의 이상적인 표현은 재료의 외관을 통해 미와 의미를 획득한다.재료는 표현적인 욕구를 추구하면서 재료에 의한 표 현가치를 확장시키고 있다. ⑨스케일의 변형 일상용품의 스케일 파괴는 그 자체만으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혹은 충 격이 작품의 의도로 많이 사용되는 표현기법이다. ⑩심상적 운동의 생성 같은 종류의 오브제가 반복이 되어 그 의미가 강조되고 객체와 다량의 객체 에서 오는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오는 오브제와 관찰자의 관계에서 생성되 는 심상에 대한 표현기법이다. ⑪패턴화 반복 예술적 의지를 버리고 제작의 아이디어나 과정,재료와 기술의 반복으로 인 한 관찰자를 참여시키려는 의도로 표현된 기법이다. ⑫풍부한 이미지 구축 재료와 색채 등과 같은 두 개의 결합,지역과 지역의 문화적 병치 또는 중첩 등은 공간을 유머스럽게 하고 극적인 효과를 주며 환상적인 이미지를 부여 한다. ⑬탈구축적 형태구성 사물이나 사실들이 정해진 시간과 일상적인 상황 속에서 벗어났을 때 새로 운 감각으로 환원되어 오브제의 의외성과 실제성을 획득하며 무한한 가능성 을 갖는 효과를 주는 표현기법이다. ⑭기념비적 상징성 공간적인 제약을 뛰어넘어 동서양의 절충적인 대안이나 시대적 분위기를 제 공하고 기록함으로서 형태를 외곡하고 거리감을 강조하여 의미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기법이다.
2.3.미술사조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 미술사에 있어서 오브제의 등장은 새로운 실험,기술,재료 등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미술의 다원화 경향에 따른 파괴적 공간구성은 오브제 공간구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작가는 자신의 경험과 직관에 의해 창조적인 사고의 진행 과 정을 거쳐 형태도출에 이르게 되고 보는 이는 이러한 시각적 형태에 대한 반응, 정신적 작용,즉 심상을 일으키는 물체가 오브제이며 오브제 경향,공간장치,구조 물 들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보는 사람 즉,그 것을 체험하는 사람의 잠재의식이나 정신작용을 강하게 일으 키는 특별한 물체를 의미한다고 정의 할 수 있다.실내에 오브제 경향은 풍부한 의미를 전달해 주고 있다. 오브제 요소를 유추해 내는 대상과 표현방식에 따라 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 요소는 형상을 지닌 물리적 대상(구체화된 형태)과 추상이미지로 이다.구체화된 형태는 생물과 무생물로 나눌 수 있고 이러한 대상은 상기 그림과 같이 유추라는 과정을 통하여 실내의 구성요소들로 표현되어 개념적 측면의 오브제로 상징적 의 미를 담게 된다. 1.다다이즘 오브제의 해방적 공간구성 이젤 위에서 하는 미술에 종지부를 찍고,재료가 갖는 무한성,폐품,기계,영 화,조명,관객 등을 매개로 삼았을 뿐 아니라,작가의 직접적인 행위를 표현매체 로 삼았다.이때 등장한 기성품(ready-made)35)은 다다이스트 중에서 오브제를 적 극 수용했던 작가 중 마르셀 뒤샹은 공업제품인 변기에 제조회사 이름을 서명하 고 작품화한을 통해 레드메이드 오브제를 제시하여 우연에 의한 새로운 예술을 권장하고 전통미학을 거부하는 개념미술의 길을 열었다.뒤샹의 은 처 음부터 사물의 재구성을 거부하기 위한 원소이거나 전적으로 ‘보아왔던 것’이미 지에서 해방되고 동시에 일상적인 것에서 벗어난다.다다이스트들은 자신들이 품 고 있는 감정을 전달하는 수법으로 평면예술을 탈피하여,재기발랄한 표현으로 모 든 규칙에서 해방된 풍부한 표현으로 자유를 추구 하였다. 2.초현실주오브제의 환상적 공간구성 초현실주의 작가에게 오브제는 미술작품 속에서 독특하게 사용되었다.인간이 가진 일반적,현실적인 의식아래에 있는 잠재의식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서 작품 속에 오브제는 다른 현실의 의식이 실체를 넘어 잠재돼 있는 인간내면의 환영까 지 추적해 냄으로서 또 다른 측면에서 오브제의 의미를 새롭게 하였다.마그리트 의 에서 관람자는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그럴듯하게 묘사된 파이프와 대면하게 된다.동시에 그림에 적혀 있는 설명은 이것이 파이프가 아니 라고 부인한다.정상적인 인지(認知)를 의심하고 교란하기 위해 실제와 상상의 경 계를 희미하게 함으로서 분간 가능한 사물들을 교묘히 조작했다. 오펜하임의 도 시간에 기초하여 이야기를 함축하고 있 다.오펜하임의 오브제는 객관적(찾잔)인 것과 주관적(남자의 체모)인 것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는 점이다.외부세계의 어떤 것이 개인의 감수성에 의해 의 미를 부여 받고,주관성은 객관성인 현실성에 혼합된다.대표적 작가 달리는 정확 한 사실주의 양식으로 묘사한 기이하고 환상적인 꿈의 세계를 그림으로 나타내 환상을 실제화 시켰다.그는 이질적인 오브제를 조합함으로서 오는 새로운 충격으 로 오브제를 본래의 자리가 아닌 전혀 엉뚱한 상황 속에 위치시키는 데페이즈망 (depaysoment)의 기법을 통해 감추어진 무의식의 세계를 표출했다.위치가 전환된 오브제가 주는 충격으로 이성의 지배가 아닌 현상세계의 사이의 경계가 소멸되는 통합의 세계로 표출되기를 기대 했던 것이다.초현실주의는 미술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개인과 공공 간,미술가와 관람자간의 구분을 파기하였을 뿐 아니 라 국제적인 영향으로 패션과 광고계 도용되곤 했다.마그리트의 는 비처럼 쏟아져 내리는 중절모 쓴 남자처럼 현대도시가 제공하는 소통의 가능 성과 초현실주의적 현장과 사물을 제시하고 있다. 3.팝아트오브제의 기호적 공간구성 일상적인 것들을 무심하게 드러내거나 페인팅 함으로서 예술에 상업성을 가미 한다.팝아트의 오브제는 작품들에서 두 가지 특성이 있는데,복수성과 유일성으 로 이 두 특성은 팝아트가 본질적으로 항상 결합하고자 하는 것이다.리처드 해밀 턴의 의 냉 소적인 위트는 소비주의에 대한 현실을 반영하고 일시적이고,순간적이고,대중적 이며,싸구려이고,대량생산된 것 등은 사물이 아니라 정지된 사건으로 관람자에 게 순간적으로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팝아트는 대중들에게 직접 파고들었고 미술 품 수집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짐 다인 은 실제 오브제와 그려진 평면을 조합시킨 작품이다.올덴버그는 조각이라기보다 오브제로(거대 빨래집게)그는 언제나 놀라운 크기,재료,질감을 사용하였다.다인과 올덴버그는 정서적인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고,이 카타르시스 가 끝나면 그 목적을 이루는 것이다.즉,사람과 사물을 다루기는 하지만 본질적 으로 추상인 동시에 기호(이미지)인 것이다.이러한 무상성(無想性)을 기꺼이 받아 들임으로서 팝아트는 ‘보여 지는 것’과의 동일화를 초래했다. 4.미니멀리즘 오브제의 전체적 공간구성 미니멀아트에서 오브제는 순수예술은 곧 사물(object)이라는 등식을 극한적으로 성립시켰다.개인의 감성적 표현이 극도로 절제되어 엄격히 비개성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미니멀 작가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사물 그 자체의 문제였다. 그것은 내 앞에 직면한 현상으로서 예술이기 전에 대상(object)그 자체의 본질에 대한 것이다.즉 작품 속에서 오브제의 성격이 아니라 오브제와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이며 오브제 자체의 표현에서 관계로 이동함을 말한다.이는 작품의 물리적 결과보다는 사고와 상태의 과정에 중점을 두려는 경향으로,예술이 어떤 사물로서 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 즉,상황으로 관념,과정,정보가 작품의 핵심이 된 다는 것이다.이는 공간과 시간으로의 오브제 개념의 확장을 이루었다.어느 작품 도 액자에 둘리거나 좌대에 놓이지 않으며,이로 인해 그들의 작품은 관객의 공간 과 분리되지 않았다.모리스의 는 삼차원적 오브제와 관찰자 사 이에 형성되는 오브제이다.모리스는 물건을 조각과 구분하는 것은 미술가의 결정 과 그것이 놓인 문맥이며 또한,관찰자가 작품의 미완성에 기여하고,의미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지니게 되는 상황을 강조하였으며 그는 내부공간에 작품을 공간화 하여 의미를 끄집어냈다.모리스는 ‘부분으로 분리되는’것과 형태와는 상반되는 ‘전체성이 지배하는’형태의 가치를 옹호했다.이는 ‘사물-공간-관람자’의 삼각관계 에 대한 모리스의 논의를 뒷받침한다. 5.모더니즘 이후 오브제의 문화적 공간구성 1980년 초의 미술은 자신의 이율배반적인 형태로서의 1970년대의 예술경향과 대립하고 나섰다.냉담함과 정체성으로 특징 지워지는 미니멀아트와 개념예술에 대립하는 주관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으로 자연의 형태,상상력,드로잉,전통적인 양식 복귀(회화,조각)에 대한 관심이다.추한 것을 그릴 자유,솜씨의 소홀함,잡 다한 재료의 사용,문화와 사회에서의 가장 저속한 생산물의 차용 등은 프랑스와 브와롱의 작품처럼 일종의 영화화면과 같다.작품 안에는 오락기구, 형상화된 친구나 전체적으로 기억의 편린들이 모아진 콜라주로 모든 것이 문화에 순종하게 되는 문화적 혼선의 모습을 가장 명백하게 재현한 작가이다.형식적인 의미에 있지 않고 작가의 현재의 문화의 의미를 담은 것이다.장 미쉘 바스키아는 문화의 이국주의 및 외곽지대 안에서 낙서(Graffitti)의 양식을 취한다.가장 일상적 인 벤치 위에,감옥의 독방 안에 표현을 함으로서 삶에 있어서 기쁘고 슬펐던 친 밀한 순간을 담아낸 작가이다.조르쥬 루스는 폐허가 된 정류장현장 에 회화적인 기록을 함으로서 형태를 왜곡하고,거리감을 강조함으로서 기념비적 인 작업을 했다.이들의 작품은 모든 공간적 제한을 뛰어넘는 것이다.이들의 작 품에서는 시대적 분위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료함이 보여 진다.문화를 형상화하 면서 그것에 기능자체를 조건 짓는다.현재의 문화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내는 모 든 것을 받아들이고자 한 것이다.이는 동양과 서양의 절충적 대안으로 문화가 정 보를 제공할 때 의미는 일치하지만,그것을 반사하면 의미가 다양해지기 때문이 다. 6.종합논의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 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해방적 보아왔던 이미지에서 탈피하고 작가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모든 규칙에서 해방된 표현기법이다. ②환상적 잠재의식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 실제와 상상의 경계를 교묘히 조작하는 표현기법이다. ③기호적 개별성의 강조로 배경과 다른 성향의 오브제를 강조함으로서 맥락과 연관되 지 않는 독자적인 조형성을 구축하여 배경과 물체의 경계를 시각적으로 분 리하는 표현기법이다. ④전체적 기본단위 공간이 반복,증식,중첩 되면서 연속성을 띄는 공간구성이며,연속 적으로 조합함으로서 전체적 공간구성의 표현기법이다. ⑤문화적 시대적 분위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료함이 보여 진다.문화를 형상화 하면 서 동서양의 절충적 대안으로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는 표현기법이다.
2.4.소 결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 기준 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 표현특성 고찰 3.1.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정의 1.르 꼬르비제의 오브제 정의 본 장은 르 꼬르비제가 미술에서 언급한 ‘오브제 타입’36)의 개념에서 출발하고 자 한다.오브제 타입과 그의 주택에 등장한 오브제는 어떤 관계이며,이러한 오 브제들은 어떻게 배열되고 구성되며 건축가인 그의 오브제의 타입을 이해하기 위 해 그의 주택 실내디자인사례들을 정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그가 회화이론에서 정립한 오브제 타입의 건축적 해석을 짚어보고 실내디자인에 놓인 오브제의 표현 특성을 밝혀 본다.1925년 ‘오늘날의 장식예술’에서 그가 관심을 가진 것은 세상 속에 던져진 인위적인 생산품의 의미가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으 로 그는 무의미한 장식을 비판하고,인간의 치수(scale),기능(Function)을 인간의 기능요소(human-needs)들로 규정하였다. 장식을 제거한다는 것은 의자와 장 (cabinet),조명 등과 같은 일상용품과 가구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건축영역에도 적용한 확장된 오브제(human-limbobject)를 말한다.그에 있어 오브제 논의는 근 대성과 함께 새로운 형태이기 이전에 새로운 관조방법인 것이며,근대적 시스템이 통합되는 개념으로서 ‘오브제 타입’을 주창한 것이다.그의 은 오브제의 개념은 건축의 조형요소들이 관찰자에게 주는 정서적 반응,즉,감동 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그 감동을 일으키는 감각에 형태와 색채를 개입하는 개 인적인 것이다.르 꼬르비제의 관심은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그는 감각작용을 일으키는 형태와 색채를 가구에도 적용하고,건축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가구를 신체의 기관으로 연장된 오브제(human-limbobject)로 이해하 는 동시에 건축에 포함되는 장비로서 장식예술과 건축 사이에 괴리를 보안하는 오브제로 해석하고 적용시켰다.그는 실제로 이것을 가구라 부르지 않고 ‘집의 시 설’이라고 불렀다.37)
케네스 프램튼(Kenneth Frampton)은 르 꼬르비제의 시각적 특성에 대하여 레 디-메이드(ready-made)에서 일어나는 의식적 충격처럼,오브제 타입도 미학적 암 시를 한다고 했다.프램튼은 르 꼬르비제가 실내의 구성요소인 ‘오브제 타입’에 대 해 건축물에 포함되는 부차적인 물품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가구(equipment)의 개 념으로 이해하였다.가구(equipment)를 신체의 기관으로 연장된 오브제로 그리고 건축에 포함되는 장비로서 장식예술과 건축 사이를 보안하는 오브제로 해석 하였 다. 르 꼬르비제의 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해체하여 배치가 자유스럽지 않다.이 모두는 오브제의 적용으로 외․내부에서 시각적으로 조형성이 강조되고 개념적으로도 구조에 얽매이지 않았다.콜린 로우(Colin Rowe)와 찰스 젱크스 (CharlesJencks)는38)의 비평에서 사보아 주택의 실내 구성요소들 은 공간에서 중첩되기 보다는 오히려 오브제들이 배경과 대상을 분리시키고 동시 에 공간의 밀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그의 오브제는 공간과 오브제 사이에서 운동을 일으키는 상징을 갖는 것이다.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 타입은 배경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눈에 파악 되는 기능적 볼륨으로,예를 들어 계단을 비롯한 건축적 오브제들은 의도적으로 공간 한 가운데 배치한다.공간 한 가운데 처럼 삽입된 오브제는 스크린 과 같은 배경을 지니는 효과를 갖는데 배경을 갖게 됨에 따라 오브제가 시각적으 로 더욱 도드라지게 되는 것이다.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는 일차적으로 물질적인 색채와 형태를 개념화 하지만, 이차적으로 오브제의 개념과 대상 확장에 영향을 받아 물질적,비물질적인 것,비 가시적인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인간 공간 인지에 영향을 주는 확장된 경향을 보였다.르 꼬르비제 오브제 개념은 관찰자에게 시각적 전달방식으로서 색과 형태 를 가지며,건축적 구조에 얽매이지 않는 배치와 배열,구성과 연출로 장식예술과 건축 사이의 괴리를 보안한 개념이다.그는 오브제를 해석하고 공간에 적용시켜 공간이 배경이 되어 한 눈에 파악되는 변인이 오브제인 것이다. 2.르 꼬르비제의 오브제 소결 초기 미술에서 표현되었던 오브제 타입은 말 그대로 물리적 형태의 오브제를 뜻하는데,실내에 응용된 오브제의 형태는 감성적 형태와 기능을 결합한 형태로 계단실은 요소화 되고 형태화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두 개념의 구조도는 개체로서 형태와 전체로서의 형태에 적용되는 구조도로 물리적인 오브제를 탈피하여 개념적인 오브제로 정의 하면서 표현특성은 일상적 인 공간 속에서 오브제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중요한 근거를 의미한다.
전술한 이론들을 통해 ,의 기본구조 위에 다음과 같이 규정 할 수 있다.과 같이 구조화가 가능하다.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 타입과 미술에서의 오브제 정의를 대입함으로서 실내디 자인에서의 오브제 논의의 추출이 가능하다. 첫째,조형표현은 공간 속에서 관찰자는 환경을 감지한 후에 이를 해석·평가하 는 과정인 환경 인지과정(色·形)과 관찰자의 심리적인 개인경험을 표출해 낼 수 있는 표현방식인 오브제가 조형표현이다. 둘째,물성표현은 생리적 자극을 통하여 자신의 경험과 사상 등으로 환경을 이 해하고(관찰자의 참여의 중요성),정보나 사물(오브제)을 받아들이는 정서적 과정 이 물성표현이다.대상의 본질과 대상에 대한 체험을 말한다. 셋째,사람들은 공간 속에 모든 요소들을 통합하여 한 단위 시스템으로서의 공 간을 지각하는 공간표현이다.대상의 본질,공간의 본질로 지역과 배경을 넘나들 며 경계를 시각적으로 분리하는 표현방식이다. 이상의 세 가지는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 논의를 위한 조건이 되었다. 가.조형표현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공간 속에 관찰자에게 시각적 전달방식이며 장 비로서 공간이 곧 배경이 되어 오브제의 현실적인 모습에서 개인의 심리적인 경 험을 표출해 냄으로서 인간과의 상호관계에 의해 형성되며 모든 조형의 요소가 형성되는 장소인 동시에 공간 그 자체로도 깊고 영원한 시간성을 나타내고 있다. 공간은 조형의 형성과 정신이 일체되는 장소이며,공간의 본질은 그것을 규정짓는 모든 요소의 상호작용이다. 공간에 설치요소를 삽입하는 것은 우리를 둘러쌓고 있는 공간에 여러 가지 특 성의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서 새로운 성격의 독창적인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다. 즉,오브제의 공간 내의 설치는 1차적 표현매체가 공간이며 재료나,기법,형식 등 은 2차적인 요소이다.오브제를 놓여지는 공간과의 관계가 중요하며,실내디자인 에 있어서 공간의 텍스트적 요소로서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 시각적 포인트를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디자이너는 전통적인 개념을 변화 시켜 형태,재료,색채,기법의 상호관계가 공간성의 변화와 깊은 관련을 맺는 조형표현과 특성을 이용해 오브제와 오브제간 의 관계의 조형을 통해 형성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접근,오브제의 객체특성을 중 심으로 한 조형표현으로 오브제 자체의 형(形),색(色),재질 등을 중심으로 이용하 고 오브제 자체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중심으로 오브제간 관계의 조형표현 집(潗), 산(散),합(合),사이(間),방향(方)등을 중심으로 공간을 형성한다. 미술에서의 오브제 이론은 오브제를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방식과 직접적인 행위를 표현매체로 삼아 물리적인 실체로 존재하는 오브제를 관람자의 체험,즉,시각,청각,촉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대상으로서 여러 조각의 부분충돌인 파편적인 부분들일 뿐 서로 통합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 루는 것이 없다.
객관적이고 물체자체로서의 한 대상은 개인 적인지와 인식과정에서 전혀 다른 모습으로 개별적으로 각인되고,심리적으로 내 면속의 감정을 가지고 자리 잡게 된다.이런 배경은 프로이드의 무의식에 대한 이 론적 근저가 된다.달리의는 시계의 재료가 전환된 것과 같이 물성의 전환으로 비물성화 되고 이는 왜곡된 형태를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게 되어 오브제의 사실적인 시각적 표현을 형태의 변형과 왜곡이라는 방 법으로 무공간적인 표현(색다른 화면)으로 보여 지는 작품이다.이와 같은 기법은 오브제라는 대상을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는 기법이다.
나.재현된 오브제 감정적인 원인에서 비롯된 오브제이다.달리는 정신의 유희를 그가 지향하는 표현수단에 이룰 수 있는 적절한 방법으로 생각하였다.또한,그는 무의식으로부 터 발생하는 비논리적 이미지가 분석이나 지적의식에 의한 표현묘사보다 우세하 다고 생각했다.경직된 이성이나 사회제도에 억압되어진 관념 등의 표현을 구체화 하였다.브르통은 ‘오브제 가능성에 대한 소통’이라는 작품을 통해 오브제의 조합 된 형태 이외에 시적선언문을 실어 오브제와의 동질성을 시도하기도 했다.방법으 로는 오브제의 장소이동이나 시간적 병치와 시간적인 내용의 변형과 같은 생소하 게 만들기 등의 기법들이 있다.
다.투사된 오브제 꿈에 관한 것에서 연류 된 오브제이다.모든 사물들은 원래 위치로부터 격리되 는 시퀀스의 변형은 사실과 상상,미래와 과거,내면과 외면,심연과 외층 등의 모 순으로부터 절대적 현실로 전이되어지는 또 다른 오브제를 구성하는 것이다.구성 된 오브제는 미적 감수성의 대상도 아니며 지적 논리의 분석대상도 아닌,잠재된 인간의 무의식 세계를 열 수 있는 심리에 근거한다.무계획,무원칙적인 우연적 형상들로 구성된다.
라.감추어진 오브제 백일몽의 하나로 의식이 체계화되기 전 표현되어지는 무의식적 행위로 어떤 계획된 의도도 없으며 목표도 없고,오직 내적 직관력에 의지하는 추상표현이다. 감추어진 오브제는 물질성을 배제한 체 작가의 표현수단을 의지해 이후 과정미술 (ProcessArt)로 발전 연관되어져 행위예술,개념예술,환경예술 등과 함께 예술의 비물질화 경향으로 관계와 관계의 변형으로 발전 하였다.방법은 어떤 자연의 현 실적인 형상의 묘사도 아니고 무언가를 암시하는 상징적 의미도 배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마.기계 오브제 실험적인 환상의 오브제이다.작가들은 실험적인 재료 사용에 대담성을 보였 다.오브제의 변형과 축적 그리고 압축 형태로 새롭게 형식을 무시한 실험을 시도 하였다.예를 들어 라우센버그(RobertRauschengerg)의 산업 공업 폐기물의 집합 을 이룬 컴바인 페인팅(CombinePainting)은 오브제의 집합체가 쌓여질수록 각 단 위의 오브제는 무의미해지며 새로운 역학 구성적 공간을 형성하였다.
바.본 뜬 오브제 최면술에서 연유된 오브제이다.일상의 경계에 걸쳐있는 삼차원 공간 구성을 통한 상황체험으로 반 전통과 반 형식을 추구,시간 본성에 대한 탐구의식을 드러 내어 행위 주관자인 작가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으로 전개 하였다.작가는 작품의 소유나 온전한 창조자로 남는 것이 아니라 연출하는 역할과 같은 위치에 서 이질적인 주변 조건과 환경,시간이 관객과 함께 작품에 병치되도록 한다. 3.종합논의 1935년 런던과 뉴욕 전시회에서 밝힌 오브제의 정의는 어떠한 공간에 특징적 인 성격을 부여하여 그 장소에 있어서 공간구성을 형성해주는 요소라고 할 수 있 으며,그 공간을 특별하게 해주는 요소는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될 수 있 다.또한,달리의 오브제의 정의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의 이론적 근저로 이성과 감성의 상태인 시간적 구성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 절의 소결은 예술의 다양한 이념들의 개념과 규정과 같은 의의를 가지기 보다는 본 논문에서는 실내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의미가 있다.
①위치 변경 낮선 장소에 배치시켜 상징적으로 표현,주변 환경과는 무관한 자연을 의미하 는 이질적요소의 도입으로 공간적 형상화를 깨고 가시적 감각과는 다른 공간 을 표현한다. ②의식행사 원시종교사상을 이미지 연상을 통하여 표현한다. ③대상의 새로운 조합이나 과장 일상의 오브제를 실내에 사용하지만 고유의 개념적인 존재를 작가의 독창적 인 아이디어와 중첩하여 사용한다. ④놓여진 공간 장소의 특수성을 강조하기 위해 놓인 장소에서 오브제는 표현적 특성이 된 다.오브제는 기존의 건축과 실내공간을 매체와 재료를 삼아서 파괴,절단, 절개함으로서 기존의 오브제를 해체한다.건물과 실내공간인 벽,창문,문, 계단 같은 개념을 재정의하는 것이다. ⑤연극적 구성과 표현 기존의 고정된 해석을 버리고 작가의 극본에 따라 짜여진 구성에 대한 표현 으로 의미가 담긴 퍼포먼스와 공간이 연결될 때 상호작용하는 오브제의 표 현이 된다. ⑥제작과정 중시 공간이 전개되는 행위에 따라 정신적이 의미를 부여 받게 되는 표현이다. ⑦현실적인 대상의 변경 일상적인 모습이나 소재적,대상적 차원을 떠나,일상적인 재료를 채택해서 이미지전달을 위한 시각적인 표현이다. ⑧행위예술,대지예술 작품의 공간적 확장이라는 명목아래 오브제를 실내 및 외부공간으로 확장시 도 한 표현이다. ⑨공간 속에 담길 내용의 변화 문화,이슈 등을 공간에 전달방식으로 침해하거나 파괴해 기념비적인 환경과 의미적인 공간으로 표현한다.텍스트나,이미지,기록사진 등은 그것이 발산하 는 에너지가 주위를 활성화 시키고,사진은 물리적 실체인 듯 착각을 일으키 게 되어 공간의 지각문제를 다룬다. ⑩무공간적인 표현 인간에게 있는 본성과 사물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오브제를 비 현실적인 배치,재질의 전환을 사용하여 보편적인 세계를 새롭게 구성 관찰자 에게 새로운 세계를 상상 하도록 하는 표현이다. ⑪시간적인 내용물의 변형 관계없는 오브제를 하나의 공간에 나란히 병치시킴으로서 오브제의 본래의 성질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법으로 장소이동이나 시간적인 병치로 표현한다. ⑫시퀀스의 변형 무원칙,우연적인 형상으로 구성 표현한다. ⑬관계의 변형 현실적인 오브제의 묘사도 아니고,무엇인가를 암시하는 상징적 의미도 배제 하는 표현이다. ⑭형식의 무시 형식을 무시한 실험적인 표현이다. ⑮이질적인 시간의 병치 반 전통,반 형식의 추구로 이질적인 양식의 대비와 반복 등의 표현이다.
2.2.시대별로 본 미술에서의 오브제의 특성 2.2.1.1960년 이전의 오브제 미술의 역사에서 오브제는 미술의 탄생부터 함께 해왔다.미술을 포함한 예술 은 그리는 주체(미술가)와 대상(오브제)의 상호관계와 상호투쟁에서 이루어졌으며, 어떤 식으로든 예술에서는 주체와 함께 오브제는 항상 동시에 존재함으로서,결국 예술은 ‘예술가’,‘오브제’라는 상호 의존적 구도를 유지해 왔다.특히 현대미술사 는 오브제의 변천사라고 할 만큼 미술의 오브제가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그 개념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20세기 접어들면서,현대 미술은 오브 제가 상징적,신화적 내용으로부터 해방됨에 따라서 오브제가 사물 그 자체로 등 장하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다.본 절에서는 시간대별로 오브제의 특성을 정리 하였다. 1.입체파의 오브제 아인슈타인(AlbertEinstein)은 유명한 특수상대성 이론을 통해 새로운 공간을 설정하는데,기구의 실제 길이라든가 기구가 정하고 있는 공간의 관념은 절대적인 의미를 부여받을 수 없다고 했다.길이는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으며 길이는 다 만 측정행위의 결과일 뿐이다.따라서 절대공간은 전혀 의미가 없게 되어 버렸다. 1961년에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설명하였다. “이제 우리는 ‘공간’이라는 말은 ‘구체적인 강체(剛體)와 상관적 운동이라는 말 로 대체되어야 한다.”19) 이러한 공간관은 현대미술의 주요 사조인 입체파에 중요개념으로 작용하게 된 다.1912년에 글레즈와 메칭거의 논문에 서 원근법의 소실점기법은 시각공간만 기록하는데 회화공간을 확립하려면 화가는 마치 관객이 모든 능력을 총동원하여 세계에 반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20)
“수축시키든 팽창시키든 회화평면을 변형시키는 것은 다름이 아닌 우리의 전 인격(personality)이다.그러한 반응이 일어나면 평면은 그 인격성을 관람자의 지위 에 다시 비춰주는데,바로 이때 회화공간이 설정 된다.감성이 두 가지 주체적 공 간 사이를 넘나들 수 있는 통로로서의 회화공간이 설정된 것이다.” 이러한 상대적인 공간개념은 영화에서 보여 지는 것처럼 이동하는 시점을 더 하게 된다.건축분야도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받아 건축 형태의 근원으로서 르 꼬 르비제의 공간관은 입체파와 미래주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물에 일반적 관심 을 입체파들과 그는 건축적으로 형상화 하였다. 즉물적 오브제의 등장은 실제 사물을 화면에 부착시켜 손으로 그리지 않고 주 의의 사물은 임으로 선택 한 빠삐에 꼴레(PapierColle)의 작품이 최초의 오브제 이다.그 뒤에 미래주의,다다이즘은 전통의 가치,이성의 우위,예술의 형식을 부 인하는 일종의 파괴적 허무주의의 성격을 띠고 예술의 종래의 개념을 부정함으로 서 조형적인 면에서 오브제의 발견과 전개라는 놀라운 성과를 이루어,이후의 모 든 전위적 예술 사상 속에 깊이 침투되어 20세기 미술 전반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피카소,현실세계의 파편을 정물화에 붙임으로서 작품의 물질성을 추구함으로서 콜라주 기법을 이젤 회화에 도입함으로서 매우 독창적 작가가 되었다. 주위의 사물(object)들을 그대로 선택하여 화면에 붙여 작품을 만든다는 발상은 손으로 그리지 않고 미술작품이 된다는 사례를 보여주었다.새로운 조형적인 수단 인 콜라주는 회화의 공간,색채,선적인 움직임과 질감을 더욱 풍부하게 하였다. 구도의 단순화,큰 면의 도입,부분적이지만 전체를 암시하는 기호적 표현,현실 감,시점의 다양화,공간의 연속성을 회복시켜 회화의 새로운 장을 연 것이다. 2.하이데거(MartinHeideger)21)의 오브제 하이데거는 사물(object)과 예술품을 구별하면서,순수사물은 자신을 나타내기 를 거부하는데 이는 사물이 자신의 사물적 성격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작가는 사 물에게 열려진 공간을 제공하고 그것이 하나의 사물이라는 것을 일반적으로 사람 들이 잊어버릴 정도가 된다면 예술품이라는 것이다.즉,공간의 다중적 의미와 복 합성에 대한 것이다. 3.다다이즘(Dadaism)의 오브제 이젤 위에서 하는 미술에 종지부를 찍고,재료가 갖는 무한성,즉,폐품 기계, 영화,조명,관객 등을 매개로 삼았을 뿐 아니라,작가의 직접적인 행위를 표현매 체로 삼았다.이때 등장한 기성품(ready-made)22)의 의미는 일상적인 환경과 장소 에서 떨어져 본래의 목적성과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단순히 사물 그 자체의 무의 미함만이 남게 되는데 이때 사물이 놓여진 위치와 그 자체가 갖고 있는 의미가 동시에 인간내부에 강렬한 이미지를 주면서 일상용품이 지니는 새로운 조형성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레드 메이드의 창시자 뒤샹의은 공업제품인 변기 에 제조회사 이름을 서명하고 전시하여 우연에 의한 새로운 예술을 권장하고 전 통미학을 거부하는 개념미술의 길을 열었다.뒤샹의 은 처음부터 사물의 재구 성을 거부하기 위한 원소이거나 전적으로 ’보아왔던 것’이미지에서 해방되고 동 시에 일상적인 것에 벗어난다.23)다다이스트들은 자신이 품고 있는 감정을 전달하 는 수법으로 평면예술에서 탈영역화 하여,재기발랄한 표현으로 모든 규칙에서 해 방된 오브제로 자유를 추구 하였다. 4.마이클 프리드(MichaelFried)24)의 오브제 형태를 지닌 모든 것을 사물로 설정함으로서 사물성 자체를 발견하고 제시하 고자,회화나 조각에 대해 그 물체적 존재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물체(object) 는 아니라고 하였다.예를 들어 저드와 같이 예술의 순수성을 추구한 끝에 드러난 사물의 문제 이후,순수성의 성격이 순수하다는 사실만 남긴 채 예술에서 사물로 전의되었다.저드는 회화의 기본 틀 즉,회화자체가 아닌 하나의 대상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저드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1965년 뉴욕전시 서문에서 언급한 특수한 오브제(unified form)로서 전통적인 예술과는 다른 것으로 설명했다.이에 반해 프리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술은 물리적인 실체로 존재하는 대상을 관찰자가 작품을 대하는 실제의 상 황 내에서 대상에 대한 체험이다.” 곧 오브제가 시각,청각,촉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물건,물 체라는 뜻과 인식주체의 인식대상으로서의 정신적인 것을 포함한 대상,객체라는 뜻을 품고 있는 것이다. 5.젬퍼(GottfriedSemper)의 오브제 젬퍼는 건물의 상징적인 표현이 외관을 구성하는 재료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본 것으로 젬퍼는 피복을 통해 물질을 예술적으로 승화 시킬 수 있고,정신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고 보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건축형태에 관하여 고대이든 근대이든 건축형태는 물질에서 나왔고,그것에 의해 조건 지워졌다.그리고 그 형태는 건설을 건축의 본지로 간주하면서 태어났 다.위대한 스승인 자연처럼 건축도 자연의 법칙에 따라 그 재료를 선택하고 응용 하였다.만일 가장 적절한 재료가 어떤 생각을 구체화하기 위해 선택되었다면 건 물의 이상적인 표현은 재료의 외관을 통해 미와 의미를 획득한다.” 젬퍼는 예술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예술이외의 사회적 요건들에 대한 중요 성을 인식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스타일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 인으로 재료와 목적 그리고 기술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그 중 가장 결정적인 것 으로 재료를 봄으로서 재료에 의한 표현 가치를 중요시 하고 있다.또한 젬퍼는 건축의 임무가 일상의 현실,즉 덧없고 불안정한 현실을 예술의 영역으로 전환시 키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예술적인 요소는 장식 안에서 표현되어지는 근원적인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젬퍼는 재료와 기술 그리고 장식이 하나의 모습으로 읽혀 져야 함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재료와 기술의 발달은 건축공간의 물리적 가능성은 확장해 주었고 새로운 건 축의 방법적 틀을 제공 하였다.그 결과 건축공간은 구조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 게 되었고 젬퍼의 “피복론”에서와 같이 공간은 표현적인 욕구를 추구하게 되었다. 동시적으로 공간을 인식하는 관점 또는 상대적인 공간 관으로 변화하면서 공간은 그 자체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대상으로서의 공간을 설정하고 인간의 의식을 통 해 얻어지는 공간에 이미지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6.르 꼬르비제(LeCorbusier)의 오브제 타입 르 꼬르비제는 1925년 ‘오늘날의 장식예술’에서 그가 관심을 가진 것은 세상 속에 던져진 인위적인 생산품의 의미가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방식 이 었다.그는 무의미한 장식을 비난하고,인간의 치수(scale),기능(function)을 인간의 기능요소(human-need)들로 규정했다.장식을 제거한다는 것은 의자와 장(cabinet), 조명 등과 같은 일상 용품과 가구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건축영역에서도 적용 된 확장된 오브제(human-limbobject)를 말한다.이는 실내 공간에서 특정한 기능 을 수행하는 필수적 유형(type-needs)인 오브제 타입(type-object)을 말한다.그에 게 있어 오브제 논의는 근대성과 함께 새로운 형태이기 이전에 새로운 관조 방법 인 것이며,근대 시스템이 통합되는 개념으로서 ‘오브제 타입’을 주장한 것이다. 7.그린버그(ClementGreenberg)의 오브제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미술이론은 “예술”이 예술이 아닌 “사물”의 속성을 지닌 것은,이미 다양한 자기표현(주관적,이성적,객관적)으로 흐르게 되면서 예술이 점 차 사물화 되어가는 것을 말한다.25)이러한 사실을 통해 예술이 “대상”으로 시선 을 옮긴 것은 사실이지만,노골적으로 ‘대상’에 집착하며 방향전환에 영향을 주었 다.그 것은 바로 순수예술은 곧 사물이라는 등식을 성립 시켰다.26)사물로 중심 이 이동한 결과 3차원 원근법 파괴가 진행 되었다.그린버그가 제시한 것은 평평 한 표면,캔버스 형태,물감의 속성이었다.
8.초현실주의의 오브제 초현실주의 작가에게 오브제는 미술작품 속에서 독특하게 사용 되었다.인간이 가진 일반적,현실적인 의식 아래에 있는 잠재의식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서 작 품 속의 오브제는 다른 현실의 의식이 실체를 넘어 잠재되어 있는 인간 내면의 환영까지 추적해 냄으로서 또 다른 측면에서 오브제의 의미를 새롭게 하였다.마 그리트의 에서 관람자는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그럴 듯 하게 묘사된 파이프와 대면하게 된다.동시에 그림에 적혀 있는 설명은 이것은 파이프 가 아니라고 부인 한다.정상적인 인지(認知)를 의심하고 교란하기 위해 실제와 상 상의 경계를 희미하게 함으로서 위계와 경계를 해체하는 표현이다.오펜하임는 시간에 기초하여 이야기를 관람자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에 이 야기를 함축하고 있다.오펜하임의 오브제는 재료의 혼성을 사용해 객관적(찻잔)인 것과 주관적(남자의 체모)인 것 사이에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외부세계의 어떤 것이 개인의 감수성에 의해 의미를 부여 받고,주관성은 객 관성인 현실성에 혼합된다.대표적인 작가 달리에서는 의미의 다 중성을 표현하기 위해 정확한 사실주의 양식으로 기이하고 기묘한 꿈의 세계를 그림으로 나타내 환상을 실제화 시켰다.그는 이질적인 오브제를 조합함으로서 오 는 새로운 충격으로 오브제를 본래의 자리가 아닌 현상세계의 사이의 경계가 소 멸되는 통합의 세계로 표출되기를 기대했던 것이다.초현실주의는 미술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개인과 공공 간,미술가와 관람자간의 구분을 파기하였을 뿐 아니라 국제적인 영향으로 패션과 광고계 도용이 되곤 하였다.마그리트의 는 비처럼 쏟아져 내리는 중절모 쓴 남자처럼 현대도시가 제공하는 유 희성,소통의 가능성과 초현실주의적 현장과 사물을 제시하고 있다. 9.키네틱 아트와 모빌 아트의 오브제 무중력을 특성으로 하는 개념이 디자인 영역에서도 수용되어졌는데 디자인과 현대미술에 과학적 기술력이 적용되어질 수 있었던 양식은 1930년 알렉산더 칼더 (AlexanderCarder)에 의하여 전시 되었던 모빌은 무중력의 역학에 의한 섬세하고 재미있는 오브제였다.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멈추어 있을 때의 오브제 외형은 전 혀 새로운 매력을 보이지 않지만 무중력,동력 자석의 힘을 적용시킨 오브제에서 물질형태로서의 오브제가 아니라 거의 비물질적 에너지로 존재하는 눈에 보이는 움직임의 기능은 그 자체의 흥미를 집중시키고자 목적이 아닌 문학적 은유의 오 브제는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상징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문학적 은유 의 오브제는 작가의 심리적 성향으로부터 기이한 상징적 표현력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디자인에 있어서 문학적 은유 오브제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재료를 다루는 기법의 다양성,역사적인 사건의 사물에 대한 패러디(parody),복잡함,단 순함,애매함 등의 상호 모순적 성격,환상이나 상상에 의해 왜곡되거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디자인에 있어서 은유는 개인적 삶의 이력에 연관된 기억, 환상,그리고 과거를 넘나드는 시공간의 초월성과 같은 오브제 양식을 빌어 입체 적 조형으로 재생되어 상호적 기호로서 시각적인 독립체로 나타냈다.
2.2.2.1960년 이후의 오브제 1960년대 미술은 곧 오브제라는 등식이 성립될 정도로 1960년대 전후 미술영 역에서는 사소하고 단순한 일상용품들의 크기,재료,성질 및 색채를 분석하고 적 용한 작품들이 활발하게 등장하기 시작하였고,이러한 경향들은 건축과 디자인 분 야에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1960년대 이후 즉물적 오브제 변용 경향을 나타 낼 수 있는 핵심적 조형언어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현실적 오브제의 존재는 실 제로 관객의 개인적인 체험에서 유발되는 심리적 기억 현상,본능을 자극하는 개 방된 사고의 영역을 허용하며,이것이 조형적 확대를 유발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1970년대에는 과학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선망으로 기계와 물리적 현상 등을 예술작품에 적용시키고자 오브제 개념의 확대와 예술의 탈장르화 현상은 과학기 술,문화적 은유,풍자,이중부호,아이러니,유희성 등 구별 없이 끌어들여 건축, 회화,조각,디자인,공예 등의 경계를 무너뜨리고,또한 과학과 예술,대중과 매체 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 탈이념적,탈장르화가 이어졌다.따라서 현대디자인은 산업사회를 상징하는 즉물적 오브제의 미학적 개념을 확대 수용함으로서 직관적 이고 감성위주의 제작 태도를 가진 디자이너와 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물질 표현을 교류시키며 제품,광고 등도 하나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가능 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영역의 확장을 이루었다. 1960년대를 전후로 하여 1970년대,1980년대까지 계속 확산되었던 오브제 양식 은 현대디자인의 전반적인 흐름이 기능,실용,정형화된 아름다움에 더 이상 관심 을 기울이지 않고 심층적인 인간내면의식에 더욱 집중하기 시작했다.작가들은 기 술적인 노력과 함께 오브제는 곧 아이디어이며 지적인식의 대상이라는 성숙된 탐 색결과를 가지게 되었다.1980년대 유럽에서 보여 진 양립된 기능과 조형성의 오 브제는 알레시(Alessi),놀(Knoll),폴트로노바(Poltrnova)사들이 제작한 탈장르화 된 오브제 제품들의 판매 및 제작시도는 디자인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제품제작경 향은 구상적 조형방식을 취함으로서 역사적 고급예술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대중 에게 접근하였다.1980년대를 전후하여 현대예술과 문화영역이 확산되었고,각 예 술장르와의 경계를 개방하여 자유롭게 서로의 영역과 상호교류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 졌다. 1.팝아트의 오브제 일상적인 것을 무심하게 드러내거나 페인팅함으 로서 예술에 상업성을 가미한다.팝아트의 오브제는 작품들에서 두 가지 특징이 있는데,복수성과 유일 성이다.팝아트는 본질적으로 이 두 가지 특성을 항 상 결합하고자 한다.해밀턴의 냉소적인 위트는 소비주의에 대한 현실에 대한 과장 을 반영하고 일시적이고,순간적이고,대중적이며, 싸구려이고,대량생산된 것 등은 사물(object)이 아니 라 정지된 사건으로 관람자에게 순간적으로 전달하 고자 과장을 하고 있다. 팝아트는 대중에게 직접 파고들었고 미술품 수집 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짐 다인은 실제 오브제와 그려진 평 면을 조합 시킨 작품으로 질감의 확장성을 표현했 다.올덴버그는 조각이라기보다는 오브제로 그는 언제나 놀라운 스케일의 변형,재료,질감을 사용 했다.그는 관찰자들이 자신에 의하여 창조된 ‘모방오브제’를 통하여 ‘실제오브제(예를 들어 빨래집게)가진 힘이나 가능성을 인 식하는데 익숙해질 것을 그는 희망하였다.다인과 올덴버그는 정서적인 상황을 연 출하는 것이고,이 카타르시스가 끝나면 그 목적을 이루는 것이다.즉,사람과 사 물을 다루기는 하지만 본질적으로 추상인 동시에 기호(이미지)인 것이다.이러한 무상성을 기꺼이 받아들임으로서 팝아트는 ‘보여지는 것’과의 동일화를 택했다.
팝아트에서 오브제의 개념은 ‘말과 사물(오브제)의 관계설정’이라고 표현되며, 복잡한 사고체계에 집중하는 동시에 예술양식과 달리 보이는 대로의 이해를 구하 고 있다.예술의 방향성과 탈장르화 현상을 촉진시켰다.
2.미니멀리즘의 오브제 미니멀 아트에서 오브제는 순수예술은 곧 사물(object)이라는 등식을 극한적으 로 성립 시켰다.개인의 감성적인 표현이 극도로 절제되어 엄격히 비개성적인 모 습으로 나타난다.미니멀 작가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사물 그 자체의 문제였다.사물은 내 앞에 직면한 현상으로서 예술이기 이전에 대상(object)자체 의 본질에 대한 것이다. 즉,작품 속에서 오브제의 성격이 아니라 오브제와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이며 오브제 자체의 표현에서 관계로 이동함을 말한다.이는 작품의 물리적 결과 보다 는 사고와 상태의 과정에 중점을 두려는 경향으로,예술이 어떤 사물로서만 드러 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 즉,상황,관념,과정,정보가 작품의 핵심이 된다는 것이 다.이는 공간과 시간으로 오브제 개념의 확장을 이루었다.어느 작품도 액자에 둘리거나 좌대에 놓이지 않으며,이로 인해 그들의 작품은 관객과 공간과 분리되 지 않는다.
천정을 높이면 확대 감을 주는 등 공간의 변화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나.물질(가구,형태,스케일 변형) 조형예술에서 오브제의 개념은 미술과 불가분의 관계로 현대미술의 개념적인 확장과 더불어 통합적 예술의 패러다임으로 확대하였으며,이러한 개념이 확대되 어 건축,도시,환경으로 실로 광범위하게 되었다.오브제는 공간에서 그 자체로 지각될 수 없고 오직 형태의 네거티브로만 인식할 수 있다.이는 공간이 실존으로 서 형태의 중요성이 부각된다고 하겠다(권영걸,2001).즉,공간은 오브제와의 관계 속에서 보다 명료히 이해되는 것이다.따라서 오브제란 공간에 대한 개념을 형성 하는 도구 정도로 이해될 수도 있다.하지만 현대의 공간 논의에 있어서 오브제 간의 문제,오브제와 공간과의 관계 그리고 오브제와 인간간의 관계가 곧 공간의 본질이라는 점이 등장하면서 공간의 본질을 형성하는 매체로 중요성이 부각 되었 다.즉,일차적으로 ‘물체’와 ’대상‘은 오브제의 표현과 계획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다.건축가인 르 꼬르비제는 가구를 신체의 기관으로 연장된 오브제로 이해하고 건축 사이에 괴리를 보안하는 건축적 기구개념을 이야기하기도 했다(이상효, 2003).건축적 기구란,건축과 가구의 중간 개념으로 필수적이고 기능적인 요소를 일컫는다.예를 들어 계단,욕실 등등,인간의 신체와 필연적으로 접촉되는 연장된 오브제임을 의미한다(이상효,2003).일반적인 가구의 뜻은 공정적인 공간에 대하 여 움직일 수 있는 도구,방을 장식하는 것으로 가구는 하나의 조형요소이기도 하 다. 그러나 실내디자인에서의 가구는 기능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미적인 요소를 기 능적인 요소 보다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프래드먼(Arnold Friedmann, 1970)은 인간은 가구를 시각적으로 보고 느낄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구는 아주 분명한 반응을 거쳐 감정적,육체적인 쾌감을 느끼게 하기도 하며,제지하게도 한다고 하였다. 다.비물질(빛,그림자,소리)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초기에는 물질적인 형태로 이해되었지만,조형 예술 영역에서의 오브제의 개념과 대상 확장의 영향을 받아 비물질적인 것,비가 시적인 것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인간의 공간인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확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김내리,2004).입체주의에 와서는 실질적 제시로 나타내게 되 면서 사실상 오브제의 개념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입체주의에서는 시간과 공간을 직접적으로 제시 하면서 관람자의 적극적인 역할을 유도하게 되고 더 이상 오브 제 자체의 의미나 표현양식에 오브제의 개념이 한정되지 않고,오브제와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과의 관계로 오브제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오브제의 확장은 대상이 자연,인간,소리,빛 색채 등의 비정형적인 형태로 범위 확대를 하고 있으며,오 브제 자체나 조형적 특성에 오브제 간에 관계로 확대되고 있다.오브제 범위의 확 대는 오브제 대상의 범위를 의미한다. 라.마감재(색채,재료,조명기구) 색채는 시각의 일종으로 물리학적으로 빛이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생기는 주관적인 감각의 세계이다.따라서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작용하는 색채는 투영하 는 거울과도 같다.아른하임(Arnheim,1981)은 인간이 색채에 관해 표상으로 색채 를 인지할 때 광선이 눈을 통해 뇌에 지각하는 과정을 거치는 단계에서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감정적으로 해석하게 한다고 했다.색채는 생활환경과 밀접하게 형성 되는 상징적인 면을 가지고 있으며 형태와 표현성을 가지므로 사물과 사건에 대 한 정체성을 통하여 정보를 얻게 해주기 때문에 의사전달 수단의 오브제가 된다. 공간에서 색채는 공간의 이미지 지각에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며,오히려 감 성적인 감각으로서 공간이미지를 구성하는 지배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재료는 공간에 있어 그 공간의 성격,질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 다.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재료의 문제는 환경,기술의 발달 등과 깊은 관계를 가 지고 있으며 소재개발에 의한 다양한 재료의 개발과 적용으로 새로운 공간 패러 다임 전환기를 맞고 있다.이렇듯 공간 표현에 있어서 재료는 영역이 확대되고 있 으며 특정한 재료를 사용한 공간들이 나타나고 있다.재료는 본래의 특성을 탈피 함에 따라 실내디자인에서 재료가 구조재와 미감재로 구분되었던 통념은 무의미 하게 되었다.특정재료를 통한 실내디자인 표현은 상업공간의 실내디자인에서 추 구하고자하는 개념을 표현할 수 있다. 현대는 미술의 영역과 디자인이 화합되면서 기존의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박신 자,1999).공간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물체와 그것을 지각하는 인간의 상호관계에 의해 형성되며 모든 조형의 요소가 형성되는 장소인 동시에 공간 그 자체로도 깊 고 영원한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다.따라서 공간은 조형의 형성과 정신이 일치되 는 장소이며,공간의 본질은 그 것을 규정짓는 모든 요소의 상호작용에 있다.실 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공간 안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 하며 공간을 창출 한다.
1.4.연구방법의 개요 오브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오브제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온 사례들 을 정리하여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의 일반적인 의미와 역할을 고찰해야한 다.실내디자인은 때로는 공간의 구속성이 강조되기도 하고 때로는 의장적 요소가 강조되기도 하며 발전되어왔다.의장적 요소가 강조되었던 장식주의시대의 공간에 서의 오브제는 일반적으로 조각상이나 벽화 등과 같은 공예중심의 예술로 표현되 어왔던 반면 일반적인 구조가 강조되었던 모더니즘시대의 실내디자인의 특성은 개별성 보다는 전체성이 강조되는 디자인 특성으로 실내디자인의 구성요소들은 그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건축양식에 종속되어있는 경향을 보여 왔다.따라서 이 시대의 오브제는 대부분 장식적인 소품의 역할정도로 미약하게 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모더니즘 이후에는 개별성의 강조로 보다 적극적으로 실내디자인 요소의 오브제화는 가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이에 디자인 양식에 따른 실 내디자인에서 오브제적 특성을 각각 미술에서의 오브제,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 의 분류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오브제에 대한 이론 고찰을 통해 미술에서 오브제 표현특성을 분류 하고 이를 다시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분류함으로서 오브제 에 대한 체계적인 틀을 제시하는 사례분석연구로 이에 따라 얻어진 분석을 토대 로 국내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감성요소,재료와 가공기법으로 논리이기 보다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공 간 안에서 형태를 유발하는 설치물로서 공간을 분할하고 장소 등을 알리며,사람 들이 잘 아는 사물을 공간 안에서 재현하여 상징성과 시각적 독립체로서 존재하 며 오브제는 영역확대의 수단과 방법으로 사용된다고 하였다. 미술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도출된 분석기준 틀에 의거하 여 사례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1935년 런던전시회와 뉴욕전시회 그리고 살바도르 달리의 오브제의 정의를 기준으로 문헌 고찰을 하였다. 2.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시지각 원리에 입각한 오브제의 정의와 표현방법을 1935년 런던전시회와 뉴욕전시회 그리고 살바도르 달리의 오브제의 정의를 기준으로 문헌 고찰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3.시대별로 본 대표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오브제표현특성을 고찰하여 정리하 여 분류하였다. 4.미술 디자인 사에 따른 오브제 특성을 고찰하여 작가와 작품의 상관관계를 정리하여 분류하였다.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도출된 분석기준 틀에 의 거하여 사례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5.건축가이자 입체파 화가였던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의 정의를 기준으로 문헌 고찰을 하였다. 6.실내디자인에 나타난 르 꼬르비제의 오브제의 정의와 표현방법을 기준으로 문헌 고찰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7.시대별로 본 대표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을 고찰하여 정리하 여 분류하였다.
8.실내디자인 사에 따른 오브제 특성을 고찰하여 작가와 작품의 상관관계를 정리하여 분류하였다.
1,2,3,4는 미술 분야 전문가들이 말하고 있는 오브제의 표현특성이며,문헌고찰 을 통해 얻은 독창적인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나타내는 분류이다.또한,5,6,7,8도 같은 방법으로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뒷받침해주기 위한 요소들의 세부항목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오브제 표현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오브제의 표현특성이 하나로 단 정하기 보다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판단되어지며,오브제의 표현특성을 하나 로 규정하기 보다는 상호보안적인 양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어지며,제4장에서 는 실내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연구의 진행과정을 요약하면 다음 과 같고,보다 구체적 인 연구 방법은 연구 방법에 제시해 놓았다.
1.5.연구범위 및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며 그에 따른 한계점을 밝힌다. 첫째,본 연구의 조사대상 자료의 시간적 범위를 최근 10년간 월간 인테리어디 자인에 게재된 작가의 인터뷰와 작품을 기준으로 사례작품 선정을 제한하였다.이 러한 시간적 범위에 따른 제한은 연구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내용이 최근 시대적 인 변화와 사회적,문화적 환경이 급격히 변화됨으로 인해 실내디자인에 대한 관 심이 고조되고,실내디자인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요구도가 증가되고 있어 특 정연도 간의 오브제 표현특성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함이다.또한 실내 디자인이란 시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디자인분야로서 연구의 결과물이 활용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근의 경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전문매체의 한계는 실내공간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기사에 실린 특정 부분의 이미지 사진을 참조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본 연구는 사례분석의 근거 의 타당성을 위해 전문매체에 실린 기사의 내용과 작가의 디자인의도가 명확히 표현되어있는 작품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패널들이 질문하는 내용에 대한 답변 및 작가와의 인터뷰 내용 참조)조사대상 자료 수집도 1996년1월부터 2006년12월 까지 하여 91개를 수집하였다. 둘째,연구에 사용된 조사대상 자료의 선정은 실내디자인 관련 잡지 중 일반 잡지나 여성잡지,주부잡지 등을 제외한 실내디자이너를 위한 전문잡지로 제한하 였다.전문지의 선정은 객관적인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중점적으로 이루어 졌다.
셋째,선정된 실내디자인 전문지에서 수집된 작품의 사진은 자의적인 해석 없 이도 전문매체의 작품 기사는 작가의 취향과 선호를 가감 없이 표현하고 있으며, 공간유형의 특성과 기능 등의 외래변인에 종속되지 않는 점으로 인해 동일공간유 형의 범위 내에서 선택이 용이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1.6.용어 정의 1.오브제 모든 시각예술은 흔히 구조(structure)와 장식(ornament)또는 구성과 의장이라 는 두 요소로 구별된다.9)우리를 둘러쌓고 있는 물리적 구축 공간 또한 예외는 아 닌데 건축과 공간의 속성을 모두 공유하고 있는 실내디자인은 때로는 의장적 요 소가 강조되기도 하며,의장적 요소가 강조되었던 장식주의 시대의 공간에서의 오 브제는 일반적인 조각상과 벽화 등과 같은 공예중심의 예술로 표현되어왔던 반면 구조가 강조되어왔던 모더니즘시대의 실내디자인의 특성은 개별성보다는 전체성 이 강조되는 디자인 특성으로 실내디자인의 구성요소들은 건축양식에 종속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이 시대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대부분 장식적인 소 품의 역할 정도로 미약하게 표현되었으나 모더니즘 이후에는 개별성과 다양성의 강조로 보다 적극적으로 실내디자인에 오브제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예술품으로서의 오브제는 장식위주의 아트워크나 조각상과 같은 상징적 결정 체였으며 예술가에 의해 주로 제작되었다.예를 들어 르네상스시대의 천정에 가득 한 그림은 공간 최대의 장식품이자 오브제의 역할이었다.공간 곳곳에 수많은 조 각상들과 계단 등을 통해 오브제의 역할을 하였다. 모더니즘시대의 오브제는 주어진 기능에 가장 적합한 형태를 오브제 요소로 간주하였다.모더니즘의 장식에 대한 배제는 대부분 건축가들에 의해 구축되었던 건축공간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건축의 구조체인 기둥이나 벽이며,은 공간전체가 콘크리트 구조체이자 오브제이다.미술관은 외 형만으로 도시맥락 속에서 오브제 역할을 하고 있다. 모더니즘 이후에 오브제는 전체성을 강조하는 대신 역사주의,다양성,상징성 등의 다양한 성향이 강조되는 시기이다.10) 이 시대에 오브제는 독립적 조형성이 강조되는 실내디자인이 많이 나타났다.의 경우 우리에 게 친숙한 화병이 크기가 변형되어 실내 공간에 강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하며 기능보다는 장식을 목적으로 하나 장식주의시대의 장식을 넘어 표현방법과 의미 를 다르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오브제는 사전적 의미의 오브제와 같이 이미 만들어진 기성 품을 작품에 들여와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본래 물건,물체,객체 등의 의미를 지 닌 프랑스 언어이나 초현실주의 작가들은 이것을 적용,독특한 개념을 부여하여 구체적인 예술개념으로 사용하였다.즉,예술과 아무런 관계도 없는 물건이나 한 부분을 본래의 일상적인 용도에서 떼어내어 보는 사람에게 잠재된 욕망을 불러일 으키게 하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를 말한다. 일상생활에 쓰이는 물체는 그 나름의 용도나 기능 또는 독특한 의미를 지니고 있게 마련이다.그러나 이러한 물체가 일단 오브제로 쓰이면 그 본래의 용도나 그 의미를 잃게 되고 이때까지 우리가 미처 체험하지 못했던 어떤 속성이나 기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현대회화 특히,세잔 이후 큐비즘(입체파)등에서는 주체성을 배제하고 물체를 중히 여겼다.그러나 오브제가 특수한 용어가 된 것은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부터 이다.이러한 오브제의 개념은 초현실주의의 조형적 영역은 물론 그 사상에서도 회화와 조각을 접근시켜 회화도 조각도 아닌 새로운 개념을 탄생시켰다.또,오브 제는 예술가와 생활과의 관계를 표현하는 물건 그 자체로 되어 예술과 생활의 경 계를 애매하게 만드는 큰 역할을 해왔다. 뒤샹이 1917년에 기성 변기로 이라는 제목을 붙여 전람회에 출품,기성의 일용품이나 기계부품들이 반 예술형식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또 종래의 전통적 인 조각 형식을 타파한 구성작품(예를 들면 움직이는 조각)등을 오브제라고 할 때 가 있다.미술에서 오브제는 흥미 있는 미적 의식 문제를 투입하고 있으나,실내 에서오브제는 예술의 재료,형식,기능을 확대하기 위한 외부세계를 정복하는 수 단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조각,회화에서의 오브제는 대상 그 자체가 아니라 이미지 또는 주제 의 개념적(관념적)표상이 되는 것이다. 예술작품의 소재,주제,정물,풍경화,인물화 지나치게 포괄적이었던 오브제는 입체파 작품에서 대상을 묘사 하거나 화면에 오려 붙여 작품의 일부로 존재 하였 으나 오브제로서 독립성이 약하였다.다다이스트인 뒤샹의에서 오브제는 일상 적인 사물이 변조된 오브제로,표현수단으로서의 오브제로 주제와 객체와의 만남 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게 되며 이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양 태11)로 전개되었다.오브제가 다다를 거치면서 독립적인 발언권 획득 하였으며, 오브제의 영역과 개념은 무제한적으로 확대·전개되어 오브제는 단순한 조형수단이 나 조형언어의 역할을 넘는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내외면 세계의 이미지를 표현 하는데 적합한 방법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의 표현은 작가의 창조적 행위로서 사용자의 커뮤 니케이션을 위하여 독자적인 디자인언어로서 조각에서와 같이 오브제를 실내에 도입,설치함으로서 실내공간에 비주얼 타켓,혹은 공간을 지배할 요소를 제공하 고 있는 오브제로 본 연구에서는 표현한다.다음의 그림은 산업생산물인 오브제가 작가의 유추과정을 통해 실내공간에서 비주얼 타켓으로 생성되는 과정을 정리하 였다.
2.미술에서의 오브제 표현특성 고찰 2.1.미술에서 오브제의 정의 20세기 전후 현대미술의 목표는 단순성과 진리를 통해서 사물의 본질을 추구 하는 것이다.이에 따라 공허해진 화면에 물질을 풍부하게 제공하기 위해 화가들 은 오브제를 화면 안으로 끌어드렸다.표현의 확장을 위한 새로운 매체 오브제는 회화와 조각이란 장르간의 영역을 해체하고 통합하는 적극적인 방향으로 나아간 다.예를 들어 작가의 주관적인 의식이 오브제를 통해서 객관적으로 표현되며,이 러한 객관화가 오브제를 탄생시켰고 새로운 조형언어로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창조의 수단으로서 재료표현과 표현유형을 어떻게 결부시키느냐 하 는 점이 현대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이다. 이후로 오브제의 개념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된다.어떤 물체가 우연적이거나 필연적인 효과에 의해 작품의 소재가 될 때 그 본래의 용도나 기능 을 잃게 되면서 새로운 물체성(objectification)을 가지고,미술작품화 될 때 이 때 물체를 오브제라고 한다.오브제는 우리가 미처 체험하지 못했던 어떠한 연상 작 용이나 기이한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는 상징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오브제의 표 현특성과 그 의미의 확대는 곧 미술 영역의 확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미 술과 사회,사상,이념으로 연결해 주는 고리 역할을 하는 매개체로 하나의 기호 라고 할 수 있다.형태의 발전을 밝히는 일은 쉽지 않지만 형태의 최종적인 모습 은 우연히 생긴 것이 아니다. 예술가와 디자이너는 물질의 존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형태를 사용한다.12) 디자이너에게 형태는 단순히 물리적인 것을 넘어서 미적,심리적,기호적,언어적 측면도 포함하는 것이다.또한,공간에서 관찰자는 마주한 작품을 통해서 시각적 으로 전달된 모든 정보들을 통합하여 몇 개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단순화시키며 구조화하여 평가한다. 1935년 런던 전시회13)에서 밝힌 오브제의 정의는 런던 초현실주의 전시회와 같은 시기 뉴욕 환상예술,다다,초현실주의 전시회에서 오브제 예술의 객관적인 전망으로 오브제의 표현특성을 정의하고 분류하였다. 1.런던과 뉴욕 전시회에서 밝힌 오브제의 정의14) 가.자연의 오브제 광물,식물,동물 등 자연에서 습득할 수 있는 오브제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 속의 사물 모두는 우리의 시각에 놓이거나 우리감각에 작용하면서 하나의 오브제가 된다.우리는 자연의 오브제를 통해 기원이나 법칙 등을 유추할 수 있으 며,계산된 영역에 놓이지 않으며 위치변경의 오브제를 바라보는 관찰자에 따라서 어떠한 주의나 학설도 가능하다.인공 오브제와 비교할 때 자연의 오브제는 확정 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자연이 창조해낸 자연의 오브제는 미학 또는 예술학 적 판단은 관찰자의 주관적인 태도에 달려 있는 것이다.따라서 자연의 오브제는 자유로운 표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또한 자연의 오브제는 어떤 도구나 물리적 인 힘을 가해서 의미의 중점을 두고 작가의 주관에 의해서 물체를 재해석 하고 가공하기도 한다.가령 일상의 오브제인 나무뿌리를 조금 변형하여 옆으로 놓는다 면 우리가 알고 있는 나무뿌리가 아닌 전혀 새로운 물체로 보이게 된다. 나.미개인의 오브제 부적,주술적 물체 등으로 예언적 성질과 그것의 이미지 연상을 통하여 원시종 교사상을 표현한다.마음의 상태나 의식을 치르는 것과 같은 시각적 감각을 보여 줄 수 있다.
다.발견된 오브제 일상의 삶으로부터 체험되어진 오브제로서 작가의 개념과 관념을 부여하여 주 위를 끌 수 있는 예술성을 지닌 오브제를 말한다.산업적 맥락에서 일상의 오브제 로 만들어진 것이다.완결된 재료와 표준화된 일정의 형태 등을 갖추고 있어 주관 적인 해석을 벗어나 사회적 소재로 다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작가는 너무나 잘 알려진 일상의 오브제를 사용함으로서 고유의 개념 적인 존재를 작가 자신의 독창적인 개념과 관념을 부여하여 본래의 기능과 용도 보다는 오히려 대상의 새로운 조합이나 과장으로 주의를 끈다.이유는 일상의 소 비품이라는 매개물은 일반대중에게 가장 인기 있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 이다. 라.해석된 오브제 자연물을 숙련된 기술에 의해 가공하여 특징보다는 의미와 놓여진 공간에 중 점을 둔다.여기에서 나타나는 오브제는 자체로서의 특별한 의미를 지니기 보다는 작가의 조형의지와 결합됨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게 되어 회화적 이미지로 놓여진 공간에 의해 상징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해석된 오브제는 예술이라는 특 정한 제도를 전제로 한 상징적 행위를 말한다.더구나 예술과 삶의 관계를 대립적 으로 반영하면 오브제의 상징성이 더욱 강조될 수 있다. 마.움직이는 오브제 회전바퀴 등 동력을 이용한 인위적으로 만든 작품자체가 오브제가 되는 것이 다.이는 고전적 해석을 버리고 오브제를 둘러싸고 발생되는 의미생산에 권한을 맡기고 그 범위 안에서 가장 가깝게 작가의 의도를 반영하려고 한다. 움직이는 오브제는 각본에 짜여 진 연극적 구경거리,시각적 요소로 존재하면 서 연극적 구성과 표현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키네틱아트 (KineticArt)나 모빌아트(MobilArt)등으로 발전으로 이어졌다.키네틱아트나 모 빌아트에서의 조형양식은 과학과 논리,회화,조각,디자인의 요소들이 결합된 형 태의 오브제 예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아이디어에 전착하는 관념 주의적 오브제 경향에 가까운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바.수학적인 오브제 수학공식,원리,정의 등을 이용하여 형상의 물질적 대상만으로 바라보지 않고 기존관념을 뒤엎은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며 오브제는 곧 아이디어라는 전제와 함께 작품제작에 따르는 사고과정부터 제작과정,변모과정 그리고 실제 작품이 제 시 되었을 때 시간․공간상의 문제나 작품에 대한 관객 체험까지 포함시키고 있 다. 사.기성품의 오브제 실용을 목적으로 작가의 관념을 부여한 오브제이다.현대미술에서 즉물적 오브 제의 사용 확대로 직관적이고 감성위주의 제작태도를 가진 물질 중심표현으로 현 실적인 대상의 변경을 통해 물질에 대한 외형만을 중심에 두지 않고 기존 관념을 뒤엎을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는 표현으로 작가가 선택한 아이디어로 평가한다. 아.재해의 오브제 불에 타서 예상 불가능한 초조형적인 변형의 오브제이다.형태에 대한 미학적 견지를 바탕으로 어떻게 표현 할 것인가 보다는 무엇을 추구하고 있는지에 관심 을 집중시켜 반 형식의 과정미술,행위미술 그리고 대지미술 등으로 그 표현영역 이 확대되었다. 자.상징기능의 오브제 억압된 욕망의 잠재의식을 표현한 오브제이다.개념미술에서는 즉물적 오브제 대신 제작과정에 대한 형식의 채택으로 기록,사진,지도,필름,비디오,텍스트 등 이 제시되며 공간 속에 담길 내용의 변화로 이론에 대한 분석,과학실험,문학적 은유법을 해석하여 작품의 명제로 삼았다.개인적 이야기의 작품화,언어,데이터 의 회화적 적용 등은 타인과의 정보 공유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2.살바도르 달리의 오브제 정의15) 1931년 브르통(AndreBreton)의 논문 중 매달린 공 제 3호에서 밝힌 달리의 여 섯 가지 오브제 정의이다.초현실주의에서는 오브제를 원시 종교적 주술용품이나 자연물로 차용하기 시작했다.인간에 실제 삶 속에서 특수한 의미로 사용되었던 물체를 인간의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적 욕망이나 상징을 환상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하나의 시․지각적 장치로 오브제를 이용한 것이다.초현실주의는 보다 체계화된 무의식과 환상과 꿈의 세계로서 의식에 속박되지 않는 인간정신의 자유를 추구 하였으며,고정관념 속의 일상적인 현실세계에서 인간정신의 해방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가.상징적 기능의 오브제 자동작용에서 연유된 오브제이다.이론적 기반은 프로이드(S.Freud)의 정신분 석학이며,프로이드의 학설을 실천적 영역으로 해석하여 발전시킨 앙드레 브르통 (Andre Breton)에 의해 제기되었다.이런 초현실주의 작품은 구체적인 대상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찌그러트리거나 흘러내리는 형상으로 변형시켜 원래 형상에 흔적을 남겨 놓아 그 대상의 원래의 모습을 확실하게 암시하지만 그 형태 는 전혀 다른 현실세계에서 보기 힘든 완전히 다른 무공간적인 표현(색다른 화면 으로 보여 지는 형태)으로 변형된다.
1.서 론 1.1.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입체파에서 ‘오브제(object)’는 매우 광범위 하였지만,현대미술에서 ‘오브제’는 공간을 독창적인 시각으로 표현한다.현대 미술에서 오브제 작품의 일관적 주제는 고정관념에 대한 파격적인 일탈에 대한 것이다.두 가지의 서로 다른 오브제를 형 태와 의미를 지닌 것들을 함께 전의 시키거나 병치함으로서 전혀 다른 대상을 창 출하는 기법으로 하나의 대상에 이중적인 형상을 표현하거나 이중적인 연상이 가 능한 다의적인 표현을 하여 존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진화를 거듭하는 오 브제는 특히 그 중에서도 현대미술의 후반기 작품에서 충분히 실내디자인 입장에 서 조망 가능한 여러 흥미로운 공간들을 제시 하고 있다.미술에서 오브제 작품과 공간들은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실현 불가능한 모순적인 공간이지만,오브제의 개 념과 대상 확장(재료,시간,공간)에 영향을 받아 물질적인 것,개념적인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인간의 공간 인지에 영향을 주는 확장된 경향을 보였다.오브제 공 간,오브제 작품 그리고 관람자를 결코 떼어 놓을 수 없는 필수조건으로 인식한 것이다.실재하는 실내디자인 공간에서도 충분히 참조할만하다는 점에서 미술에서 오브제 공간을 실내디자인 입장에서 조망하는 것은 충분히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 다.최근 실내디자인에서는 본래의 의미와 용도와는 상관없이 우리가 일상생활에 서 미처 경험해 보지 못한 탈정형적이고 보다 자유로운 공간구성을 시도하고 있 다. 이러한 흐름은 역사적 양식의 영향이나 건축디자인 방법론,공간구성 수법의 변화뿐만 아니라 타 학문분야의 다양한 이론들이 접목되어 더욱 다원화되고 복잡 한 양상의 공간으로 표출되고 있다.실내디자인에서 보이는 이러한 다양한 공간의 표현양상에 대한 연구는 여러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실 내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경향 중 하나인 오브제 표현에 주목하여 접근함으로서 최근 실내디자인에 표출되는 표현에 다양성에 따른 변화 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배경 이다.미술과 회화에서 오브제 는 평면을 초월하고,건축적 규모로 확대되었다.건축에서는 조형적 요소가 강조 되는 현상을 보이며,실내디자인에서도 상황에 순응하여 변화를 가져왔다.20세기 의 독특한 미술사의 하나인 오브제 출현도 실내디자인에 나타난다. 실내자인에서 오브제의 표현에 주목하는 이유는 실내디자인 요소를 철저하게 분리시키는 비효율적인 현상이 보이는 동시에,이러한 요소적부분이 실내디자인 전체 즉,공간이 갖는 체계와 대립적이면서도 상존하는 상태로 보이기 때문이다. 실내디자인과 미술의 만남은 공간예술로서의 예술적 움직임을 자극하게 되었고 광고와 미디어에 의해 부추겨지는 소비사회로의 변모에서 공간 속의 오브제는 본 래의 의미와 용도와는 상관없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미처 경험해 보지 못한 또 다른 물체성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상업적인 용도의 실내디자인은 유 행적,소비적 성격으로 비교적 소규모의 프로젝트가 많다는 점 등에서 실험적인 시도와 모색이 용이하다고 하겠다.실내디자인에서 이러한 오브제의 경향은 시각 적 새로움을 갈망하는 현대인에게 시각적 만족감을 주며,미술에서의 오브제와는 달리 예술적 의미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을 지닌 물체로 작용 하며,건축이나 조각과는 달리 매스가 존재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실내디자인에 서는 각 공간의 구성요소들이 분산되어 나타난다.이러한 시도의 하나로 공간에서 순수미술의 오브제 요소를 공간요구에 맞게 도입하여 독자적인 디자인 언어로 사 용하고 있는 것이 실내디자인의 큰 흐름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오브제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체계로 이해하고자 한다.미술에서 오브제의 미학적 논의과정을 상세히 고찰함으로서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논의가 어떠한 조건 위에서 가능한 것인지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정승혜,2005)는 공간을 지각하는 요소로 색채를 선택하고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바닥,천정,벽의 요소를 구성하고 있는 오브제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오브제의 범위는 공간적 오브제(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 및 칸막이,계단 등등 내부 에 설치된 조명요소 까지 설정)하였다.노상완(2001)은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적 요소를 물적 대상과 추상적 이미지로 나누면서 물적 대상에는 인체,동물과 식물 로 표현한 직접적인 오브제와 추상적 이미지는 유추대상이 되는 암시적인 오브제 로 표현방법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있다.실내디자인의 오브제가 근본의도로부 터 공간 내에 어떻게 구성요소로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감성요소,재료 가 공 기법의 발전 등으로 공간내의 오브제적 요소는 논리적이기 보다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어진다고 말하고 있다.또한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이 만나는 부분 에서(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홀,로비 홀,계단 등)목적 공간으로의 동선분화가 이 루어지는 곳에 오브제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정의하고 있다.(이상 효,2003)는 오브제란 감성적 개념으로 보고 오브제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탐구 하였다.가구,계단,화장실 등은 시각적으로 강조되고 구조로부터 자유롭기 때문 에 배경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눈에 파악되는 기능적 볼륨이라고 정의 했다.오브제는 공간 내에서 시각적 반응을 일으키며,오브제의 형태적 의미도 변 화하여 내부공간에서 움직임이 생성되게 한다고 말한다.(강유진,1998)는 오브제 를 두 가지로 분석하였다.기능적 오브제(형태를 유발하는 오브제,공간을 분할하 는 오브제,장소성을 알리는 오브제)와 시각적 오브제(사물을 재현한 오브제,상징 적 오브제)로 분류 하였다.시각적 오브제는 사물의 형태를 충실히 재현한 것이고 또한,형태가 아닌 추상성과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였다.기능적 오브제는 순수미술의 오브제와는 달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브제가 한 공간에서 칸막이,의자,교육기능 등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김내리, 2004)공간형성의 중요 인자인 오브제 표현을 현상학적 공간 접근에 근거하여 표현 유형을 구조화 하였다.공간에 대한 지각은 우리의 몸을 통해 인지되는 것을 강조 하면서 우리는 매우 동적인 존재이며,사물(오브제)역시 고정된,객관화된 실체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몸,장소,상황 등을 제시 하며 접근하였다. (구상,2000)은 실내에 나타난 오브제는 디자인 개념에서 유래하지 않으며,오 브제는 유동적인 모습으로 평가 자체를 어렵게 하지만 공간에서 경계를 넘어선 극단적인 입장인 하위문화,기저문화로 오브제의 변형을 통해 의미를 파열시키고 재조직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오브제의 유형은 4가지로 의미론적 해체,재료 에 의한 형식에 해체,은유와 표현방식에 해체,기존관념의 해체로 정의하고 있다. (이찬,2001)오브제라는 새로운 개념은 현대 디자인 전개에 결정적인 역할로 예술 의 영역을 확장시키는데 기여 하였으며,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적 요소는 공간을 지배하는 요소로 작용하며,디자이너와 관찰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언어 로 오브제는 공간에서 매개적 요소로 정의하였다.오브제는 상징적 요소,공간의 장치적 요소,비물질적인 요소,색채 등으로 연속성,비연속성,스크린화,비움,공 간의 다층성,비경계성을 갖는 것으로 정의하였다.(심은주,2006)는 예술품으로서 의 오브제,구축요소로서의 오브제,조형요소로서의 오브제로 오브제를 3가지로 분류하였다.(박민찬,2004)는 가구에 나타난 오브제적 표현들은 기능적 가구의 조 형적 한계를 극복하고 가구의 미적 기준을 확대시키는 기능을 했다.오브제는 가 구의 표면에서 창조적 영역확대의 수단을 갖는다.홍승욱(2000),강세경(1998),김 도훈(2000),김윤아(2005),음상호(2004)등은 특정 공간이나 부재를 중심으로 분류 한 논문들이었으며,이상효(2003)는 건축적 오브제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강조되고 구조로부터 자립되어있는 점을 강조 하면서 오브제가 내부에서 관찰자에게 편심 을 일으키는 구성요소로 변이하면서 내부공간을 해체하며,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고 했다.오브제에 관련한 논문은 상당수에 이르며 서로 다른 관점과 어휘를 사용 하고 있다.본 연구에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적 공간구성 표현을 체계적으 로 정리한 자료로 경쟁력을 지니게 될 것이며,실내디자인과 관련된 교육계와 학 계에서 가교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1.2.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1.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오브제를 이해하기 위해 미술에서 오브제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온 사례들을 정리하고,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의 일반적인 의미와 역할 그리고 시대에 따 라 변화되어온 표현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이론적 배경 을 고찰하기 위하여 오브제의 정의와 표현방법,발생과 전개를 살펴보고 미술사 조,건축사조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의 사례와 오브제의 특성을 분류하였다.최근 10년 간 실내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실제 사례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최근 나타나고 있는 실내디자인의 표현특성을 파 악함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국내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을 체계적인 분류방법 기준에 의한 대표 표현특성을 분류,선정하고 각 측면 에 대한 표현특성을 파악하여 실내디자인의 오브제 표현특성을 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1.문헌고찰을 통해 발취된 오브제에 관하여 미술과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정의와 의미,발생과 전개를 살펴보고 미술사조와 실내사조에 나타나는 오브제의 간략한 사례와 오브제의 표현특성들을 분류하였다. 2.미술작품과 실내작품을 중심으로 오브제의 분류에 따른 기법의 표현특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3.최근 실내디자인의 사례를 연구하여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결론제시의 목적이 있다. 4.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표현 특성의 통합적 모델을 구축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른 본 연구의 독창성은 다음과 같다. 1.오브제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는 런던전시회,뉴욕전시회1),달리2)의 언급을 하나의 틀로 노출하여 사용 하였다. 2.기존의 많은 문헌들에서 오브제를 언급을 하고 있으나,저자의 관점에서 특 정부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공간구성 표현특성을 종합하여 총체적으로 언급하였다.
3.기존 문헌에서 오브제의 특성을 언급함과 동시에 사례와 사진을 제시하고 있으나,문헌에 모두 언급하고 있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포괄적인 예제를 찾는 것은 독자의 몫으로 남겨져 있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문헌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하나의 체계적인 틀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된 틀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국내 오브제 표현특성의 시각적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변화의 방향을 예측한다. 가.국내사례를 제시된 틀에 의거하여 분석 나.오브제의 표현특성 제시 다.오브제 표현의 관계제시 라.표현특성의 통합적 모델 구축제시 1.2.2.연구의 의의 앞에서 제시한 연구의 목적 및 독창성에 따라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오브제에 대한 기존 문헌에서는 저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부분적으로 정 리되어 있으나,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재되어 있는 오브제표현특성을 종합적으 로 분류 및 체계화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분류된 오브제표현특성을 설정된 다각도의 틀을 통해 재분류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셋째,대부분 기존 문헌에서 순수미술에서 오브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 것 에 비해,본 연구에서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총체적으 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넷째,본 연구의 사례분석의 단계에서는 가급적 많은 오브제표현특성들을 제시 하고자 하였으며,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표현을 접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1.3.선행연구에 나타난 오브제 논의 및 표현특성 (정승혜,2005)는 공간을 지각하는 요소로 색채를 선택하고 공간을 구성하고 있 는 바닥,천정,벽의 요소와 오브제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오브제의 범위는 공간 적 오브제(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 및 칸막이,계단 등등 내부에 설치된 조명요소 까지 설정)하였다.(노상완,2001)은 실내디자인의 오브제가 근본의도로 부터 공간 내에 어떻게 구성요소로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감성요소,재료 가공 기법의 발전 등으로 공간내의 오브제적 요소는 논리적이기 보다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어진다고 말하고 있다.또한 수평동선과 수직 동선이 만나는 부분 에서(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홀,로비 홀,계단 등)목적 공간으로의 동선분화가 이 루어지는 곳에 오브제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정의하고 있다.(이상 효,2003)는 오브제란 감성적 개념으로 보고 오브제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탐구 하였다.가구,계단,화장실 등은 시각적으로 강조되고 구조로부터 자유롭기 때문 에 배경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눈에 파악되는 기능적 볼륨이라고 정의 했다.오브제는 공간 내에서 시각적 반응을 일으키며,오브제의 형태적 의미도 변 화하여 내부공간에서 움직임이 생성되게 한다고 말한다.(강유진,1998)는 오브제 를 두 가지로 분석하였다.기능적 오브제(형태를 유발하는 오브제,공간을 분할하 는 오브제,장소성을 알리는 오브제)와 시각적 오브제(사물을 재현한 오브제,상징 적 오브제)로 분류하였다.시각적 오브제는 사물의 형태를 충실히 재현한 것이고 또한,형태가 아닌 추상성과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였다.기능적 오브제는 순수미술의 오브제와는 달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브제가 한 공간에서 칸막이,의자,교육기능 등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김내리, 2004)공간형성의 중요 인자인 오브제 표현을 현상학적 공간 접근에 근거하여 표현 유형을 구조화 하였다.공간에 대한 지각은 우리의 몸을 통해 인지되는 것을 강조 하면서 우리는 매우 동적인 존재이며,사물(오브제)역시 고정된,객관화된 실체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몸,장소,상황 등을 제시 하며 접근하였다.(구상,2000)는 실 내에 나타난 오브제는 디자인 개념에서 유래하지 않으며,오브제는 유동적인 모습 으로 평가 자체를 어렵게 하지만 공간에서 경계를 넘어선 극단적인 입장인 하위 문화,기저문화로 오브제의 변형을 통해 의미를 파열시키고 재조직하는 것으로 정 의하고 있다.오브제의 유형은 4가지로 의미론적 해체,재료에 의한 형식에 해체, 은유와 표현방식의 해체,기존관념의 해체로 정의하고 있다.(이찬,2001)은 오브제 라는 새로운 개념은 현대디자인 전개에 결정적인 역할로 예술의 영역을 확장시키 는데 기여 하였으며,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적 요소는 공간을 지배하는 요소로 작 용하며,디자이너와 관찰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언어로 오브제는 공간에 서 매개적 요소로 정의 하였다.오브제는 상징적 요소,공간의 장치적 요소,비물 질적인 요소,색채 등으로 연속성,비연속성,스크린화,비움,공간의 다층성,비경 계성을 갖는 것으로 정의 하였다.(심은주,2006)는 예술품으로서의 오브제,구축요 소로서의 오브제,조형요소로서의 오브제로 오브제를 3가지로 분류하였다.(박민 찬,2004)는 가구에 나타난 오브제적 표현들은 기능적 가구의 조형적 한계를 극복 하고 가구의 미적 기준을 확대시키는 기능을 했다.오브제는 가구의 표면에서 창 조적 영역확대의 수단을 갖는다. 1.선행연구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방법 가.형태 디자이너들은 어떻게 단편적인 정보와 필요조건,목적에 대한 가정들만 가지고 디자인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에서 갑자기 디자인 형태를 고안해 낼 수 있을까?글 렌터(MarkGelernter,1996)3)는 형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형태는 의도된 기능에 의해 결정된다. ■형태는 창조적 상상력 안에서 생성된다. ■형태는 우세한 시대정신에 의해 형성된다. ■형태는 특정한 디자이너,문화,기후를 초월한 연속적인 형태원리에서 도출
형태는 특정한 개인의 능력이나 통찰력과 관계없이 만들어 질 수 있고 형태의 근원이 디자이너의 마음속에 있다고 주장 한다.이 견해에 따르면,디자이너의 내 부에서 능동적으로 만들어진다.특별한 형태는 개인의 관점과 경험,내적정서,통 찰력,기호에 의해 만들어 진다는 것이다. 루이스 칸은 형태는 ‘무엇’에 관한 것이며,디자인은 ‘어떻게’에 관한 것이다.4) 라고 말했다.칸이 말하는 형태는 비개인적인 것으로 디자인은 환경적인 것이며 형태는 환경적 조건과 관계없다고 하였다. 순수미술에서 형태는 미니멀아트, 팝아트 이후 작품의 공통된 특징은 상하좌우가 없으며 모듈적 방식과 연속적 방식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같은 단위적 형태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거나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가르쳐 반복성과 계열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예술의 이러한 경향은 작품 의 구성요소 보다는 작품을 둘러싼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그 린버그에 의하면 인상주의부터 시작 하여 후기 인상주의,큐비즘,추상표 현주의,색채추상을 거쳐 발전해 나 간 것이다.대표적인 팝아트 작가 앤디 워홀은 코카콜라병,깡통,마를린 먼로 등 대중적 이미지를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규칙적으로 반복 시켰다.이는 그 자체로 완결상태가 아니라 유기적 연결체로서 의미를 갖는 것이다.도날드 져드는 “하나 뒤에는 다른 것이 뒤따르면서 연속되는 단순한 순서(onethingafteranother)" 즉,예술의 자율성은 강조하기 위한 기법 중 하나였던 것이다.
나.공간구성 개별적인 개체가 모든 다른 개체들과 갖는 일련의 밀접하고 상호의존적인 관 계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5)의로 공간구성을 빌힐리어는 정의 했다.이는 공간 형태 와 동의적인 의미로 해석된다.공간과 공간의 연결과 단절의 양상을 개구부를 통 한 출입과 시각의 측면을 통해 파악하여 건축물의 공간구조(공간구성)을 정의 한 다.이것은 단위공간들이 모여 일정한 구조로 형성되는 과정 속에서 그 건축물이 나 공간 내에 내제된 이념 또는 특성에 대한 고찰이 가능하다는 이론이다.공간구 성의 특성을 계산하는 기본적인 개념을 깊이로 일반적인 물리적 개념과 달리 특 정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때 거치게 되는 최소한의 공간 수를 의미한다. 공간구성에 있어서 공간의 자유로운 흐름 내외부공간의 상호관입으로 인한 개 방성 있는 공간의 창출은 3차원적 투시도 기법을 탈피하고 시간의 개념이 도입 되면서 동적이고 4차원적인 반 투시도법의 공간개념이다. 다.장식요소 3차원적인 회화의 표현을 전형적인 평면회화로부터 공간적 회화로 완전 분리 시켰다.말레비치에 따르면 공간적인 차원은 이전의 표면적 구성(composition)을 입체적 구축(construction)으로 전환시킨 것이다.모든 조형예술의 목적이 미의 창 출에 있고 미는 여러 요소들의 결합 속에서 숨겨진 수단에 의해 대상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과거 고전건축시대의 장식의 상징성을 살펴보면 어떤 동기 를 갖는데 예를 들어 제사에 관련된 행위 신체의 일부 등을 상징했다.미와 장식 을 어떤 대상으로 나타나는지 상관없이 모든 부분들 사이의 조화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각 부분들은 비례와 연결 상태로 결합되어서 시각적 만족에 도달할 수 있 게 된다.장식은 모든 공간 내에 필요한 것이며 이를 보안해 주어 시각적 아름다 움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라.개념 개념은 디자이너 고유의 사고방식으로 철학적 사고로 표현되는 디자인언어라 고 정의할 수 있다.특히 개념은 디자이너가 실행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있어서 형 태를 부여하는 기초가 되기도 하며 동시에 해결해야하는 수많은 경우의 상황과 조건들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디자이너는 적절한 개념을 프로세스가 진행되기 이 전에 디자이너의 사고체계 안에서 가장 최초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해 주게 된다.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디자인 개념을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개 념에 가장 부합하는 시각적인 표현을 만들어 내는 행위라고 할 수 이다.디자인에 서 개념이란 인공물에 관련된 지적 활동으로 문제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계획 그리고 사고를 체계화하여 실행하는 것 이다. 마.표현방법 표현 하고자하는 대상의 의미를 알고 있는 다른 대상의 모습에 빗대어 표현하 는 방법으로 작가의 의도나 정서를 더 인상 깊고 강하게 드러내기 위해 단조로움 을 피하고 신선함을 주기 위해 변화를 주는 방법이다. 바.관점 경험에 의해 형성된 기억,이미지,스키마6)등의 심적표상 (mentalrepresentation) 으로 인간이 환경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며 상호관계를 조절 할 수 있는 역 할이다.공유공간의 형성,연속성 및 공간적 깊이를 지각함으로서 두 공간사이의 명확한 크기나 차이를 지각하고,상호연결 한다.작품을 작가 중심으로 바라보는 것,현실반영으로 보는 것,관찰자의 수용 양상으로 보는 것 등이 있으며,작품이 어떤 요소에서 유발 되었는가를 설명하는 방법이다.
2.선행연구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적 공간구성 표현을 분석하기 위해,우 선 문헌고찰을 통해 조사,분류하고,이를 다시 재분류하여,도식화하면 와 같다.
가.내부(바닥,천정,벽)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성격에 따라 바닥,천정,벽 등이 될 수 있으며 동선유도,공간을 분할하는 축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공간의 장소성을 나타내는 의미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호수진,2001).1980년대를 전후로 형태와 질서,기본을 해체하려는 새로운 디자인 방향이 모색되면서 네오모더니즘이 등장하였다(전영미, 1994).네오모더니즘의 실내디자인 요소는 일정범주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비정형 형태로 설계되었고,구조의 각도들의 예각,사선들의 교차로 긴장감을 유발시키는 등 특징을 나타내며,표면도 불규칙한 곡선,스케일 변형,비정형 구성으로 역동성 을 표현 하였다.미니멀리즘 실내디자인 요소에서는 최소한의 조형수단과 표현으 로 디자이너의 감정표현을 극도로 배제하여 순수하고 무표정한 오브제의 반복이 특징이었다.실내디자인을 형성하는 요소인 바닥,천정,벽 등은 시각적이고 장식 적인 모든 요소가 삭제되고,거주자의 개성과 욕망이 오브제에 의해 표현되어 실 내디자인의 분위기를 좌우하였다(전영미,1994) 바닥은 고저차가 가능하므로 공간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고저차가 없는 기 준 바닥 면은 바닥의 색,질감이나 마감재로 변화를 주거나 다른 면보다 강조할 수 있다.기준 바닥 면보다 높이거나 낮게 하면 공간의 흐름을 방해 하거나 그 범 위를 한정시켜 영역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고저의 정도에 따라 시간적 연속성도 조정될 수 있다. 벽은 공간을 에워싸는 수직적인 요소로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과 벽면에 높이에 따라 공간의 수직적 범위를 시각적으로 설정한다.바닥에 대한 직각적인 벽은 공간요소 중 가장 눈에 띄기 쉬운 요소이다.따라서 시각적 대상물이 되거나 공간의 초점요소가 되기도 한다.공간을 둘러싸고 많은 면적을 차지하므로 그 분위기가 조절된다.그리고 가구,조명 등 실내에 놓여지는 설치물 에 대해 배경적 요소이기도 하며,벽으로 둘러싸임으로서 공간은 그 형태를 명확 히 하므로 벽은 윤곽적 요소이기도 하다. 천정은 바닥 면과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적 요소로서 바닥과 천정 사이에 있는 내부 공간을 규정한다. 천정은 시각적 흐름이 최종적으로 멈추는 곳이기에 지각의 느낌에 영향을 미친다.또한 내부공간의 어느 요소보다도 조형적으로 가장 자유롭다. 천정을 낮추면 영역구분이 가능해지며 친근해지고,아늑한 공간이 된다.
〈그림 4-18〉과 같은 화염전파시험기는 원래 선박용 격벽, 반자, 갑 판, 바닥의 마감재에 대해 화재시험을 시험기로써 일정한 가열세기의 복사열류량에 재료를 노출시켰을 때 발생하는 연소현상을 착화열, 연소 지속열, 소화시의 임계 복사열류량, 방출열 등으로 측정하여 재료의 표 면가연 성능을 지연성(Low flame spread)의 적합여부를 판정하는 시험 기이다. 화염전파 시험기는 〈그림 4-19〉와 같이 방열판(복사패널)을 시편과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시편의 위치에 따라 다른 복사열(55 ㎾/㎡∼ 1.5 ㎾/㎡)을 받는 조건에서 시험하도록 개발되었으며 복사패널, 시편 지지용 flame-work, 불꽃점화장치,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4),25)
장비를 설정한 후 채취한 시료를 시험체에 설치하여, 착화시간, 화염 전파 거리, 최종 소화 및 시험체 연소시의 방출열 표시하는 굴뚝 열전 대 신호값을 측정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복사 패널의 열로부터 떨어진 냉각된 시험체 홀더 속에 삽입하기 전에 알루미늄 포일로 싸고, 시험체 홀더 속에 삽입할 때 각 시험체는 불연성 판을 뒷면에 대어 플렌지로 누른다. 시험체 홀더 내의 조정판은 복사 패널과 대면하는 위치로 설치 하고 설비의 배기가스 시설을 작동시킨다. 복사패널과 굴뚝 신호값이 평형을 유지하면, 파일럿 불꽃을 점화하여 연료의 유량으로 불꽃 길이 를 조절하고서 신호값을 관찰하여 굴뚝 신호값이 연속적으로 안정되는 가를 확인한다. 신호값이 안정값에 도달한 후 조정판 홀더를 제거하고, 10초(s) 이내에 시험체를 시험 위치에 삽입하여 즉시 시계와 크로노그 래프 양쪽 모두를 작동시킨다. 시험체의 길이 방향 중앙선과 철자의 중첩하는 2개의 핀이 교차하는 각 지점에 화염 선단이 도착하는 시간을 기록한다. 이 시간은 크로노그 래프 도표상의 측정값과 시계의 관측값 양쪽 모두에 의해 수동으로 기 록한다. 가능한 한 불꽃 선단이 시험체의 각 50 ㎜ 지점에 도달하는 것 이 기록되어야 한다. 불꽃 연소의 진행이 종결되는 시험체의 위치 및 시간을 기록한다. 굴뚝 열전대의 출력 신호값을 기록하는 밀리볼트(mV) 기록계를 시험 기간 동안 및 시험 종료 시까지 작동시켜 기록한다. 5) 4.3.2 시험결과 및 고찰 가. 착화시간 및 연소 길이 화염전파성 시험기의 조정판 홀더를 제거하고 시험체를 시험 위치에 삽입하자 〈표 4-9〉와 같이 일반 폼블럭은 1∼2초(s) 사이에 착화되었 고, 난연 폼블럭은 3∼5초(s) 사이에 격렬하게 착화되기 시작하였다.
시험 초기에는 불꽃점화장치와 시편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워 급 속하게 착화되었으며 이후에는 서서히 시편의 길이 800 ㎜까지 모두 연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콘칼로리미터시험의 경우 콘히터에 설정된 복사열이 시험이 종료될 시점까지 일정하게 종료되지만, 화염전파 시험 기의 경우 화염이 진행되면서 시편이 받고 있는 복사열이 감소하므로, 시편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반 폼블럭 및 난연 폼블럭 모두 시험 시작과 동시에 화염전파 속도가 빠르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결과가 나 타난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4-20〉,〈그림 4-21〉에는 일반 폼블럭의 연소속도와 시간 경과에 따른 도달거리를 나타내었으며 〈그림 4-22〉, 〈그림 4-23〉에는 난연 폼블럭의 연소속도와 시간 경과에 따른 도달 거리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면 일반 폼블럭 및 난연 폼블 럭 모두 벽체 전체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라면 불과 수 초(s) 이내에 실 내 공간 전체로 연소가 진행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 연소시험 경과시간 일반 폼블럭과 난연 폼블럭의 연소시험 경과시간은〈표 4-10〉과 같다.
800×150× 8(단위 : ㎜) 크기의 일반 폼블럭 시편이 모두 연소할 때 까지의 경과시간은 629초, 782초, 483초로 평균 631.3초(s)로 나타났으 며, 800×149×8.1(단위 : ㎜) 크기의 난연 폼블럭 시편이 모두 연소할 때까지의 경과시간은 796초, 678초, 722초로 평균 732초(s)로 나타났다. 일반 폼블럭과 난연 폼블럭이 서로 100초(s) 가량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난연 폼블럭이 난연에 미미한 효과가 있는 난연PE폼을 가미하였 음을 예측할 수 있으나, 이것이 건축법상에서 난연 조건을 충족하였다 고는 볼 수 없다. 2) 다. 연소 지속열과 평균 연소 지속열(Qsb, MJ/㎡) 연소 지속열은 시험체의 최초 노출로부터 불꽃 선단이 각 지점에 도 달할 때까지의 시간과 그와 동일한 지점에서 불연성 교정판에 대응하여 투시된 복사 열류량을 곱한 값을 말하며, 평균 연소 지속열은 연소 지 속열에 의해 각기 다른 위치한 특성값의 평균으로, 처음 150 ㎜ 지점에 서 최종 지점 또는 400 ㎜ 지점 사이까지 50 ㎜ 간격으로 연속된 지점 특성값 중 더 낮은 값을 말한다. 시험결과는 〈표 4-11〉과 같다. 연소 지속열은 작을수록 그만큼 작은 복사열원에도 연소를 지속한다는 의미 이기 때문에 따라서 값이 클수록 난연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7)
시험결과에서 보듯 일반 폼블럭, 난연 폼블럭 모두 시편의 연소에는 작은 열량으로도 연소가 지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 폼블럭의 3개 시편의 평균 연소 지속열은 0.253 MJ/㎡이며, 난연 폼블럭의 3개 시편 평균 연소 지속열은 0.295 MJ/㎡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 며, 이는 폼블럭 자체가 열에 매우 취약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라. 전체 방출열 및 최고 열방출률(㎾/㎡) 총 방출열량은 시험시간 중 측정된 열방출률을 시간에 따라 적분한 값으로써 화염이 꺼지기 않고 오랜 시간 지속될수록 값이 크게 나타나 므로 상대적으로 난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된다. 27) 시험기간 동안의 전 체 방출열은 〈표 4-12〉와 같다.
콘칼로리미터시험에서는 일반 폼블럭은 평균 12 MJ, 난연 폼블럭은 12.8 MJ의 전체 방출열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시편의 크 기와 시험 복사열의 차이라 판단된다. 일반 폼블럭의 시편 3개중에서 최대 4.038 ㎾/㎡, 최소 3.800 ㎾/㎡의 최대 열방출률을 나타냈으며, 시험 시작 후 평균 36초(s)에 최고 열방출 률을 나타냈으며 난연 폼블럭은 최대 3.977 ㎾/㎡, 최소 3.481 ㎾/㎡을 나타냈고 시험 시작 후 평균 47초(s)에서 최고 열방출률을 나타낸 것으 로 보아 폼블럭은 1분(m) 이내에 최고 열방출률을 나타냄을 알 수 있 다. 콘칼로리미터시험에서는 일반 폼블럭은 평균 258.02 ㎾/㎡, 난연 폼블 럭은 265.39 ㎾/㎡의 최고 열방출률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 또한 시편의 크기와 시험 복사열의 차이라 판단된다. 시험 기간 동안의 열 방출의 최대값은 〈표 4-13〉과 〈그림 4-24〉, 〈그림 4-25〉와 같다.
마. 소화시 임계열류량 연소하는 시험체의 중심선상에서 가장 멀리까지 화염이 전파되어 정 지한 위치에서의 열류량을 소화시 임계열류량이라 하는데 시험 데이터 값은〈표 4-14〉와 같다.
임계열유량은 표면에서 화염전파가 진행을 멈추고 화염이 꺼진 지점 의 입사 열류량으로써, IMO.2010FRT code Part 5의 화염전파성시험 성 능기준≥20과 비교해 보면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소화시 임계열류량의 결과값이 클수록 화염이 멀리까지 전파되지 못하고 소멸하였음을 의미 하므로, 값이 클수록 난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27) 본 시험에서는 시편의 마지막까지 계속 연소가 진행되었으므로 소화 시 임계열류량 분석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바. 화염전파성시험(IMO. 2010 FRT code Part5)의 성능기준 비교 우리나라 「건축법」에서는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의 화재안전성 등급을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나 선박 내 장재에 대해서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인명안전협약(SOLAS)에 따라 화 염전파가 느린 특성이 요구되는 재료에 대해서 화염전파성 시험결과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27), 28)
화재로부터 안전이 중요한 건축물 및 선박의 구조재 및 내장재에 대 해서는 각 재료가 화재시 어떠한 거동을 보이는지 평가하기 위한 다양 한 화재시험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국제표준(ISO) 등으로 제정되어 있다. 선박의 격벽, 전장·벽체시험 성능기준과 일반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 는 실내마감재의 비교 의미가 없을 수 있으나 별도의 성능기준이 없고 화재안전성 향상을 위한 화염전파시험의 의미에서 〈표 4-15〉와 같이 비교하여 보았다. 평균 연소 지속열, 소화시 임계열류량, 방출총열량은 성능기준에 모두 미달되었으며, 최고 열방출률은 일반 폼블럭-1을 제외 하고는 모두 성능기준을 충족하였다. 29)
4.4 연기밀도시험 연기는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켜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화재에서 주 요 위험으로 간주된다.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켜 시야를 방해하는 이런 위협은 가스와 연무의 흡입 및 연기 미립자의 광 흡수로 인한 방향 감 각 상실을 초래한다. 이런 위협은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지만 대 개 별도의 절차로 여겨지고 있다. 연기 미립자는 광 흡수와 산란으로 인해 가시성을 낮춘다. 따라서 사람들은 화재시에 비상구 표지, 문 및 창을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어 화재안전성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 나이다. 30) 연기밀도를 측정하는 발연성시험은 내장재료의 연소 시에 방출되는 입상물질의 농도 또는 중량을 측정하는 시험으로써 여기서 농도는 유체 의 탁도를 광학적으로 표시 가능한 방법이 주를 이루는데 미국 ASTM E 662, 일본의 JIS A 1231, ISO TR 5924 등이 국제적으로 인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ASTM E 662의 기준에 맞춰 시험하 였다. 4.4.1 시험 개요 가. 시험재료 및 시편 본 시험에서 사용된 재료는 대형마트, 소셜-커머스, 인터넷 몰 등에서 판매되는 제품 중 일반 폼블럭 1종과 난연 폼블럭1종을 선정하였다. 시편의 크기는 3×3, +0, -0.03 in(76.2×76.2, +0, -0.8 ㎜×최대 1 in(25.4 ㎜)의 의도된 설치 두께의 크기여야 한다. 시험편의 개수는 각 3개를 준비하였다.
나. 시험장치 및 측정방법 광원과 광량 감지기 사이에 연기가 통과하는 공간을 두어 연기에 의 해서 차단되는 광투과율을 측정하는 연기밀도 시험 장치는 ASTM E 662에 적합한 자동변압기, 교류조절장치, 전압계, 전기압력, 모사판 및 점화기 등으로 구성된 〈그림 4-26〉과 같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 구원의 영국 FTT사의 NBS Smoke density chamber를 사용하였다.
연기 측정방법은 열 유속 가열 방향에 따라 수직시험 방법인 ASTM E 662 기준과 수평시험 방법인 ISO 5659 –2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 며 본 실험에서는 가염조건 방식으로 수직시험을 적용하여 시험하였 다. 31) 가. 연기밀도 시험 방법은 단열된 세라믹 튜브 내에 설치되어 있고, 복사 가열기와 마주하는 수직 시험편 중심부의 지름 1.5 in(38.1 ㎜) 부 분에서 평균 2.2 Btu/s·ft 2 (2.5 W/㎠)의 광도 수준(irradiance level)을 생성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전기로 가열한 복사 에너지원을 사용해 시험 한다. 공칭 3 in × 3 in(76.2 ㎜ × 76.2 ㎜)의 시험편을 2 9 /16 × 2 9 /16 (65.1 ㎜ × 65.1 ㎜) 크기의 면적이 노출되는 홀더 내에 장착한다. 홀더 는 최대 1 in(25.4 ㎜) 두께의 시험편을 수용할 수 있다. 이렇게 노출함 으로써 시험 시 비화염 조건이 구성된다. 나. 밀폐된 챔버 내에서 시험편을 화염 및 비화염 조건에 노출시킨다. 수직 광경로(light path)를 가진 측광계를 사용하여 연기의 축적에 따라 변화하는 광전송을 측정한다. 이와 동시에 측정된 광 투과도를 이용하 여 최대값에 도달하는 동안 생성된 연기의 특정 광학밀도를 계산한다. 4.4.2 시험결과 및 고찰 가. 연기밀도 평가방법 연기밀도(Ds, density of smoke) 평가방법은 연기상자의 형상으로부터 결정되는 상수 G값과 PM(Photo multiplier) 튜브에서 감지되는 투과율 T 및 필터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며 ASTM E 662 4.2.2항에 규정되어 있는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기밀도 Ds = 132 log 10 100/T T = 광선 투과율 132 = 연소챔버에 대하여 V/AL 로부터 유도된 인자 (V : 연소챔버의 부피, A : 연소챔버의 노출면적, L : 광선 경로의 길이) 최 대 값 Dm = 132 log 10 100/Tr Tr : 광선 투과율(maximum range) 보정 인자 Dc = 132 log 10 100/Tc Td : 광선 투과율(clear beam) 보 정 값 Ds = Dm – Dc
나. 재료별 연기밀도 등급 재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밀도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재료의 연기 밀도 등급을 재료별 또는 용도별로 분류하고 있다. 32) 그 연기밀도 등급 은〈표 4-16〉과 같고 「철도차량기술기준」의 내장판 등의 연기밀도 시 험기준33)은〈표 4-17〉와 같다.
다. 일반 폼블럭 시험결과 및 고찰 일반 폼블럭의 연기밀도 시험결과, 〈표 4-18〉과 〈그림 4-27〉과 같이 일반–1은 시험을 시작한지 731초에서 연기밀도 최대값 144.55가 나타났으며 일반–2는 684초, 154.77 그리고 일반–3은 782초, 136.45가 나 타났다. 이는 시험을 시작하고 평균 732초에 연기밀도 최대값 152.26가 측정되었다.
시편은 〈그림 4-28〉와 같이 모두 용융되었으며, 이는 「화재예방・소 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한 합판 등 방염대상재료의 연기밀도 Ds(최대) : 400 이하에는 충족된다.
라. 난연 폼블럭 시험결과 및 고찰 난연 폼블럭의 연기밀도 시험결과, 〈표 4-19〉와 〈그림 4-29〉와 같이 난연–1은 시험을 시작한지 575초에서 연기밀도 최대값 150.82가 나타났으며 난연-2는 727초, 132.13 그리고 난연–3은 539초, 151.68가 나타났다. 이는 시험을 시작하고 평균 613초에 연기밀도 최대값 144.88 가 측정되었다.
시편은 〈그림 4-30〉과 같이 모두 용융되었으며, 이는 「화재예방・소 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한 합판 등 방염대상재료의 연기밀도 Ds(최대) : 400 이하에는 충족된다.
4.5 방염시험 방염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은 연소방향, 연소방법 및 측정항목에 따라 결정된다. 연소방향은 불꽃을 대는 방향에 따라 수평법, 경사법, 수직법 으로 구분하고 연소원료에 따라 버너법, 알콜램프법, 메틴아민법, 담뱃 불법, 성냥불법으로 나뉜다. 시험은 잔염시간, 잔진시간, 연소속도, 탄화 면적, 탄화길이, 접염횟수, 발열량, 연기량, 산소지수 등을 측정하여 방 염성능 여부를 결정한다. 우리나라는 45°버너법과 메틴아민법을 채택 하고 있으며 잔염시간, 잔진시간, 탄화면적, 탄화길이, 접염횟수를 측정 하고 있다. 34) 본 시험에서는 45°버너법을 사용하여 잔염시간, 잔진시 간, 탄화면적, 탄화길이, 접염횟수를 측정하였다. 4.5.1 시험 개요 가. 방염 성능의 기준35) 「방염성능의 기준」제4조(방염성능의 기준)에서는 합성수지판의 방 염성능기준은 잔염시간 5초 이내, 잔신시간 20초 이내, 탄화면적 40 ㎠ 이내, 탄화길이 20 ㎝ 이내 이어야 한다. 나. 합성수지판의 방염성능측정기준 및 방법 (1) 합성수지판의 방염성능측정기준 연소 시험 장치는 연소 시험함, 시험체 받침틀, 전기불꽃발생장치 및 맥켈버너를 사용하고, 시험에 사용하는 연료는 KS M 2150(액화석유가 스)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며, 시험체는 1.6 ㎡ 이상의 측정대상물품에서 임의로 절취한 가로 29 ㎝, 세로 19 ㎝의 것으로 3개씩을 만든다. 시험 체의 건조는 (40±2) ℃ 항온건조기 안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실리카겔 을 넣은 데시케이터 안에 2시간 동안 넣어둔다.
(2) 합성수지판의 방염성능 측정 방법 시험체는 시험체 받침틀에 고정하고, 버너의 불꽃의 길이는 65 ㎜로 하고 불꽃의 선단이 시험체 중앙 하단에 접하도록 버너를 설치하고, 가 열은 각 시험체에 대하여 2분간 실시한다. (3) 측정 장치 방염시험의 측정 장치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사용 중인 〈그림 4-31〉의 일본 스가와 제작사의 방염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4.5.2 시험결과 및 고찰 일반 폼블럭 및 난연 폼블럭의 45°방염시험결과 폼블럭의 주재료가 폴리에틸렌 가연성 합성수지이므로 가열을 시작하자마자 용융을 시작 하고 시험기간 동안 시험체 전제가 용융함으로써 폼블럭의 방염성능 시 험은 무의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가. 일반 폼블럭 45°방염시험결과 일반 폼블럭의 45°방염시험결과 시험체에 버너를 설치하고 가열을 시작하자마자 접염되어 시험체가 용융하기 시작하였고, 〈그림 4-32〉과 같이 시험기간 동안 시험체 전체가 용융되었으므로 잔염시간 5초 이 내, 잔신시간 20초 이내, 탄화면적 40 ㎠ 이내, 탄화길이 20 ㎝ 이내 이어 야 하는 방염 성능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나. 난연 폼블럭 45°방염시험결과 난연 폼블럭의 45°방염시험결과 시험체에 버너를 설치하고 가열을 시작하자마자 접염되어 시험체가 용융하기 시작하였고, 그림 4-33〉과 같이 시험기간 동안 시험체 전체가 용융되었으므로 잔염시간 5초 이내, 잔진 시간 20초 이내, 탄화면적 40 ㎠ 이내, 탄화길이 20 ㎝ 이내 이어 야 하는 방염 성능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제5장 결 론 최근 건축물에서 단열효과와 결로현상 방지, 인테리어 효과가 있어 언론매체를 통해 선전되고 있는 폼블럭은 가정집과 어린이집 등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폼블럭에 대한 관계법령 및 기준 등의 검토 를 통해 관련된 연소시험을 선정하였으며, 다양한 연소시험을 통하여 화재위험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콘칼로리미터 연소시험 결과, 폼블럭은 쉽게 착화되었으며 만일 화 재발생시 화염이 급속하게 전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콘칼로리미터 시험 조건인 50 ㎾/㎡ 열류량(Heat flux)의 복사열 크기 에서 복사열 차단 장치를 제거하자마자 폼블럭 시험체에 착화되어 연소 를 시작하였다. 이는 화재시 화염의 급속한 전파의 요인이 될 수 있고 폼블럭의 주재료인 폴리에틸렌은 열가소성 수지로 화기에 매우 취약한 재료임을 확인하였다. 2. 폼블럭의 가스유해성 측정시험 결과, 아크롤레인 등 많은 독성가 스가 발생되었고, 화재시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치가 측정되었다. 가스유해성 시험결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아 크롤레인,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시안화수소, 이산화황 및 이산화 질소 등이 측정되었으며, 특히, 아크롤레인은 일반인이 30분 동안 노출 될 경우 생명에 치명적인 농도(IDLH) 값인 2 ppm의 맹독성 가스로 제 조업체에서 광고에서 ‘난연 폼블럭’이라고 선전하는 시험체에서 5.43 ppm이 측정되었다. 3. 화염전파성 시험결과, 폼블럭은 급격한 연소패턴과 높은 열방출률을 발생하였다. 화염전파성 시험결과, 일반 폼블럭 1초∼2초, 난연 폼블럭 3초∼5초 사이 급격하게 연소하였으며, 화재시 직접 화염과 복사열에 의해서도 연 소를 가속화시켜 급격한 연소 확대가 우려된다. 일반 폼블럭의 평균 연 소 지속열은 0.253 MJ/㎡이며, 난연 폼블럭의 평균 연소 지속열은 0.295 MJ/㎡로 측정되었고, 전체 방출열과 최고 열방출열에서도 폼블 럭은 최대 3.977 ㎾/㎡, 최소 3.481 ㎾/㎡을 나타냈다. 시험 시작 후 평균 47초(s)에서 최고 열방출률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폼블럭은 열에 매우 취 약함이 입증되었다. 4. 폼블럭은 연기밀도 측정기준은 충족되었으나, 방염시험 성능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일반 폼블럭 및 난연 폼블럭의 45°방염시험결과, 폼블럭의 주재료 가 폴리에틸렌 가연성 합성수지이므로 가열을 시작하자마자 용융을 시작하고 시험기간 동안 시험체 전체가 용융함으로써 폼블럭의 방염 성능시험은 무의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폼블럭을「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의 안전관리법」의 ‘벽지’에 포 함 시켜야 한다.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서는 공업적으로 생산된 물 품으로써 별도의 가공(단순한 조립은 제외)없이 소비자의 생활에 사 용할 수 있는 제품이나 그 부분품 또는 부속품(전기용품은 제외한다) 을 생활용품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폼블럭을 ‘벽지’의 범주에 포함시키면 다른 법령에 화재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 근거가 없더라 도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의 안전관리법」의 안전기준에 적합한 제 품이 생산 판매되면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폼블럭’과 같이 화재위험성을 배제하고 무분별하게 홍보하여 판매 되는 새로운 제품에 대해서는 안전기준을 신속히 마련하여야 하겠다. 6. ‘난연’용어 사용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며 폼블럭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일반 폼블럭 뿐만 아니라 제조업체에서‘난연’폼블럭이라고 생산, 판매하는 제품도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 성능 기준」에 미치지 못하 므로 소비자에게 혼란을 주는‘난연 폼블럭’이라는 용어사용을 강력 하게 규제하여야 하며, 아울러 소비자들에게 착화성, 발연성, 화염 확 대성 및 연소가스 유해성 등의 화재위험성을 적극 홍보하여야 한다.
배출유량을 0.024 ㎥/s ± 0.002 ㎥/s으로 설정하고, 데이터는 1분 동 안 기준 데이터를 수집한다. 연소시간이 짧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데이터 수집 간격은 5초로 한다. 복사열 차단장치를 제 위치에 삽입하고, 질량측정 장치를 보호하고 있는 열 차단 장치를 제거 한다. 준비된 시편과 시편홀더를 질량측정 장치 위에 놓는다. 삽입전의 복사열 차단장치의 온도는 100 ℃ 이하여야 한다. 인화 또는 일시적인 불꽃연소가 발생된 때에는 그 시간을 기록한다. 지속적인 불꽃연소가 발생한 때에는 그 시간을 기록하고 스파크 전원과 점화장치를 제거한다. 만일 스파크 전원을 차단 한 후에 불꽃이 꺼지면 점화기를 재삽입하고 5초 이내에 스파크를 가한 다음 시험이 완료될 때 까지 스파크를 제거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을 시험보고서에 기록하며, 아래의 어느 하나에 먼저 해 당될 때까지 모든 데이터를 수집한다. ∙ 지속적인 불꽃연소가 시작된 때부터 32분간(32분은 시험시간 30분 과 시험 후 추가 2분간의 데이터 수집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 30분 경과 후에도 시편이 착화되지 않을 때. ∙ 10분 동안의 XO2가 예비 시험 산소 농도값의 100 ppm 이내로 되 돌아 갈 때. ∙ 시편의 질량이 0이 될 때 용융, 팽창, 균열 등과 같은 시편의 물리 적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한다. 또한, 3개의 시편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고, 이를 보고한다. 3개 시편 에 대하여 180초 평균 열방출률을 비교한다. 이들 180초 평균 열방출률 값 중 어느 하나라도 3개 값에 대한 산술평균값에서 10% 이상 차이가 나면 추가로 3개의 시편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시편 6개에 대한 산술평균값을 보고해야 한다.
4.1.2 시험결과 및 고찰 화재에서 가장 중요한 물리량은 열방출률로서 화재의 전파, 온도 상 승 및 연기생성량 등 모든 화재에 의해 유발되는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17) 일반 폼블럭 1종과 난연 폼블럭 1종, 총 2종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표 4-1〉과 같은 시험 조건에서 실험 전・후의 시편에 대한 결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그림 4-4〉 와 〈그림 4-5〉와 같다. 일반 폼블럭과 난연 폼블럭 시편 모두 연소실험을 시작하면서 복사열 차단 장치를 제거 하자마자 연소되었으며 잔유물은 남아 있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 착화시간 일반 폼블럭 1종과 난연 폼블럭 1종, 총 2종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 시험을 실시하면서 각 종류별 3개의 시편을 준비하여 실험 한 결과, 착 화시간은 시편 총 6점 모두 1초 이내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표 4- 2〉와 같다. 이는, 폼블럭의 주재료인 폴리에틸렌은 열가소성 수지로 화기에 취약한 재료임이 확인하였고,‘난연’제품이라 홍보하고 있는 난연 폼블럭은 난연PE 필름층 등 난연 성능을 일부 추가하였다고 하지 만 건축법상의 난연재료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나. 최고 열방출률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폼블럭의 주요 구성 성분인 폴리에틸렌은 연소속 도가 빠르고 다양한 종류의 독성가스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열가소성 수지로 연소 시 고온의 용융물이 낙하하여 2차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다. 폼블럭의 최고 열방출률은 〈표 4-3〉과 〈그림 4-6〉, 〈그림 4-7〉에 각각 나타내었다.
일반 폼블럭의 최고치는 280.57 ㎾/㎡ 이고, 최저치는 215.63 ㎾/㎡, 난연 폼블럭의 최고치는 277.04 ㎾/㎡이고 최저치는 254 ㎾/㎡로 큰 차 이가 없었으며, 최고 열방출률에 도달시간도 10초에서 20초 사이도 대 동소이 하였다. 열 방출량(MJ/㎡)은 불의 세기를 나타내므로 시료의 열 방출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다.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 재확산 방지구조 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744호, 2015.10.13.) 제 4조에서 규정한‘난연재료’는 한국 산업 규격 KS F 5660-1에 따른 가 열시험 개시 후 5분간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 200 ㎾/㎡를 초과치 않아야 하는 기준에 충족되지 않았다. 결국, 폼블럭은 난연재료가 아니 며 화재시 화염의 급속한 전파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 총 방출열량 총 방출열량은 일반 폼블럭과 난연 폼블럭 2종류의 폼 블록 연소로 인해 방출된 총열량으로써 이 실험에서는 5분간의 실험시간에 대한 값 이다. 폼 블록의 실험결과를 〈표 4-4〉와 〈그림 4-8〉과 〈그림 4- 9〉에 각각 나타내었다.
일반 폼블럭, 난연 폼블럭 구분 없이 착화 직후 순간적인 열방출이 일어나고 5분의 실험 시간 내내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일반 폼블럭 시편 3개의 총 방출열량이 평균 11.9 MJ/㎡ 인 반면, 난연 폼블럭은 12.8 MJ/㎡ 로 나타나 일반 폼블럭보다는 난연 폼블럭의 총 발열량이 다소 많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난연 폼블럭의 재질 구 성상 난연PE 필름층 등 일부 추가된 물질의 연소로 발열량이 다소 증 가한 것으로 판단되며,「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확산 방지 구조 기준」제4조에서 규정한 “난연재료”는 한국 산업 규격 KS F 5660-1에 따른 가열시험 개시 후 5분간 총 방출열량이 8 MJ/㎡ 이하이 어야 하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라. 산소 농도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한 연소성능 시험 방법은 일반적으로‘순연소열 은 연소하는데 필요로 하는 산소의 양에 비례한다’는 점에 기초를 두 고 있다. 즉, 산소 1 ㎏이 소비되면 약 13.1×10 3 KJ의 열이 방출된다는 관계가 성립된다. 시험에서는 시편을 50 ㎾/㎡의 복사열에 노출시켜 대 기 조건에서 연소시키고 이때의 산소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림 4-10〉과 〈그림 4-11〉에 나타냈다.
두 시료 모두 시험 시작 후 약 20초 부근에서 산소농도가 약 20.1%의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재료가 착화 후 연소하면서 최대한 산 소를 소모하면서 최고 열방출률을 나타낸 결과이다. 마. 연기 발생률 화재 발생 시 인명에 위험을 미치는 요인은 열, 연기, 유해가스의 3가 지로 분류되며 이 중 열은 화상을 야기하며, 연기는 가시거리 저하로 대피를 불가능하게 하고 유해가스 중 CO 및 HCN은 혼수상태 또는 사 망에 이르게 하며 HCI 등은 눈과 같은 감각기관과 호흡기관을 자극하 여 기침, 질식, 시력손상을 야기하거나 또는 폐 손상으로 사망에 이르 게 한다. 따라서 화재위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열 발생률, 연기, 유해가스와 같은 fire property를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15)〈그림 4-12〉와 〈그림 4-13〉에서 시간에 따른 연기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연기 발생률은 열방출률의 경우와 다른 경향의 그래 프를 보인다. 열방출률의 경우는 착화 후 30초 내에서 최대값을 나타내 고 급격하게 감소하는 반면 연기 발생률은 착화 후 20초 이내에 서서히 감소하다가 40초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에는 시험 시간인 5분 까지 큰 변동 없이 연기가 발생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폼블럭의 구조적 소재 사이 풍부한 산소가 존재하며, 주성분인 폴리에틸렌과 열 특성이 다양한 다층구조의 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연소초기 20초까지 는 열분해와 시료 아래층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연기 발생이 일어나고 40초 부근 연기발생률이 최대가 되는 것은 시료 전체적으로 연소가 일 어나는 것에 기인한다. 이 후 발생하는 연기는 상대적으로 연소속도가 느린 필름층, 코팅층, 접착제 성분의 연소 또는 탄화 과정에서 발생되 는 연소가스라 판단된다.
4.2 가스유해성 측정시험 4.2.1 시험 개요 가. 적용범위 및 시험장치 ISO 19701(Method for sample and analysis of fire effluents)에서는 화 재유출물을 샘플링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시안화수소와 같은 질식성 가스와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불화수소, 질산화합물, 아크롤레인, 포름알데히드 및 이산화황 등과 같은 자극성 가스로 나누고, 이러한 가스를 샘플링하 여 분석하는 기술로써 여러 종류를 소개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적외 선분광계(FTIR)이다. 7) ISO 19702(Guidance for sampling and analysis of toxic gases and vapours in fire effluents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에서는 적외선분광계(FTIR)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 이산화 탄소, 시안화수소,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일산화질소, 이산화질소, 불화 수소, 이산화황, 아크로레인 등 가스의 농도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일반 지침을 소개하고 있다. 7) 적외선 분광법은 적외선에 노출된 물질은 광학이성질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다른 화합물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독특한 지문을 제공한다는 성질에 기초하는 분석기법으로 물질 의 정성 및 정량분석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18)19)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 4-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유해성 을 분석하기 위해 콘칼로리미터 시험기와 적외선분광계를 결합하여 재 료의 열방출 특성과 연소가스의 유해성을 동시에 평가하기 위하여 적외 선 투광 방식의 화학 작용제 탐지기인 핀란드 GASMET사의 DX 4040을 이용하였는데, 이 탐지기는 백팩, PDA, 베터리 및 충전기, 샘플링 프로 브, 라이브러리(불산, 염산,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아세 트알데하이드, 아크롤레인, 아크릴로니트릴 등 34종 가스), 노트북 등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탐지된 가스의 물질명과 농도를 ppm 단위로 표 시가 가능하여 가스 유해성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적외선분광계(FTIR)에 대한 설비 사양은 〈표 4-5〉에 나타내었다.
나. 시험재료 및 시편 실험재료는 콘칼로리미터 시험과 동일한 대형마트, 쇼셜커머스, 인터 넷몰 등에서 판매되는 제품 중 일반 폼블럭 1종과 난연 폼블럭 1종을 선정하였다. KS F ISO 5660-1에 따라 시편은 그림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세로 각각 100 ㎜인 정사각형의 것으로 3개씩을 준비하였 다.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시편을 ISO 554 기준에 따라 온도 (23±2) ℃ 상대습도 (50±5)%의 조건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처리한다. 모든 시편 들은 시편 고정틀과 함께 시험을 실시한다. 시험을 위한 시편 준비는 시편 고정틀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평평한 바닥면에 놓고 포일로 감 싼 시편을 노출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시편 고정틀 속으로 넣은 후 시편 고정틀을 시편 홀더에 고정한다. 4.2.2 시험결과 및 고찰 가. FTIR 스펙트럼 모든 유기, 무기분자의 화합물은 어떤 복사선의 에너지(빛)을 받게 되 면 적외선 영역에서 각 물질에 따른 흡수가 이루어지며 이때 각 물질 (성분)별로 고유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각 성분의 정량분석, 정성분석을 할 수 있으며, 이때 광원에서 오는 약한 신호(빛의 흡수량)를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데는 ‘퓨리에 변환 분광 법’을 이용하는 것이 현재까지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퓨리에 변환 적외선(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의 원리는 프 랑스 수학자 Jean Fourier(1768-1830)에 의해 이론이 성립되었다. 광원 으로는 적외선을 이용하지만, 기존의 Filter(일정한 파장의 빛만 통과시 키는 장치)방법 대신에 빛 분배기(beam splitter), 고정거울(reference mirror), 이동거울(moving mirror)을 이용하여 여러 성분을 동시에 분석한다.
FTIR을 이용하여 수집된 스펙트럼으로부터 정성 정량분석을 수행하 였다. 〈그림 4-15〉는 콘칼로리미터 시험기의 가스 샘플링 환형 검침 기와 FTIR 가스탐지기의 샘플링 프로브를 결합한 후 측정된 폼블럭 시 료의 FTIR 분석 스팩트럼이다. x축은 시료에 조사되는 적외선 파수 (wave number, m -1 )로 4,250∼700 cm -1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y축은 적외선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FTIR 스팩트럼 결과 연소가스 내 다양 한 성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Mutifly Reference Spectrum 분석 프로그램(Calcmet Lite software)을 통해 연소가스에 존재하는 각각의 성분과 농도를 측정하였다. 2)
나. 연소가스 분석 〈표 4-6〉은 일반적인 연소가스에 대한 독성기준20) 값을 정리한 것 이다. TWA(Time weighted Average)는 국내 고용노동부 고시를 참조한 근로자가 작업 중 노출허용농도이며, IDLH(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or Health)는 일반인이 30분 동안 노출될 경우 생명 또는 건강에 즉각적인 위험을 일으키는 농도, LC50은 30분 동안 실험생물(rat)을 흡 입시 50% 이상 치사시킬 수 있는 농도에 해당하는 기준 값이다.
연소가스 중에서도 아크롤레인, 포름알데히드, 시안화수소, 불화수소 및 포스겐 등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임을 알 수 있다. 콘칼로리미터 시험기의 가스 샘플링 환형 검침기와 FTIR 가스탐지기 의 샘플링 프로브를 결합한 후 측정된 일반 폼블럭, 난연 폼블럭의 측 정된 연소가스 농도를〈표 4-7〉나타내었다.
두 시편은 모두 5분 이내에 연소가 종료되었고, 연소가스 성분 중 공 통적으로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아크롤레인, 아크 릴로니트릴, 암모니아, 시안화수소, 이산화황 및 이산화질소가 검출되었 다. 반면 포름알데하이드, 브롬화수소, 염화수소, 불화수소 및 포스겐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 발생농도는 연소가스 성분 중 가장 높게 나 온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폼블럭의 주 구성소재인 폴리에틸렌의 연소 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아크롤레인은 일반인이 30분 동안 노출될 경우 생명 또는 건강에 즉각적인 위험을 일으키는 농도인 IDLH 값이 2 ppm인 맹독성 가스로 난연 폼블럭에서 5.43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이 농도는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는 수치이다. 아크로레인은 석유제품과 유지류 등이 탈 때 생성되는 것으로 자극성이 크고 맹독성가스로 1 ppm 정도의 농도만 되어도 건강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10 ppm 이상 의 농도에서는 성인이 즉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크릴로니 트릴과 시안화수소가 일반 폼블럭에서 각각 1.11 ppm과 1.05 ppm이 검 출되었으며, 난연 폼블럭에서는 각각 13.12 ppm과 1.55 ppm으로 검출 되었다. 아크릴로니트릴과 시안화수소는 폼블럭 제조 시 사용된 접착제 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유해가스로 알려진 물질이다. 폼블럭 연소 시 주 성분인 폴리에틸렌뿐만 아니라 난연성 물질과 접착제 사용량도 유해가 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중요인자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21) 폼블럭 연소가스의 위험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국제적으로 공인된(ISO 13344)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22) 식 1은 Barbara C. etc가 실험을 통해 제시한 연소가스 독성지수를 구하는 N-Gas model 식을 기초로 하 여 나타낸 것이다. LC50()은 〈표 4-6〉에서 정리한 해당물질()의 LC50 값을 사용하였고, []은 본 실험을 통해 FTIR로 측정한 연소가스 농도값 이다. CO2 농도가 5% 이하일 경우 m=-18, b=122,000이며, CO2 농도가 5% 이상일 경우 m=23, b=-38,600이다. 이는 CO2 농도가 5% 이상이 되 면 CO의 독성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에 기초한 것이다. 산소(O2) 농도 는 섹센 3.1에서 콘칼로리미터시험을 통해 측정한 가장 낮은 산소농도 (low O2)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Barbara C. etc 실험에서 흥미로운 결과 는 이산화질소 존재 하에서는 시안화수소의 독성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식 1을 적용하여 일반 폼블럭와 난연 폼블럭의 연소가스 독성지수는 각각 0.069, 0.125로 계산되었다(표 4-8 참조). 독성지수 값이 0.8 이상이 면 생물을 치사시킬 수 있고, 1.3 이상이면 대상 생물을 100% 치사되는 값이다. 난연 폼블럭이 일반 폼블럭에 비해 화재시 더 치명적인 유해가 스를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시료의 양을 고려할 경우 상당량 의 유해 연소가스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된다. 2)
4.3 화염전파성시험(KS F 2844 : 2002) 화염전파성시험은 재료의 표면연소성능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시험이 다. 19) 표면에서 화염이 전파되는 성상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법으로써 터널 로법이나 수직·수평전파법 또는 경사형 시험법들이 사용되며 대 표적인 터널 로법으로는 미국의 ASTM E 84가 널리 사용되고, 수직·수 평전파법으로는 영국의 BS 476:Part7, ISO 5658법이, 경사형 시험법에는 프랑스의 복사 가열 시험법이나 일본의 JIS A 1322가 있다. 4) 본 연구의 건축 재료의 화염전파시험 방법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품(155 ㎜×800 ㎜)의 수평 화염 전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써, 시험체 는 가스 연소식 복사 패널에 의해 공급되는 적정한 복사열 분포장에 노 출시켜, 연소의 진행에 따라 보정된 배기가스용 열전대로 밀리볼트 신 호값을 측정한다. 시험체의 거리에 따른 불꽃의 착화 및 소화시간을 기록하며, 실험 결과는 착화열, 연소 지속열, 소화시 임계열류량, 평균 연소 지속열, 전 체 방출열 및 최대 방출열 등을 측정한다. 23) 4.3.1 시험 개요 가. 시편 및 시험 준비 시험체의 개수는 〈그림 4-16〉및 〈그림 4-17〉과 같은 일반 폼블럭 과 난연 폼블럭 각각 3개씩 3반복으로 시험체를 시험하였다. 시험체의 크기는 건축 재료의 화염전파 시험 방법(KS F 2844)에 따라 길이 800 ¬ mm, 나비 155 ¬ mm로 하였다. 각 시험체의 길이 방향으로 중간 높 이에 수평 중앙선을 표시하고, 그 선을 따라 50 ㎜ 간격으로 수직선을 그린다. 제로 표시선은 시험체의 노출 부분의 시작점과 일치하도록 하 며, 그려진 표시선이 표면에 손상을 주거나 흡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시험체의 성능에 주지 않도록 한다. 제품이 일반적으로 뒷면에 공간이 없이 사용되는 경우 양생 후에 시험체의 테두리 및 뒷면을 알루미늄 포 일로 싸고, 이 알루미늄 포일은 0.02 ㎜ 내지 0.03 ㎜ 두께, (175+2a) ㎜ ×(820+2a) ㎜(a:시험체의 두께) 크기의 것으로 시험체의 전면 테두리 위를 평평하게 10 ㎜ 정도 중첩되게 한다. 시험체 전면의 포일은 압착 시켜 평평하게 한다. 포일로 싼 시험체는 기판 위에 얹어서 시험체 홀 더에 삽입한다.
나. 시험장치 및 시험절차 본 시험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전용실에서 ISO 5658-2 : 1998 Reaction to fire tests - Spread of flame-Part2 : Lateral spread on building products in vertical configuration을 기초로 작성한 한국 산업 표 준인 건축 재료의 화염전파 시험 방법(KS F 2844)에 의해 시험하였다.
다. 난연재료 한국 산업규격 KS F ISO 5660-1에 따른 가열시험 개시 후 5분간 총 방출열량이 8 MJ/㎡ 이하이며, 5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 으로 200 kW/㎡를 초과하지 않으며, 5분간 가열 후 시험체(복합자재인 경우 심재를 포함한다)를 관통하는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어야 하 고, 한국 산업규격 KS F 2271 중 가스유해성 시험결과, 실험용 쥐의 평 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이어야 한다. 라. 일본의 건축내장재료의 난연성 평가방법 일본 건축기준법에서는 건축물 내장재료의 난연 성능 평가방법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연소성능시험(열방출률) 시험방법인 ISO 5660-1에 의 한 연소특성에 따라 난연 등급을 판정하고 있다. 수평 방향의 시험체를 50 kW/m 2의 복사열로 불연등급은 20분, 준불연등급은 10분, 난연등급은 5분간 가한 후 아래의 판정 기준에 따라 난연 등급을 나누고 있다. 15)
3.3 마감재료 성능 시험방법 및 관련 기준 3.3.1 KS F ISO 1182 (건축 재료의 불연성 시험 방법) 시험체는 실제로 설치하는 것과 동일한 구성과 재료로 하고, 시험은 총 3회 실시한다. 또한, 복합자재는 시험체의 각 단면에 따로 마감조치 를 하지 않는다. (1) 시험장치 : 750 ℃ 올릴 수 있는 가열로.
(2) 시험방법 가열로를 750 ℃로 올린 후 시험체를 넣고 20분 동안 가열하며 ∙ 가열로 내 열전대의 평균온도를 750 ℃±5 ℃로 10분간 유지한다. ∙ 시험체의 질량은 0.01g까지 측정하고 시험체 홀더에 삽입 후 가 열로 내에 투입한다. ∙ 20분 동안 열을 가한 후 시험체 홀더를 가열로에서 제거한 후 데 시케이터 내에서 냉각시키고 시험체의 질량감소율을 측정한다. (3) 성능기준 : 가열시험 개시 후 20분간 가열로내의 최고온도가 최종 평형온도를 20K 초과 상승하지 않아야 하며(단, 20분 동안 평형에 도달 하지 않으면 최종 1분간 평균온도를 최종평형 온도로 한다), 가열종료 후 시험체의 질량 감소율이 30% 이하여야 한다. ∙ 시험체는 실제의 것과 동일한 구성과 재료로 되어야 한다. ∙ 시험은 시험체에 대하여 총 3회 실시하여야 한다. ∙ 복합자재의 경우에는 시험체의 각 단면에 별도의 마감을 하지 않 아야 한다. (4) 시험체 사진 및 규격 3.3.2 KS F ISO 5660-1 연소 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제1부 : 열방출률 (콘칼로리미터법) 시험체는 실제의 것과 동일한 구성과 재료로 되어야 하고, 시험은 시 험체가 내부 마감재료의 경우에는 실내에 접하는 면에 대하여 3회 실시 하며, 외벽 마감재료의 경우에는 외기(外氣)에 접하는 면에 대하여 3회 실시한다. 또한, 복합자재인 경우에는 시험체의 각 단면에 별도의 마감 을 하지 않아야 하며, 복사열의 크기는 50 kW/㎡ 로 한다.
(1) 시험방법 ∙ 콘히터의 복사열을 50 ㎾/㎡ ± 1 ㎾/㎡, 배출유량을 0.024 ㎥/s ±0.002 ㎥/s로 설정하고 지속시킨다. ∙ 시험체와 시험체 홀더를 질량측정 장치 놓고 질량을 체크한다. ∙ 시험기의 복사열 차단장치를 제거한 후 5분(준불연재료 시험은 10분)동안 가열한다. ∙ 최대 열방출률과 총 방출열량을 측정한다. ∙ 가열 종료 후 질량측정 장치에서 시험체 홀더를 제거하고 시험체 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1) 시험장비 : 콘칼로리미터 시험기
(3) 성능기준 : KS F ISO 5660-1 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발생, 질 량 감소율-제1부: 열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에 따른 가열시험 개시 후 5 분(준불연재료 시험은 10분)동안 총 방출열량이 8 MJ/㎡ 이하이며, 5분 (준불연재료 시험은 10분)동안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으로 연속으 로 200 ㎾/㎡를 초과하지 않으며, 5분(준불연재료 시험은 10분)동안 가 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복합자재 의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되는 것을 포함한다) 등이 없어야 한다. ∙ 시험체는 실제의 것과 동일한 구성과 재료로 되어야 한다. ∙ 시험은 시험체가 실내에 접하는 면에 대하여 3회 실시한다. ∙ 복합자재의 경우에는 시험체의 각 단면 따로 마감처리를 하지 않 아야 하며 복사열의 크기는 50 ㎾/㎡로 한다. (4) 시험체 사진 및 규격
3.3.3 KS F 2271: 2016 (가스유해성 시험) 시험은 시험체가 내부 마감재료인 경우에는 실내에 접하는 면에 대 하여 2회 실시하며, 외벽 마감재료인 경우에는 외기(外氣)에 접하는 면 에 대하여 2회 실시하고, 시험은 시험체가 실내에 접하는 면에 대하여 2회 실시한다. 또한, 복합자재인 경우에는 시험체의 각 단면에 별도의 마감을 하지 않아야 한다.
(1) 시험장치
(2) 시험방법 : 회전 바구니 속에 흰쥐(계통 DD계 또는 ICR계 암놈, 주령 5주, 체중 18~22 g)를 8마리 넣은 다음 가열로 속에 시험체를 넣 고 6분간 가열 후, 시험체가 타면서 나온 연소가스가 교반상자를 거쳐 회전 바구니상자까지 가서 시험체에 끼치는 영향을 본다. ∙ 피검 상자 내의 온도를 30 ℃로 한다. ∙ 실험용 흰 쥐를 1마리씩 넣은 회전바구니 8개를 피검 상자 내에 넣어야 한다. 시험체를 가열로 내에 투입한 후 6분간 가열한다. ∙ 가열을 시작해서 시험용 쥐가 행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 정한다. 가열은 시작 후 15분간 개개의 시험용 흰쥐마다 실시. (3) 성능기준 : 시험체 각각의 흰 쥐 평균행동정지시간이 9분 이상 ∙ 시험체는 실제의 것과 동일한 구성과 재료로 되어야 한다. ∙ 시험은 시험체가 실내에 접하는 면에 대하여 2회 실시한다. ∙ 복합자재인 경우에는 시험체의 각 단면에 따로 마감처리를 하지 않아야 한다.
(4) 시험체 사진 및 규격/ 3.4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의 국내・외 관련 법령 비교 3.4.1 국내의 관련 법령 검토 우리나라의 건축물 마감재료 관련 기준은 건축법과 소방법에서 규정 하고 있으나 법령간의 연계성이 미흡하다.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에 대해서는 「건축법 시행령」 제61조에 명시되어 있다. 시행령에서 내부 마감재료에 대한 규정은 건축물의 용도 및 분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 누어져 있고 그에 따른 거실 바닥면적에 따라 구분된다. 1호에서는 단 독주택 중 다중주택ㆍ다가구주택과 공동주택 2호에서는 제2종 근생건 물 중 공연장ㆍ종교집회장 및 다중생활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3호 는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4호는 공장, 5호는 5층 이상인 층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6호는 문화 및 집회시 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등과「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다중이용업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7호는 창고 로 쓰이는 바닥면적 6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불연재료일 경우에는 거실 바닥면적에 대 한 규정을 완화하고 있다. 6) 선행 연구논문을 살펴보면 국내 건축법의 불연재 의무사용 규정이 준 공시 건축물 구조체에 부착되어 외부로 나오는 표면재료에만 한정하고 있다. 건축물의 준공시 검사대상인 구조체 밀착재의 심재(단열재를 말 함)에는 불연・난연성능이 전혀 없는 유기질 단열재가 대부분 부착되어 있으며 심재를 보호하는 표면재료에만 불연재가 사용되고 있고, 건축물 구조체 밀착재료 마감에 대한 건축 준공 후 대다수가 내부공간을 장식 하는 실내건축공사가 이어지는데 이때 사용 재료에 대한 합당한 규제가 건축 관계법령, 소방 관계법령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사용재료가 가공 이 쉽고 외관이 화려한 유기질재료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어 화재안 전성능 확보를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4) 한편 소방법에서도 다중이용 업소와 같은 특수시설용도에 대해 실내장식물의 방염성능 의무화 규정 을 두고 있으나, 그 적용 범위를 실내장식 고정재가 아닌 치장재(커튼, 카페트 등)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연소확대 지연 등 규제의 효 과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소방법상 방염대상물품 등에 적용하는 규정 을 요약하여 〈표 3-6〉에 나타내었다.
3.4.2 국외의 관련 법령 검토 가. 일본 일본의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의 화재안전에 대한 기준은 건축법시행 령 제129조에 규정되어 있다. 내장재 사용 규제를 건축물은 특정대상물 로 사용되는 건물로 5등급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으며, 각각 분류된 대상물들은 건물의 층수, 바닥면적, 연면적에 따라 내화건축물, 간이 내 화건축물, 기타 건축물로 분류하여 사용 가능한 내화재료의 등급을 명 시하고 있다.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의 경우 국내의 건축관계 법령과 매우 유사하며, 건축물 내부의 용도에 따라 벽, 천장의 실내마감재료는 난연1급(불연), 난연2급(준불연), 난연3급(난연) 3종류 중 사용 가능한 등급을 정하고 있고, 등급 평가에 사용되는 시험방법은 건축재료의 불 연성 시험인 ISO 1182, 열방출률 등 연소성능시험인 ISO 5660-1 등 우 리나라의 난연성 시험방법과 동일하다. 건축기준법상 모든 건축물에는 불연・ 준불연재료는 건물의 용도나 내부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어느 곳에나 사용 가능하지만, 비교적 규모가 큰 3층 이상 또는 연면적 1,000 ㎡ 이상인 건축물에는 내화기준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6) 「건축기준법」에서는 예외규정을 두어‘건축기준법의 규정 또는 이에 기초한 명령 혹은 조례의 규정은 예상치 않은 특수한 건축재료 또는 구 조 방법을 사용한 건축물에 대해서는 건설대신(우리나라, 국토교통부장 관)이 그 건축재료 또는 구조 방법이 이들 규정에 의한 것과 동등 이상 의 효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라고 명시하여 안전성이 확인된 것은 건축분야에서 인정하고 있다. 또한 내화구조, 방 화재료 등에 관한 규정은 구체적인 구조・재료를 열거함과 아울러 고시 로써 시험방법・성능기준을 정해 이들을 만족시키는 것을 인정하는 구 조로 되어 있다. 즉, 사양규정과 성능규정을 병용하고 있다. 16)
나. 미국 미국의 화재안전 관련 기준은 주정부에서 규제하고 있고, 통상적으로 각 주의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재안전기준은 공인된 민간연구기 관에서 실험, 연구를 통해 제정된 설치기준을 법규로 준용하고 있다. 순수 화재안전과 소방시설 적용에 대한 법규는 미국방화협회(NFPA)의 NFC (National Fire Code)가 있으며, 2000년에 건축물의 새로운 성능 시 스템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새롭고 현대적인 Code의 신설이 필요함 에 따라 ICC(International Code Council)를 설립하여 통합 건축물 Code 인 IBC를 제정하였다. 제정된 IBC는 기존의 건축물 코드와 같이 화재안 전기준의 건축물 적용에 대한 Code로서 순수 화재안전 Code인 NFC와 함께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화재안전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National Fire Code에서는 비바닥재인 벽, 천장 등에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기준은 NFPA 255(건축 자재 표면 연소 특성의 표준 시험 방법)에 의한 화염확산지수(FIGRA : Fire Growth Rate Index - 시험체로부터 발 생되는 열방출률과 그것의 발생시간에 대한 지수의 최대값)와 연기발생 지수(SMOGRA : Smoke Growth Rate Index – 시험체로부터 발생되는 연 기생성률과 그것의 발생시간에 대한 최대값)측정결과를 Class A, B, C의 세등급을 정하고 있다. 바닥재의 경우는 NFPA 253(복사열 에너지원을 이용한 바닥 피복 시스템의 임계 복사 유동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의 시험을 통해 연소성능을 반영하여 임계 열유속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Class I, II로 등급을 나누고 있다. 또한 바닥재의 경우는 등급분류에 따 라 사용가능한 장소를 제한하고 있으며, IBC에서는 실내장식재를 포함 하여 벽, 바닥, 천장 등 내부 마감재료의 난연성능기준을 명시하며, 화 염확산지수는 표준 불연자재인 시멘트판을 기준값 0으로 정하여 그 상 대적인 값으로 평가한다. 실내장식재는 NFPA 701(섬유 및 필름의 화염 전파에 대한 표준 화재시험 방법)의 시험기준에 따라, 방염성능기준을 정하고 있다. 6) 또한 NFPA 5000 건축물 구조 및 안전코드 10.4.3에서는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발포 플라스틱,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발포 플라 스틱 자재는 대규모 화재시험을 실시한 경우, 벽체나 천장 면적의 10% 이하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내 벽체 및 천장 마감재료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상기 예외 규정으로 전체 벽과 천장 의 10% 미만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열방출 100 ㎾ 미만(UL 1975에 의 한 시험), 320 Kg/㎡ 이상의 밀도, 0.5 in(12.7 ㎜) 이하의 두께와 8 in(20.3 ㎝) 이하의 폭 등의 사항을 요구하고 있다. 다. 유럽 유럽은 프랑스, 영국, 독일 등에서 자국의 자체 건축 관련법령과 민간 연구기관에서 실험 연구를 통해 정한 코드에 화재안전기준이 규정되어 있었다. 1993년 11월 유럽연합이 설립되면서 ISO 시험방법에 의한 통 합 기준인 Euro-class가 마련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항으로는 재료의 사 용목적이 바닥재인지 비 바닥재인지를 나누어 재료를 평가하는 시험방 법이 달라진다는 점이며, 성능 등급에 따라서도 평가하는 시험방법이 상이하다. 비 바닥재에 대한 높은 난연 성능을 필요로 하는 A1 등급의 경우, 우리나라의 불연성 시험과 동일한 시험방법 및 재료의 발열량을 측정하는 EN ISO 1716〔제품에 대한 화재 테스트 반응 – 총열량 결정 : 연소(발열량)〕시험방법이 적용된다. A2등급에서는 소규모 실물화재시 험인 EN 13823(SBI : Single Burning Item – 건축물의 화재 테스트에 대한 반응)시험방법을 통하여 소규모 구조물의 화재성장지수(Fire Growth Rate)를 평가기준에 반영하고 있다. 반면 낮은 수준의 등급인 E 등급은 우리나라의 방염시험과 유사한 화염확대 지연성을 평가하는 EN ISO 11925-2(화재시험에 대한 반응 – 화염의 직접 충돌을 받는 건물 제 품의 가연성- 제2부 : 단일 화염원 시험)시험방법을 적용토록 하고 있 다. 대다수의 화재는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의 상부로 확대되기 쉽기 때 문에 건물제품의 기술적 시험인 SBI 시험을 통한 화재성장지수를 평가 하였으나, 바닥재는 수평 방향의 화염전파성시험인 EN ISO 9239-1(바 닥재에 대한 화재시험에 대한 반응 – 1부 : 복사열 소스를 사용한 연소 동작 결정)에 의해 화재시 복사열이 미치는 영향 여부를 평가하고 있 다. 이를 〈표 3-5〉에 나타내었다. 6) 3.4.3 국내・외 관련 법령 비교 분석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 적용하는 법령 및 기준은 매우 유사한 데, 미국과 유럽은 화재성장속도가 느린 바닥재와 화재 확산 속도가 상 대적으로 빠른 천장, 벽체 등의 비 바닥재로 대별하여 평가항목을 적용 하고 있다. 비 바닥재인 벽체와 천장에 대하여 미국은 화염 확대여부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화염확산지수(Fire Spread Index)로 평가하며, 유럽은 소규모 실물화재테스트인 SBI 시험을 통해 시험체로부터 발생되는 열방 출률과 그것의 발생시간에 대한 지수의 최대값을 구하는 화재성장지수 (Fire Growth Rate Index, FIGRA)와 발열량 측정시험 등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험방법은 화재가 성장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지만 Euro-class는 시험항목이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상호보완적 이며, 특이한 점은 시편이 아닌 소규모 실물화재시험을 활용함으로서 실제 화재성상과 유사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동양권인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 바닥재와 비 바닥재의 구분이 없어 연소특성에 맞는 시험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불연성시험과, 열방 출률 시험으로 대별된다. 추가로 생쥐를 이용한 건축물 마감재료의 가 스유해성시험을 병행하여 난연 등급을 정하고 있다. 이런 국내시험기준 은 유럽이나 미국과 비교해 볼 때 난연 성능을 평가하는 시험방법의 적 응성과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발견된다. 즉, 난연 성능을 구분하 는 기준 및 시험방법이 온도상승, 질량감소, 열방출률, 화염확산, 연기 발생, 유해가스 측정 등 화재시의 연소거동을 다양하게 평가하지 않고, 당해 재료의 시험체에 대한 3가지 시험결과에 의해 등급을 나누고 있 어, 재료의 사용목적과 난연 요구수준에 따라 합리적 평가방법을 적용 하는 외국의 연소성능 구분 기준과 시험방법에 비해 체계적이지 못하며 비합리적인 면이 있다. 6)
제4장 폼블럭의 화재위험성 평가 폼블럭의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험을 진행하였다. 화재연소시험 중 가장 기본적인 콘칼로리미터시험을 비롯하여, 가스 유해성측정시험, 화염전파성시험, 연기밀도시험과 방염시험 등 실내마 감재 기준과 별도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서 연소시험을 직접 진행하였다. 4.1 콘칼로리미터시험(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 시험 방법은 일반적으로 “순연소열은 연소하는데 필요 로 하는 산소의 양에 비례한다”는 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즉, 산소 1 ㎏이 소비되면 약 13.1×10 3 KJ의 열이 방출된다는 관계가 성립한다. 시 편을 미리 결정된 0 ㎾/㎡에서 100 ㎾/㎡ 범위의 복사열에 노출시켜 대 기 조건에서 연소시키고 이때의 산소 농도와 배출 가스 유량을 측정한 다. 이 시험 방법은 시험하는 제품이 화재에 노출되는 동안 열방출률에 기여하는 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이 특성들은 소규모의 대표적인 시편에 대해서 측정한다. 15) 4.1.1 시험 개요 가. 적용범위 및 시험장치 KS F ISO 5660-1에 따른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은 점화 장치가 부착 된 수평방향의 콘 히터 복사열에 노출된 시편의 열방출률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규정하며, KS F ISO 5660-1에 따른 콘칼로리미터 시험방 법은 재료가 일정한 크기의 복사열량 조건에 놓여 있을 때 연소가 진행 되며 방출시키는 열방출률(Heat Release Rate, kW/㎡) 및 일정 시간 동 안의 총 방출열량(Total heat release, MJ/㎡)을 측정할 수 있어, 재료의 화재시 열적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험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의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였다. 이 장치는 콘 형태의 복사열 전기히터, 복사열 차단 장치, 복사열 조 절장치(총 두께가 12 ㎜를 초과하지 않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 시편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한 질량 측정 장치, 시편홀더(깊이 25±1 ㎜, 상부 개구부가 106±1 ㎜×106±1 ㎜인 정사각형의 팬 모양으로써 두께 2.15±0.25 ㎜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 시편 고정틀(두께 1.9±0.1 ㎜ 의 스테인리스 스틸로서 내부 치수가 가로, 세로 각각 111±1 ㎜이고 높이가 54±1 ㎜인 상자 모양으로 제작), 산소분석 장치, 유량측정 장치 가 설치된 배출가스시스템, 가스 샘플링 장치, 스파크 점화회로, 점화 타이머, 열류계, 교정용 버너, 데이터 수집 및 분석시스템들로 구성되어 있다. 15)
나 시험재료와 시편 시험재료는 대형마트, 쇼셜커머스, 인터넷몰 등에서 판매되는 제품 중 〈그림 4-2〉와 같은 구성의 일반 폼블럭 1종과 난연 폼블럭 1종을 선 정하였다.
KS F ISO 5660-1에 따라 시편은 〈그림 4-3〉과 같이 가로·세로 각 각 100 ㎜인 정사각형의 것으로 3개씩을 준비하였다. 시험 실시 전 시 편을 ISO 554(시험을 위한 표준 대기-사양) 기준에 따라 온도 (23±2) ℃ 상대습도 (50±5)%의 조건에서 중량이 변하지 않을 때까지 처리한 다. 모든 시편들은 시편 고정틀과 함께 시험을 실시한다. 시험을 위한 시편 준비는 시편 고정틀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평평한 바닥면에 놓 고 알루미늄 포일로 감싼 시편을 노출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시편 고정틀 속으로 넣은 후 시편 고정틀을 시편 홀더에 고정한다. 15)
시편 감싸기 전처리 된 시편은 0.025∼0.04 ㎜ 두께의 알루미늄 포일 (foil) 한 장을 사용하여 반짝이는 면이 시편을 향하도록 감싸야 한다. 알루미늄 포일은 시편의 바닥면과 측면들의 상부 면을 3 ㎜ 이상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미리 절단하고 시편을 포일의 중앙에 놓고 바닥면과 측 면들을 감싼다. 시편 상부 표면 위로 남은 포일을 절단하여 포일이 시편 상부표면 위 로 3 ㎜ 이상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모서리의 남은 포일은 모서리 주위로 겹쳐서 시편 상부표면 주위를 밀봉시키는 형태로 만든다. 시편 을 감싼 다음 시편을 시편 홀더에 놓고 고정틀(retainer frame)로 덮는 다. 이 절차가 완료되면 알루미늄 포일은 눈에 보이지 않게 된다. 말랑 말랑한 시편의 경우에는 시험을 실시할 시편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모 형시편을 이용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알루미늄 포일을 사용한다. 15) 다. 시험장치 교정15) (1) 산소분석기 교정 산소분석기의 영점을 맞추고 교정을 실시한다. 이 교정은 콘히터가 작동중일 때나 작동하지 않을 때 실시할 수 있으나 히터를 워밍업하는 동안에는 실시하지 않아야 한다. 배출 송풍기를 켜고 배출유량을 0.024 ㎥/s±0.002 ㎥/s로 설정한다. 교정은 건조한 주위 공기를 사용하여 실시 하며 응답이 20.95±0.01%가 되도록 조정하고 분석기 유량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시편을 사용한 시험에서 사용된 유량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각 시편에 대한 시험을 실시한 후에 주위 공기를 사용하여 얻어진 산소 농도값이 20.95%±0.01%에 있는지 확인한다. (2) 열방출률 교정 오리피스 상수 C를 결정하기 위하여 열방출률 교정을 실시한다. 이 교정은 콘히터가 작동중일 때나 작동하지 않을 때 실시할 수 있으나, 히터를 워밍업하는 동안에는 실시하지 않아야 한다. 배출 송풍기를 켜 고 배출 유량을 0.024±0.002 m 3 /s로 설정한다. 5초 간격으로 1분 이상 기준 데이터를 수집한다. 메탄의 순연소열(50.0×103 kJ/kg)을 기준으로 하여 =5±0.5 kW에 상응하는 메탄가스 유량을 교정된 유량계를 사 용하여 교정버너로 흘려보낸다. 모든 계기의 출력값이 평형상태에 도달 한 후 3분 동안에 걸쳐 5초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3분 동안 측 정한 이용하여 오리피스 상수 C를 계산한다. 는 1분 동안에 걸쳐 측정된 산소 분석기 기준 출력값의 평균값으로 한다. (3) 질량측정장치 교정 질량측정장치는 시편질량 범위에 있는 표준 추를 사용하여 교정해야 한다. 질량측정장치의 교정을 실시하기 전에 콘히터를 끄고 시험 장치 는 실온까지 냉각시켜야 한다. 250 g±25 g의 추와 함께 빈 시편홀더를 질량측정 장치 위에 얻는다. 질량측정장치의 출력을 측정하고 이 값을 0에 맞춘다. 50 g과 200 g 사이의 질량을 갖는 추를 시편홀더 위에 조 심스럽게 놓은 다음, 출력값이 안정된 값에 도달한 후에 질량측정 장치 의 출력값을 측정한다. 동일한 질량의 추를 얹은 다음 이 절차를 4회 이상 반복한다. 교정이 끝났을 때 홀더 위에 얹은 추의 총질량은 최소 한 500 g 이상이어야 한다. 질량 측정 장치의 정확도는 추의 질량과 교 정을 실시하는 동안 기록된 질량 측정 장치의 출력사이의 최대차 값으 로써 결정한다. (4) 히터 교정 시험을 실시할 때 또는 복사열의 크기를 변화시킬 때에는 열류계에 의해 복사열을 측정하여 콘히터가 원하는 복사열을 ±2% 이내의 범위 내에서 발생시킬 수 있도록(Heat Flux Meter에 의해 측정함) 복사열 제 어조절장치를 조정한다. Heat Flux Meter를 교정위치에 삽입했을 때에 는 시편이나 시편 홀더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콘히터를 작동시켜 설 정값에서 10분 이상 안정시키고, 이 교정을 시작하기 전에 조절기가 그 비례 폭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 라. 시험 절차15) CO2 트랩과 최종 수분 트랩을 점검한다. 필요하다면 CO2 및 수분제거제 를 교체한다. 냉각트랩 분리챔버 내에 축적된 물을 배수시킨다. 냉각트랩 의 정상적인 작동온도는 4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점검하는 동안 가 스 샘플링 라인에 있는 트랩이나 필터가 개방되어 있었다면 환형검침기에 가능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질소 공급원을 연결하여 샘플가스와 동일한 유량과 압력으로 순수한 질소가스를 주입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샘플가 스의 누설을 확인해야 한다. 이 때 산소분석기는 0에 위치하여야 한다.
화재진압 후 이웃 세대에 대한 인명 검색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사망 자를 발견하였다. 9) 2018년 1월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 A아파트에서 화 장실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피운 향초의 불꽃이 주변 가연물로 옮겨 붙 으면서 화재가 발생한 사례도 있었으며, 2015년 1월 제주시 도남동 한 빌라에서 A씨가 촛불을 켜고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다 잠든 사이 촛 불이 책장에 옮겨 붙어 사고 등 화재가 발생한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화재 사례에서 보듯 화기에 취약한 폴리에틸렌 가연성 합성수 지 단열벽지인 폼블럭을 실내 마감재로 설치한 가정주택 및 다중이용업 소에서 화재시 작은 불꽃에 의해서도 화염이 쉽게 착화되고 급속하게 확대되어 화염과 유독가스에 의한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로 직결 될 것이다. 이런 향초화재가 급증하여 일선 소방관서에서 다양한 향초를 놓고 화 재 실험 결과, 촛불을 켠지 3시간 정도가 지나면 촛농이 바깥으로 새어 나오고 유리 받침대는 검게 그을려 손으로 잡기가 어려울 정도로 뜨거 웠으며 열화상카메라로 온도를 측정한 결과 유리 받침대 온도가 100 ℃ 이상 올라갔으며 이때의 초심의 온도는 650 ℃를 넘게 치솟았다. 유 리가 깨질 수 있는 온도는 200 ℃∼300 ℃인데 받침대의 유리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쉽게 깨지면서 불이 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초화재 는 향초를 켜둔 채 잠자리에 들기 전에는 반드시 향초를 꺼야 하고, 향 초 받침대 및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향초를 고정해야 하며, 어린이나 애 완동물이 닿을 수 있는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향초 사용 전에는 주변에 있는 가연물을 치워야 하며 폼블럭 등 불에 타기 쉬운 실 내마감재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충분한 거리를 이격시켜야 한다고 밝히 면서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외국에서도 불에 타기 쉽고 유독가스를 발생하는 플라스틱류의 실내 마감재료 또는 실내장식재로 사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미국 IFC에 서는 폼 플라스틱에 대하여는 원칙적으로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다만, 예외 규정을 두어 전체 벽과 천장의 10% 미만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열방출 100 ㎾ 미만(UL 1975에 의한 시험), 320 Kg/㎡ 이상의 밀도, 0.5 in(12.7 ㎜) 이하의 두께와 8 in(20.3 ㎝) 이하의 폭 등의 사항을 요구하 고 있다. 영국의 경우 건축물 실내에 사용되는 마감재료 및 실내 장식 제(Linings)의 성능 기준은 건축물 실내에서의 화재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내마감재료의 표면이 화염 확대의 차단 또는 지연 등 유효한 성능이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만약, 실내마감재료에 착화되더 라도 급속하게 확산되지 않는 열방출량을 가져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 다. 실내마감 및 실내장식재는 주요구조부인 내력벽, 천장, 내부칸막이 벽 또는 기둥 등 다른 내부 구조를 이루는 실내마감재료를 모두 포함하 고 있다. 10)
2.3 실내마감재 등 관련 화재 통계 및 사례 2.3.1 최근 10년간 화재 발생 추이11) 2010년 소방청(구, 소방방재청) 시절 화재 및 사망자를 줄이기 위한 ‘화재와의 전쟁’ 정책 이후 화재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2013년 소방청에서 실시한 다각적인 예방정책 등‘화재피해 저감 정 책’으로 화재가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인구가 많이 모여 사는 도시 화 형태가 증가하고, 전기, 유류 등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시설 등이 계 속 늘어남에 따라 화재는 조금씩 증가 추세에 있다. 〈그림 2-11〉및〈표 2-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2008~2017년(10년) 까지 평균 화재건수는 44,103건, 인명피해 2,181명(사망 325명, 부상 1,856명), 재산피해 3,648억 원으로 나타났다.
〈표 2-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은 동양권에 속해 있어 건축 및 주변여건이 유사한 일본에 비해서는 화재예방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 타났으며, 일본의 화재발생률이 낮은 이유는 지진 등 잦은 재난으로부 터의 선행학습효과에 인한 국민의 안전의식과 정부부처의 시기적절하 고 효율적인 화재예방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화재발생 수준은 후진국형 대형화재로 인한 다수인명피해 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종합적인 화재안전정책의 추진이 절실히 필요 하다. 12) 가. 발화요인별 분석 발화요인은 발화열원과 최초 착화물이 결합하여 화재가 발생하게 된 요인을 말하는데 방화와 미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화재의 원인을 인적 (부주의), 물적(전기, 기계, 화학적 원인 등), 자연적 요인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2008 ~ 2017년(10년)까지 전체화재 441,030건 중 발화요인은 부주의 가 215,249건(49%)으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전기적 요인 100,831 건(23%), 기계적 요인 41,909건(10%), 방화의심 15,052건(3%), 방화 5,321 건(1%) 순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부주의로 215,249건의 화재가 발생 하였으며, 이것을 세 부적으로 살펴보면 담배꽁초가 66,079건(31%)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 로 음식물조리 33,638건(16%), 쓰레기 소각 28,824건(13%), 불씨, 불꽃, 화원방치 27,037건(13%), 용접, 절단, 연마 12,271건(6%), 가연물 근접방 치 9,806건(5%) 등 순으로 나타났다.
나. 화재장소별 분석 화재장소별로 보면 2008~2017년(10년)까지 전체화재 441,030건 중 주 거시설에서 112,244건(25%)이 발생하여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산업시설 54,573건(12%), 자동차, 철도차량 54,414건 (12%), 생활서비스시설 45,637건(10%), 임야 30,706건(7%), 판매, 업무시 설 23,051건(5%) 등 순으로 나타났다.
다. 화재피해별 분석 (1) 발화 원인별 인명피해 분석 2008~2017년(10년)까지 전체 사망자 3,247명 중 부주의에 의한 사망자 가 726명(22%)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전기적 요인 407명(13%), 방 화 357명(11%), 교통사고 111명(3%)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08~2017년(10년)까지 전체 부상자 18,564명 중 부주의에 의한 부상 자가 7,124명(38%)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전기적 요인 2,844명 (15%), 가스누출(폭발) 1,230명(7%), 방화 1,108명(6%), 방화의심 952명 (5%), 기계적 요인 924명(5%)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2) 화재장소별 인명피해 분석 2008~2017년(10년)까지 전체 사망자 3,247명 중 주거시설에서 1,956명 (60%)으로 사망자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자동차, 철도차량 292명 (9%), 산업시설 219명(7%), 생활서비스 195명(6%), 판매, 업무시설 153명 (5%), 임야 134명(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08~2017년(10년)까지 전체 부상자 18,564명 중 주거시설에서 8,065 명(43%)으로 부상자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산업시설 2,327명(13%), 생활서비스 2,090명(11%), 판매, 업무시설 1,569명(8%), 자동차, 철도차량 1,270명(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최초 착화물별 화재현황 ‘최초 착화물’이란 발화열원에 의해 불이 붙고 이 물질을 통해 제 어하기 힘든 화세로 발전한 가연물을 말하며, 2017년 최초 착화물별 화 재발생 통계를 보면, 종이·목재·건초 등이 12,282건(27.8%)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전기·전자 8,112건(18.4%), 쓰레기류 5,141건(11.6%), 합성수지 4,834건(10.9%), 식품 3,332건(7.5%)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이·목재·건초 등 12,282건 중 풀, 나뭇잎이 3,683건(30%)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종이 3,130건(27.8%), 건초 1,898건(15.5%), 목재·합 판 1,586건(12.9%) 등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기·전자 8,112건 중 전선피 복이 5,892건(72.6%)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전기·전자기계 케이 스가 578건(7.1%), 전자기기부속품 468건(5.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연소 확대물별 화재현황 ‘연소 확대물’이란 연소가 확대되는데 있어 결정적 영향을 미친 가 연물을 말하며, 종이·목재·건초 등이 6,268건(14.2%)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합성수지 3,252건(7.4%), 자동차 등 1,151건(2.6%)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소 확대 사유별 화재비율 및 사망비율은 가연성 물질에 의한 연소 확대 및 사망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3.2 주택화재 발생현황 2018년 소방청에서 발표한「2017 화재통계 연감」자료에 따르면 〈표 2-6〉과 같이 최근 6년간(2012∼2017년) 화재발생장소는 주택(단독·공 동주택)이 전체 화재 건수의 2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재 발생 비율(25%) 대비 사망자 발생률(60%)이 매우 높음을 우려하면서 주거(생 활)공간 안전성 보장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체 화재에서 연평균(2012~2017년) 주택화재 발생률이 약 18.2%이지 만, 화재 사망자 비율은 전체 사망자 비율의 50.1%가 주택에서 발생하 였다. 「건축법」제2조제2항제1호의 단독주택, 제2조제2항제2호의 공동 주택(아파트 및 기숙사 제외)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에 대하여 규정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8조(주 택에 설치하는 소방시설) 시행(2012. 2월) 이후, 2017년 기준 주택화재는 7% 증가하였으나, 화재사망자는 6.9% 감소하였다.
가. 원인별 주택화재 발생 현황 최근 6년간 발생한 주택화재는 〈포 2-7〉과 같이 총 46,920건으로 화재 원인별로는 음식물 조리, 담배꽁초, 쓰레기 소각, 불씨‧불꽃‧화원 방치 등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54.6%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그 다음 으로 전기적 요인(21.4%), 미상(11.2%), 기계적 요인(5.2%), 방화‧의심 (4.3%) 순으로 발생하였다.
나. 주택화재 원인별 사망자 발생 현황 최근 6년간 주택화재 사망자는 총 894명으로 사망자가 발생한 화재 원인별로는 화재진압으로 현장이 훼손되거나 전소되는 등으로 화재원 인조사 등이 원활치 않은 미상이 349명(39.0%)으로 가장 많았고, 부주의 194명(21.7%), 방화‧의심 164명(18.4%), 전기적 요인 149명(16.7%) 순으로 사망자 발생하였다.
2.3.3 주요 대형 화재 사례 가.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2003년 2월 18일 09:53경 대구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승강장 내 전 동차에서 방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여 지하철 전동차에 타고 있던 승 객과 승강장에서 전동차를 기다리고 있던 승객 등 192명이 사망하고 148명이 부상을 당한 사고가 발생하였다.
대구 지하철 1호선 1079호 열차가 중앙로역에 도착하는 순간 열차의 2호차에서 지적장애 2급 판정을 받은 방화범(56세)이 휘발유가 들어있 는 플라스틱 페트병에 라이터로 불을 붙였다. 주위 승객 3~4명이 소리 치며 저지하였으나 방화범이 말을 듣지 않아 실랑이가 벌어졌고, 방화 범은 휘발유가 든 페트병에 불이 붙자 집어던져 화염이 확산되었다. 바 로 열차내부의 의자 및 차량 마감재에 불이 확산되었고 삽시간에 농연 과 유독가스가 가득 찼다. 이때 상황전파가 되지 않은 1080호 열차가 맞은편 승강장에 도착하였고, 다량의 복사열에 의해 불이 옮겨 붙었다. 지하철 전동차의 의자, 손잡이 및 광고판 등 전동차 내부 마감재에 대한 규제가 없어 가연성 재료를 사용하고 있어서 연기와 유독가스가 많이 발생하였고, 역사내의 공조설비 및 제연설비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았다. 또한 전동차 내부에는 관련 규정이 없어 화재 감지 시스템이 없었으며, 플랫폼 등에는 스프링클러설비도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192 명의 사망자 대부분이 질식사하였고, 148명이 부상을 당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2004년 3월 11일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이 제 정되었고 2004년 10월 22일 「철도안전법」이 새로이 제정되었다. 또한 소방안전 관련 규제를 강화한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도 2003년 5월 29일 제정되었다. 13) 나. 경기도 이천시 냉동물류창고 화재사고 2008년 1월 7일 10:45경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냉동물류창고에서 화 재가 발생하여, 냉동물류창고 내 작업 중이던 인부 등 40명이 사망하 고, 10명 부상을 당한 사고가 발생하였다. 화재원인은 우레탄 발포 작 업 중 시너로 인한 유증기로 밝혀졌으며, 다수사상자 발생 원인으로는 냉동물류창고 특성상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마감재로 가연성 우 레탄 폼을 사용하였으며 내부 구획을 위해 샌드위치패널을 사용함으로 써 급격한 화염 확대와 유독가스가 발생되었고, 건물 내・외벽에 설치된 샌드위치패널이 무너져 화염전파를 차단하는 건축물의 방화구획 기능 도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는 소방법상 소방시설 설치 예외규정에 의해 냉동실과 냉장실로 예정된 곳이어서 소방 설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냉동물류창고 소유주는 벌금형이 받았고, 현장소장은 징역 10월에 집 행유예 2년의 형을 받았으며, 그 밖에 화재사고 관련자 10여명이 벌금 형을 받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건축법」에 건축물의 공사감리 규정 이 신설되었고 위반자에 대한 처벌규정 또한 신설되었다.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상에는 소방시설 등의 자 동기동상태 및 성능 유지에 지장을 초래하는 폐쇄(잠금 포함)ㆍ차단 등 의 행위를 금지토록 하였으며, 이를 위반하여 화재발생시 사람이 죽거 나 부상에 이르게 한 관리책임자는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 도록 하는 처벌규정이 신설되었다. 13)
다. 경기도 성남시 카라파라 호프집 화재사고 1998년 4월 17일 오후 7시 25분경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소재 3층짜 리 상가건물 3층 ‘카라파라’호프집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호프집 종 업원 및 손님 등 8명이 연기에 질식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건물은 1층 입구에서 발화되어 3층 호프집으로 연결되는 계단의 벽과 천정이 유리섬유로 강화된 강화플라스틱(FRP -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으로 장식돼 있고 호프집 내부창문이 석고보드로 막 은 통유리로 불법 개조돼 유독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해 인명피해가 컸 다. 또 호프집 안에 소형 소화기가 2대가 있었으나, 전혀 사용을 못했 으며 출입구를 외에 비상구가 없었으며 2층에서 3층으로 통하는 계단 에 카펫이 깔려 있어 인명피해를 더했다. 이 사고의 다수 인명피해의 결정적 원인은 업소의 내부구조였다. 영 업주가 동굴 분위기를 내기 위해 FRP로 꾸며놓은 내부 장식이 불에 잘 타는 물질이고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하였으며, 그리고 창문도 동굴 벽 면을 본떠서 완전히 막아 놓았기 때문에 연기가 빠져나갈 곳이 전혀 없 었다. 그래서 사망자들은 마지막 순간까지 최대한 불길과 연기를 피하 려 한 듯 불이 난 출입문 반대편 양쪽 구석에 모여 숨진 채 발견됐다.
라. 경기도 화성시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사고 1999년 6월 30일 새벽 경기도 화성군(현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 바다 가 주변에 있는 청소년들의 수련장소인 씨랜드 청소년수련원에 발생한 원인 모를(모기향으로 추정) 화재로 인하여 취침 중이던 강사 및 인솔 교사 4명과 유치원생 19명 등 총 23명이 숨지고 6명이 부상당하는 사 고가 있었다. 콘크리트 건물 1층 위에 컨테이너 52개로 가건물을 조합해서 운영하 고 있었던 씨랜드 청소년 수련원은 건축비용절감과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편의를 위해 콘테이너 실내를 목재 등 가연성 마감재로 인테리어를 함으로써 불이 나면 쉽게 번지고 이 과정에서 유독가스까지 추가로 발 생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건물구조에서 불이 났을 때 밖에서 물을 뿌 리더라도 건물 내부로 소화수가 침투되기 어려우며, 화재로 인하여 컨 테이너 자체강도는 많이 약해져 있어 내부 복도 등이 붕괴되기 쉽다.
이 사고 이후 언론에서는 해외 수련시설 안전사례 및 불량 사설수련 원 실태 등을 보도하여 정부와 관계기관의 각성을 촉구하였다. 이에 따 라 행정당국은 청소년보호정책을 강화해 「건축법」및「소방법」을 개 정하여 수련원 건축자재를 난연재로 하는 등 후속조치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건축법」등의 개정 이후에도 샌드위치패널을 사용하고 있는 건축물과 소방시설이 미비한 일부 청소년수련원이 법망을 피해 영업을 이어나갔고 행정기관에서도 강력한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대구 지하철 참사와 천안초등학교 축구부 합숙소 화재참사, 청도 버섯 공장 화재 등이 발생하자 건축물 및 차량 등의 난연성능 기준이 명확하 게 마련되었다.
제3장 건축물의 마감재료 정의 및 관련법령 3.1 건축물 마감재료의 정의 건축물 신축 계획시 건물의 주요 구조부등이 화재에 견딜 수 있도록 내화구조 계획하고, 건축물 내부의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구 획을 하더라도 모든 화재안전요건을 충족하기에는 부족하다. 우리가 실질적으로 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인 거실 등은 건축물의 구 조체보다는 실내마감재료에 더욱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건 축법」에서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 조건으로 건축물의 기본구조 및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방화구획 외에 일정 용도와 면적 이상 되는 건축물에 서의 마감재료의 난연성능기준을 규정하고 있다.「건축법」제52조에서 정의하는 건축물의 마감재료는 용도 및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벽체와 반자 및 천장 등에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 하여야 하는 내부 마감 재료 및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로 대별된다. 3.2 건축물 마감재료의 구분 3.2.1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는 건축물 화재발생 시 확산의 요인으로 작용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은 난연 이 상의 성능을 갖도록 규정하고 있다. 「건축법」제52조(건축물의 마감재료) 에서 건축물의 벽, 반자, 지붕(반자가 없는 경우에 한정한다) 등 내부의 마감재료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그 대상 건축물을 〈표 3-1〉과 같이 명시하였고 내부의 마감재료 사용을 부분별 로 〈표 3-2〉와 같이 구분하였다.
또한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실내장식 물”을 건축물 내부의 벽과 천장에 설치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가구류 (옷장, 찬장, 식탁, 식탁용 의자, 사무용 책상, 사무용 의자 및 계산대,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와 너비 10 ㎝ 이하인 반자돌림대 등 과 「건축법」 제52조에 따른 내부 마감재료를 제외한〈표 3-3〉과 같이 대상을 명시하였다.
건축물 화재와 마감재료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일반적으로 화 재는 건축물 내부에서 시작하여 화염이 주변으로 확대된다는 것이 기존 건축법의 입장이었다. 따라서 건축물의 마감재료는 내부 마감재료의 제 한만 규정되어 있었다. 화재시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로 사용되는 각종 재료에서 뿜어져 나 오는 고온의 복사열과, 농연 또는 유해가스 등이 인명안전에 미치는 영 향이 매우 크고 소재별로 가지고 있는 연소특성이 건축물 화재의 특징 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화재의 확대여부는 건축물 내부 가연재의 많고 적음에 기인하므로 건축물의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담보하며 주변으로의 확대를 저감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실내구조, 마감 재료 등이 불연 또는 난연화 하고자 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한 건축물의 화재건수를 보면 실내마감재로 인해 자주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연성 실내 마감재를 사용할 경우 화 재확대 위험성이 다른 화재에 비해 매우 큰 것으로 입증되었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서의 후레쉬오버 현상을 살펴보더 라도 실내마감재가 가연성 물질인 합판 등으로 마무리할 경우 벽체를 따라 올라간 화염이 천장에 다달아 천장의 수평으로 확대되는 것을알 수 있다. 가연성가스와 함께 일시에 인화해서 폭발적으로 방 전체가 불 꽃이 돌게 되며, 반면에 실내마감재를 불연재료로 사용할 경우 연소의 억제가 가능하고,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여 화염전파속도가 매우 낮음이 입증되었다. 재료나 제품의 연소특성은 열적 특성인 최고열방출률, 총 방출열량, 화염전파성 및 가스유해성 등의 요소를 가지고 각각을 평가 할 수 있다. 열방출 특성은 화재발생과 함께 화염확대 성상을 지배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평가되며 연기 발생률과 가스유해성은 재료의 열 분해 생성물로써 재실자의 피난저해나 패닉 발생 등 생리장해에 관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일부 재료는 화재시 불꽃 낙하나 용융, 화학적 변형성 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화재 시 유해가스에 의한 질식사가 사망의 주요 요인으로 확인됨에 따라 발 생한 연기량과 농도, 가스 유해성이 화재안전성 확보의 중요한 평가요 소임이 강조되고 있다. 4) 3.2.2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는 실내 공간을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차단, 보호하고 때로는 구조체의 역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외벽 마감재료는 방수, 내구성과 같은 기능적인 역할을 잘 수행하여야 한다. 「건축법」 제52조(건축물의 마감재료)에서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 하여야 한다’로 규정하고 그 대상을 〈표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시하였다.
2010년 부산 마린시티 화재의 경우 외벽의 가연성 마감재를 통해 수 직으로 화염이 확산되어 30분 만에 최상층까지 화염이 확산되었고, 2015년에는 의정부 아파트 화재에서 화염이 외벽을 통해 수직으로 빠 르게 확산되면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 또한 2017년 제 천 화재 및 영국 그렌펠타워 화재에서 건물 외벽의 화재확산에 의한 많 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위에서 열거한 화재의 공통점은 외단열 공법에 서 많이 사용되는 유기단열재는 단열성능이 좋은 반면,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14) 우리나라에서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744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 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 구조기준」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 등을 규제하고 있으나 콘칼로리미터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소재의 가열 시 발생되는 열방출률을 측정하여 활용하고 있어 대상 시험체가 복합재 료인 경우, 가열면 내부의 가연성 소재의 평가에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제천·밀양 화재사고 등의 재난에 의한 다수 사상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축물에 관련된 모순된 화재안전기준 전반을 ‘사람 중심’으로 전환하고자 관련법령을 개정 입법예고했다. 현재 6층 이상(22 m 이상) 건축물은 가연성 외부 마감재료 사용금지 대상이나 앞으로는 3층 이상 건축물과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 시설, 수련시설 등으로 대폭 확대되어 피난에 불리한 이용자들이 이용 하는 건축물에 가연성 외부마감 재료를 사용할 수 없게 하고 건축뮬 출 입구와 탈출구가 동일하여 문제가 된 필로티 주차장에서 화재가 확산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로티 주차장의 외벽과 상부 1개 층을 건축 법 상 방화에 지장이 없는 구조로 하는 등 건축물에서의 착화 및 화재 의 수직 확산 방지를 위한 건축물 마감재료의 기준을 대대적으로 강화 한다고 밝혔다. 개정 법령에서 건축물이 화재와 농연의 확산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현재 지하층 및 3층 이상 층에 층간 방화구획하던 것 을 건축물의 모든 층은 층간 방화구획 하도록 강화하여 1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상층까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재실자가 피난층인 1층으로 피난하는 것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하는 등 건축법을 대폭 강 화하였다.
3.2.3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는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재료에서의 유독가 스 발생 및 화재확산 등을 방지하여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마감재료를 말한다. 가. 불연재료 한국 산업규격 KS F ISO 1182(건축 재료의 불연성 시험 방법)에 따른 시험결과, 가열시험 개시 후 20분간 가열로 내의 최고온도가 최종평형 온도를 20K 초과 상승하지 않아야 하며(단, 20분 동안 평형에 도달하지 않으면 최종 1분간 평균온도를 최종 평형온도로 한다), 가열종료 후 시 험체의 질량 감소율이 30% 이하여야 하며, 한국 산업규격 KS F 2271 (건축물 마감재료의 가스유해성 시험) 가스유해성 시험결과, 실험용 쥐 의 평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이어야 한다. 나, 준불연재료 한국 산업규격 KS F ISO 5660-1 연소 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제1부: 열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에 따른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간 총 방출열량이 8 MJ/㎡ 이하이며, 10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 200 kW/㎡를 초과치 않으며, 10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 하는 방화 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복합자재의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되는 것을 포함한다) 등이 없어야 하며, 한국 산업규격 KS F 2271 중 가스유해성 시험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이어야 한다.
제1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우리나라에서는 20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화재로 인한 대형사고가 끊 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울 신촌 롤링스톤즈 락카페 화재, 경기도 성남의 카라파라 호프집 화재 및 인천 시 인현동 라이브호프집(히트노래방) 화재 등의 많은 인명피해를 동반 한 사고로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99년 10월 30일 오후 7시경 인천시 중구 인현동 상가건물에서 발생 한 화재로 호프집과 당구장에 있던 10대와 20대 청소년 등 손님 56명 이 불에 타거나 연기에 질식해 숨졌다. 이 날 불은 건물 지하에 있는 노래방의 내부수리 중에 발생하여 계단을 타고 2층과 3층으로 확산되 었다. 이 때문에 비상구와 비상계단을 찾아 헤매던 많은 청소년들이 죽 거나 부상을 입었다. 이날 50여 평 규모의 생맥주집은 120명이 혼잡하 게 북적였고, 내부구조는 탁자와 의자들로 가득 차 있어 통로가 비좁게 되었다. 이 때문에 화재사고 당시 미처 대피할 통로를 찾지 못해 인명 피해가 더욱 컸다. 이 화재는 지하 히트노래방 내부공사 후 청소작업 도중, 작업자들이 시너와 석유 중 어느 것이 더 빨리 불이 붙는가 알아 보려고 바닥에 시너를 붓고 라이터를 켜는 순간 발화되었으며, 당일 도 장공사시 체류된 유증기가 인화되어 폭발적인 화염확산이 진행되었다. 가연성 내장재(우레탄폼) 시공으로 유독가스 및 급격한 연소 확대되며 계단 및 피트를 통한 농연과 화염이 전파되었다. 화재 발생의 원인은 불장난으로 밝혀졌지만 대형 인명피해의 주원인은 우레탄폼 이라는 가 연성 내장재이다. 히트노래방 화재 이후 다중이용시설의 우레탄폼 등 합성수지를 건축물 내장재 및 장식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였고, 다 중이용시설의 소방・방화시설 등 완비증명제도의 규제를 강화하는 계기 가 되었다. 2008년 1월 7일 오전 10시 49분에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의 냉동 물류 창고 화재로 창고에서 일하던 57명 중 40명이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는 지하 1층 모서리 끝에 위치한 기계실 인근에서 발생한 것으 로 추정되었으며, 내부 벽면과 천장 모두가 10 cm 두께의 우레탄폼으 로 설치되어 불이 더 빠르게 확산되었고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해 인 명피해가 컸다. 우레탄이 타면 시안화가스가 발생하는데 나치 독일이 유대인 학살에 악용한 독가스 중 하나이다. 이천시 냉동 창고 대형 참 사 이후 소방청(구, 소방방재청)은 소방시설의 기능 및 성능 등에 지장 을 주는 행위를 강력하게 소방 관련법을 강화시켰다. 그러나 이천 냉동 창고 화재시 큰 이슈가 되었던 것은 내・외장자재로 사용되었던 샌드위 치패널이다. 대형 화재가 발생한 코리아 2000 냉동물류창고는 스티로폼 이 내장된 샌드위치패널을 사용해 건설된 건축물로 이런 장소에서 화재 가 발생될 경우‘불쏘시개’와 다름없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줬다. 이후 국토교통부는 샌드위치패널 등 내부 마감재료에 대해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2010년 2월 18일 ‘창고 바닥면적 3천 ㎡(스프링클러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6천 ㎡) 이상인 건축 물’에 대해서 난연성 물품을 사용하도록 의무화하였다. 위에서 살펴 본 화재들과 대다수의 다중이용업소 화재시 대형인명피 해의 원인은 내장재 연소에 따른 다량의 유독가스 발생, 화기 취급 부 주의, 건물내부의 불법 구조변경, 안전시설의 미비 및 관리 부실 등 저 마다 다양하지만 그 중 실내 내장(장식재)에서 발생한 다량의 연기와 유독가스로 인한 다수 인명피해는 화재시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대 상으로 부각되었다. 일련의 화재는 내장재 관련 규정의 불합리와 규제 의 시기 적절성 등에서 실내 내장재(장식재)로 사용되는 각종 재료 등 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물성이 다양하고, 가공이 용이한 플라스틱이라 불리는 고분자 물질은 대부분이 합성반응을 통하여 얻어지는 물질이며1) 전기, 전자 및 기계 그리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필수적인 재료로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 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사용되는 분야에서의 제품 출시 이전에 화재안 전성에 대한 사전 연구가 무시되고 해당 당국에서의 시기적절한 안전규 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게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최근에는 전문가에게 시공을 맡기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직접 가정 내 생활공간이나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사무실, 불특정 다수인이 출입하 는 다중이용시설 등을 꾸미는 DIY(do it yourself) 인테리어가 유행하면 서 관련 제품도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중 소비자들이 온라인 및 오프라 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가연성 합성수지 단열벽지(이 하 폼블럭)가 그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폼블럭은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적은 비용과 짧은 공사기간의 장점과 충격 완화와 방음, 또한 단열과 결로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 제품 생산업체 에서는 이러한 장점들을 TV 홈쇼핑 등에서 널리 홍보하며 제품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폼블럭의 주재료는 폴리에틸렌 가연성 합성 수지로 화재에 취약하고 화재 발생 시 다량의 연기와 유독가스로 인한 대형 인명피해가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규제가 없거나 미비한 상태로 일반인들이 널리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2), 3)
1.2 연구의 목적 다수 인명피해를 초래한 건축 내장재 관련 화재 사례를 조사하면, 인명 피해의 가장 큰 원인이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한 것으로 판명되어 건축물 실내마감재료의 화재안전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초 고층 건축물의 증가와 함께 불특정 다수인이 생활하는 건물들이 늘어나 면서 화재시 많은 인명 손실을 가져오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러 나 통상적으로 건축물 화재에서 연소 확대의 주 원인은 실내마감재의 표 면 연소로 인한 연기의 확산이 이루어진다. 실내 온도가 상승하고 복사 열로 급격히 화염이 확산된다. 특히 건물내에서 각 실로 연결되는 계단, 복도 등의 마감재료가 가연성인 경우 화재시 복사열에 의해서도 쉽게 연 소 확대되어 한순간에 전체 건물로 화재가 전파된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알려져 왔다. 더욱이 실내 마감의 인테리어 효과 및 고급화 추세에 따라 합성재의 혼합 등 신소재를 활용한 새로운 복합 재료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외관의 수려함이나 견고성 등 많은 효과를 표방 하고 있으나 거의 모두가 불에 잘타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 작은 화염 이나 복사열에 의해서도 쉽게 불이 붙고 화염이 확산되어 대형 화재를 일으키고 있다. 5) 현재 폼블럭은 주거용 건물뿐만 아니라 병원, 어린이집, 음식점, 사무 실 등 사용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폼블럭이 화재에 취약할 것이라고는 인지하고 있지만, 막상 화기를 직접 취급하지 않는 장소라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실내마감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심지 어 직접 화기를 취급하는 다중이용업소에서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더욱 이 폼블럭 등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이 '난연'이라는 용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며 자기소화성이 있다고 소비자들에 제품을 홍 보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현 법령 체제에서 내장재 성능기준을 적용하는 시험에 있어서 방출발 열량, 화염전파속도, 발열량, 가스유해성을 총체적으로 나타내지 못하고, 건축 재료의 불연성을 시험하는 KS F ISO 1182와, 열방출률 등 연소성능 을 평가하는 콘칼로리미터법인 KS F ISO 5660-1, 건출물 마감재료의 가 스 유해성을 측정하는 KS F 2271에 의한 일부 시편의 연소여부를 측정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국제적 기준에 비해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적용재료가 내장재에 한정되어 있어 구조체 밀착제는 무기질재료 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버렸고, 구조체 밀착재료 표면에 덧붙이는 실내마 감・장식재(인테리어재료)는 관리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발연성과 화염전 파속도가 빠른 플라스틱계열 재료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내장재 시장이 형성되어 화재시 안전을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최근 새 롭게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는 벽지 개념의 폼블럭은 폴리에틸렌 가연성 합성수지로 화재에 취약하지만 이에 대한 규제가 전혀 없다. 소 방 관계법령 , 건축 관계법령뿐만 아니라 생활용품의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서도 명확하게 규 제하고 있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맞는 안전요건도 검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 는 폼블럭에 대하여 KS F ISO 5660-1 연소 성능시험(콘칼로리미터법) 및 FTIR을 통한 가스유해성시험, KS F 2884 건축 재료의 화염전파시험, ASTM E 662-09 고체재료에서 생긴 연기의 특정 광학밀도 표준시험, 및 방염시험을 통하여 연소의 종합적 위험 평가 요소인 착화온도, 착화시간, 열방출 특성, 연기밀도, 가스유해성 등을 평가하는 한편, 소방 관계법령, 건축 관계법령 및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법령 등 건축물 내부 마감재 관련 법령을 검토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3 연구 범위 및 진행방법 건축물 내부마감재의 화재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화재시의 상황을 모사하기 위해 50 ㎾/㎡ 상당의 강한 복사열에 노출되었을 때 열방출률에 기여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연소성 능시험(콘칼로리미터법) 및 일정 복사열을 가했을 경우 수직방향의 재 료표면으로부터 화염전파 속도를 측정하는 건축재료의 화염전파 시험 을 비롯하여 발생하는 연기에 의한 재실자의 피난활동을 제한하는 정도 를 평가하는 연기밀도시험 및 인체에 유해한 연소가스를 평가하는 가스 유해성시험, 재료의 소형 시편이 가지고 있는 불꽃에 대한 저항성을 평 가하는 방염성능시험 등이 국내・외에서 각각의 시험 취지에 따라 활용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하나의 구조체로서의 연소성능을 평가하는 축소된 실규모 화재시험도 평가에 이용되고 있다. 6) 본 연구에서는 화재연소시험을 통한 폼블럭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 기 위하여 〈그림 1-1〉의 Flow-chart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진행하였 다. 첫 번째로, 벽지 개념의 폼블럭에 대한 주택 및 다중이용업소의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는 한편,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에 대한 국내・외의 관계법령 등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각종 화재 연소시험을 통하 여 폼블럭의 화재위험성을 분석 접근할 것이다. 두 번째로 각종 화재 연소시험을 통하여 폼블럭의 화재위험성을 평 가・분석하고자 한다.
•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폼블럭 중 일반 폼블럭과‘난연’성능이 있다고 판매하는 난연 폼블럭을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시험을 통해 열방출률 등 연소성능 시험과 가스분석 방법이 다른 분석방법에 비해, 동시에 여러 성분의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과 연소가 진행되는 동 안 실시간으로 농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 등이 부각7)되면 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 푸리에 변 환 적외선 분광법)를 이용한 가스 유해성 분석을 통해 폼블럭의 화재 위험성을 분석한다. • 국제해사기구(IMO) 및 철도차량기술기준 등의 수직방향의 내장 재 료 및 물품에 대한 연소성능 시험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ISO 5658-2 : 1998 Reaction to fire tests - Spread of flame-Part2 : Lateral spread on building products in vertical configuration을 기초로 작성한 한국 산 업표준인 건축 재료의 화염전파시험 방법(KS F 2844)에 의한 연소시험 을 통해 폼블럭의 연소성을 분석하여 그 화재위험성 및 실내마감 재료 의 적합성 등에 대해 연구하고, •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에 의한 재실자의 피난활동을 제한되는 정도 를 평가하는 연기밀도시험과 방염시험을 통하여 실내 인테리어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폼블럭의 화재안전성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 끝으로, 이런 일련의 현장 조사, 유사 선행연구 검토, 각종 관계법령 검토·분석 및 화재연소 시험결과를 통하여 ‘폼블럭’의 방화성능기 준 및 시험방법 등의 개선 및 규제 방안에 대하여 제품에 특성에 맞는 안전요건 및 규제 합리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2장 폼블럭 실내마감재의 화재위험성 및 화재사례 2.1 폼블럭에 대한 고찰 2.1.1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polyolefin foam) 폴리에틸렌 폼(PE폼)은, 흡수성이 낮아 저온에서의 취성파괴(Brittle Fracture, 재료가 외부의 힘에 의해 거의 소성 변형을 동반하지 않고 파괴되는 것, 고강도 재료일수록 취성적 파괴가 잘 나타난다)가 쉽지 않으며, 자르거나 깎기 등 2차 변형이 쉽고, 또 가요성(flexibility, 탄성 체가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받았을 때 휘는 성질)을 가지면서 압축 강도 가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1958년에 고발포의 무가교 압출 제조법 이 Dow Chemical(미국)에서 개발되었으며, 1960년 Expanded Rubber(영 국)에서 질소 함침 발포법이 적용되었으며, 발포제(blowing agent)를 사 용하는 PE폼 제조법은 1962년에 일본의 후루카와 전공에서 개발하였다. 이후 다양한 PE폼 제조법이나 프로세스 개발이 진행되었다. PE폼의 원재료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등이 사용되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나 에틸렌-프로 필렌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copolymer)도 이용된다. 발포제 (blowing agent)로 분해형 유기계 또는 탄화수소 가스나 불활성 가스 등 이 주로 사용되는데, 분해형 유기계에서는 아조디카르보아미드(ADCA) 나 N, 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N, N-Dinitrosopentamethylene tetramine) 등이, 탄화수소 가스에서는 부탄이나 펜탄 등의 탄화수소류 (hydrocarbon) 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류(halogenated hydrocarbon), 불 활성 가스(inert gas)계에서는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나 질소 (nitrogen)등이 사용된다. 가교발포법(closs - linking method)에 있어서의 가교제(cross-linking agent)로는, 다이큐밀퍼록사이드(DCP) 등 유기 과 산화물계(Organic peroxide)가 주로 사용된다. MSDS를 참조한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폼의 조성을 〈표 2-1〉에 나 타내었으며, 은 일반적인 폼플럭 제조 공정이다.
방사선 조사 폴리에틸론 폼(irradiated polyethylene form)은 가교제 대 신 전자선(주로 γ선)을 조사하여 폴리에틸렌을 가교시키는 방사선 중 합1)으로 생산되며 내마모성이 기존 폴리에틸렌 폼에 비약적으로 향상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되는 폴리에틸렌 고분자는 항장력, 내열성, 내스트레스크랙킹성 등이 향상된다. 폴리에틸렌 폼의 분해온도는 약 400 ℃로 150 ℃ 이상의 온도는 되도 록 피하도록 요구되며 분해생성물은 탄화수소류(hydrocarbon), 일산화탄 소(carbon monoxide) 등이며 소량의 암모니아(ammonia)도 생성된다. 화재 시 적용되는 소화약제로 CO2, H2O, Foam, 건식 분말소화약제 등이 있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고분자 물질의 난연성(fire retardant)을 부여하는 방법은 내열성 고분자(heat resistant polymer)를 제조하는 방법, 난연 성분을 고분자 구조 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 난연제(flame retardant)를 고분자 내에 물리적으로 첨가하는 방법, 난연 코팅 및 페 인트를 이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난연제는 첨가형과 반응형 난연제로 구분할 수 있다. 반응형 난연제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에 주로 사용되며 첨가형 난연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사용된다. 난 연 거동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불연성 기체를 방출하거나 연소성 기체 및 산소를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생성하거나, 연소열을 줄이는 방법으 로 연소 속도를 줄이는 방법, 충진제로서 유리강화섬유 및 인계 화합물 을 사용하는 방법, 물질의 열전도도나 물질의 비율을 증가시켜 난연 성 능을 얻는 방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2-2〉에서 보는 바와 같 이 할로겐화물 난연제는 반응성 높은 라디칼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며, 인계화합물은 char를 형성하여 분해반응을 억제한다. 무기 금속제 난연 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및 붕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등이 있으며 분해되어 H2O, CO2, SO2, HCl과 같은 불연성 기체 를 방출하며 대부분 흡열반응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난연성 폴리올레 핀계(폴리에틸렌) 수지는 난연제를 다량으로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할로겐계 난연제가 사용된다.
2.1.2 벽지 가. ‘벽지’의 정의 ‘벽지’란 실내의 벽·천정 등에 붙이는 종이제, 섬유제, 플라스틱제 및 금속박제 등의 것으로 접착제로 붙이는 것을 말하며, 제품의 한쪽 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합성수지 재질의 점착 시트(인테리어 필름)를 포 함한다. 나. ‘벽지’의 구성 벽지는 구성하는 구성 물질에 따라 벽지의 종류가 달라진다. 실크벽지는 재료 층이 PVC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질감이 좋고 물걸레질이 가능하나 통풍 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이가 재료층의 구성 물질이면 합지 벽 지라고 하며 가격이 실크벽지에 비해 저렴하며 통풍성이 좋은 장점은 있으나, 내구성이 낮고 물걸레질이 안 되는 단점이 있다. 단열 기능이 있는 단열 가교 PE폼을 재료층에 사용하면 단열벽지라고 한다.
다. ‘벽지’ 관련 법령 ‘벽지’는「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 관리법」(약칭‘전기생활용 품안전법.)상‘안전기준준수대상생활용품’으로 지정돼 관련 안전 및 표시 기준에 따라 관리된다. ‘안전기준준수대상생활용품’이란 소비자 가 취급ㆍ사용ㆍ운반 등을 하는 과정에서 사고 또는 위해가 발생할 가 능성은 적으나 소비자가 성분ㆍ성능ㆍ규격 등을 구별하기 곤란한 생활 용품으로서 생활용품의 제조자 또는 제품 수입업자가 당해 안전기준을 준수함으로써 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고 인정되어 산업통상자원부령 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벽지’는 생활용품분야로 분류되어 있고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18- 195호(2018. 6. 29)에서는 벽지의 안전기준 을 규정하고 있고 벽지의 안전요건은 〈표 2-3〉과 같다.
위에서 명시된 난연성 규정을 살펴보면 난연성 시험은 소방청 고시 제 2017-1호(2017.7.26.)호 「방염성능기준」제4조에서 규정한‘얇은 포’측 정기준과 동일한 시험방법 및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현재 폼블럭이 벽 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명확한 근거가 없이 폼블럭을 벽지에 포 함시키지 않고 있다.(한국소비자보호원에서 국가기술표준원에 문의. 2016. 8.31). 3)
2.1.3 단열벽지와 폼블럭 단열벽지의 일반적인 구성은 〈그림 2-3〉과 같으며, 벽면과 인접하 는 점착 이형지 상부로 은박 PET(또는 알루미늄), 단열 가교 PE폼, 장 섬유부직포, 벽지필름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순히 3층(점착 이형 지-단열 가교 PE폼-벽지필름)구조에서 9층 구조의 복잡한 구조를 가진 것까지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이다.
단열벽지 재료층의 단열 가교PE폼의 구조상 단열별지는 실크 벽지나 합지 벽지에 비해 상당히 두꺼운 1 cm 내외의 두께를 가지며 〈그림 2-4〉와 같이 폼블럭과 일반 단열벽지로 구분된다.
단열 가교 PE폼 내부에 존재하는 각각의 Cell 안에는 공기층이 들어 있으며 이 공기층은 공기나 습기를 투과시키지 않아 단열(전도열 차단), 방음, 방진, 방습 기능을 가지게 되고, 저방사 보온 단열재인 알루미늄 또는 은박PET 필름은 알루미늄이 열을 흡수하지 않는 높은 반사율과 열을 방출하지 않는 낮은 방사율을 가져 복사열 차단 기능을 이용한 것 이며, 폴리에스터 재질의 장섬유부직포 또한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층이 단열 기능을 한다. 박리지(release paper)는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의 점착면을 보호 하기 위해 뒷면에 붙인 이형지라고도 한다. 점착테이프, 감압 접착지· 라벨·실 등의 점착면에 접촉시켜 면을 보호하거나, 사용할 때는 벗겨 내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표면가공이 되어 있으며 크라프트지(紙) 의 한쪽 면이나 양면에 실리콘수지에멀션을 칠해서 만든다. 장섬유는 필라멘트(filament) 1개의 섬유가 길게 이어져 있는 형태, 그 중 화학섬 유의 경우는 장섬유나 단섬유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으므로, 레이온· 나일론·폴리에스터 등 모든 화학섬유에 장섬유를 만들 수 있다.
2.2 폼블럭 실내마감재의 사용현황 및 화재위험성 겨울철을 앞두고 우수한 단열효과로 판매가 활발한 폼블럭은 주로 PE 재질과 단열폼으로 구성된 벽돌 느낌의 벽지로 여러 크기와 색상의 제품이 출시돼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다. 단열필름, PE 접착층, 발포 단 열폼, 접착층 등 1 ㎝ 두께의 다양한 소재로 구성돼 단열과 방음효과, 어린 아이들을 위한 완충재 기능 등을 내세우고 있다.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서 불특정 다수인이 출 입하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 등을 위해 실내장식물에 대한 규정이 미비하게 있으며,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 한 법률」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방염 등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고, 그 화재로 인해 다수 사망자가 발생하는 단독 주택은 소방관련 법령에서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은 사각지대 로 남아 있어 단독주택 및 다세대 주택 등에 대한 폼블럭과 같은 가연 성 실내마감재에 대한 사용 및 설치에 규정이 없어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건축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불연재 의무사용 규정이 건축 준공시 구조 체에 부착되어 외부로 나오는 표면재료에 한정됨에 따라 건축물의 준공 검사시 확인하기 어려운 건축물 구조체의 심재, 즉 단열재는 화재안전 성이 검증되지 않은 유기질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심재를 보호하는 표면재료는 공인인증기관의 시험을 통과한 불연물품을 사용하고 있다. 건축 준공 후 건축물 구조체 밀착재료 마감에서 내부공간을 장식하는 실내건축공사가 이어지는데 이때 사용 재료에 대한 합당한 규제가 건축 관계법령, 소방 관계법령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가공이 용이하고 외견 상 화려한 유기질재료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어 화재안전성능 확보 를 저해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4)
2017년 2월 공영방송인 KBS에서는 최근 단열 성능을 강조하며 미관 도 중시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폼블 럭에 대한 특별 취재를 하였다. “단열 벽지‘폼블럭’불나면 유독가스 주범”이라는 제목의 뉴스에서 보도된 바와 같이, 요즘 일반 가정에서 도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벽지 이른바‘폼블럭’을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폼블럭은 불에 쉽게 타는 데다 화재시 유독가 스까지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가정 내 화재를 가상해 폼블럭에 대해 간이 화재시연을 실시하였다. 화재시험 시연에서 폼블럭에 불을 붙이니 급격하게 불이 번지더니 1분도 안 돼 검은 연기를 내품으며 전 체가 녹아내렸으며, 정확한 측정에 의하지는 않았지만, 연기에는 일산 화탄소를 비롯해 아황산가스 등 수많은 유독물질이 포함되었을 것이라 고 밝히면서 폼블럭이 소방법 적용대상이 아니며, 방염 처리한 제품도 없고, 주방과 난방기 주변에까지 무분별하게 시공이 이루어진다고 방송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분위기 전환용 및 인테리어용품 등의 다양한 이유로 향초를 사용하는 가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심해진 미세먼지로 인한 실내 환기 및 냄새 제거 등의 목적으로 향초를 사용하는 가구가 많아지고 있 다. 향초를 사용하는 가구가 증가하면서 향초(촛불)를 켜놓은 상태로 잠 을 자거나 외출해 화재가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 의 발생원인은 향초 불꽃과 향초 주변 가연물과의 접촉 등의 일상생활 속의 부주의가 대다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초로 인한 화재 사고는 전체 화재건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으나 사망자 발생 원인분석 시에는 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8) 향초 사용 부주의로 인하여 지난 2011년 12월 수원시 다세대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 화재는 외벽을 타고 상층의 다른 세대 창문을 통해 유입된 유독한 가스로 상층 거주자가 사망한 사례가 있었다.
요인 4는 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변수 중 ‘디저트의 가격수준이 적절함’, ‘음료의 가격수준이 적절함’, ‘와인의 가격수준이 적절함’, ‘음식의 가격수준 이 적절함’ 등 4개의 변수에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고 있어 요인명을 ‘가격’ 이라 명명하였으며, 신뢰도는 84.6%의 매우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요인 5는 레스토랑의 점포이미지변수 중 ‘주차하기 용이함’, ‘배경음악이 식사하는데 잘 어울림’ 등 2개의 변수에서 높은 적재량을 보이 고 있어 요인명을 ‘분위기’라 명명하였으며, 신뢰도는 58.9%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확인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에 따라 도출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5개의 내재된 차원인 인적서비스의 5개 항목, 메뉴의 5개 항목, 위생의 5개 항목, 가격의 4개 항목, 그리고 분위기의 2개 항목을 포함하여 총 18개의 측정항목을 이용하여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에서와 같이 적합도가 χ 2=295.523 (df=177), p=0.000, RMR=0.024, GFI=0.932, AGFI=.911, NFI=.933, CFI=.972, RMSEA=.041로 적합성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3. 레스토랑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레스토랑 고객만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를 다음 에 제 시하였다. 고객만족의 측정항목 5개 변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요인이 단일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인의 분산의 설명력은 61.6%로 나타났고, 신뢰도는 81.4%의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레스토랑 고객만족에 대한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에 따라 도출된 레스토랑 고객만족의 5개의 측정항목을 이용 하여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에서와 같이 적합도가 χ 2=46.801 (df=5), p=0.000, RMR=0.029, GFI=0.955, AGFI=.866, NFI=.928, CFI=.934, RMSEA=.014로 적합성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또한 레스토랑 충성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를 다음 에 제시하였다. 충성도의 측정항목 6개 변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요 인이 단일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인의 분산의 설명력은 69.5%로 나타났고, 신뢰도는 81.4%의 높은 내적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레스토랑 충성도에 대한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에 따라 도출된 레스토랑 충성도의 6개의 측정항목을 이용하여 확 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에서와 같이 적합도가 χ 2=110.115 (df=9), p=0.000, RMR=0.028, GFI=0.907, AGFI=.883, NFI=.930, CFI=.935, RMSEA=.016로 적합성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4. 전체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측정모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구성개념인 요인 간 상관을 고려하여 전체 모델의 적합수준을 파악하고, 또한 개별 요인에 대한 관측 변수 신뢰도를 검증한 후 최종문항의 전체 모델에서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전체모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의 모델적합도 평가는 단일 지수가 아니라 여러 지수에 대한 종합적 평가가 뒤따라야 한다. 먼저 카이스케어 검정의 경우, 표본의 수가 많거나 변수의 수가 일정 수 이상이면 구조방정식모델의 평가에서 카이스 케이 검정은 큰 의미가 없다.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는 지수를 보면, 전반적 적합도 지수인 GFI, 제 안모델과 기초모델을 비교할 수 있는 TLI(Tucker-Lewis Index), 기초모델 에 비해 제안모델이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NFI(normed fit index)는 0.8이면 적합, 0.9이상이면 매우 좋은 모델로 평가되며 1에 가까 울수록 바람직하다. 위의 전체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은 GFI 0.841, AGFI 0.799, NFI는 0.807, TLI는 0.873으로 나타나 적합한 수준으로 본다. 오차를 평가하는 지수 중 RMR은 0.07이하거나 0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 고 또한 모형추정치 값과 공분산 행렬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RMSEA 역시 일반적 기준으로 이 값이 0.10 이하면 자료를 잘 적합 시키고 0.05에서 0.08 사이의 값을 가지면 모델을 수용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 RMR은 0.033, RMSEA는 0.030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요 컨대 제 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때, 본 연구의 확인적 요인 분석 모델은 적합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각 측정항목들의 경로계수와 유의수준은 위와 같은데, 모든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각 요인의 관측변수들은 요인의 개념을 설명하는 데에 적합하게 구 성되어 있었으며, 또한 다중제곱상관값 역시 0.30 이하로 나타나는 관측변 수는 없어 모델적합도 및 요인의 신뢰도를 크게 저해하는 문항은 보이지 않는다.
5. 구성개념의 상관관계 연구의 구성요인간의 상관성 및 응답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을 실시하였다. 외생변수와 내생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독립성 요인이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흥미로움, 유능성, 진실성, 세련성과 점포이미지 의 인적서비스, 메뉴, 위생, 가격과 매개변수인 고객만족 그리고 종속변수 인 충성도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제 4 절 연구가설 검증 1.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의 정준상관관계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4개 요인군과 점포이미지의 5개 요인군을 정준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 다. 정준상관관계분석결과는 다음 에 제시하였다. 정준상관관계분석결과 정준상관계수가 유의성(p<.05) )을 갖는 정준상관함 수 3개가 도출 되었다. 정준상관함수 1의 정준상관계수는 .630(p<.001) )이고 정준변량군들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설명력도 매우 유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준변량군들 간의 상대적인 설명력을 나타내는 중복성 지수에 있어서 점포이미지에 의하여 설명되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이 .226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에 의하여 설명되는 점포이미지도 .21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정준상관함수 1에서 정준교차적재치의 크기가 최소 .03수준 이상의 것에 근거하여 그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흥미로움’, ‘유능성’, ‘진실성’, ‘세련성’ 등 4개 요인 모두가 점포이미지의 ‘인적서비스’, ‘메뉴’, ‘위생’, ‘가격’, ‘분위기’ 등 5개 요인 모두와 강한 정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정준상관관계분석 결과에서 표준화 상관계수를 살펴볼 때 레스토랑 인테 리어 디자인과 관련이 있는 중요한 항목으로는 ‘유능성’, ‘진실성’, ‘흥미로 움’, ‘세련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점포이미지와 관련이 있는 중요한 항목으 로는 ‘인적서비스’, ‘가격’, ‘위생’, ‘분위기’, ‘메뉴’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준상관함수 2의 정준상관계수는 .300(p<.001)이고 정준변량군들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설명력도 매우 유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준변량군들 간의 상대적인 설명력을 나타내는 중복성 지수에 있어서 점포이미지에 의하여 설명되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이 .017로 나타났으며, 또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에 의하여 설명되는 점 포이미지는 .015로 나타났다. 정준상관함수 3의 정준상관계수는 .155(p<.05)이고 정준변량군들 간의 상 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설명력도 매우 유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준변량군들 간의 상대적인 설명력을 나타내는 중복성 지 수에 있어서 점포이미지에 의하여 설명되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이 .003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에 의하여 설명되는 점포이미지도 .003으로 나타났다. 2. 구조모형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방정식모델이 자료와 적합한지를 평가하고, 또 한 수정된 최종모형을 확정하며, 다음으로 최종모형에서 요인들 간의 경로 계수의 유의성을 파악하여 가설검증을 진행하고자 한다. 개념적인 연구모형에 측정변수들을 도입한 측정모델을 Amos 5.0을 이용 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축하였다. 모수의 공분산행렬과 추정된 공분산행렬이 동일하다는 귀무가설을 검증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카이제곱검증은 그 값이 작으면 작을수록, 유의확률 은 0.05 이상이면 좋은 모형으로 평가된다. 즉 모수의 공분산행렬과 추정된 공분산행렬이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채택되는 경우에 좋은 모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모형의 적합도를 절대지수로 나타내는 것에는 카이제곱, 적합도지수 (GFI), 조정된 적합도지수(AGFI), 평균제곱잔차제곱근(RMR) 등이 있다. 현실적으로 적합한 모형에서 그 검증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도 대표본의 경우 카이제곱 확률값이 낮은 경우가 있다. 이것은 카이제곱분포가 표본크 기에 달라지는 약점이 있기 때문이다. 표본이 매우 크면 모형이 현실을 적 절하게 설명하고 있어도 모형과 현실의 근소한 차이에 대해서도 경고신호 를 보낸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의 수가 많은 관계로 카이제곱 및 확률 값 을 모형 적합성의 판단근거로 하는 동시에, 이와 더불어 적합도 지수(GFI), 조정된 적합도 지수(AGFI), 평균제곱잔차제곱근(RMR) 등을 고려하여 적 합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기초모형에 대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였고, 이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해 보았다. 모델적합도를 평가하는 GFI, AGFI, NFI, TLI, RMR, RMSEA를 기준으 로 기초모형의 적합도 평가를 하였다. GFI, AGFI, NFI, TLI는 0.8에서 0.9 이상이고, RMR와 RMSEA는 0.05에서 0.08 이하면 좋은 모형으로 평가된 다(Bagozzi & Yi, 1998). 기초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GFI는 0.823, AGFI는 0.783, NFI는 0.788, TLI는 0.858, RMR과 RMSEA는 0.036, 0.062로 각각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부적합한 수준은 아니지만, 좀 더 적합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 위반추 정치와 수정지수(M.I: Modification Indices)를 근거로 모형의 수정을 진행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모형에 대한 평가를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 다. GFI는 0.901이고 AGFI가 0.894로 0.90에는 다소 못 미치지만 다른 적합 지수와 함께 고려할 때 좋은 모델로 볼 수 있다. 표준적합지수(NFI)는 적 합도를 표준화하여 제시한 지수이며 0.909로 90.9%의 적합수준을 의미한 다. 평균제곱잔차제곱근(RMR) 지수는 수집된 자료로부터 계산되는 공분산 행렬을 모형에서 가정한 공분산행렬과 비교하여 산출하는 분산-공분산행 렬로서, 서로 다른 모형들이 주어진 자료에 적합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0.05보다 작으면 모형이 잘 적합된 것으로 판단한다. 최종수정모형에서는 RMR값이 0.033로 나타나고 있어 적합성이 있는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RMSEA 역시 0.029로 모형으로서 양호하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모형의 기초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의 카이제곱값의 차이는 197.733, 자유 도는 12로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Q은 3보다 적 어야 전반적인 적합도를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수정모형의 경우 Q값 이 1.653으로 최종모형으로 양호하다고 판단된다.
3. 추가 분석 1)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차이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4개 요인인 흥미로움, 유능성, 진실 성, 세련성에 인구통계적 변수인 성별, 연령, 학력, 결혼유무, 월평균수입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차이검증 결과 성별, 연령, 결혼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학력 및 월평균 수입에 따라서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흥미로움에서 남성(M=3.23) 이 여성(M=3.08)에 비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레스토 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흥미로웁, 유능성, 진실성, 세련성 등 4개 요인 모두 가 연령대간 유의한 차이(p에 제시하였다. 차이검증 결과 연령, 학력, 결혼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성별 및월평균 수입에 따라서는 점포이미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점포이미지요인 중 가격요인에서 연령대간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사후검증분석결과 인테리어 디 자인요인 모두에 40대가 높게 지각하고 반면에 20세 미만은 낮게 지각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와 50대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유능성 및 진실성에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결혼유 무에 따른 차이검증결과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흥미로움에서 기혼(M=3.28)이 미혼(M=3.06)에 비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점포이미지의 차이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점포이미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5개 요인인 인적서비스, 메뉴, 위생, 가격, 분위기 에 인구통계적 변수인 성별, 연령, 학력, 결혼유무, 월평균수입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차이검증 결과 연령, 학력, 결혼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성별 및월평균 수입에 따라서는 점포이미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점포이미지요인 중 가격요인에서 연령대간 유의한 차이(p<.01) 를 보였다. 사후검증분석결과 20세 미만(M=2.80)만 낮게 지각하고, 나머지 20대(M=3.22), 30대(M=3.34), 40대(M=3.42), 50대 이상(M=3.24)은 모두 높 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점포이미지는 위생요인(p<.05)과 분위기요인(p<.05)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증분석결과 위생요인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고, 분위기요인에서는 대학원 집단(M=3.56)이 4년제대학 집단 (M=3.25)에 비해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결혼유무에 따른 점포이미지는 가격요인(p<.01)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혼자 집단(M=3.39)이 미혼자 집단(M=3.20)에 비해 가격요인이 높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외식행태에 따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차이 외식행태 특성에 따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 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4개 요인인 흥미로움, 유능성, 진실 성, 세련성에 외식 행태특성 변수인 외식시기, 월평균 외식비, 동반자, 교통 수단, 정보원천, 소요시간, 선호메뉴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차이검증 결과 외식비, 동반자, 교통수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나 머지 외식시기, 정보원천, 소요시간, 선호메뉴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흥미로움(p<.001)과 세련성 요인(p<.01)에서 월평균 외식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흥미로움은 10-20만원 미만집단(M=2.98)이 낮게 지각하고, 반면에 20-30만원 미만 집단(M=3.22)과 30-40만원 미만 집단 (M=3.32)이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련성은 10-20 만원 미만집단(M=3.14)이 낮게 지각하고 반면에 30-40만원 미만 집단 (M=3.45)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유능성(p<.05)과 진실성(p<.05)은 동반 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능성의 경우 동반자가 가족인 집단 (M=3.66)이 높게 지각하고 연인(M=3.41)이나 회사동료(M=3.40)가 동반자 인 집단은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흥미로움(p<.01)과 진실성(p<.05)은 교통수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 인요인 중 흥미로움의 경우 자가용(M=3.25)을 이용하는 집단이 높게 지각 하고 반면에 대중교통(M=3.04)을 이용하는 집단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진실성의 경우에도 자가용(M=3.54)을 이용하는 집단이 높게 지각하고 반 면에 대중교통(M=3.42)을 이용하는 집단이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4) 외식행태에 따른 점포이미지의 차이 외식행태 특성에 따른 점포이미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 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4개 요인인 인적서비스, 메뉴, 위생, 가격, 분위기에 외식행태특성 변수인 외식시기, 월평균 외식비, 동반자, 교통수단, 정보원 천, 소요시간, 선호메뉴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차이검증 결과 외식비, 동반자, 교통수단, 선호메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이고, 나머지 외식시기, 정보원천, 소요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점포이미지요인 중 가격요인(p<.05)과 분위기요인(p<.05)에서 월평균 외식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점포이미지요인 중 가격은 10-20만원 미만집단(M=3.17)이 낮게 지각하고, 30-40만원 미만 집단 (M=3.40)이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위기는 10-20만원 미만집단(M=3.33)과 20-30만원 미만 집단 (M=3.30)이 낮게 지각하고 반면에 30-40만원 미만 집단(M=3.59)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이미지요인 중 위생요인(p<.05)만 동반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동반자가 회사동료인 집단(M=3.48)이 낮게 나타나고, 그 외 친구 (M=3.75), 연인(M=3.75)이나 가족(M=3.83)이 동반자인 집단은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이미지요인 중 가격요인만 교통수단(p<.01)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가용(M=3.36)을 이용하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대중교통 (M=3.16)을 이용하는 집단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점포이미지요인 중 가격요인(p<.01)만 선호메뉴에 따라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중식(M=3.47)을 선호하는 집단은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양식(M=3.13)을 선호하는 집단은 낮게 나타났다.
제 5 장 결 론 제 1 절 연구의 요약 본 연구는 호텔에서 운영하는 고급 레스토랑을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 로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의 지각과 점포이미지 및 레스토랑 선택속 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레스토랑 고객의 인테 리어 디자인, 점포이미지, 레스토랑 선택속성의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이 해하여 레스토랑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고려할 수 있고, 이는 학문적·실무적 차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개념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기술분석 결과 18개 측정 항목 중 1개 항목만 제외하고 나머지 17개 측정항목의 평균점수가 중앙값 보다 높아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측정척도로 개발된 항목이 적절하 다고 판단된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18개 측정항목 중 높은 평균 값을 보인 항목들은 대체로 자연스러운 디자인요인이고, 반면에 낮은 평균 값을 나타낸 항목들은 혁신적이거나 판타지 느낌 등 자연스러움에서 벗어 난 디자인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이런 분석결과는 연구의 대상이 호텔 고급레스토랑이기 때문에 파격적인 인테리어를 하고 있지 않 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점포이미지 21개 측정항목의 기술분석 결과 21개 항목 모두의 평 균값이 중앙값보다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항목 이 점포이미지를 측정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기술분석 결과 음식가 격, 음료가격, 와인가격, 디저트가격에 대한 적절성에 대한 평균값이 상대 적으로 낮아 응답자들이 호텔 고급레스토랑의 가격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 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의 편리성에 대한 평균값도 타 점 포이미지 속성에 비해 낮은 평균값을 나타내 호텔 고급레스토랑의 주차시 설에 대한 편리성이 요구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18개 측정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합도 지 수가 χ 2=273.93 (df=115), p=0.000, RMR=0.041, GFI=0.933, AGFI=.900, NFI=.914, CFI=.948, RMSEA=.059로 적합성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 로 나타나 18개 측정항목 모두를 추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레스 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내재된 차원은 ‘흥미로움’, ‘유능성’, ‘진실성’, ‘세련 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의 21개 측정항목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합도 지 수가 적합도가 χ 2=295.523 (df=177), p=0.000, RMR=0.024, GFI=0.932, AGFI=.911, NFI=.933, CFI=.972, RMSEA=.041로 적합성 평가기준을 충족 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21개 측정항목 모두를 추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 석결과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의 내재된 차원은 ‘인적서비스’, ‘메뉴’, ‘위생’, ‘가격’, ‘분위기’로 나타났다. 다섯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과 점포이미지의 관계인 연구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4 개 요인군과 점포이미지 5개 요인군의 분석결과 유의한(p<.05) 정준상관함 수가 3개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인 흥미로움, 유능성, 진실성, 세련성 4개 요인 모두가 점포이미지의 인적서비스, 메뉴, 위생, 가격, 분위기 5개 요인 모두와 매우 높은 정준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과 고객만족의 인과관계를 측정하는 연구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 과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능성요인과 세련성요인이 고객만족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반면에 흥미로움과 진실성요인은 아무런 영 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연구가설2는 부분 채택되었다. 일곱째,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의 인과관계를 측정하는 연구가설 3을 검 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포이미지의 인적서 비스요인과 메뉴요인이 고객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점포이미지의 위생요인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여덟째, 고객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측정하는 연구가설4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객만족은 충성도 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연구의 개념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 인 차이검증 (연구가설 5-1)을 실시한 결과,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에 서는 성별, 연령, 결혼유무에 따라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냈다. 레스토 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흥미로운 요인은 남성이면서 기혼자의 평균값 이 여성이면서 미혼자의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를 막론하고 레스토랑의 유능성 및 진실성의 평균값은 높게 나타났다. 열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레스토랑 점포이미지 차이검증 (연구가설 5-2)을 실시한 결과,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에서는 연령, 학력, 결혼유무에 따라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냈다. 레스토랑 점포이미지 요인 중 가격요 인은 연령대를 막론하고 모두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고, 분위기 요인은 대 학원 졸업자의 경우가 4년제 대학 졸업자에 비해 높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 으며, 가격 요인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열한번째, 외식행태에 따라 연구의 개념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차이검증 (연구가설 6-1)을 실시한 결과, 월평균 외식비, 동반자, 교통에 따라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냈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요인 중 흥 미로운 요인과 세련성은 월평균 외식비가 높은 집단일 수록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능성요인과 진실성요인은 동반자가 가족인 경우의 집단의 평균값이 높고 연인 혹은 회사동료가 동반 자인 경우는 상대적으로 평균값이 낮게 나타났다.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 인요인 중 흥미로움과 진실성요인에서는 자가용 이용집단의 평균값이 대중 교통 이용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외식행태에 따른 점포이미지의 차이검증 (연구가설65-2)을 실시한 결과, 월평균 외식비, 동반자, 교통, 선호메뉴에 따라 유의한(p<.05) 차이를 보였 다. 점포이미지의 가격요인과 분위기요인에서는 월평균 외식비가 높은 집 단의 평균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의 위생요 인은 회사동료가 동반자인 경우만 제외하고 모든 동반자 집단에서 평균값 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점포이미지의 가격요인에서 자가용 운전가 가 대중교통 운전자에 비해 높은 평균값을 보이고, 또한 중식 선호자가 양 식 선호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호텔에서 운영하는 고급 레스토랑을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 로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의 지각과 점포이미지 그리고 고객만족 및 충성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를 통 해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점포이미지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및 점포이미지가 레스토랑 고객만족 및 충성도 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및 점포이미 지 관리를 통해 레스토랑의 선택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 및 점포이미지 관리는 타 경쟁업체 와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나아가 레스토랑의 고객 을 만족시켜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어 경쟁력있는 레스토랑으로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호텔 고급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파격적인 디자인보다는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면서 세련성 및 진실성을 강조해야 한다는 점이다. 파 격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은 캐주얼 다이닝인 패밀리레스토랑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호텔 레스토랑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이 높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보수적인 성향이 주고객인 호텔 레스토랑 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는 자연스러우면서 세련성이 돋보이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둘째, 레스토랑 점포이미지의 기술분석 결과 현재 호텔 레스토랑의 음식 및 음료의 가격수준이 고객에게는 높게 지각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주차시설의 편리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점도 고려할 만하다. 이 두 가지 요 인은 호텔 레스토랑을 타 경쟁업체와 차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 고 판단된다. 철저한 원가관리를 통해 고객에게 가격가치를 제공하고 동시 에 주차관리 서비스를 추가함으로써 고객만족을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여성고객을 위한 차별적인 주차서비스 및 단골고객에 대한 무료주차 서비스방안을 도입하는 전략도 효과가 있을 것이다. 셋째,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 레스토랑 점포이미지, 고객만족, 그리고 충성도의 관계검증인 연구가설 1, 2, 3, 4의 검증결과 레스토랑 인 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레스토랑 점포이미지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 며 동시에 레스토랑을 타 경쟁업체와 차별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호텔 레스토랑의 수익증대를 위해서는 레스토랑을 소비자 들이 외식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장소뿐만 아니라 기분전환 등이 될 수 있 는 주 고객층에 친근한 인테리어 특성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즉, 점포이미지와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는 레스토랑의 마케팅 커뮤 니케이션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고객조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를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연구 개념의 차이검증을 통해서도 호텔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디자인의 진실성 및 세련성은 핵심이 되어야 하며, 연령층에 따라 남성 고객층이 많은 레스토랑의 경우에는 약간의 변화를 가 미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고 특히, 레스토랑 인테리 어 고려 시 젊음, 화려함, 유일함 등을 반영한 레스토랑 인테리어로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 진다. 반면에 여성고객층이 많은 레스토랑 의 경우는 자연스러움과 세련성을 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레스 토랑 점포 이미지 요인 중 분위기 요인의 경우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 졸업 자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이는데, 호텔레스토랑에서의 이러한 고객층의 단체 예약에 있어서 분위기에 보다 신경을 써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외식행태에 따른 연구 개념의 차이검증을 통해 레스토랑 인테리 어 디자인을 자연스러운 디자인에서 약간의 변화를 가미한 디자인이 월평 균 외식비가 높은 집단에 매력적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호텔레 스토랑의 주고객층이 소득수준이 높은 시장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파격적 인 디자인보다는 자연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강조하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통해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위하여 향후 의 연구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연구의 한계점에 있어서 방법론적 측면을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 의 표본 집단은 호텔 레스토랑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시 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연구의 대상을 제한함으로써 연구결과를 전체 고급 레스토랑에 적용시키기에는 문제가 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호텔 레스토랑뿐만 아니라 고급레스토랑을 조사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 어질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을 살펴볼 때, 첫째, 연구를 진행해 가는 데에 있어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선행연구의 부재로 측정도구를 선정하는 과정에 서 Aaker(1991)의 개성변수를 이용하여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 를 측정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김경숙(2004)의 실내디자인 스타일의 차원 이 Aaker(1991)의 개성변수의 차원과 마찬가지로 인간 심리적인 특성을 설 명한다는 점에서 Aaker(1991)의 측정척도를 이용하여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평가하였다는 점에는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점포이미지 지 각을 통해 고객만족 및 충성도를 평가할 때 서비스 품질 및 고객감정에 의 해 영향을 받는 등 연구 구성요인들 간의 상호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규명하는 연구가 함께 이루어지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